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라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라번은 에도 시대에 존재했던 번으로, 1710년 혼다 다다하루가 1만 5천 석으로 사가라 번을 세운 것이 시초이다. 이후 여러 번 번주가 교체되었으며, 다누마 오키쓰구 시대에는 번영을 누렸으나, 그의 실각과 함께 사가라 성이 철거되며 폐지되었다. 이후 다누마 가문이 재흥하여 번주를 역임하기도 했으나, 1868년 다누마 오키타카가 고쿠보 번으로 옮겨가면서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토미국의 번 - 하마마쓰번
하마마쓰번은 에도 시대 도토미국 하마마쓰에 있던 번으로, 여러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 번주를 역임하며 '출세성'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거점이기도 했으며, 폐번치현 이후 시즈오카현에 편입되었다. - 도토미국의 번 - 고로모번
고로모번은 에도 시대 미카와국 가모군(현재의 아이치현 도요타시)에 존재했던 번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요새가 있었던 지역이 센고쿠 시대 격전지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여러 번을 거쳐 나이토 씨가 약 120년간 통치하며 발전했으나, 덴포 기근으로 농민 봉기를 겪고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 사가라번주 - 다누마 오키쓰구
다누마 오키쓰구는 에도 시대 후기 쇼군의 신임을 얻어 로주에 올라 막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와 농촌 황폐화로 비판받으며 실각한 인물이다. - 사가라번주 - 다누마 오키아키
다누마 오키아키는 에도 시대 인물로 다누마 오키토모의 아들이자 다누마 오키쓰구의 손자이며, 가문 계승 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숙청으로 고초를 겪다 오사카 가반 임명 후 2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동생 다누마 오키이치가 가문을 이었다. - 다누마씨 - 다누마 오키쓰구
다누마 오키쓰구는 에도 시대 후기 쇼군의 신임을 얻어 로주에 올라 막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와 농촌 황폐화로 비판받으며 실각한 인물이다. - 다누마씨 - 다누마 오키아키
다누마 오키아키는 에도 시대 인물로 다누마 오키토모의 아들이자 다누마 오키쓰구의 손자이며, 가문 계승 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숙청으로 고초를 겪다 오사카 가반 임명 후 2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동생 다누마 오키이치가 가문을 이었다.
| 사가라번 | |
|---|---|
| 개요 | |
| 이름 | 사가라 번 |
| 원어 이름 | 相良藩 (さがらはん) |
| 로마자 표기 | Sagara-han |
| 구분 | 번 |
| 국가 | 도쿠가와 막부 |
| 오늘날의 위치 | 시즈오카현 |
| 역사 | |
| 성립 | 1710년 |
| 폐지 | 1868년 |
| 시대 | 에도 시대 |
| 정치 | |
| 통치 형태 | 다이묘 |
| 거점 | 사가라 진야 |
2. 번의 역사
호에이 7년(1710년), 혼다 다다하루가 미카와국 이보 번에서 1만 5천 석으로 사가라 번을 세웠다. 엔쿄 3년(1746년), 3대 번주 혼다 다다유키 때 무쓰국 이즈미번으로 이봉되었다. 대신 이타쿠라 가쓰키요가 1만 5천 석으로 부임했으나, 간엔 원년(1748년) 5천 석이 추가되어 2만 석으로 영지 규모가 늘면서 성주격으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고즈케국 안나카 번으로 이봉되었다. 이후 미카와국 고로모번에서 혼다 다다나카가 1만 석으로 들어왔지만, 호레키 8년(1758년) 미노국 구조 번주 가나모리 요리카네가 영내 가혹 통치와 소동으로 영지가 몰수되면서, 인척 관계였던 다다나카도 연좌되어 영지가 몰수되었다.
대신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밑에서 두각을 나타낸 다누마 오키쓰구가 1만 석으로 들어왔다. 그는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 밑에서 호레키 12년(1762년) 5천 석, 메이와 4년(1767년) 소바요닌으로 영전하며 5천 석이 추가되어 2만 석 다이묘가 되었고, 사가라 성 축성을 허락받아 안에이 7년(1778년)에 완공했다. 오키쓰구는 안에이 원년(1772년) 로주로 출세, 「다누마 시대(田沼時代일본어)」라 불릴 만큼 권세를 누렸고, 최종 5만 7천 석까지 영지가 증가했다. 그는 식산흥업 정책, 조카마치 개조, 다누마 가도(田沼街道일본어) 신설 등 번정에도 힘썼다.
