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람은 성경, 랍비 문헌, 신약성경, 꾸란 등 다양한 종교적 텍스트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성경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하라는 모압 왕 발락의 요청을 받고,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결국 야훼의 지시를 따라 예언을 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랍비 문헌에서는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신약성경에서는 탐욕의 전형으로 언급된다. 꾸란에서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일부 구절이 발람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 데르알라 비문에서는 발람의 환상에 대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으며,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주 - 방황하는 유대인
    예수를 조롱한 죄로 영원히 속죄받지 못하고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저주를 받았다는 전설 속 인물인 방황하는 유대인은 '카르타필루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여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성경적, 역사적 맥락에서 기원하고 진화하여 여러 매체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재해석되었다.
  • 저주 -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은 17세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시대에서 유래된 전설로, 희망봉 인근을 영원히 떠돌아다닌다는 유령선이며, 예술 작품, 특히 바그너의 오페라에 영감을 주었다.
  • 모세 - 예수의 변모
    예수의 변모는 공관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으로, 예수의 모습이 변화하고 모세와 엘리야가 나타나 예수와 대화하며 예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 모세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 히브리어 성경의 예언자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 히브리어 성경의 예언자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발람

2. 성경에서의 발람

발람은 브올의 아들로,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거주하는 이방인 예언자였다. 모압 왕 발락은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하기 위해 발람을 불렀으나, 야훼의 개입으로 발람은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예언을 하게 된다. 발람의 주요 이야기는 모세가 죽고 요단강을 건너기 직전,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 동쪽 모압 평지에 체류하는 동안을 배경으로 한다.[6] 발락은 미디안 장로들과 모압 사신들을 브돌의 아들 발람에게 보내 이스라엘을 저주하도록 부탁했다.[7]

발람은 야훼가 명령한 것만 할 수 있다고 답했고, 야훼는 꿈을 통해 그에게 가지 말라고 명령했다. 발락은 더 높은 지위의 제사장들을 보내 발람에게 영예를 바쳤지만, 야훼는 자신의 말만 전하라는 조건으로 가는 것을 허락했다. 야훼는 발람이 간 것에 노하여 천사를 보냈고, 발람이 탄 당나귀만이 천사를 볼 수 있었다. 당나귀는 기적적으로 말할 수 있게 되었고, 발람은 천사를 통해 야훼의 뜻을 깨닫고 회개했지만 계속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

발람과 천사 ''뉘른베르크 연대기'' (1493)


존 린넬 (1859)의 ''선지자 발람과 천사''


발락은 기럇-후솟에서 발람을 만나 바알의 산당으로 가서 제사를 드렸지만, 야훼는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예언을 주었다. 발락은 비스가의 다른 산당으로 발람을 데려가 다시 제사를 드렸지만, 발람은 또다시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예언을 했다. 발람은 브올에서 세 번째 예언을 통해 이스라엘을 축복했고, 겐 족속과 아말렉의 운명에 대한 예언을 한 뒤 발락과 헤어졌다.

발람의 예언은 총 7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스라엘의 번영과 승리를 예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순서내용
첫 번째 (민수기 23:7-10)이스라엘 왕국의 독특한 승영과 셀 수 없는 숫자를 예언한다.
두 번째 (민수기 23:18-24)이스라엘의 도덕적 미덕, 군주제, 군사적 정복을 기념한다.
세 번째 (민수기 24:3-9)이스라엘 군주제의 영광과 정복을 기념한다.
네 번째 (민수기 24:14-19)에돔과 모압을 정복할 왕의 도래를 예언한다.
다섯 번째 (민수기 24:20)아말렉의 폐허에 관한 것이다.
여섯 번째 (민수기 24:21-22)아시리아에 의한 겐 족속의 멸망에 관한 것이다.
일곱 번째 (민수기 24:23-24)앗수르와 에벨을 공격하기 위해 서쪽에서 오는 "깃딤의 배"에 관한 것이다.



