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보는 서진의 남양국 세자로, 문재가 있었으나 영가의 난 이후 서진의 혼란 속에서 여러 차례 권력 투쟁을 겪었다. 312년 대사마에 임명되었고, 313년 민제가 즉위한 후 우승상, 대도독, 섬서 제군사에 임명되어 실권을 장악했다. 319년 스스로 진왕을 칭하며 사마예와 대립했으나, 부하 장춘에게 살해당했다. 사마보는 관대하고 개방적인 성격이었으나, 무능력하고 결단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마보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남양왕 (南陽王) |
추증 시호 | 원왕 (元王) |
생년 | 294년 |
몰년 | 기원후 320년경 |
아버지 | 사마모 |
자 | 경도 (景度) |
정치 | |
칭왕 | 진왕 (晉王) |
재위 기간 | 319년 – 320년경 |
상국 임기 시작 | 315년 |
상국 임기 종료 | 319년 |
군주 | 진 민제 |
2. 생애
사마보는 서진 남양국(南陽國)의 세자로 문학적 재능이 있었다. 영가의 난으로 혼란한 상황에서 아버지 사마모가 사망하고, 민제가 장안에 임시정부를 세우면서 대사마, 우승상, 상국 등을 역임하며 권력의 중심에 섰다.
316년, 민제가 전조에 붙잡히자 황제 즉위를 시도했으나, 318년 사마예가 먼저 즉위하였다. 319년 자신을 진왕(晉王)이라 칭하고 건강(建康)으로 개원하여 사마예와 대립하였다.
315년, 상국으로 승진한 후, 사마모의 옛 부장 진안이 귀순하자 후대했다. 강족 반란을 진압한 진안을 신뢰했으나, 부하 장춘 등의 질투로 진안이 모반을 꾀한다는 참언을 듣고도 믿지 않았다. 장춘 등은 자객을 보내 진안을 공격했고, 진안은 부상당한 채 농성으로 도주했다. 진안은 사마보에게 계속 공헌했지만, 사마보로부터 이반하게 되었다.
316년 9월, 한군의 공격으로 장안이 위기에 처하자 민제는 구원병을 요청했다. 장안 이서의 군신들은 사마보의 명을 따랐고, 민제는 경시되었다. 사마보 측근들은 농도를 끊고 관망할 것을 주장했지만, 종사중랑 배선은 이에 반대했다. 사마보는 배선의 의견에 동의하여 출정을 결의하고, 진군장군 호송을 행전봉독으로 임명하여 구원을 명했다. 호송은 령대에서 유요를 격파했지만, 국윤, 색침과의 대립으로 군대를 철수시켰다. 316년 11월, 장안이 함락되어 민제는 평양으로 연행되었다.
317년 1월, 전량 자사 장식은 사마보에게 서신을 보내 지시에 따르겠다고 했다. 사마예가 3월에 진왕이 되고, 이듬해 민제가 살해되자 제위에 올랐다.
대흥 원년(318년) 3월, 진안은 안정군태수초숭과 함께 거병하여 사마보를 공격했다. 사마보는 량주 자사 장식에게 구원을 요청했고, 장식은 금성군 태수 두도에게 보병과 기병 2만 명을 주어 천수 신양에 주둔시켰다.
대흥 2년(319년) 4월, 사마보는 진왕을 참칭하고, 건강으로 개원하여 백관을 두었고, 사마예에게는 신종하지 않았다. 장식을 정서대장군·의동삼사로 임명하고, 삼천 호를 가증했다. 상규는 기근에 시달렸고, 진안의 공격도 계속되어 남안 기산으로 옮겼다. 장식은 한박에게 보병과 기병 5000명을 주어 사마보를 구원하게 했다. 진안이 상규에서 철수하여 면저로 병력을 옮기자, 사마보는 상규로 돌아왔으나, 진안은 다시 상규로 진격했다. 장식이 부하 송의를 파견하자, 진안은 겨우 병사를 물렸다.
11월, 황석에 있던 도각의 로송다가 신평과 부풍에서 거병하여 병사 1000명을 모아 사마보에게 귀순했다. 사마보는 양만을 옹주 자사, 왕련을 부풍군 태수, 장의를 신평군 태수, 주용을 안정군 태수로 임명했다. 조제 유요는 차기장군유아·평서장군 유후에게 진창을 공격하게 했지만, 20일이 지나도 이기지 못하자 직접 공격에 참여했다.
대흥 3년(320년) 1월, 유요는 진창을 공략하고 왕련을 살해하고 양만을 남저로 도주하게 했다. 초벽을 함락시켜 로송다를 농성으로 도주하게 하고, 안정을 함락시켰다. 사마보는 상성으로 철수했고, 저·강은 모두 사마보를 따라 상성으로 옮겼다. 유요는 장안으로 돌아갔다. 사마보는 량주 자사 장식에게 도주하려 했지만, 장식은 사마보의 명망을 두려워하여 부하 음감을 보내 호위하는 척하며 막았다.