그러나 덴메이 6년(1786년) 쇼군 이에하루 사망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숙청으로 오키쓰구는 실각, 강제 은거당했다. 이즈미국 기시와다 번주 오카베 나가토모가 사가라 성을 철거하며 사가라 번은 폐지되었다. 다만, 오키쓰구 손자 다누마 오키아키가 무쓰 시모무라 번 1만 석을 받아 가문은 존속했다.
분세이 6년(1823년) 7월 8일,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노력으로 오키쓰구 차남 다누마 오키마사가 구 영지 사가라에 1만 석으로 복귀했다. 메이지 원년(1868년), 3대 번주 다누마 오키타카가 가즈사국 고쿠보 번으로 옮겨가며 사가라 번은 다시 폐지되었다.
2. 1. 번의 성립과 초기 번주 가문
호에이 7년(1710년), 혼다 다다하루가 미카와국 이보 번에서 1만 5천 석으로 사가라번에 들어왔다. 엔쿄 3년(1746년), 3대 번주 혼다 다다유키 때 무쓰국 이즈미번으로 옮겨갔다. 대신 이타쿠라 가쓰키요가 1만 5천 석으로 들어왔다. 간엔 원년(1748년) 11월 5천 석이 추가되어 2만 석이 되었고, 성주격으로 승진했다. 그러나 이듬해 고즈케국 안나카 번으로 옮겨갔다. 대신 미카와국 고로모번에서 혼다 다다나카가 1만 석으로 들어왔다. 호레키 8년(1758년) 미노국 구조 번주 가나모리 요리카네가 영내의 가혹한 통치와 소동 때문에 영지가 몰수되면서, 인척 관계였던 다다나카도 연좌되어 영지가 몰수되었다.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밑에서 두각을 나타낸 다누마 오키쓰구가 1만 석으로 들어왔다.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 밑에서 호레키 12년(1762년) 2월 15일에 5천 석, 메이와 4년(1767년) 7월 1일에 소바요닌으로 영전하며 5천 석이 추가되어 2만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동시에 성주격에 임명되어 사가라 성 축성을 허락받았다. 사가라 성은 안에이 7년(1778년)에 준공되었다.
오키쓰구는 안에이 원년(1772년) 1월 로주로 출세, 「다누마 시대(田沼時代|다누마 시대일본어)」라 불릴 만큼 권세를 누렸고, 소령은 최종 5만 7천 석까지 증가했다.
2. 2. 다누마 오키쓰구 시대: 번영과 몰락
호레키 8년(1758년), 미노국 구조 번주 가나모리 요리카네가 영내의 가혹한 통치와 그로 인해 발생한 소동을 이유로 영지가 몰수되면서, 그와 인척 관계였던 혼다 다다나카도 이에 연좌되어 영지가 몰수되었다.[2]대신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밑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다누마 오키쓰구가 1만 석으로 들어왔다. 그는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 밑에서도 호레키 12년(1762년) 2월 15일에는 5천 석이 추가되었고, 메이와 4년(1767년) 7월 1일에는 소바요닌으로 영전하면서 5천 석이 추가되어 2만 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성주격에 임명되어 사가라 성의 축성을 허락받았다. 사가라 성은 안에이 7년(1778년)에 준공되었다.[2]
게다가 오키쓰구는 안에이 원년(1772년) 1월에는 로주에까지 출세하면서 '다누마 시대'라 불릴 만큼 권세와 더할 나위 없는 영화를 누려, 그 소령은 최종적으로 5만 7천 석까지 증가하였다. 순차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에 5만 7천 석의 내역은 도토미국 사가라뿐만 아니라, 스루가국, 시모사국, 사가미국, 미카와국, 이즈미국, 가와치국의 7개국 14군에 걸쳐 분산되어 있었다.[6]
번정에서, 사가라 성 축성과 함께 조카마치의 개조를 실시하여 수완을 보였다. 오키쓰구는 군조 잇키의 조사와 재정을 행한 경력에서 연공 증징 정책만으로는 가문을 멸망시킨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가훈으로 연공 증징을 경계하고 있었으며, 영내의 연공이 가벼웠기 때문에 백성이 기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에도 정부에 있던 오키쓰구는 국원의 마을과 촌의 통치를 명확히 하고, 성대·국가로 등의 번정 담당 가신을 국원에 배치했다. 식산흥업 정책에도 임하여, 농업에서는 양잠이나 벼농사를 장려, 제염업의 지원, 사가라 항의 정비, 기와 굽기에도 지원금을 내어 화재 대책을 추진하고, 식량 비축 제도도 정비했다. 또한, 도카이도 후지에다 숙에서 사가라에 이르는 분기점을 정비했고, 이것은 후에 다누마 가도(사가라 가도)라고 불리게 되었다.[7]
