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크쉴란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크쉴란더는 1532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태어나 1576년 하이델베르크에서 사망한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이다. 튀빙겐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그리스어 및 논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토마스 에라스투스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디오 카시우스, 플루타르코스, 스트라본 등 고대 저술가들의 작품을 라틴어로 번역하고 편집하여 고전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또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를 독일어로 번역하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초판본을 편집하는 등 르네상스 시대 고전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6년 사망 - 지롤라모 카르다노
지롤라모 카르다노는 3, 4차 방정식 해법 발견 및 허수 개념 도입으로 대수학 발전에 기여하고 확률론 기초를 세웠으며 의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긴 이탈리아의 수학자, 의사이자 점성가, 도박사, 천문학자, 작가이다. - 1576년 사망 - 티치아노 베첼리오
티치아노 베첼리오는 15세기 말 베네치아 화파를 이끈 거장으로, 뛰어난 색채감과 묘사력으로 종교화, 신화화, 초상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르네상스 신이교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어-라틴어 번역가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그리스어-라틴어 번역가 - 레오나르도 브루니
레오나르도 브루니는 피렌체 공화국의 서기국장으로서 시민 인본주의를 발전시키고 《피렌체 인민의 역사》를 저술한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역사가, 정치인이다. - 1532년 출생 - 루이스 프로이스
루이스 프로이스는 1532년 리스본에서 태어나 일본 선교 활동과 저술 활동으로 유명하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과 교류하며 일본의 기독교 선교의 영광과 비극을 기록했고, 일본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를 남겼다. - 1532년 출생 - 최경회
최경회는 조선 중기 무신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화순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우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 충의라는 시호를 받았다. 
| 빌헬름 크쉴란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빌헬름 크쉴란더 | 
| 원어 이름 | Wilhelm Xylander (독일어) Wilhelm Holtzman (독일어)  | 
| 출생일 | 1532년 12월 26일 |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제국 자유 도시아우크스부르크 | 
| 사망일 | 1576년 2월 10일 |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팔츠 선제후국, 하이델베르크 | 
| 국적 | 독일 | 
| 직업 | 미술 교수 | 
| 알려진 업적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의 '명상록'을 처음으로 라틴어로 번역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Drüll, Dagmar (2002). Heidelberger Gelehrtenlexikon 1386-1651. Berlin: Springer. pp. 562–563. ISBN 3540435301. | 
| 참고 문헌 정보 | Drüll, Dagmar (2002). Heidelberger Gelehrtenlexikon 1386-1651. Berlin: Springer. pp. 562–563. ISBN 3540435301. | 
![]()  | |
2. 생애
빌헬름 크쉴란더는 1532년 12월 26일 신성 로마 제국의 아우크스부르크(현재 독일)에서 태어났다.[11] 그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수학하였으며, 어려운 재정 상황 속에서도 학업에 정진하여 1558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그리스어 교수로 임명되었다. 이는 야코프 미췰루스의 후임 자리였다.[11] 1562년에는 논리학 교수(publicus organi Aristotelici interpres|푸블리쿠스 오르가니 아리스토텔리키 인테르프레스la, 아리스토텔레스 오르가논의 공공 해석자)로 자리를 옮겼다.[11]
하이델베르크에서 그는 교회 및 대학 정책과 관련하여 토마스 에라스투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2][3] 그는 디오 카시우스, 플루타르코스, 스트라본 등 여러 고전 작가들의 저작을 라틴어로 번역하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편집하는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펼쳤다.[2] 또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를 독일어로, 디오판토스의 저서를 라틴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3][2]
크쉴란더는 1576년 2월 10일 하이델베르크에서 사망했다.[14][5]
2. 1. 학문적 배경
아우크스부르크에서 태어난 빌헬름 크쉴란더는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2. 2.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교수 시절
1558년, 크쉴란더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야코프 미췰루스의 뒤를 이어 그리스어 교수로 임명되었다. 당시 그는 재정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일각에서는 그의 절제 없는 생활 습관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11] 1562년에는 그리스어 교수직에서 논리학 교수(publicus organi Aristotelici interpres|아리스토텔레스 오르가논의 공공 해석자la) 자리로 옮겼다.[11]하이델베르크 교회와 대학교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크쉴란더는 종교 개혁가 토마스 에라스투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협력했다.[12]
크쉴란더는 교수 재직 중 다수의 고전 문헌을 번역하고 편집하는 데 힘썼다. 주요 작업으로는 디오 카시우스 (1558년), 플루타르코스 (1560년-1570년), 스트라본 (1571년)의 저작들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이 있다. 또한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의 지리학 렉시콘 (1568년), 파우사니아스의 여행기 (크쉴란더 사후 1583년에 프리드리히 쉴부르크가 작업을 마침),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1558년, 현재는 소실된 하이델베르크 필사본을 근거로 한 초판본; 1568년에는 안토니노스 리베랄리스, 트랄레스의 플레곤, 신원 미상의 아폴로니우스, 카리스토스의 안티오고노스 등 역설집 작가들의 저작을 추가한 두 번째 판 출간),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의 연대기 (1566년) 등을 편집하여 출간했다. 이외에도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 첫 여섯 권을 처음으로 주석과 함께 독일어로 번역했으며, 디오판토스의 '산학'[13] 및 미카엘 프셀로스의 De quattuor mathematicis scientiis|네 가지 수학 과학에 대하여la를 라틴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1]
2. 3. 번역 및 편집 활동
크쉴란더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주요 문헌들을 라틴어나 독일어로 번역하고 편집하는 데 힘썼다. 그의 작업은 당시 학술 언어였던 라틴어를 사용하는 서유럽 지식인 사회에서 고전 문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주요 번역 및 편집 작업은 다음과 같다.
라틴어 번역
- 카시우스 디오 (1558년)[2]
 - 플루타르코스 (1560년-1570년)[2]
 - 스트라보 (1571년)[2]
 - 디 오판토스의 《산술》[4][2]
 - 미하일 프셀로스의 De quattuor mathematicis scientiis|lat[2]
 
