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루원은 1987년 3월 14일에 에어 보트니아로 설립되어 1988년부터 운항을 시작한 핀란드 항공사이다. 1998년 스칸디나비아 항공에 인수되었고, 200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2010년 스타 얼라이언스에 가입했으나, 2012년 스칸디나비아 항공의 서비스 제공업체로 전환되었다. 2015년 시티제트에 매각되어 2016년에 흡수 합병되었다. 블루원은 일반석과 이코노미 엑스트라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다양한 기종을 운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항공사 - 핀에어
핀에어는 핀란드 국영 항공사로 헬싱키를 허브 공항으로 하여 전 세계 80개 이상의 도시에 취항하며 원월드 항공 동맹에 가입하여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핀란드 디자인과 문화를 반영한 기업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 핀란드의 항공사 - 노르딕 글로벌 항공
노르딕 글로벌 항공은 2011년 핀란드에 설립되어 MD-11F 항공기로 유럽, 북미, 아시아 지역에서 화물 운송을 하였으나, 경영난으로 2015년 운항을 중단하고 소멸한 화물 항공 운송 업체이다. - 스칸디나비아 항공 - SAS 그룹
SAS 그룹은 1946년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국적 항공사 제휴로 설립되어 컨소시엄 형태로 합병, 스타 얼라이언스에 가입했으나 재정난으로 챕터 11 파산 보호를 신청하고 스타 얼라이언스에서 탈퇴했으며, 현재는 캐슬레이크 등을 주요 주주로 두고 있다. - 스칸디나비아 항공 - 스팬에어
스팬에어는 1986년에 설립되어 1988년 운항을 시작한 스페인의 항공사이며, 유럽 전역의 전세 운항과 장거리 및 국내선 정기 운항을 실시했으나 재정 위기로 2012년 운항을 중단하고 파산했다. - 2016년 해체된 항공사 - 오렌에어
1932년 아에로플로트 자회사로 설립되어 1992년 사명을 변경한 오렌에어는 러시아 최초로 허브 시스템을 도입한 항공사였으나, 2016년 로시야 항공에 합병되었다. - 2016년 해체된 항공사 - 이글 익스프레스
이글 익스프레스는 말레이시아와 대한민국의 합작 항공사로, 2012년에 설립되어 전세편 운항을 시작으로 움라 및 하지 항공편을 운항했으나, 2016년 말 항공 서비스 허가가 취소되어 운항이 중단되었다.
| 블루원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IATA 코드 | KF |
| ICAO 코드 | BLF |
| 콜사인 | BLUEFINN |
| 설립일 | 1987년 |
| 해체일 | 2016년 (시티제트와 합병) |
| 본사 | 반타, 핀란드 |
| 허브 공항 | 헬싱키・반타 국제공항 |
| 주요 인사 | Janne Hattula, 최고 경영자 Stefan Wentjärvi (CEO) Mats Jansson (CEO SAS Group) |
| 상용 고객 프로그램 | 유로보너스 |
| 운항 정보 | |
| 보유 항공기 수 | 17 |
| 취항지 수 | 28 |
| 직원 수 | 350명 |
| 이전 정보 | |
| 모기업 | 시티제트 |
| 항공 동맹 | 스타 얼라이언스 (제휴 회원) |
| 웹사이트 | Blue1 웹사이트 |
2. 역사

블루원은 1987년 '''에어 보트니아'''(Air Botnia영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1988년 운항을 시작했다.[6] 이후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다가 1998년 스칸디나비아 항공(SAS) 그룹에 인수되었다.[8]
2004년 현재의 사명인 '''블루원'''(Blue1영어)으로 변경했으며,[9] 같은 해 저가 항공사 '플라잉 핀'(Flying Finn영어)이 도산하자 그 노선을 인수하며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2009년 1월 1일에는 항공 동맹인 스타 얼라이언스(Star Alliance영어)의 정회원으로 승격하기도 했다.
