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는 소련 및 러시아의 작가, 시인, 극작가로, 풍자적인 작품과 인권 옹호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1932년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태어나 다양한 직업을 거치며 작시 기법을 익혔다. 1960년대 초 작가 연맹에 가입했으나, 인권 운동 참여로 인해 1974년 제명되었다. 1980년 망명 후, 소련 시민권을 박탈당했으나, 1990년 복권되어 러시아로 돌아왔다. 대표작으로 소설 《이반 촌킨 병장의 삶과 특별한 모험》, 《모스크바 2042》 등이 있으며, 러시아 정부를 비판하는 정치적 입장을 꾸준히 표명했다. 2000년 러시아 연방 국가상, 2002년 작가의 시민적 용기 안드레이 사하로프 상을 수상했으며, 2018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샨베 출신 - 빅토르 부트
    소련군 출신 러시아인 빅토르 부트는 소련 붕괴 후 무기 밀매로 악명을 떨치며 "죽음의 상인"으로 불렸으나, 체포 후 수감 생활과 죄수 교환을 거쳐 러시아로 귀국하여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 두샨베 출신 - 딜쇼트 나자로프
    타지키스탄의 해머던지기 선수 딜쇼트 나자로프는 아시아 무대에서 여러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6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도핑 규정 위반으로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이반 4세
    이반 4세는 1547년부터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최초의 차르로, 초기 개혁과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리치니나 시행과 리보니아 전쟁 실패로 혼란과 쇠퇴를 초래했으며, 잔혹함과 권력욕으로 악명 높지만 중앙집권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한 복잡적인 인물이다.
  •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보리스 고두노프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반 뇌제 측근에서 차르까지 오른 16세기 말~17세기 초 러시아의 중요 인물로, 섭정 시절 개혁을 단행하고 차르로서는 서구 문물 수용 정책을 펼쳤으나 기근과 가짜 드미트리 1세의 난으로 혼란을 겪다 사망했다.
  • 소련의 반체제자 - 옐레나 본네르
    옐레나 본네르는 소련과 러시아의 인권 운동가이자 반체제 인사로,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아내로서, 프라하의 봄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투신하여 모스크바 헬싱키 그룹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사하로프 사후에도 인권 운동을 지속하며 푸틴 정권 비판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 소련의 반체제자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6년 뉴욕에서 찍은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 사진
1986년의 보이노비치
본명블라디미르 니콜라예비치 보이노비치
로마자 표기법Vladimir Nikolayevich Voynovich
출생일1932년 9월 26일
출생지스탈리나바드, 타지크 SSR, 소비에트 연방
사망일2018년 7월 27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안장지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
직업작가
활동 기간1960–2018
주목할 만한 작품"사병 이반 촌킨의 삶과 특별한 모험" (1969–2007)
"모스크바 2042" (1986)
"기념비적 선전" (2000)
수상안드레이 사하로프 작가의 시민 용기상
러시아 연방 국가상
기타

2. 약력

1932년 두샨베에서 세르비아인 아버지와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941년 부모와 함께 자포로지예로 이주했다. 전쟁 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 1950년 군 복무 중 작시 기법을 익혔다.

1960년 라디오 방송 편집자로 일하며 우주비행사에 관한 노래 기사로 인기를 얻었다. 같은 해 중편 소설 «우리는 이곳에 산다»(Мы здесь живем|믜 즈제시 쥐뵴ru)를 출간, 1961년 잡지 «새로운 세계»(Новый мир|노븨 미르ru)에 게재되어 작가로 명성을 얻었다. 1962년 소비에트 작가 연맹 회원이 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인권 운동 참여로 당국과 마찰을 빚었다. 인권 투쟁과 소련 현실을 풍자한 작품으로 인해 1974년 작가 연맹에서 제명되었다.

