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키 키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사키 키젠은 이와테현 도노시 출신의 일본 민속학자이자 작가이다. 도요 대학과 와세다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했으며, 야나기타 구니오와 함께 이와테현의 구전 설화를 수집하는 작업을 했다. 그는 '일본의 그림'으로 불리며, 오시라사마나 자시키와라시 등 민속 신앙 연구와 400편이 넘는 옛날이야기 수집으로 일본 민속학과 구비 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만년에는 시인 미야자와 겐지와 교류했으며,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민속학자 - 야나기타 쿠니오
야나기타 구니오는 근대 일본 민속학의 기초를 세운 민속학자이자 문필가로, 농촌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민속학 연구에 몰두하여 일본 민속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데 기여했으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연구 부족이라는 한계점도 가진다. - 일본의 민속학자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이와테현 출신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이와테현 출신 - 센 마사오
센 마사오는 1965년 데뷔하여 '북국의 봄' 등 히트곡으로 일본 대표 엔카 가수로 성장했으며, 부동산 사업으로 성공했으나 버블 붕괴 후 가수 활동에 복귀, NHK 홍백가합전에 16회 출연했다. - 1933년 사망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1933년 사망 - 미야자와 겐지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 동화 작가, 농업기술 지도자인 미야자와 겐지는 불교적 신앙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헌신이 담긴 작품들을 남겼으며 사후 재평가를 통해 일본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로 인정받았다.
사사키 키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사사키 키젠 |
다른 이름 | 사사키 키젠 (佐々木喜善) |
직업 | 민속학자 작가 문학 연구자 |
출생지 | 일본, 이와테현도노시 쓰치부치 (구 쓰치부치 촌) |
묘지 | 일본 |
국적 | 일본 |
학력 | |
출신 학교 | 와세다대학교 문학과 졸업 |
학위 | 문학사 |
작품 활동 |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장르 | 소설 민화 전승 구승 문학 등의 수집, 편집, 연구 |
주제 | 민속학 구승 문학 민화 일본 사상 |
영향 | 야나기타 구니오 등 |
주요 작품 | 『청이초지』 『도노의 자시키와라시와 오시라사마』 『도노 기담』 기타 다수 |
기타 정보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알 수 없음 |
2. 생애
사사키 키젠은 이와테현 도노시의 유복한 농가에서 태어나, 사립 철학관(현 도요 대학)과 와세다 대학에서 공부했다. 1908년 야나기타 구니오를 만나 이와테현의 구전 설화와 이야기를 수집하는 일에 협력했다. 오시라사마나 자시키와라시 등 민속학 연구와 400편이 넘는 옛날이야기를 수집하여 "일본의 그림"이라고 불린다.
1910년 병으로 대학을 휴학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후, 작가 활동과 민담 수집을 계속했다. 가미헤이군 쓰치부치촌(현 도노시 쓰치부치)의 촌의원과 촌장을 역임했지만(1925년 9월 27일 ~ 1929년 4월 4일), 익숙하지 않은 중책으로 사임하고 센다이시로 이주했다. 선천적인 병약함과 생활고에 시달리다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어린 시절부터 괴기담을 좋아했지만 겁이 많았고, 무녀나 기도사에게 의지하기도 했다. 기독교 신자였다가 신주 자격을 취득하고, 오모토교 지부를 만들기도 했다. 그는 "소박한 시골 이야기꾼"이라기보다는 모던한 취향의 작가 지망생이었으며, 작가로서 좌절한 후 옛날이야기 수집을 시작했다.[9]
미야자와 겐지와도 교류했는데, 1928년 겐지에게 편지를 보낸 것을 계기로[7] 1932년에는 겐지의 친가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면담을 했다.[8]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이와테현 도노시의 유복한 농가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쪽 할아버지 만조는 동네에서 손꼽히는 이야기꾼이었고, 기젠은 그에게서 여러 민담과 요괴담을 들으며 자랐다.[5] 이와테 의과 대학에 입학했으나, 의사의 길을 포기하고 2년 후 중퇴했다.할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상경하여 철학관(현 도요 대학)에 입학했지만, 문학을 지망하여 와세다 대학 문학과로 전과했다. 1905년 무렵, 친구 미즈노 하슈의 권유로 붓을 잡고, 사사키 쿄세키(鏡石)라는 필명으로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5] 1908년에는 야나기타 구니오와 알게 되었고, 함께 이와테현의 구전 설화와 이야기를 수집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2. 2. 문학 활동과 야나기타 구니오와의 만남
이와테현 도노시의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난 사사키 키젠은 도요 대학과 와세다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1908년, 야나기타 구니오와 만나 이와테현의 구전 설화와 이야기를 수집하는 작업을 함께 했다. 그는 미야자와 겐지와도 교류하며 자신의 발견을 공유했다.[7][8]사사키는 소설가로 활동했지만, 야나기타 구니오의 영향으로 고향 도노의 민담과 전설 수집에 주력하게 되었다. 1905년 무렵, 친구 미즈노의 권유로 '사사키 쿄세키(鏡石)'라는 필명으로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1907년에는 단편 소설 '장화'가 문예 잡지 '게이엔'에 실려 호평을 받았다. 1908년 11월 4일, 미즈노의 소개로 야나기타 구니오와 만나게 되었고, 이때 도노 지방의 민담과 전설을 들려주어 야나기타가 『도노 이야기』를 저술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5]
1910년, 병으로 대학을 휴학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후에도 작가 활동과 민담 수집을 계속했다. 『노부인의 야담』, 『도노 잡기』, 『오슈의 자시키와라시』, 『에사시 옛날이야기』 등 여러 민담집을 발표했다. 오시라사마나 자시키와라시 등의 연구와 400편이 넘는 옛날이야기 수집은 일본 민속학, 구비 문학 연구에 큰 공헌을 했으며, 그는 "일본의 그림"이라고 불렸다.