320년, 부장 장춘(張春), 양차(楊次)에게 붙잡혀 수감되었다가 처형당했다.[7] 사마보는 나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했으며 발기부전이 있었다고 한다.[5] 이후 부하 진안(陳安)은 장춘과 양차를 죽이고 사마보를 천자의 예로 추시하여 시호 원(元)을 올렸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사마보는 서진의 봉국인 남양국(南陽國)의 세자로 문채가 있었고, 책을 쓰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젊은 시절부터 문재(文才)가 있어 저술을 좋아했으며, 남양국 세자로 봉해졌다.[3]영가 5년(311년), 아버지 사마모에 의해 평서중랑장·동강교위로 추대되어 상규에 주둔했다. 진주자사배포는 사마보를 거절했으므로, 사마모는 장하도위 진안에게 배포를 공격하게 하여 안정으로 패주하게 했다. 같은 해 영가의 난이 일어나 서진 회제가 전조에 붙잡히고 부왕 사마모도 전사했다.[3]
영가 6년(312년), 옹주 자사 가필이 전조에 패배하여 전사하고, 진주 자사 배포 또한 량주 자사 장궤에게 살해되었으므로, 사마보는 진주 자사로 임명되어 진주 전역을 영유하게 되었다. 여기서 대사마를 자칭하고, 독단적으로 승제(황제를 대신하여 제후나 수상을 임명하는 것)를 행하여 백관을 두었다. 농우의 저·강족은 모두 사마보를 따랐고, 량주 자사 장식은 사자를 파견하여 공헌했다. 9월, 진왕 사마업(민제)이 장안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남양왕세자인 사마보를 대사마(大司馬)로 책봉하였다.[4]
건흥 원년(313년) 6월, 민제가 즉위하자, 사마보는 낭아왕 사마예와 같이 우승상, 대도독, 도독 섬서제군사(陝西諸軍事)로 책봉되었다. 민제는 사마예·사마보에게 조서를 내려 함께 협력하여 진실 부흥을 도모하라고 호소했다.
사마보는 관대하고 개방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지역의 백성들, 즉 한족, 저, 강족 모두 그의 지도력에 열려 있었다고 한다. 그는 또한 지나치게 과체중이었다. 역사가들에 따르면, 그의 체중은 800근(斤) -- 즉, 대략 400kg -- 이었다고 스스로 말했다고 한다. 그는 또한 무능력자라고 전해졌고, 따라서 자녀가 없었다.[5] 그는 량주 (涼州, 현재의 중앙 및 서부 간쑤성)의 지사 장궤와 동맹을 맺었고, 전쟁의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은 장궤의 영토는 사마보에게 종종 물자를 공급했다.
2. 2. 영가의 난과 세력 형성
영가의 난으로 회제가 전조에 붙잡히고 아버지 사마모도 전사하자, 312년 사마업(민제)이 장안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남양왕세자였던 사마보를 대사마(大司馬)로 책봉하였다.[3]313년, 사마보는 민제에 의해 낭야왕 사마예와 함께 우승상, 대도독, 도독 섬서제군사(陝西諸軍事)로 책봉되었다.[4] 315년에는 상국으로 승진하였다.[6]
316년, 민제가 전조에 붙잡혀 사마진 황실이 멸망할 위기에 처하자, 사마보는 황제 즉위를 시도했다. 그러나 318년 사마예가 먼저 즉위하자, 319년 사마보는 자신을 진왕(晉王)이라 칭하고 건강(建康)으로 개원하여 사마예와 대립하였다.[7][8]
2. 3. 민제 즉위와 권력 투쟁
311년, 영가의 난으로 서진 회제가 전조에 붙잡히고 부왕 사마모도 전사했다. 312년, 진왕 사마업(민제)이 장안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남양왕세자인 사마보를 대사마(大司馬)로 책봉하였다.[3]313년 민제가 즉위하자 사마보는 낭아왕 사마예와 함께 우승상, 대도독, 도독 섬서제군사(陝西諸軍事)로 책봉되었다.[4] 315년에는 상국으로 승진했다.[6]
316년, 민제가 전조에 붙잡혀 사마진 황실이 멸망할 위기에 처하자 사마보는 제위에 오르고자 하였다. 그러나 318년 사마예가 먼저 즉위하자, 319년 사마보는 자신을 진왕(晉王)이라 칭하고 건강(建康)으로 개원하여 사마예와 대립하였다.[6]
320년, 사마보는 부장 장춘(張春)과 양차(楊次)에게 붙잡혀 수감되었다가 곧 처형당했다.[7][8] 장춘은 다른 황족인 사마첨(司馬瞻)을 진왕세자로 추대하였다. 사마보는 나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했으며 발기부전이 있어 아들을 낳지 못했다고 한다.[5] 이후 사마보의 부하 진안(陳安)은 장춘과 양차를 죽이고 사마보를 천자의 예로 추시하여 시호 원(元)을 올렸다.