1980년 소련에서 망명, 1981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에 의해 시민권을 박탈당했다. 1992년까지 서독,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자유유럽방송에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보이노비치는 1932년 두샨베에서 언론인인 세르비아인 아버지와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2][3] 1936년 보이노비치의 아버지는 반소비에트 선동 혐의로 체포되어 5년간 강제 노동 수용소(Gulag)에 수감되었다.[2] 1941년에 부모와 함께 자포로지예로 이주했다. 전쟁 이후 수시로 거처를 옮겼으며, 목동, 소목장이, 목수, 철공, 항공기관사 등의 일을 전전했다. 1950년에 군에 입대했고 복무 기간 동안 작시(作詩) 기법을 익혔다. 모스크바에서 학업을 시작하여 고르키 문학 연구소(Maxim Gorky Literature Institute)에 입학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모스크바 크룹스카야 사범대학(Moscow Krupskaya Pedagogical Institute) 역사학과에 입학했다.[5] 자서전에 따르면, 그는 카자흐스탄에서 "영감을 얻기 위해" 시간을 보냈고, 모스크바로 돌아온 후 첫 번째 소설 작업을 시작했다.[6]

2. 2. 문학적 데뷔와 반체제 활동

보이노비치는 1960년 라디오 방송 편집자로 취직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소비에트 전역에서 인기를 얻은 우주비행사에 관한 노래 기사를 썼다. 같은 해에 중편 소설 «우리는 이곳에 산다»(Мы здесь живем|믜 즈제시 쥐뵴ru)를 출간했는데, 이 소설은 1961년 잡지 «새로운 세계»(Новый мир|노븨 미르ru)에 게재되어 작가로서의 명성을 확고히 했다.[7] 1962년부터 소비에트 작가 연맹의 회원이 되었다.

1960년대 후반, 보이노비치는 인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소련 당국과 마찰을 빚었다. 그는 인권 투쟁과 당시 소련 현실을 풍자한 작품들로 인해 박해를 받았고, 1974년에는 소비에트 작가 연맹에서 제명되었다.[7]

1976년에는 전화선이 끊겼고, 1980년에는 시민권을 박탈당한 채 서방으로 강제 이민을 가야 했다.[2] 그는 서독 뮌헨에 정착하여 자유유럽방송에서 일하기도 했다.[7] 보이노비치는 안드레이 사하로프가 비밀리에 촬영한 사진 필름을 밀반출하여 바실리 그로스만의 소설 『인생과 운명』 출판을 돕기도 했다. 1987년에는 대표작 중 하나인 『모스크바 2042』를 출판했다.[2]

2. 3. 망명과 귀환

1960년대 후반, 보이노비치는 인권 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면서 소련 당국과 마찰을 빚게 되었다. 그의 인권 투쟁과 소련 현실을 풍자한 작품들은 박해를 불러왔고, 결국 1974년에 소비에트 작가 연맹에서 축출되었다.

1980년, 보이노비치는 소련 밖으로 망명길에 올랐고, 1981년에는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주도로 소련 시민권을 박탈당했다. 이후 1992년까지 서독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자유유럽방송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보이노비치는 소련 붕괴 후에도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2001년에는 NTV 채널을 지지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고, 2003년에는 제2차 체첸 전쟁에 반대하는 서한에 서명했다. 2015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에게 우크라이나 조종사 나디야 사브첸코의 석방을 요청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는 데일리 비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어떤 면에서는 소련 시대보다 오늘날이 더 나쁘다"며 "우리가 가진 자유는 단지 잔여물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2017년 자유 유럽 방송/자유 유럽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국가를 더 보수적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고 비판하며, 현재 러시아의 정치 상황이 1970년대 소련 시대와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2. 4. 러시아에서의 활동

보이노비치는 소련 붕괴 후에도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계속해서 표명했다.

2001년 보이노비치는 NTV 채널을 지지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고, 2003년에는 제2차 체첸 전쟁에 반대하는 서한에 서명했다.[10][11] 2015년 2월 25일 그는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의 러시아 대통령께 보내는 공개 서한"을 발표하여 단식 투쟁을 벌이고 있던 우크라이나 조종사 나디야 사브첸코의 석방을 푸틴에게 요청했다. 그는 그녀의 죽음이 크림반도 합병돈바스 전쟁보다 세계 여론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12] 2015년 ''데일리 비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보이노비치는 "어떤 면에서는 소련 시대보다 오늘날이 더 나쁘다"고 말하며 "우리가 가진 자유는 단지 잔여물일 뿐"이라고 말했다.[13]

2017년 자유 유럽 방송/자유 유럽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보이노비치는 푸틴 대통령을 비판하며, 푸틴이 "미래 지향적인" 정치를 희생시키면서 국가를 더 보수적인 방향으로 돌렸다고 말했다.[14] 그는 러시아의 현재 정치 상황이 소련 시대 1970년대와 비슷하다고 반복해서 언급했다. 그는 "그들은 시위를 해산시키고 있습니다. 그들은 기본적으로 같은 혐의로 사람들을 감옥에 가두고 있습니다. 사실, 그들은 7년형을 선고하지 않고 2년형을 선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은 사람들을 국외로 추방하기 시작했습니다."라고 지적했다.[14]