그러나 덴메이 6년(1786년), 이에하루가 사망하자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숙청을 받아 오키쓰구는 실각하여 강제로 은거하게 되었고, 오키쓰구의 손자 다누마 오키아키가 가독을 이었지만, 무쓰 시모무라 번으로 1만 석으로 이봉되었다. 사다노부는 더 나아가 이즈미국 기시와다 번 주군 오카베 나가토모로 하여금 사가라 성을 파각하게 했고, 사가라 번은 폐번되었다.[2]
2. 3. 다누마 가문 재흥과 폐번
호에이 7년(1710년), 혼다 다다하루가 미카와국 이보 번에서 1만 5천 석으로 사가라 번을 세웠으나, 엔쿄 3년(1746년) 3대 번주 혼다 다다유키 대에 무쓰국 이즈미 번으로 이봉되었다. 이후 여러 번주를 거쳐 호레키 8년(1758년) 미노국 구조 번주 가나모리 요리카네가 영내 가혹 통치와 소동으로 영지가 몰수되면서, 인척 관계였던 혼다 다다나카도 연좌되어 영지가 몰수되었다.대신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밑에서 두각을 나타낸 다누마 오키쓰구가 1만 석으로 들어왔다. 그는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 밑에서 메이와 4년(1767년) 소바요닌으로 영전하며 2만 석 다이묘가 되었고, 사가라 성 축성을 허락받아 안에이 7년(1778년)에 완공했다. 오키쓰구는 로주까지 출세하며 '다누마 시대'를 열었고, 최종적으로 5만 7천 석까지 영지가 증가했다. 그는 식산흥업 정책, 조카마치 개조, 다누마 가도 신설 등 번정에도 힘썼다.
그러나 덴메이 6년(1786년) 쇼군 이에하루 사망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숙청으로 오키쓰구는 실각, 강제 은거당했다. 이즈미국 기시와다 번주 오카베 나가토모가 사가라 성을 철거하며 사가라 번은 폐지되었다. 다만, 오키쓰구 손자 다누마 오키아키가 무쓰 시모무라 번 1만 석을 받아 가문은 존속했다.
분세이 6년(1823년) 7월 8일,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노력으로 오키쓰구 차남 다누마 오키마사가 구 영지 사가라에 1만 석으로 복귀했다. 메이지 원년(1868년), 3대 번주 다누마 오키타카가 가즈사국 고쿠보 번으로 옮겨가며 사가라 번은 다시 폐지되었다.
3. 역대 번주
|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직 | 고쿠다카 |
|---|---|---|---|---|---|
![]() | |||||
| 1 | 本多忠晴|혼다 다다하루일본어 | 1710년 ~ 1715년 | 弾正少弼|단조쇼히쓰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5000koku |
| 2 | 本多忠通|혼다 다다미치일본어 | 1715년 ~ 1721년 | 弾正少弼|단조쇼히쓰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5000koku |
| 3 | 本多忠如|혼다 다다유키일본어 | 1721년 ~ 1746년 | 越中守|엣추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5000koku |
![]() | |||||
| 1 | 板倉勝清|이타쿠라 가쓰키요일본어 | 1746년 ~ 1749년 | 종4위하 | 佐渡守|사도노카미일본어; 侍従|지주일본어 | 20000koku |
| 혼다 씨족 (후다이 다이묘)[4] | |||||
| 1 | 本多忠央|혼다 다다나카일본어 | 1749년 ~ 1758년 | 長門守|나가토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0000koku |
![]() | |||||
| 1 | 田沼意次|다누마 오키쓰구일본어 | 1767년 ~ 1786년 | 종4위하 | 主殿寮|도노모료일본어; 侍従|지주일본어 | 10000koku → 57000koku → 10000koku |
| 2 | 田沼意明|다누마 오키아키일본어 | 1767년 ~ 1786년 | 종5위하 | 下野守|시모쓰케노카미일본어 | 10000koku |
![]() | |||||
| 다누마 씨족 (후다이 다이묘)[1] | |||||
| 1 | 田沼意正|다누마 오키마사일본어 | 1823년 ~ 1836년 | 종4위하 | 玄蕃頭|겐바노카미일본어 | 10000koku |
| 2 | 田沼意留|다누마 오키토메일본어 | 1836년 ~ 1840년 | 종5위하 | 備前守|비젠노카미일본어 | 10000koku |
| 3 | 田沼意尊|다누마 오키타카일본어 | 1840년 ~ 1868년 | 종5위하 | 玄蕃頭|겐바노카미일본어 | 10000koku |
3. 1. 혼다 헤이하치로 가문 (1)
|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직 | 石高|고쿠다카일본어 |
|---|---|---|---|---|---|