독일어 번역
-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 첫 여섯 권 (주석 포함)[2]
 
편집 및 발행
-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의 지리 어휘집 (1568년)[2]
 - 파우사니아스의 여행기 (크쉴란더 사후 1583년 프리드리히 질부르크가 완성)[2]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의 《명상록》[2]
 - 초판 (Editio princeps|에디티오 프린켑스lat): 1558년 출간. 현재는 소실된 하이델베르크 사본을 기반으로 했다.[2]
 - 제2판: 1568년 출간.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 트랄레스의 플레곤, 신원 미상의 아폴로니우스, 카리스투스의 안티고누스 등 괴담집 작가들의 저작을 추가했다.[2]
 - 게오르기우스 케르레누스의 연대기 (1566년)[2]
 
2. 4. 말년
크쉴란더는 1576년 2월 10일 하이델베르크에서 사망했다.[14] 그의 학문적 업적은 르네상스 시대 고전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그가 남긴 번역과 편집 작업은 후대 학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었다.3. 업적 및 영향
16세기 르네상스 인문주의 흐름 속에서 크쉴란더는 고대 그리스-로마 문헌의 번역과 편집을 통해 고전 지식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작업은 당대 학자들이 고대 문헌에 더 쉽게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으며, 고전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활동하며 토마스 에라스투스와 교류한 것은[3] 당시의 지적, 종교적 환경 속에서 그의 학문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크쉴란더는 여러 중요한 고전 문헌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대표적으로 디오 카시우스 (1558년)[2], 플루타르코스 (1560년–1570년)[2], 스트라본 (1571년)[2] 등의 번역이 있다.
또한 여러 문헌을 편집하여 출간했는데,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의 지리 어휘집 (1568년)[2], 파우사니아스의 여행기 (사후 프리드리히 쉴부르크가 1583년 완성)[2],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의 연대기 (1566년)[2] 등이 포함된다.
특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현재는 소실된 하이델베르크 필사본을 바탕으로 1558년에 처음으로 출간(에디티오 프린켑스)[2]한 것은 철학사적으로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1568년에는 안토니노스 리베랄리스, 트랄레스의 플레곤, 신원 미상의 아폴로니오스, 카리스토스의 안티오고노스 등 역설집 작가들의 저작을 추가하여 제2판을 출간했다.[2]
수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는데,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 첫 여섯 권을 주석과 함께 독일어로 번역했으며[2], 디오판토스의 『산술』[4]과 미카엘 프셀로스의 De quattuor mathematicis scientiis|데 쿠아투오르 마테마티키스 스키엔티이스la를 라틴어로 번역했다.[2]
크쉴란더의 이러한 번역과 편집 작업은 고전 연구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고, 그의 학문적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4. 작품 목록
크쉴란더는 생전에 디오 카시우스, 플루타르코스, 스트라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등 다수의 주요 고전 문헌들을 라틴어나 독일어로 번역하고 편집 발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1][13] 그는 고대 그리스의 역사, 철학, 지리학뿐만 아니라 에우클레이데스나 디오판토스와 같은 수학 분야의 문헌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그의 구체적인 번역 및 편집 작업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4. 1. 번역
크쉴란더는 여러 주요 고전 문헌들을 번역하고 편집 발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디오 카시우스 (1558년), 플루타르코스 (1560년-1570년), 스트라본 (1571년) 등의 작품을 라틴어로 번역했다.[11] 또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 여섯 권을 처음으로 주석과 함께 독일어로 번역했으며, 디오판토스의 '산학'[13]과 미카엘 프셀로스의 De quattuor mathematicis scientiisla를 라틴어로 번역했다.[11]편집 발행 작업으로는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의 지리학 렉시콘, 파우사니아스의 여행서(크쉴란더 사후 1583년에 프리드리히 쉴부르크가 작업을 마침),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1558년, 현재는 소실된 하이델베르크 필사본을 근거로 한 '에디티오 프린켑스') 등이 있다. 그는 또한 1568년에 안토니노스 리베랄리스, 트랄레스의 플레곤, 신원 미상의 아폴로니오스, 카리스토스의 안티오고노스 등 역설집 집필자들의 글을 모아 두 번째 총서를 출간했으며,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의 연대기(1566년)도 편집 발행했다.[11]
- [https://www.digitale-sammlungen.de/en/view/bsb10169588?page=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빌헬름 크쉴란더 편역. 취리히: 안드레아스 게스너, 1558.
 - [http://reader.digitale-sammlungen.de/en/fs1/object/display/bsb10169588_00001.html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De seipso, seu vita sua, libri 12la) 빌헬름 크쉴란더 편역, 취리히: 안드레아스 게스너, 1558.
 