3. 작품 세계

보이노비치의 대표작은 『이반 촌킨 병장의 삶과 특별한 모험』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적군을 배경으로 전체주의 체제의 부조리를 풍자적으로 묘사한다.[13] 이 작품은 야로슬라프 하셰크의 『착한 병사 슈베이크』와 유사성이 지적되기도 하며, 이리 멘젤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기도 했다.[19]

1986년에는 디스토피아 소설 『모스크바 2042』를 통해 KGB, 러시아 정교회, 소련 공산당이 결합된 "국가 안보 공산당"이 지배하는 러시아를 묘사했다.[20] 이 소설의 줄거리는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실제 정치적 발전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3]

니콜라이 고골의 『외투』를 연상시키는 풍자 소설 『모피 모자』, 포스트 공산주의 러시아를 비판하는 『기념비적 선전』,[21] 소비에트 관료주의를 다룬 회고록 『이반키아드』[13] 등도 보이노비치의 주요 작품이다.

2002년에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비판하는 회고록 『신화를 배경으로 한 초상화』를 출판하여 논란을 일으켰다.[22] 보이노비치는 솔제니친이 자기 주변에 광신도를 만들고, 서술 능력이 부족하며, 반유대주의를 주장한다고 비판했다.[22] 이 책은 엇갈린 반응을 얻었는데, 유리 세메노프는 솔제니친의 "끊임없는 퇴락"을 지적하면서도 보이노비치가 "자신과 자신의 책을 미화"한다고 비판했다.[22] 리자 노비코바는 이 책을 퍼포먼스 아트에 비유하며, 보이노비치가 솔제니친의 신화를 만드는 데 일조한다고 주장했다.[23] 이 책은 솔제니친의 『200년간 함께』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졌지만, 보이노비치는 이 책이 출판되기 전에 이미 집필을 시작했다고 밝혔다.[24]

3. 1. 주요 작품

Жизнь и необычайные приключения солдата Ивана Чонкинаru (이반 촌킨 병장의 삶과 특별한 모험)은 보이노비치의 대표작이다. 1부와 2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적군을 배경으로 전체주의 체제의 일상적 부조리를 풍자적으로 묘사한다.[13] '촌킨'은 현재 러시아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진 인물이며, 이 책은 체코 감독 이리 멘젤에 의해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촌킨에 대한 이야기와 야로슬라프 하셰크의 『착한 병사 슈베이크』의 유사성을 지적했다.[19] 3부 Перемещённое лицоru (이주민)은 2007년에 출판되었는데, 촌킨의 미국 이민을 포함하여 등장인물들의 전후 삶을 묘사하며, 라브렌티 베리야이오시프 스탈린에게도 많은 관심이 집중된다.[13] 이 소설은 "소비에트식 캐치-22"로 묘사되기도 한다.[13]

1986년에는 디스토피아 소설 Москва 2042ru (모스크바 2042)를 썼다. 이 소설에서 보이노비치는 국가보안위원회(KGB), 러시아 정교회, 소련 공산당을 결합한 "국가 안보 공산당"이 지배하는 러시아를 묘사했다.[20]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에게서 영감을 받은 슬라보필인 심 카르나발로프가 당을 전복하고 모스크바에 입성한다는 줄거리는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실제 정치적 발전과 유사성이 지적되기도 했다.[13]

Шапкаru (모피 모자)는 니콜라이 고골의 『외투』를 연상시키는 풍자 소설이다. Монументальная пропагандаru (기념비적 선전)은 포스트 공산주의 러시아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담은 소설이다.[21]

Иванькиада, или Рассказ о вселении писателя Войновича в новую квартируru (이반키아다)는 소비에트 시스템의 관료주의적 혼란 속에서 더 좋은 아파트를 얻으려던 그의 진솔한 이야기를 담은 회고록이다.[13]

2002년에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강하게 비판하는 회고록 Портрет на фоне мифаru (신화를 배경으로 한 초상화)를 출판하여 논란을 일으켰다.[22][23][24]

