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랑의 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랑의 인사는 1888년 에드워드 엘가가 약혼녀 캐롤라인 앨리스 로버츠에게 선물하기 위해 작곡한 곡이다. 독일어 제목 "Liebesgruss"로 시작하여, 독일, 프랑스 등 유럽에서 "Salut d'Amour"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피아노 독주, 피아노와 바이올린, 관현악 등 다양한 형태로 편곡되었으며, A. C. Bunten의 가사가 붙은 "Woo thou, Sweet Music", 스웨덴어 가사의 "Violer" 등 여러 언어로 불리기도 한다. 엘가의 작품 중 '위풍당당 행진곡'과 더불어 가장 유명하며, 우아한 선율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한국 대중가요와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워드 엘가의 작품 - 위풍당당 행진곡
    에드워드 엘가가 작곡한 총 6곡의 행진곡인 위풍당당 행진곡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오셀로》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특히 1번 라장조는 "희망과 영광의 땅" 선율로 유명하고 6번은 엘가가 미완성으로 남긴 것을 앤서니 페인이 완성했다.
  • 에드워드 엘가의 작품 - 수수께끼 변주곡
    에드워드 엘가가 1898년에서 1899년 사이에 작곡한 관현악 작품 《수수께끼 변주곡》은 주제와 14개의 변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변주가 엘가 주변 인물들을 묘사하고 있다는 특징과 작품 전체에 숨겨진 선율의 수수께끼로 유명하여 초연 이후 엘가의 대표작이 되었다.
  • 실내악곡 - 지크프리트 목가
    지크프리트 목가는 리하르트 바그너가 아들 지크프리트의 탄생과 아내 코지마 바그너에게 헌정하기 위해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오페라 《지크프리트》의 주요 동기들과 자장가 선율을 결합하여 개인적인 감정을 담아냈으며, 초연 후 관현악 편성을 확장하여 현재는 오케스트라 연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실내악곡 - 주인 없는 망치
    《주인 없는 망치》는 피에르 불레즈가 작곡한 9악장 구성의 작품으로, 르네 샤르의 시를 텍스트로 사용하며 음렬주의 기법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방식을 추구하고 전후 전위 음악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사랑의 인사
곡 정보
제목사랑의 인사
원제Salut d'Amour
작곡가에드워드 엘가
작품 종류살롱 음악
작품 번호Op. 12
조성마장조
헌정캐롤라인 앨리스 로버츠 (후에 엘가의 아내가 됨)
발표1888년
관련 작품사랑의 인사 (동음이의)
사랑의 인사 1899년 판 표지
1899년 판 표지

2. 역사

1888년 엘가가 당시 피아노 제자였던 8세 연상의 캐롤라인 앨리스 로버츠와의 약혼을 기념하여 작곡한 곡으로, 그의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 당시 엘가는 무명 작곡가였고 앨리스는 육군 소장의 딸이었으며, 가톨릭 신자인 엘가와 개신교 신자인 앨리스 사이의 종교적 차이 등으로 인해 앨리스 가족의 반대가 있었으나 이를 무릅쓰고 결혼에 이르렀다.

엘가는 1888년 7월 이 곡을 완성했으며, 독일어에 능통했던 앨리스를 위해 처음에는 제목을 Liebesgruss|리베스그루스de(사랑의 인사)라고 붙였다. 그해 9월 22일, 엘가는 런던에서 앨리스에게 이 곡을 약혼 선물로 주었다.[1] 악보에는 프랑스어로 à Carice|아 카리스프랑스어라는 헌정사가 적혀 있었는데, 'Carice'는 앨리스의 이름 캐롤라인(Caroline)과 앨리스(Alice)를 합쳐 만든 애칭이었으며, 훗날 태어난 딸의 이름이 되기도 했다.[2]

1889년 출판 과정에서 출판사의 제안으로 제목이 프랑스어인 Salut d'amour|살뤼 다무르프랑스어로 변경되었고, Liebesgruss|리베스그루스de는 부제가 되었다.[3] 이는 프랑스뿐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에서의 판매를 고려한 것이었다.[3] 영어권에서는 Love's Greeting|러브스 그리팅영어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악보 판매는 호조를 보였으나, 정작 엘가에게 돌아온 수입은 몇 파운드에 불과했다고 전해진다.