2. 3. 민속학 연구와 저술 활동
이와테현 도노시의 부유한 농가 출신인 사사키 키젠은 사립 철학관(현 도요 대학)을 거쳐 1905년 와세다 대학에서 문학 학위를 받았다. 1908년 야나기타 구니오와 알게 된 후, 이와테현의 구전 설화와 이야기를 수집하는 작업을 함께 했다.[5] 오시라사마나 자시키와라시 등의 연구와 400편이 넘는 옛날이야기 수집은 일본 민속학, 구비 문학 연구에 큰 공적으로, "일본의 그림"이라고 칭송받는다.1910년(메이지 43년) 병으로 대학을 휴학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후에도 작가 활동과 민담 수집 및 연구를 계속했다. 소설가로서는 만족스러운 작품을 얻지 못했지만, 야나기타의 영향으로 고향 도노의 민담과 전설 수집에 주력했다. 『노부인의 야담』[5], 『도노 잡기』, 『오슈의 자시키와라시』, 『에사시 옛날이야기』, 『도오이문』, 『듣는 귀 종이』 등의 민담집을 발표했다.
민담 수집과 함께, 가미헤이군 츠치부치촌의 촌의원·촌장(재임: 1925년 9월 27일 - 1929년 4월 4일)을 역임하기도 했다.
1919년(다이쇼 8년)부터 1921년(다이쇼 10년)까지 『아이누 이야기』의 저자인 타케쿠마 토쿠사부로와 교류했다.[6]
시인이자 동화 작가인 미야자와 겐지와도 교우가 있었다. 1928년(쇼와 3년) 겐지의 동화 『자시키 동자 이야기』의 내용을 자서에 소개하기 위해 편지를 보낸 것을 계기로,[7] 1932년(쇼와 7년)에는 겐지의 친가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면담을 했다.[8]
주요 저서로는 옛날이야기집으로 『시와군 옛날이야기』, 『에사시군 옛날이야기』, 『도오이문』, 『농민 이담』, 『듣는 귀 종이』, 『노부인 야담』이 있다. 연구·수필로는 『오슈의 자시키와라시 이야기』, 『오시라 신에 대한 소보고』, 『도노 수첩』, 『조충목석전』 등이 있다.
2. 4. 촌장 재임과 만년
1925년 9월 27일부터 1929년 4월 4일까지 가미헤이군 쓰치부치촌(현재의 도노시 쓰치부치)의 촌의원 및 촌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촌장이라는 익숙하지 않은 중책에 대한 심로가 겹쳐 사임하였다. 동시에 거액의 부채를 짊어져 가재를 정리하고 센다이시로 이주하였다. 이후 선천적인 병약함에 더해 생활고에 시달리다, 세는 나이 48세(만 46세)로 사망하였다. 신단 앞에서 "으" 하고 한마디 신음하고 대단한 죽음이었다고 한다. "일본의 그림"이라는 명칭은 그의 사망 소식을 들은 언어학자 긴다이치 교스케가 붙인 것이다.[9]미야자와 겐지와도 교류가 있었다. 1928년(쇼와 3년), 겐지의 동화 『자시키 동자 이야기』의 내용을 자서에 소개하기 위해 편지를 보낸 것이 계기가 되었다.[7] 1932년(쇼와 7년)에는 겐지의 친가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면담을 가졌다.[8] 겐지는 당시 이미 병석에 누워 있었지만, 히에누키군 하나마키정(현재의 하나마키시 중심부)과 도노시가 지리적으로 가까워, 만년의 겐지는 병을 무릅쓰고 적극적으로 기젠과 만났던 것으로 보인다.