그의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Мы здесь живёмru (우리는 여기 산다)1961년Новый мирru (노비 미르) 1호
Хочу быть честнымru (정직하고 싶다)1963년Новый мирru (노비 미르) 2호
Расстояние в полкилометраru (500미터 거리)1963년Новый мирru (노비 미르) 2호, 단편 소설
Два товарищаru (두 동지)1967년Новый мирru (노비 미르) 1호
Степень доверия. Повесть о Вере Фигнерru (신뢰의 정도. 베라 피그너 이야기)1972년
Путем взаимной перепискиru (상호 서신을 통해)1973년Граниru (그라니) 87–88호
Происшествие в "Метрополе"ru (메트로폴 호텔에서의 사건)1975년Континентru (콘티넨트) 5호
Претендент на престол: Новые приключения солдата Ивана Чонкинаru (왕위 계승자: 이반 촌킨 병장의 새로운 모험)1979년
Фиктивный бракru (가짜 결혼)1983년보데빌
Если враг не сдается…: Заметки о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м реализмеru (적이 항복하지 않는다면…: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메모)1984년
Трибуналru (법정)1985년
Антисоветский Советский Союзru (반소비에트 소비에트 연방)1985년
Дело № 34840ru (사건 번호 34840)1994년
Замыселru (계획)1995년
Запах шоколадаru (초콜릿 냄새)1997년소설과 단편 소설
Автопортрет: роман моей жизниru (자화상: 나의 삶의 소설)2007년
Два плюс один в одном флаконеru (하나의 병에 두 개 플러스 하나)2010년
Мал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5-ти томахru (5권짜리 소품집)1993년–1995년


4. 수상 내역

보이노비치는 2000년 "자유로운 러시아" 시민 거의 모두의 잠재의식에 자리 잡은 소비에트 신스탈린주의적 유산에 관한 저서 "''기념비적 선전''"으로 러시아연방국가상을 수상했다.[8] 또한 2002년에는 작가의 시민적 용기 안드레이 사하로프 상을 수상했다.[2]

2001년 6월 12일,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이 보이노비치에게 러시아연방국가상을 수여하고 있다.

5. 참고 문헌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나는 현실주의자다". 검열 지수(Index on Censorship). 1975년 6월. 4 (2): 49–57.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아, 나만의 방이 있었으면". 뉴욕 타임스 매거진(The New York Times Magazine). 1976년 6월 20일.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호스킹, 제프리. "프로필". 검열 지수(Index on Censorship). 1980년 8월. 9 (4): 19–22.
  • 필립스, 윌리엄; 슈라긴, 보리스; 알레시코프스키, 유즈; 코트, 얀; 시냐프스키, 안드레이; 악쇼노프, 바실리; 리트비노프, 파벨; 도블라토프, 세르게이; 네크라소프, 빅토르; 에트킨드, 에핌;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코하크, 에라짐; 로블, 유겐. "망명 작가 III: 소비에트 및 동유럽 반체제 인사들의 회의". 파티잔 리뷰(The Partisan Review). 1984년 겨울. 51 (1): 11–44.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바실리 그로스만의 삶과 운명". 검열 지수(Index on Censorship). 1985년 10월. 14 (5): 9–10.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바실리 그로스만과 그의 소설의 삶과 운명". 서베이: 동서 연구 저널. 1985년 봄. 29 (1): 186–189.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글라스노스트의 한계". 뉴욕 타임스 매거진(The New York Times Magazine). 1987년 7월 19일. 31. https://www.nytimes.com/1987/07/19/magazine/l-where-glasnost-has-its-limits-892287.html?pagewanted=all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하임, 마이클. "망명자의 딜레마". 윌슨 분기별지(The Wilson Quarterly). 1990년 가을. 14 (4): 114–120.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4인조". 검열 지수(Index on Censorship). 1996년 1월. 25 (1): 62–70.
  • 보이노비치, 블라디미르; 제이미슨, 존. "의식의 흐름". 뉴질랜드 슬라브어 저널. 2003: 165–169.
  • 코피로바, 베라. "들판의 한 사람, 보이노비치. 촌킨의 아버지: '폐쇄된 사회에서 작가는 지금보다 훨씬 더 필요했다'". 모스크바 청년(Moskovskij Komsomolets). 2007년 8월 23일. Один в поле Войнович. Папа Чонкина: "В закрытом обществе писатель был гораздо нужнее, чем теперь"|들판의 한 사람, 보이노비치. 촌킨의 아버지: "폐쇄된 사회에서 작가는 지금보다 훨씬 더 필요했다"ru http://www.mk.ru/editions/daily/article/2007/08/23/85443-odin-v-pole-voynovich.html
  • 티모페예바, 올가.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 '자유주의적 의도를 가졌지만 독재적인 성격의 지도자들은 정신은 한 가지를 요구하지만 본성은 다른 것을 요구한다'". 노바야 가제타(Novaya Gazeta). 2016년 1월 15일. (3). Владимир Войнович: "У вождей с либеральными намерениями, но диктаторским характером ум требует одного, а натура другого"|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 "자유주의적 의도를 가졌지만 독재적인 성격의 지도자들은 정신은 한 가지를 요구하지만 본성은 다른 것을 요구한다"ru http://www.novayagazeta.ru/arts/71448.html
  • 조로프킨, 세르게이. "'...유대인 성을 가진 평범한 타지크 노동자...' 뮌헨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기자들과 함께 축제 분위기의 식탁에 앉은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 노바야 가제타(Novaya Gazeta). 2016년 3월 22일. (22). 'Простой таджикский рабочий, отягченный еврейской фамилией…' Владимир Войнович — за праздничным столом в Мюнхене в окружении русскоговорящих журналистов|"...유대인 성을 가진 평범한 타지크 노동자..." 뮌헨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기자들과 함께 축제 분위기의 식탁에 앉은 블라디미르 보이노비치ru http://www.novayagazeta.ru/arts/72071.html

