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15년은 서진 건흥 3년, 성한 옥형 5년, 전조 가평 5년/건원 원년, 전량 건흥 3년, 대 목황제 원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아르메니아의 성 그레고리가 기독교를 아르메니아의 국교로 선언했고, 고구려 미천왕이 즉위했다. 로마 제국에서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다뉴브강 일대에서 전투를 벌이고,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이 완공되었으며, 십자가형이 폐지되었다.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가 주교가 되었고, 플라비우스 한니발리아누스,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등이 태어났으며, 쾰른의 마테르누스, 갈레리아 발레리아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315년 | |
---|---|
315년 | |
달력 | |
로마 숫자 | CCCXV |
간지 | 을해년(乙亥年), 돼지띠 |
육십간지 | 음화(陰火) |
기년 | |
백제 | 고이왕(古爾王) 8년 |
신라 | 흘해 이사금(訖解尼師今) 6년 |
고구려 | 미천왕(美川王) 16년 |
중국 | 진(晉) 건흥(建興) 3년 |
2. 연호
3. 기년
4. 사건
4. 1. 로마 제국
- 갈리아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에 대항하는 반란이 발생했다.[1]
- 콘스탄티누스 1세와 공동 황제 리키니우스는 다뉴브강을 따라 사르마티아인, 고트족, 카르피족과 전투를 벌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다키아로 징벌 원정을 이끌고 국경의 로마 요새를 재건했다.[1]
- 7월 25일 –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이 로마의 콜로세움 근처에서 밀비오 다리에서 막센티우스를 상대로 한 콘스탄티누스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완공되었다. 의식의 일환으로 콘스탄티누스는 로마의 전통적인 신들에게 제물을 바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그는 거부했다.[1]
- 콘스탄티누스 1세는 막센티우스 바실리카를 헌당하고 그 안에 자신의 거대한 조각상을 설치했다.[1]
- 십자가형이 로마 제국에서 처벌로 폐지되었다.[1]
- 로마 제국에서 빈민 구제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1]
- 엄청난 규모의 목욕탕이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오늘날의 트리어)에 건설되었다.[1]
4. 2. 동아시아
구분 | 내용 |
---|---|
간지 | 을해 |
일본 | 닌토쿠 천황 3년, 황기 975년 |
중국 | 서진 건흥 3년, 전조 가평 5년/건원 원년, 성한 옥형 5년, 전량 건흥 3년 (서진의 연호를 사용), 대 목황제(탁발의로) 원년 |
조선 | 고구려 미천왕 16년, 백제 비류왕 12년, 신라 흘해왕 6년, 단군기원 2648년 |
4. 3. 아르메니아
315년 성 그레고리가 기독교를 아르메니아의 국교로 선언하였다.5. 문화
315년의 문화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উল্লেখযোগ্য한 사건이 있었다.
5. 1. 종교
6. 탄생
- 플라비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아르메니아와 폰토스의 통치자 (337년 사망)
-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 기독교 주교이자 교회 박사[1]
- 히메리우스 - 그리스 소피스트이자 수사학자 (대략적인 연도)
- 베티우스 아고리우스 프라텍스타투스 - 로마 정치인 (384년 사망)
7. 사망
- 9월 14일 – 쾰른의 마테르누스, 트리어의 주교[1]
- 두 타오 ('''징원''') - 중국의 장군이자 반란 지도자
- 갈레리아 발레리아 - 로마 황후이자 갈레리우스의 아내
- 프리스카 - 로마 황후이자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아내 (출생 247년)
- 사라고사의 발레리우스 - 기독교 주교이자 순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