렘브란트 판 레인 (1626)의 ''발람과 나귀''


이후 이스라엘 백성이 이교 의식에 참여하면서 역병이 발생했지만, 비느하스가 주동자들을 처단하면서 멈췄다. 이스라엘 백성은 미디안을 공격했고, 발람은 이 전투에서 사망했다.[63] 모세에 따르면, 발람은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한 계략을 꾸민 자였다.[64]

2. 1. 모압 왕 발락의 요청

모세의 인솔하에 이집트에서 나온 이스라엘인들은 모압 평원에 진을 쳤다. 아모리인을 물리친 이스라엘 백성의 수가 많은 것을 보고 모압의 왕 발락은 두려움을 느꼈다.[51]

발락은 점술가인[51] 브올의 아들 발람에게 저주를 퍼붓게 하기 위해 펫토르에 사자를 보냈다. 모압인과 미디안인의 장로들은 감사의 곡물을 가지고 발람에게 가서 왕의 말을 전했다.[52] 발람의 권유로 사자들은 발람 곁에 머물렀다. 그때 야훼가 나타나 그들이 누구인지 질문했고, 발람은 그들의 신분과 그들을 보낸 왕 발락의 목적을 말했다. 야훼는 이스라엘은 자신이 축복한 백성이므로 저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고, 발람도 신을 따르며 제안을 거절하고 사자들을 돌려보냈다.[53]

발락 왕은 더 높은 신분의 사자를 보내 우대하고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줄 테니 저주해 달라는 뜻을 전했다. 하지만 발람은 집을 가득 채울 정도의 금은을 제시하더라도 자신은 신의 말씀에 반할 수는 없다고 사자들에게 말했다. 다만, 발람은 이번에도 사자들에게 머물 것을 권하며, 더 나아가 신이 자신에게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확인하게 해달라고 했다.[54]

밤이 되자, 발람 앞에 나타난 신은 이번에는 발락 왕에게 가는 것을 허락했다. 그러나 신이 발람에게 말한 것만을 해야 한다는 제한이 붙었다.[55]

2. 2. 발람과 나귀

모세의 인솔하에 이집트에서 나온 이스라엘인들은 모압 평원에 진을 쳤다. 모압의 왕 바락은 이스라엘이 아모리인을 물리친 것을 알고, 이스라엘인의 많은 숫자를 두려워했다.

바락은 점술가인[51] 브올의 아들 발람에게 저주를 퍼붓게 하기 위해 펫토르에 사자를 보냈다. 모압인과 미디안인의 장로들은 감사의 곡물을 가지고 발람에게 가서 왕의 말을 전했다.[52]

발람의 권유로 사자들은 발람 곁에 머물렀다. 그때 야훼가 나타나 그들이 누구인지 질문했고, 발람은 그들의 신분과 그들을 보낸 왕 바락의 목적을 말했다. 야훼는 이스라엘은 자신이 축복한 백성이므로 저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고, 발람도 야훼를 따르며 제안을 거절하고 사자들을 돌려보냈다.[53]

바락 왕은 더 높은 신분의 사자를 보내 우대하고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줄 테니 저주해 달라는 뜻을 전했지만, 집을 가득 채울 정도의 금은을 제시하더라도 자신은 야훼의 말씀에 반할 수는 없다고 발람은 사자들에게 말했다. 다만, 바락은 이번에도 사자들에게 머물 것을 권하며, 더 나아가 야훼가 자신에게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확인하게 해달라고 했다.[54]

밤이 되자, 발람 앞에 나타난 야훼는 이번에는 바락 왕에게 가는 것을 허락했다. 그러나 야훼가 발람에게 말한 것만을 해야 한다는 제한이 붙었다.[55]

다음 날 아침, 발람은 나귀를 타고 사자들과 함께 발락 왕에게로 향했다. 야훼는 분노하여 천사를 보내 막으려 했다. 나귀는 천사를 보았기에 무서워서 길에서 벗어나려 했다. 천사가 양쪽에 돌담이 있는 길에 나타나자 나귀는 곁으로 다가가려다 발람을 돌담에 밀어붙였고, 천사가 좌우로 굽이치는 길도 없는 좁은 곳에 가로막자, 길을 벗어날 수도 없게 된 나귀는 그 자리에 멈춰 섰다.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발람은 그때마다 나귀를 때렸다.[56]