2012년 11월 1일부로 모회사인 스칸디나비아 항공(SAS)의 운항 자회사로 개편되면서 블루원 고유의 항공편 운항은 중단되었다. 결국 2015년 10월, 스칸디나비아 항공은 블루원을 아일랜드의 시티제트에 매각한다고 발표했으며,[13] 2016년 블루원은 시티제트에 흡수 통합되어 소멸하였다.[15]
2. 1. 초기 (1987년 ~ 1998년)
1987년 3월 14일 '''에어 보트니아'''(Air Botnia)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1988년부터 운항을 시작했다.[6] 초기에는 엠브라에르 EMB-110 반데이란테 항공기를 이용하여 야간 화물 운송과 헬싱키에서 카우하요키 및 세이나요키를 잇는 여객 노선을 운영했다.[6] 1993년에는 기존의 반데이란테 기종을 보완하기 위해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제트스트림 31 항공기를 임차하여 투입했다.[7]그러나 1995년 여름, 자금 흐름 문제로 인해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가 제트스트림 항공기를 회수하면서 에어 보트니아는 파산 위기에 직면했다. 이후 회사는 규모를 축소하여 운항을 계속했다.[7]
1998년 1월, 에어 보트니아는 스칸디나비아 항공(SAS) 그룹에 인수되었고,[8] 같은 해 말에는 기존의 제트스트림 항공기를 사브 340으로 교체했다.[8]
2. 2. 스칸디나비아 항공 인수 후 (1998년 ~ 2015년)
1998년 스칸디나비아 항공(SAS)에 인수되었다. 2004년 1월, 기존 사명인 에어 보트니아(Air Botniaeng)에서 현재의 사명인 블루원(Blue1eng)으로 변경했으며,[9] 같은 해 저가 항공사 '플라잉 핀'(Flying Finneng)이 도산하자, 그 노선에 참여하여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2004년 11월 3일에는 항공 동맹인 스타 얼라이언스(Star Allianceeng)에 최초의 지역 회원사로 가입하였고, 2009년 1월 1일에는 정회원으로 승격했다.2005년까지 블루원은 매일 100편 이상의 항공편을 운항하며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항공사로 성장했고, 핀란드와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 간 노선에서는 최대 항공사가 되었다. 2006년에는 유럽으로 향하는 10개의 새로운 직항 노선을 개설하여 전체 수송 능력을 50% 이상 증대시켰다. 2008년에는 런던 노선의 운항 공항을 스탠스테드 공항에서 히드로 공항으로 이전하고 국내 비즈니스 노선을 확장했다. 2009년 겨울 시즌에는 파리-키틸래 노선을 포함한 라플란드행 신규 노선을 개설했으며, 여름 시즌에는 비아리츠, 두브로브니크, 스플리트행 노선을 추가했다. 블루원은 북유럽 지역 네트워크 항공사 중 최초로 ISO 14001 환경 인증을 받기도 했다.[10]
2012년 11월 1일부로 블루원은 스타 얼라이언스를 탈퇴하고 모회사인 스칸디나비아 항공의 운항 자회사로 개편되었다. 그 결과 2012년 10월 31일자로 블루원 편명(IATA 코드: KF) 운항은 종료되었고, 마케팅 및 판매는 SAS가 담당했으며 모든 운항편에는 SAS 항공편 접두사인 'SK'가 사용되었다.
2015년 3월, 블루원이 보유하고 있던 모든 보잉 717-200 항공기를 스페인의 볼로테아와 미국의 델타 항공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당초 이 항공기들은 모회사인 스칸디나비아 항공으로부터 보잉 737-600 기종으로 대체될 예정이었으나,[11] SAS는 이후 계획을 취소하고 덴마크의 심버로부터 일부 봄바디어 CRJ900 항공기를 이전받는 것을 고려했다.[12]
2015년 10월, 스칸디나비아 항공은 블루원을 아일랜드의 시티제트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티제트가 더 큰 협력 관계의 일환으로 SAS를 대신하여 회사를 운영할 예정이었음을 의미한다.[13] 같은 해 12월, 블루원은 모든 항공기 운항을 중단했으며 자체 웹사이트는 SAS의 웹사이트로 리디렉션되었다.[14]
2. 3. 시티제트 인수 및 소멸 (2015년 ~ 2016년)
2015년 3월, 블루원은 보유 중이던 모든 보잉 717-200 항공기를 볼로테아와 델타 항공에 매각하고, 모회사인 스칸디나비아 항공으로부터 보잉 737-600 기종을 도입하여 대체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1] 그러나 이후 스칸디나비아 항공은 이 계획을 변경하고, 대신 심버로부터 일부 봄바디어 CRJ900 항공기를 이전받는 방안을 검토했다.[12]같은 해 10월, 스칸디나비아 항공 (SAS)은 블루원을 시티제트에 매각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시티제트는 더 큰 관계의 일환으로 SAS를 대신하여 회사를 운영할 예정이었다.[13]
2015년 12월, 블루원은 항공기 운항을 포함한 모든 업무를 중단했으며, 웹사이트는 모회사인 SAS의 웹사이트로 리디렉션되었다.[14]
2016년, 블루원은 해체되어 새로운 모회사인 시티제트에 흡수 통합되었다.[15]
3. 운항 노선
2012년 7월 기준으로 블루원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3. 1. 코드쉐어 협정
블루원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맺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스타 얼라이언스 회원사이다.