4. 2. 편집
크쉴란더는 다수의 주요 고전 문헌들을 번역하고 편집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디오 카시우스 (1558년), 플루타르코스 (1560년-1570년), 스트라본 (1571년)의 저작들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또한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의 지리학 렉시콘과 파우사니아스의 여행서를 편집했는데, 파우사니아스의 저작은 크쉴란더 사후 1583년에 프리드리히 쉴부르크가 작업을 완료하여 출판했다.특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크쉴란더가 1558년에 현재는 소실된 하이델베르크 필사본을 바탕으로 에디티오 프린켑스(초판본)를 간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1568년에는 안토니노스 리베랄리스, 트랄레스의 플레곤, 신원 미상의 아폴로니오스, 카리스토스의 안티오고노스 등 여러 역설집 집필자들의 글을 모아 두 번째 총서를 출간했으며, 1566년에는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의 연대기를 편집 발행하였다.
수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는데,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여섯 권을 처음으로 주석과 함께 독일어로 번역하였고, 디오판토스의 '산학'[13]과 미카엘 프셀로스의 De quattuor mathematicis scientiislat를 라틴어로 번역하였다.[11]
| 연도 | 원저자 | 저작 | 작업 내용 | 비고 | 
|---|---|---|---|---|
| 1558 | 디오 카시우스 | 역사서 | 라틴어 번역 | |
| 1558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명상록 | 편집 발행 | 현재 소실된 하이델베르크 필사본 기반 에디티오 프린켑스 | 
| 1560–1570 | 플루타르코스 | 영웅전 등 | 라틴어 번역 | |
| 1566 | 게오르기오스 케드레노스 | 연대기 | 편집 발행 | |
| 1568 | 다수 (역설집 집필자) | 역설집 모음 | 편집 발행 | 안토니노스 리베랄리스, 트랄레스의 플레곤, 아폴로니오스, 카리스토스의 안티오고노스 등 포함 | 
| 1571 | 스트라본 | 지리학 | 라틴어 번역 | |
| (사후 1583) | 파우사니아스 | 그리스 안내기 | 편집 | 프리드리히 쉴부르크가 작업 완료 | 
| 연도 미상 |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 | 지리학 렉시콘 | 편집 발행 | |
| 연도 미상 | 에우클레이데스 | 원론 (6권) | 독일어 번역 | 최초의 주석 포함 독일어 번역 | 
| 연도 미상 | 디오판토스 | 산학 | 라틴어 번역[13] | |
| 연도 미상 | 미카엘 프셀로스 | De quattuor mathematicis scientiislat | 라틴어 번역[11] | 
참조
[1] 
서적
 
Heidelberger Gelehrtenlexikon 1386-1651
 
Springer
 
2002
 
[2] 
서적
 
[3] 
서적
 
Thomas Erastus and the Palatinate: A Renaissance Physician in the Second Reformation
 
Brill
 
2011
 
[4] 
서적
 
Number Theory: An approach through history from Hammurapi to Legend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서적
 
A Short Account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22-03-20
 
[6] 
서적
 
Heidelberger Gelehrtenlexikon 1386-1651
 
Springer
 
2002
 
[7] 
서적
 
[8] 
서적
 
Thomas Erastus and the Palatinate: A Renaissance Physician in the Second Reformation
 
Brill
 
[9] 
서적
 
Number Theory: An approach through history from Hammurapi to Legend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0] 
서적
 
Heidelberger Gelehrtenlexikon 1386-1651
 
Springer
 
2002
 
[11] 
서적
 
[12] 
서적
 
Thomas Erastus and the Palatinate: A Renaissance Physician in the Second Reformation
 
Brill
 
2011
 
[13] 
서적
 
Number Theory: An approach through history from Hammurapi to Legendr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 
서적
 
A Short Account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22-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