마침내 나귀는 항의의 말을 했고, 발람은 지금 칼을 가지고 있었다면 너를 죽였을 것이라고 분노를 드러냈다. 나귀는 또한 자신은 지금까지 오랫동안 타 왔지만, 항상 이런 행동을 취했었냐고 말했다. 과연 그렇다고 의아해하는 발람의 눈을 야훼가 열어주자, 그에게도 천사의 모습이 보이게 되었다.[57]

천사로부터 꾸중을 들은 발람은 지금부터라도 되돌아갈까 하고 말했지만, 천사는 발람에게 사자들과 함께 가는 것을 허락했다. 다만, 먼저 야훼가 발람에게 전한 것과 마찬가지로, 야훼가 말한 것밖에 해서는 안 된다는 제한이 붙어 있었다.[58]

2. 3. 발람의 예언

모세가 죽고 요단강을 건너기 직전, 이스라엘 백성이 요단강 동쪽 모압 평원에 체류하는 동안, 모압의 왕 발락은 아모리인시혼바산을 무찌른 이스라엘 백성을 두려워했다.[6] 발락은 미디안 장로들과 모압 사신들을 브돌의 아들 발람에게 보내 이스라엘을 저주하도록 부탁했다.[7]

발람은 야훼가 명령한 것만 할 수 있다고 답했고, 야훼는 꿈을 통해 그에게 가지 말라고 명령했다. 발락은 더 높은 지위의 제사장들을 보내 발람에게 영예를 바쳤다. 발람은 야훼께 간청했고, 야훼는 마침내 자신의 말만 전하라는 조건으로 가는 것을 허락했다.

야훼는 발람이 간 것에 노하여 천사를 보냈다. 발람이 탄 당나귀만이 천사를 볼 수 있었고, 발람은 당나귀를 벌하기 시작했다. 당나귀는 기적적으로 말할 수 있게 되었고, 발람은 천사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천사는 당나귀 덕분에 발람이 살았다고 말했고, 발람은 회개했지만 계속 가라는 지시를 받았다.

발락은 기럇-후솟에서 발람을 만나 바알의 산당으로 가서 일곱 제단에 제물을 바쳤다. 야훼는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예언을 주었고, 발람은 이를 발락에게 전했다. 발락은 비스가의 다른 산당으로 발람을 데려가 다시 제사를 드렸지만, 발람은 또다시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예언을 했다.

발람은 브올에서 일곱 번 제사를 드린 후, 야훼의 영이 임하여 이스라엘에 관한 세 번째 긍정적인 예언을 했다. 발락은 분노했지만, 발람은 운명을 예언할 뿐이라고 답했다. 발람은 겐 족속과 아말렉의 운명에 대한 두 가지 예언을 더 하고 발락과 헤어졌다.

발람의 예언은 총 7편의 (히브리어) 시로 구성되어 있다.

순서내용
첫 번째 (민수기 23:7-10)이스라엘 왕국의 독특한 승영과 셀 수 없는 숫자를 예언한다.
두 번째 (민수기 23:18-24)이스라엘의 도덕적 미덕, 군주제, 군사적 정복을 기념한다.
세 번째 (민수기 24:3-9)이스라엘 군주제의 영광과 정복을 기념한다.
네 번째 (민수기 24:14-19)에돔과 모압을 정복할 왕의 도래를 예언한다.
다섯 번째 (민수기 24:20)아말렉의 폐허에 관한 것이다.
여섯 번째 (민수기 24:21-22)아시리아에 의한 겐 족속의 멸망에 관한 것이다.
일곱 번째 (민수기 24:23-24)앗수르와 에벨을 공격하기 위해 서쪽에서 오는 "깃딤의 배"에 관한 것이다.