2. 4. 진왕(晉王) 즉위와 최후
사마보는 서진 봉국인 남양국(南陽國)의 세자로 문채가 있었고 책을 쓰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311년 부왕에 의해 서중낭장(西中郎將), 동강태위(東羌太尉)가 되어 상규(上邽)를 지키게 되었으며 이후 진주자사(秦州刺史)를 역임하였다. 같은 해 영가의 난이 일어나자 서진 회제가 전조에 붙잡히고 부왕 사마모도 전사했다. 312년 진왕 사마업(민제)이 장안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남양왕세자인 사마보를 대사마(大司馬)로 책봉하였다.[3]313년, 사마보는 민제에 의해 낭야왕 사마예와 같이 우승상, 대도독, 도독 섬서제군사(陝西諸軍事)로 책봉되었다. 315년 다시 상국으로 개봉되었다.[4]
316년, 민제가 전조에 붙잡혀 사마진 황실이 멸망할 위기에 처하자 사마보는 제위에 오르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마예가 318년 먼저 즉위하자 319년 자신을 진왕(晉王)이라 칭하고 건강(建康)으로 개원하여 사마예와 대립하였다.[6]
320년, 자신의 부장인 장춘(張春), 양차(楊次)에게 붙잡혀 수감되었다가 곧 처형당했다.[7] 장춘은 다른 황족인 사마첨(司馬瞻)을 진왕세자로 추대하였다. 사마보는 나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했으며 발기부전이 있어 아들을 낳지 못했다고 한다.[5] 이후 사마보의 부하 진안(陳安)은 장춘과 양차를 죽이고 사마보를 천자의 예로 추시하여 시호 원(元)을 올렸다.
2. 5. 사후
영가의 난 이후 전조에 서진 회제가 붙잡히고 아버지 사마모도 전사하는 등 혼란이 이어졌다. 312년, 사마업(민제)이 장안에 임시정부를 세우고 남양왕세자였던 사마보를 대사마(大司馬)로 책봉하였다. 313년에는 사마보를 낭아왕 사마예와 함께 우승상, 대도독, 도독 섬서제군사(陝西諸軍事)로 책봉하였다. 이후 315년 다시 상국으로 개봉되었다.[3][4]316년, 민제가 전조에 붙잡혀 사마진 황실이 멸망할 위기에 처하자 사마보는 제위에 오르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마예가 318년 먼저 즉위하자, 사마보는 319년 자신을 진왕(晉王)이라 칭하고 건강(建康)으로 개원하여 사마예와 대립하였다.[6]
320년, 사마보는 자신의 부장인 장춘(張春), 양차(楊次)에게 붙잡혀 수감되었다가 곧 처형당했다. 장춘은 다른 황족인 사마첨(司馬瞻)을 진왕세자로 추대하였다. 사마보는 나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했으며 발기부전이 있어 아들을 낳지 못했다고 한다.[5] 이후 사마보의 부하 진안(陳安)은 장춘과 양차를 죽이고 사마보를 천자의 예로 추시하여 시호 원(元)을 올렸다.[7][8]
남북조시대의 인물 사마자여(司馬子如)는 사마보의 7세손을 자칭하였다.
3. 인물됨과 평가
사마보는 관대하고 개방적인 성격으로 한족, 저족, 강족 등 다양한 민족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지나치게 뚱뚱하고 무능력하여 자녀가 없었다고 전해진다.[5] 역사가들은 그의 체중이 800근, 즉 약 400kg이었다고 기록했다.[5] 그는 량주 지사 장궤와 동맹을 맺고 물자 지원을 받기도 했다.
319년, 스스로 진왕(晉王)으로 칭하며 황제 자리에 다가가려 했으나, 장식은 사마예를 지지하며 약속을 미루었다.[6] 320년, 전조의 공격에 피신하던 중 사망했는데, 장군들에게 살해되었다는 설과 자연사했다는 설이 있다.[7][8]
사마보는 어리석고 심약하며 결단력이 없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수면과 독서를 좋아했고, 성불능자여서 자식이 없었다고 한다.[5] 그의 몸은 비대하여 몸무게가 800근(약 400kg이 아닌 약 180kg)이나 된다고 세상에 떠돌았다.
4. 가계
사마보의 아버지 사마모는 남양왕이었고, 동해왕 사마월의 동생이었다. 사마월은 혜제와 회제의 섭정이었다. 사마모와 사마월은 모두 사마의의 형제 사마궤의 아들인 가오미 문현왕 사마태의 아들이었다. 311년 10월, 뤄양이 함락된 후(영가 사변), 한(漢)나라에 의해 혜제가 사로잡히자 장안을 지키고 있던 사마모는 한나라 장군 조염(趙染, 이전 사마모 휘하)에게 붙잡혀 유총에게 처형당했다.[3]
사마보는 아버지 사마모가 사망할 당시 상규(上邽, 현재의 간쑤성 톈수이)에 있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남양왕 작위를 받았다.[4] 그는 무능력자로 알려져 자녀가 없었다.[5]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Jin Shu
[3]
서적
Zizhi Tongjian
[4]
서적
Jin Shu
[5]
서적
Jin Shu
[6]
문서
Cao Huan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Jin Sh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