참조

[1] 뉴스 Red Tape https://www.nytimes.[...] 2022-05-09
[2] 웹사이트 Russian Author, Former Soviet Dissident Voinovich Dies At 85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8-07-29
[3] 뉴스 VOINOVICH TAKING AIM AT THE ABSURD https://www.washingt[...] 2018-07-29
[4] 문서 Self-portrait: Novel of My Life http://www.famhist.r[...]
[5] 문서 Self-portrait: Novel of My Life http://www.famhist.r[...]
[6] 문서 Self-portrait: Novel of My Life http://www.famhist.r[...]
[7] 뉴스 Comrades fall out in Russia's battle of the dissidents https://www.theguard[...] 2018-07-29
[8] 웹사이트 Останутся наши следы Ушел Владимир Войнович https://www.novayaga[...] Novaya Gazeta 2018-07-29
[9] 웹사이트 Voinovich, Vladimir 1932–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2-03-26
[10] 웹사이트 A letter of prominent members of science, culture and politics in defence of NTV https://www.newsru.c[...] NEWSru 2001-03-28
[11] 웹사이트 Let's stop the Chechen War together http://2003.novayaga[...] Novaya Gazeta 2003-03-20
[12] 웹사이트 Voinovich in an open letter to Putin: After Savchenko's death you'd better not appear in Western countries http://gordonua.com/[...] 2018-01-06
[13] 뉴스 The Man Who Predicted Putin https://www.thedaily[...] 2018-07-29
[14] 웹사이트 Nearing 85, Writer Voinovich Urges Russia To Stop Looking Backward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8-07-29
[15] 웹사이트 Voinovich Pavel Vladimirovich https://eksmo.ru/aut[...] Eksmo
[1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Vladimir and Olga Voinovich http://echo.msk.ru/p[...] Echo of Moscow 2012-09-23
[17] 웹사이트 Vladimir Voinovich http://bulvar.com.ua[...] Dmitry Gordon 2016-05-27
[18] 웹사이트 Board of trustees http://www.hospicefu[...] Vera
[19] 저널 Hašek, Voinovich, and the tradition of anti-militarist satire 1980-01
[20] 뉴스 Books of the times https://www.nytimes.[...] 1987-06-02
[21] 뉴스 A great Russian satirist sheds light on Trump's fondness for Confederate statues https://www.washingt[...] 2018-07-29
[22] 문서 Ideological Fashion in Science and Skepticism http://scepsis.net/l[...] Scepsis 2003
[23] 문서 This Week's Books https://www.kommersa[...] Kommersant 2002-05-29
[24] 웹사이트 Vladimir Voinovich. Solzhenitsyn Against the Background of Myths http://www.aif.ru/ar[...] Argumenty i Fakty 200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