2. 4. 발람의 최후

이스라엘 백성이 이교 의식에 참여하면서 역병이 발생했지만, 미디안 족속 족장의 딸 코즈비와 이스라엘 사람 짐리가 엘르아살의 아들 비느하스에 의해 살해되자 이스라엘 백성에게 번지던 역병은 멈췄다. 그럼에도 이 역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24,000명에 달했다.[62] 이스라엘 백성은 미디안 족속을 타락시킨 죗값으로 미디안을 공격했고, 기록된 적 측 사망자 중에는 발람의 이름도 포함되어 있다.[63]

모세에 따르면 미디안 사람들은 발람의 계략에 의해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했다고 한다.[64]

3. 랍비 문헌에서의 발람

랍비 문헌에서 발람은 이방인 예언자 중 한 명으로, 때로는 모세와 비견될 정도로 높은 지위를 부여받기도 했다.[9][10] 처음에는 단순한 꿈 해몽가였지만, 나중에는 마법사가 되었고, 마침내 예언의 영이 그에게 임했다고 한다.[11]

그러나 탈무드에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탐욕스럽고 오만한 인물로 그려진다.[16] 하느님이 분노하는 정확한 순간을 파악하여 이스라엘 백성을 저주하려 했으나, 하느님께서 의도적으로 분노를 억제하여 그를 좌절시키셨다고 한다.[12]

랍비들은 발람을 "악한 자"라는 뜻의 ''라샤''라는 형용사를 붙여 불렀으며,[14] 한쪽 눈이 멀고 한쪽 발을 절뚝거리는 모습으로 묘사했다.[15] 그의 제자들은 악한 눈, 거만한 태도, 탐욕스러운 정신과 같은 세 가지 도덕적으로 부패한 특성을 지닌 것으로 구별된다.[16]

랍비들은 발람이 브올의 이단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해석하며, 그가 이스라엘 백성을 부도덕한 행위로 유혹하여 바알-브올을 숭배하도록 발락에게 조언했다고 주장한다.[17]

발람은 "사람이 없다"는 뜻의 "벨로 '암" 또는 "사람을 망하게 한 자"라는 뜻의 "빌라 '암"이라고 불린다. 그의 기억에 대한 적대감은 매우 커서 그의 삶에서 사악함이나 불명예의 특징이 발견되면 그것에 대해 설교해야 한다는 격언이 있을 정도였다.[18] 그는 33세에 죽었으며,[18] 장래 세상에서 아무런 몫도 없었다고 한다.[19]

산헤드린 106b와 깃틴 57a에서 발람은 예수에 비유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발람이 유대 문학에서 예수를 가리키는 가명으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22][23][24][25]

4. 신약성경에서의 발람

요한 계시록 2장 14절에서는 "발람의 가르침"을 따르는 페르가뭄의 거짓 교사들에 대해 경고하는데, 그들은 "발람이 발락을 가르쳐 이스라엘 자손 앞에 걸림돌을 놓아 우상에게 바쳐진 것을 먹고 음행하게 하였느니라"라고 묘사되었다.[29] 발람은 유혹에 저항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성품을 지녔다고 묘사된다.[30] 베드로후서 2장 15절과 유다서 1장 11절에서는 탐욕에 의해 동기 부여된 거짓 예언자의 예시로 발람을 언급한다. 이 발람은 베설의 아들로 언급되는데, 보통 브올과 동일시된다.[32][33][34][35]

5. 꾸란에서의 발람

꾸란에는 발람에 대한 명확한 언급은 없다. 그러나, 해설자들은 꾸란의 알 아라프 7장 175-176절이 발람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38]

무슬림 해설가들은 '''발암 빈 바우라'''(بلعام بن باعوراء|발람 이븐 바우라ar)는 하나님(알라)의 책에 대한 지식을 받은 가나안 사람이었다고 설명한다. 그의 백성은 그에게 모세와 그와 함께 하는 자들을 저주하도록 요청했지만, 그는 "어떻게 내가 천사들과 함께 하는 자를 저주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들은 계속 그를 압박했고, 결국 그는 이스라엘인들을 저주했고, 그 결과 그들은 40년 동안 방황의 광야에 머물렀다. 그리고 모세를 저주했을 때 그의 혀가 나와 가슴에 떨어졌고 그는 개처럼 헐떡이기 시작했다.[39][40]

