브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올은 구약성경과 유대교, 이슬람교 전통에서 언급되는 인물이다. 구약성경에서 브올은 에돔 왕 벨라의 아버지, 예언자 발람의 아버지로 등장하며, 미가서에도 언급된다. 유대교에서는 발람의 아버지이자 예언자로 여겨지며, 탈무드에 등장한다. 이슬람교에서는 알마수디의 기록을 통해 브올의 가계와 이스라엘 백성과의 관계가 묘사된다.
구약성경에서 브올은 두 인물의 아버지로 등장한다. 창세기와 역대기에 따르면, 그는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는 왕이 있기 전에" 에돔을 다스린 초기 왕 벨라(בלע|벨라heb)의 아버지이다.[9][10] 또한 민수기에 등장하는 예언자 발람( בלעם|발람heb)의 아버지이기도 하다.[4] 발람과 관련된 이야기는 신명기[7]와 미가서 6장 5절에서도 언급된다.
발람의 아버지인 브올은 유대교 전통에서 예언자로 여겨진다.[1] 탈무드에서는 그를 이방인에게 예언한 일곱 명의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언급하고 있다.[1] 한편, 신약성경 베드로후서 2장 15절의 킹 제임스 성경 번역본에서는 '''보소르'''(Βεὼρ|베오르gre)라는 이름으로 불린다.[2]
2. 성경에서의 브올
신약성경의 베드로의 둘째 편지 2장 15절(킹 제임스 성경 번역 기준)에서는 브올을 '''보소르'''(Βεὼρ|베오르el)라는 이름으로 언급한다.
유대교 전승인 탈무드 (바바 바트라 15b)에서는 브올을 그의 아들 발람과 함께 이방 민족에게 예언한 일곱 예언자 중 한 명으로 간주한다.
2. 1. 에돔 왕 벨라의 아버지
창세기는 에돔 왕들의 목록에서 '브올의 아들 벨라(בלעheb)'가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는 왕이 있기 전에" 에돔을 다스린 왕 중 한 명이었다고 기록한다.[9] 벨라는 기록된 여덟 명의 에돔 왕 중 첫 번째 왕이다.[9] 이 내용은 역대기에서도 동일하게 언급된다.[10]
2. 2. 예언자 발람의 아버지
"브올의 아들 발람(בלעםheb)"은 민수기에 나오는 잘 알려진 이야기에 등장하는 예언자이다.[4] 그는 모압 왕 발락으로부터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하나님의 뜻에 따라 오히려 그들을 여러 차례 축복했다.[4]
그러나 이후, 발람은 민수기 31장에 기록된 브올 사건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하여 죄를 짓도록 부추긴 인물로 지목된다.[5] 이 일로 인해 그는 결국 죽임을 당하게 된다.[6] 발람의 이야기는 신명기에서도 이전 성경 내용을 요약하는 형태로 다시 언급된다.[7]
브올은 미가서 6장 5절에서도 언급된다.
3. 유대교 전통에서의 브올
3. 1. 탈무드 기록
탈무드 바바 바트라 15b에서는 브올을 이방인에게 예언한 일곱 명의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언급한다. 해당 기록에 따르면, "일곱 명의 예언자가 이방인에게 예언했는데, 그들은 발람과 그의 아버지(브올), 욥, 엘리바스 데만 사람, 빌닷 수아 사람, 소발 나아마 사람, 그리고 엘리후 바라켈의 아들 부스 사람이다."라고 되어 있어, 브올이 유대교 전통 내에서 예언자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2. 보소르
신약성경의 베드로후서 2장 15절, 특히 킹 제임스 성경 번역본에서는 브올을 '''보소르'''(Βεὼρ|베오르gre)로 표기한다. 이는 그리스어 성경 번역 과정에서 발생한 표기 차이로 보인다.
4. 이슬람교 전통에서의 브올
이슬람교 전통에서도 브올은 발람(빌람)의 아버지인 베오르(Ba'ura)로 언급된다. 9~10세기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알마수디는 그의 저서 황금의 초원과 보석 광산에서 브올과 발람에 대해 기록했는데, 이는 이슬람 전승의 한 예를 보여준다.[1] 이처럼 이슬람교에서도 브올은 발람의 아버지로 인식되며 관련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4. 1. 알마수디의 기록
알마수디는 그의 저서 황금의 초원과 보석 광산에서 브올과 그의 아들 발람(빌람)에 대해 기록했다. 알마수디에 따르면, 빌람 벤 베오르(브올의 아들 발람)는 가나안 땅의 한 마을에 살았으며, 모압의 후손이었다. 그는 바우라(베오르) 벤 사누르 벤 와심 벤 모압 벤 롯 벤 하란(풋)의 아들이라고 전해진다.발람의 기도는 효험이 있었기에, 그의 백성(모압 사람들)들은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 여호수아 벤 눈(여호수아)을 저주해달라고 발람에게 요청했다. 그러나 발람은 이스라엘을 직접 저주할 수는 없었다.
대신 발람은 거인들의 왕들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타락시킬 계략을 알려주었다. 그는 아름다운 여인들을 이용해 이스라엘 진영의 남자들을 유혹하라고 조언했다. 그들이 이 계략을 실행하자, 이스라엘 남자들은 유혹에 넘어가 죄를 지었고, 그 결과 진영에 역병이 퍼져 7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알마수디는 기록했다. 이 기록은 이슬람교에서도 브올과 발람의 이야기가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참조
[1]
서적
Studies in Aramaic Inscriptions and Onomastic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
성경
Genesis 36:31-32
[3]
성경
1 Chronicles 1:43
[4]
성경
Numbers 22-24
[5]
성경
Numbers 31:8, 16
[6]
성경
Numbers 31:8, 16; Joshua 13:22
[7]
성경
Deuteronomy 23:4-5
[8]
서적
Studies in Aramaic Inscriptions and Onomastic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9]
성경
Genesis 36:31-32
[10]
성경
1 Chronicles 1: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