4. 보유 기종
블루원은 과거 맥도넬더글러스 MD-90, 보잉 717-200, 아브로 RJ100 등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하였으나, 2015년 12월 마지막 기종인 보잉 717-200이 퇴역한 이후로는 보유하고 있는 항공기가 없다.[21][22]


4. 1. 마지막 보유 기종
2015년 12월, 블루원은 운용 중이던 보잉 717-200 전량을 퇴역 시켰다.[21][22] 또한 스칸디나비아 항공으로부터 이전받을 예정이었던 보잉 737-600 기종의 도입이 보류되면서 대체 기종은 없었다.[21][22] 따라서 해산 직전인 2015년 12월 당시 블루원이 보유한 항공기는 없었다.4. 2. 퇴역 기종
wikitext| 기종 | 도입 연도 | 퇴역 연도 |
|---|---|---|
| 세스나 402 | 1987년 | 1988년 |
| 엠브라에르 EMB-110 반데이란테 | 1987년 | 1993년 |
| 아브로 RJ100[16] | 1991년 | 2009년 |
| 제트스트림 31 | 1993년 | 1998년 |
| 사브 340 | 1998년 | 2001년 |
| 포커 F28 | 1998년 | 2001년 |
| 사브 2000[16] | 2001년 | 2006년 |
| 아브로 RJ85[16] | 2003년 | 2013년 |
| 맥도넬 더글러스 MD-90[16] | 2006년 | 2011년 |
| ATR 72[16] | 2009년 | 2012년 |
| 보잉 717-200[16][17] | 2010년 | 2015년 |
5. 서비스
블루원은 일반석과 이코노미 엑스트라(구 블루원 프리미엄) 두 가지 서비스 등급을 제공했다.[18] 일반석에서는 기본적인 음료가 제공되었으며, 이코노미 엑스트라 등급에서는 일부 공항 이용 편의 서비스가 추가되었다.
5. 1. 일반석
모든 블루원 운항 항공편에서는 커피와 차가 제공되었다. 샌드위치와 그 외 음료는 기내 판매 서비스인 "카페1"에서 구매할 수 있었다.[19] 다만, 비행 시간이 짧은 항공편의 경우 서비스가 일부 축소되기도 했다.5. 2. 이코노미 엑스트라
이코노미 엑스트라는 과거 '블루원 프리미엄'으로 불렸던 서비스 등급이다.[18] 공항 시설 및 서비스 여건에 따라 패스트 트랙 보안 검색대 이용과 비즈니스 클래스 카운터에서의 체크인 혜택이 제공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Blue1 Oy
http://www.ytj.fi/en[...]
The National Board of Patents and Registration and the Tax Administration, Finland
2011-02-10
[2]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1
http://sasannualrepo[...]
2013-08-22
[3]
웹사이트
Blue1
http://www.starallia[...]
Star Alliance
2012-01-15
[4]
웹사이트
Blue1 Head office
http://www.blue1.com[...]
2011-02-06
[5]
웹사이트
Privacy Policy
http://www.blue1.com[...]
Blue1
2010-02-25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간행물
Flight International
2007-03-27
[11]
웹사이트
Finland's Blue to offload B717 fleet to Volotea, Delta
http://ch-aviation.c[...]
[12]
웹사이트
Flygtorget » Flygnyheter » Flygnyheter » Inga Boeing 737 till Blue1
http://www.flygtorge[...]
[13]
뉴스
SAS Enters into Agreements with Cityjet for Wet Lease and Sale of Blue1
http://www.businessw[...]
businesswire.com
2015-10-01
[14]
웹사이트
Blue1
http://www.ch-aviati[...]
ch-aviation.com
2015-12-20
[15]
웹사이트
Blue 1 on ch-aviation
http://www.ch-aviati[...]
[16]
웹사이트
Blue1 Fleet Details and History
http://www.planespot[...]
planespotters.net
2015-05-25
[17]
웹사이트
Blue1 aircraft types
http://www.blue1.com[...]
2012-07-06
[18]
웹사이트
Blue1 Premium
http://www.blue1prem[...]
blue1.com
2011-09-16
[19]
웹사이트
Mmmmmmm Mmmmmenu
http://www.blue1.com[...]
blue1.com
2011-Autumn
[20]
웹사이트
Airlines using Amadeus
http://www.amadeus.c[...]
アマデウスITグループ
2015-09-27
[21]
문서
http://www.airfleets[...]
[22]
웹인용
Blue1 aircraft types
http://www.blue1.com[...]
2012-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