알 타바리[41]가 전하는 이야기는 어느 정도 더 성서적이다. 발람은 가장 신성한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가 하나님께 구하는 모든 것은 그에게 주어졌다. 그 후 발람과 암나귀 이야기가 길게 이어진다. 실제로 저주가 내려질 때, 하나님은 "그의 혀를 돌리셨고" 그리하여 저주는 자신의 백성에게 떨어졌고 축복은 이스라엘에게 임했다. 그러자 그의 혀가 나와 가슴에 매달렸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신의 백성에게 여자들을 치장하고 아름답게 하여 이스라엘인들을 유혹하도록 내보낼 것을 권고했다. 바알 브올에서의 전염병과 코즈비와 짐리의 이야기가 이어진다.[42]

알 타바리가 전하는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발람은 가장 신성한 이름을 알고 세상의 것을 얻기 위해 가나안인들에게 넘어간 이스라엘 출신 배교자였다. 알 탈라비[43]는 발람이 의 후손이라고 덧붙인다. 그는 또한 발람의 꿈 이야기, 하나님이 그에게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것을 금지하셨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또 다른 버전은 발락은 발라의 왕인데, 발람에게 가장 신성한 이름을 사용하여 이스라엘을 저주하도록 강요했다는 것이다. 저주는 자동적으로 내려졌고, 모세는 그 저주의 근원을 알고 하나님께 발람에게서 그 이름에 대한 지식과 그의 믿음을 거두어주시기를 간청했다. 이것이 이루어지자, 그들은 흰 비둘기의 모습으로 그에게서 나갔다.

바그다드 역사가 알 마수디는 그의 저서 《황금의 초원과 보석의 광산》에서 발람 벤 베오르는 셈(가나안)의 땅에 있는 마을에 살았으며, 그는 바우라(베오르) 벤 사누르 벤 와심 벤 모압 벤 벤 하란(푸트)의 아들이며, 그의 기도가 응답되었고, 그의 백성은 그에게 여호수아 벤 눈을 반대하여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그는 그렇게 할 수 없었고, 그래서 그는 거인들의 왕들에게 예쁜 여자들을 보여주고 여호수아 벤 눈의 진영으로 풀어주라고 조언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고, 그들(이스라엘인들)은 여자들에게 달려갔고 전염병이 그들 사이에 퍼졌으며 그들 중 7만 명이 죽었다고 한다.[44]

6. 데르알라 비문

1967년, 요르단 데르알라에서 발견된 비문에는 "브올의 아들 발람"의 환상에 대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46] 이 비문은 기원전 840-76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며, 발람을 여러 신들과 관련된 예언자로 묘사한다.[46]

비문에 따르면,[45] 발람은 울면서 깨어나 백성들에게 밤에 신들이 나타나 한 여신이 땅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하는 이야기를 했다고 말한다. 그 여신은 하늘을 덮어 세상을 완전한 어둠으로 만들 것이라고 한다. 성경의 내용과 달리, 비문은 발람을 아스타르, 슈그르라는 신, 샤다이 신과 여신 등 여러 신들과 연관시킨다.[46]