2. 1. 다양한 판본과 편곡

엘가는 이 곡을 피아노 독주용, 피아노바이올린용, 소규모 편성의 관현악 등 여러 판본으로 직접 남겼다.[3] 1889년, 독일의 출판사 쇼트 & Co.는 마인츠, 런던, 파리, 브뤼셀 지사를 통해 이 곡을 출판했는데, 처음 출판된 판본은 바이올린과 피아노, 피아노 독주, 첼로와 피아노,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것이었다.[3] 출판사는 판매 증진을 위해 엘가의 동의 하에 원래 제목이었던 Liebesgruss|리베스그루스de를 프랑스어인 Salut d'amour|살뤼 다무르프랑스어로 바꾸고, Liebesgruss|리베스그루스de를 부제로 넣었으며, 작곡가 이름도 'Ed. Elgar'로 표기했다.[3] 엘가 자신도 프랑스어 제목이 유럽 전역에서의 판매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3]

원곡의 조성은 마장조(E major, E dur)이다. 하지만 바이올린 버전의 경우, 연주상의 편의를 위해 개방현을 활용하기 쉬운 라장조(D major, D dur)로 조옮김하여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첼로 버전은 라장조로 편곡되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악기 조합을 위한 수많은 편곡 버전이 존재하며, 엘가의 작품 중 행진곡 『위풍당당 행진곡』 제1번이나 제4번과 더불어 가장 널리 알려진 곡 중 하나로, 우아한 악상으로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최초의 공개 연주는 1889년 11월 11일, 크리스탈 팰리스 콘서트에서 어거스트 만스의 지휘 아래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이루어졌다.[4] 최초의 오케스트라 녹음은 1915년 더 그래머폰 컴퍼니에서 작곡가 자신의 지휘로 이루어졌다. 바이올린과 피아노 버전은 1901년 그라모폰 & 타자기 유한회사에서 자크 제이콥스(바이올린)에 의해 녹음되었고, 첼로 편곡은 1907년 오거스트 반 비엔(첼로)이 녹음했다.

3. 음악적 특징

마장조(첼로판은 라장조)를 기본 조성으로 하며, 4분의 2박자의 당김음 리듬으로 느리게 시작하여 서정적이고 우아한 주요 선율이 나타난다.[1][2] 중간 부분은 사장조로 간결하게 전개되며, 곧바로 마장조의 주제가 다시 나타난다.[1][2] 마지막은 코다에서 약간 고조되며 마무리된다.[1][2]

엘가는 이 곡을 피아노 독주, 피아노와 바이올린 편성, 소규모 관현악 등 여러 판본으로 남겼으며, 전체적으로 연주하기는 평이한 편이다.[1][2] 이 외에도 다양한 악기 편성을 위한 편곡이 이루어졌으며, 엘가의 작품 중에서는 행진곡 '위풍당당 행진곡' 제1번이나 제4번과 함께 가장 널리 알려진 곡 중 하나이다.[1][2] 특유의 우아한 악상으로 인해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1][2]

바이올린으로 연주할 경우, 원곡의 마장조는 높은 음정 정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연주 편의성을 위해 개방현을 활용할 수 있는 라장조로 조옮김하여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2] 첼로 판본은 라장조로 되어 있으며, 다른 악기로 편곡될 때에도 종종 조옮김이 이루어진다.[1][2]

4. 대중적 인기 및 영향

'사랑의 인사'는 엘가의 작품 중 행진곡 '위풍당당 행진곡' 제1번이나 제4번에 버금갈 정도로 유명하며, 우아한 곡상이 폭넓은 지지를 얻고 있다.

원래 피아노 독주용, 피아노와 바이올린용, 소규모 편성의 관현악 등 여러 판본으로 작곡되었으며, 이 외에도 매우 다양한 악기 조합을 위한 수많은 편곡이 이루어졌다. 특히 바이올린 버전은 원곡인 마장조(E dur)로 연주할 경우 고도의 음정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방현을 사용하여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 라장조(D dur)로 연주되는 경우도 많다. 첼로 버전은 라장조이다. 또한 편곡 시에는 종종 조옮김이 이루어진다.

여러 언어로 가사가 붙여져 노래로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A. C. Bunten이 가사를 붙인 영어 버전 Woo thou, Sweet Musiceng [5] 와 스웨덴어 가사가 붙은 Violer|비올레르swe(팬지) 등이 있다.

대중문화에서도 이 곡을 찾아볼 수 있다. 이사벨라 롱의 '선고 후첨', 양승림의 '경축'은 이 곡이 원곡이다.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타잔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그레이스토크: 타잔, 야생의 전설에는 등장인물들이 축음기로 ''"사랑의 인사"''를 연주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오늘날 일본인 연주가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은 소품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Life of Alice Barnham, Wife of Sir Francis Bacon Oliphants Ltd. 1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