| 혼다 씨족 1710년 ~ 1746년 (후다이 다이묘) | |||||
| 1 | 本多忠晴|혼다 다다하루일본어 | 1710년 ~ 1715년 | 弾正少弼|단조쇼히쓰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5000koku |
| 2 | 本多忠通|혼다 다다미치일본어 | 1715년 ~ 1721년 | 弾正少弼|단조쇼히쓰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5000koku |
| 3 | 本多忠如|혼다 다다유키일본어 | 1721년 ~ 1746년 | 越中守|엣추노카미일본어 | 종5위하 (従五位下) | 15000koku |
3. 2. 이타쿠라 가문
'''이타쿠라 가문''' 1746년 ~ 1749년 (''후다이'')[3]|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직 | 고쿠다카 |
|---|---|---|---|---|---|
| 1 | 板倉 勝清|이타쿠라 가쓰키요일본어 | 1746년 ~ 1749년 | 종4위하 | 사도노카미(사도노카미); 지주(지주) | 20000koku |
- 이타쿠라 가쓰키요: 종4위하 사도 수호, 시종
3. 3. 혼다 헤이하치로 가문 (2)
|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직 | 고쿠다카 |
|---|---|---|---|---|---|
| 1 | 혼다 다다나카|本多忠央일본어 | 1749년 ~ 1758년 | 나가토노카미 (長門守) | 종5위하 (従五位下) | 10000koku |
3. 4. 다누마 가문
'''다누마 씨족''' (1772년 ~ 1787년, ''후다이'')[5]|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직 | 고쿠다카 |
|---|---|---|---|---|---|
| 1 | 다누마 오키쓰구|田沼 意次일본어 | 1767년 ~ 1786년 | 종4위하 | 도노모료(主殿寮); 지주(侍従) | 10000koku → 57000koku → 10000koku |
| 2 | 다누마 오키아키|田沼意明次일본어 | 1767년 ~ 1786년 | 종5위하 | 시모쓰케노카미(下野守) | 10000koku |
- 다누마 오키쓰구는 종4위하 주전두(主殿頭, 도노모노카미) 시종의 관직을 받았다.
- 다누마 오키아키는 종5위하 시모쓰케노카미의 관직을 받았다.
- 1만 석에서 시작하여 다누마 오키쓰구 대에 최대 5만 7000 석까지 증가했다가 다시 1만 석으로 줄었다.
'''다누마 씨족''' (1823년 ~ 1868년, ''후다이'')[1]
|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직 | 고쿠다카 |
|---|---|---|---|---|---|
| 1 | 다누마 오키마사|田沼意正일본어 | 1823년 ~ 1836년 | 종4위하 | 겐바노카미(玄蕃頭) | 10000koku |
| 2 | 다누마 오키토메|田沼意留일본어 | 1836년 ~ 1840년 | 종5위하 | 에치젠노카미(備前守) | 10000koku |
| 3 | 다누마 오키타카|田沼意尊일본어 | 1840년 ~ 1868년 | 종5위하 | 겐바노카미(玄蕃頭) | 10000koku |
3. 5. 막부 직할령 (1787년 ~ 1823년)
1787년부터 1823년까지 사가라 번은 에도 막부의 직할령이었다.3. 6. 다누마 가문 (재봉)
다누마 오키마사(田沼意正일본어)가 1823년부터 1836년까지 사가라 번을 다스렸다. 그 뒤를 이어 다누마 오키토메(田沼意留일본어)가 1836년부터 1840년까지, 다누마 오키타카(田沼意尊일본어)가 1840년부터 1868년까지 사가라 번을 통치하였다.[3]| 대수 |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 1 | 다누마 오키마사 | 1823년 ~ 1836년 | 종4위하 현방두 |
| 2 | 다누마 오키토메 | 1836년 ~ 1840년 | 종5위하 비젠 수호 |
| 3 | 다누마 오키타카 | 1840년 ~ 1868년 | 종5위하 현방두 |
참조
[1]
웹사이트
Tōtōmi Province
http://www.japanese-[...]
2013-06-11
[2]
웹사이트
Edo daimyo.net
http://www1.parkcity[...]
[3]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1906
[4]
서적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03
[5]
서적
Nobilia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03
[6]
서적
江戸幕府崩壊論
塙書房
2008
[7]
서적
田沼意次―「商業革命」と江戸城政治家
山川出版社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