2. 5. 미야자와 겐지와의 교류
1928년(쇼와 3년), 미야자와 겐지가 동화 좌부동자 이야기의 내용을 자서에 소개하기 위해 편지를 보낸 것을 계기로 겐지와 교류를 시작했다.[7] 이후 1932년(쇼와 7년)에 기젠은 겐지의 친가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면담을 했다.[8] 겐지는 당시 이미 병석에 누워 있었지만, 겐지가 거주했던 히에누키군 하나마키정(현재의 하나마키시의 중심부)와 도노시가 지리적으로 가까웠기 때문에, 만년의 겐지는 병을 무릅쓰고 적극적으로 기젠과 만났던 것으로 보인다.3. 사상과 신앙
오시라사마나 자시키와라시 등에 대한 연구와 400편이 넘는 옛날이야기 수집은 일본 민속학, 구비 문학 연구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일본의 그림"이라고 불린다.[9]
어린 시절부터 괴기담을 좋아했으며, 철학관(현 도요 대학)에 입학한 것은 "이노우에 엔료의 요괴학 강의를 듣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겁이 많은 성격으로, 어릴 적 할아버지에게 괴담을 들은 밤에는 혼자 이불 속에 들어가 떨었다고 한다.
무녀나 기도사에게 의지하기도 했으며, 촌장을 지낼 때는 자신이 꾼 꿈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출근하지 않기도 했다. 1903년(메이지 36년)에는 기독교 신자가 되었지만, 1927년(쇼와 2년)에는 신주 자격을 취득한다. 1929년(쇼와 4년)에는 교토부 카메오카정(현 카메오카시)의 데구치 오니사부로를 방문하여 지역에 오모토교 지부를 만들었다.[9]
4. 주요 저서
- 도노 시립 박물관에서 간행한 《사사키 키젠 전집》(전 4권)이 있다.
- 《에사시 군 옛날 이야기》(향토 연구사 "로변 총서" 1922년, 명저출판 1976년)
- 《시와 군 옛날 이야기》(향토 연구사 "로변 총서" 1926년, 명저출판 1976년)
- 《동오 이문》(사카모토 서점 "한화 총서" 1926년)
- 《청이초지》(산겐샤 1931년, 중외서방 1933년)
- 《청이초지》(마스다 가쓰미 해설), 지쿠마 총서 1964년, 지쿠마 문고 1993년, 지쿠마 학예 문고(이시이 마사미 신판 해설) 2010년
- 《농민 이담》(잇세이샤, 1934년)
- 《가미헤이 군 옛날 이야기집》(산세이도 1943년)
- 《도노의 자시키와라시와 오시라사마》, 야마다 노리오 편(호분칸, 1974년, 신장판 1988년), 주코 문고 BIBLIO(사쿠라바 가즈키 해설), 2007년
- 《도노 기담》, 이시이 마사미 편(가와데 서방 신사, 2009년, 신장판 2020년)
- 《자시키와라시와 할머니의 밤 이야기》(가와데 서방 신사, 2020년)
5. 관련 인물
- 미즈노 요슈 : 사사키 키젠이 와세다 대학 문학과 시절 만난 평생의 친구로, 하루에 한 번은 서로를 방문할 정도로 가까웠다.[5] 사사키에게 붓을 잡도록 권유하고, 야나기타 구니오를 소개해 준 인물이다.
- 야나기타 구니오 : 1908년 미즈노 요슈의 소개로 사사키 키젠과 알게 되었다.[5] 사사키가 도노 지방의 민담과 전설을 이야기해 준 것을 바탕으로 『도노 이야기』를 저술했다. 사사키는 야나기타의 영향으로 고향의 민담과 전설 수집에 주력하게 되었다.
- 미야자와 겐지 : 1928년 겐지의 동화 『자시키 동자 이야기』의 내용을 자서에 소개하기 위해 편지를 보낸 것을 계기로 교류하게 되었다.[7] 1932년에는 사사키가 겐지의 친가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면담을 했다.[8]
- 킨다이치 쿄스케 : 사사키 키젠의 사망 소식을 듣고 "일본의 그림"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 타케쿠마 토쿠사부로 :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아이누 이야기』의 저자인 타케쿠마 토쿠사부로와 서신 왕래를 했다.[6]
- 이노우에 엔료 : 사사키 키젠이 철학관에 입학한 것은 이노우에 엔료의 요괴학 강의를 듣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 데구치 오니사부로 : 1929년 사사키 키젠은 교토부 카메오카의 데구치 오니사부로를 방문하여 지역에 오모토교 지부를 만들었다.
- 키타하라 하쿠슈
- 마에다 유구레
- 이즈미 쿄카
- 코이가와 준지로
- 카와아이 유타로
6. 기념 시설
- 사사키 키젠 기념관 (전승원 내)
참조
[1]
논문
The Spirit-Captives of Japan's North Country: Nineteenth Century Narratives of the ''Kamikakushi''
http://nirc.nanzan-u[...]
1987
[2]
논문
Nation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Folktales
1975
[3]
서적
The legends of Tono
Japan Foundation, Tokyo
1975
[4]
서적
東奥異聞
平凡社
1961
[5]
웹사이트
老媼夜譚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6]
서적
近現代アイヌ文学史論〈近代編〉
寿郎社
2018
[7]
문서
[8]
뉴스
〈賢治の置土産〉288 岡澤敏男 「大宗教」のナゾ
http://www.morioka-t[...]
盛岡タイムス
2012-12-11
[9]
문서
[10]
서적
東奥異聞
平凡社
19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