''옥스포드 성경 연구 핸드북''은 이 비문을 "알파벳으로 기록된 서부 셈어 책의 가장 오래된 사례이자, 가장 오래된 아람어 문학 작품"이라고 설명한다.[47] 이 비문은 텍스트를 강조하기 위해 붉고 검은 잉크로 칠해졌으며, 119개의 잉크 칠한 석고 조각이 발견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 Pronouncing and Phonetic Dictionary of Biblical Names http://ling.kgw.tu-b[...] University of Tübingen 2012-10-24
[2] Bibleverse
[3] Bibleverse
[4] Bibleverse
[5] Bibleverse
[6] 문서 Numbers 22:2
[7] 문서 Numbers 22:4–5
[8] 웹사이트 Balaam http://jewishencyclo[...] Jewishencyclopedia.com
[9] Talmud Bava Batra 15b
[10] 간행물 Numbers Rabbah
[11] 문서 ib. 7
[12] Talmud Berachot 7a
[13] Talmud Zevachim 116a
[14] Talmud Talmud Berachot l.c.; Taanit 20a; [[Numbers Rabbah]] 20:14
[15] Talmud Sanhedrin 105a
[16] 웹사이트 Avot of Rabbi Natan https://www.sefaria.[...]
[17] 문서 Sanhedrin 106a; Yerushalmi Sanhedrin 10 (28d); [[Numbers Rabbah]] l.c.
[18] 문서 Sanhedrin 106b
[19] 문서 Sanhedrin 10:2; 90a
[20] 문서 Tanhuma Balak, 1
[21] 문서 Bava Batra 14b
[22] 웹사이트 Bilam & Jesus http://www.oztorah.c[...] Oztorah.com 2012-07-30
[23] 간행물 Bileam and Jesus
[24] 간행물 Jewish Encyclopedia, under the category of: Balaam
[25] 서적 Jesus in the Talmu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26]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Laban http://jewishencyclo[...]
[27] 웹사이트 Jasher http://www.sacred-te[...]
[28] Bibleverse
[29] Bibleverse
[30] 간행물 Antiquities of the Jews
[31] 간행물 De Vita Moysis
[32] 서적 Who's Who of the Bibl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Everyone Named in the Bible https://books.google[...] Lion Books 2013-01-03
[33] 서적 The Proper Names of the Bible; Their Orthography, Pronunciation, and Signification, Etc https://books.google[...] John Mason 1839
[34] 서적 A Dictionary of the Bible, Comprising Its Antiquities, Biography, Geography, and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S.S. Scranton & Company 1896
[35] 서적 Jude and 2 Peter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08-11-01
[36] 웹사이트 Torah of Yeshuah: Book of Meqabyan I - III http://torahofyeshua[...]
[37]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b-ok.org/dl/[...] Barton, J. and Muddiman, J. (2001)
[38] 문서 qref|7|175-176|c=y
[39] 웹사이트 Tafsir Surah Al-A'raf - 175 https://quran.com/7:[...] 2024-02-29
[40] 웹사이트 Tafsir Surah Al-A'raf - 175 https://quran.com/7:[...] 2024-02-29
[41] 간행물 Annales De Goeje
[42] 문서 Num. xxv. 14, 15.
[43] 간행물 'i'a' al-Anbiyya Cairo ed., 1298
[44] 웹사이트 The Prophets, Their Lives and Their Stories: Elias, Elisha, Ishmael and Balaam: Some of The Conditions of a Group of Prophets (PUT) https://sacred-texts[...] 2023-09-11
[45] 서적 Aramaic Texts from Deir 'Alla Documenta et Monumenta Orientis Antiqui (Leiden) 1976
[46] 서적 Enemies and Friends of the State: Ancient Prophecy in Contex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48] 논문 Is Balaam Also among the Prophets? 1995
[49] 문서 申命記23章4節
[50] 문서 いずれも民数記23章7節
[51] 문서 ヨシュア記13章22節
[52] 문서 民数記22章5節
[53] 문서 民数記22章5節~22章14節
[54] 문서 民数記22章15節~19節
[55] 문서 民数記22章20節
[56] 문서 民数記22章21節~29節
[57] 문서 民数記22章28節~22章31節
[58] 문서 民数記22章32節~36節
[59] 문서 民数記22章36章~23章25節
[60] 문서 民数記23章26節~24章25節
[61] 문서 民数記25章1節~5節
[62] 문서 民数記25章6節~9節
[63] 문서 民数記31章8節
[64] 문서 民数記31章16節
[65] 문서 ペトロの手紙二25章13節、ユダの手紙11節
[66] 문서 黙示録2章14節
[67] 문서 黙示録2章15節
[68] 웹사이트 Deir 'Alla Inscription http://www.livius.or[...] Livius.org
[69] 웹인용 A Pronouncing and Phonetic Dictionary of Biblical Name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übingen 2012-10-24
[70] 문서 베드로후서 2:15
[71] 성경 유다서 1:11
[72] 성경 요한계시록 2:14
[73] 성경 민수기 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