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원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원(射援)은 후한 말 촉한의 관료이다. 본래 성은 사(謝)였으나 조상 대에 射로 개성하였다. 형 사견과 함께 어려서부터 명성이 있었으며, 헌제 초 삼보에 기근이 들자 익주로 가서 유장에게 의탁했다.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후 한중왕 추대 상소에 참여했고, 유비의 유조에서 제갈량이 그의 능력을 칭찬했다는 기록이 있다. 촉한 건국 후 제갈량에게 발탁되어 좨주, 종사중랑을 역임하다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원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사원
원어 이름射援
문웅(文雄)
다른 이름사군(射君)
출생지싱핑, 산시 성
배우자황보숭의 딸
직업관리
형제사회(射堅)
관직
관직사중랑(事中郎)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알 수 없음
군주유선
승상제갈량
관직제주(祭酒)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알 수 없음
승상제갈량
군주유선
관직의조종사(議曹從事)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알 수 없음
군주유비
관직중랑(中郎)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알 수 없음
군주유비
관직군의중랑장(軍議中郎將)
임기 시작알 수 없음
임기 종료알 수 없음
군주유비

2. 가계 배경

사례교위 우푸펑군(右扶風郡) (현 산시성 싱핑 시) 출신이다.[11] 원래 성씨는 '''사'''(謝)씨였으나, 선조인 사복(謝服)이 장군으로 출정했을 때 황제가 성씨가 좋지 않다고 여겨[10] '''사'''(射)로 성을 바꾸게 하였다고 전해진다.[11] 이후 사복의 후손들은 사(射)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형 사견(射堅)과 함께 명성이 있었으며[11], 당시 명망 높던 장군 황보숭은 사원을 비범하게 여겨 자신의 딸을 아내로 맞게 하였다.[11]

2. 1. 사견(射堅)

사원의 형으로, 자는 문고(文固)이다.[11] 젊은 시절부터 동생 사원과 함께 명성이 있었으며[11], 삼공의 부름을 받아 관직에 나아가 황문시랑을 지냈다.[11] 그의 가문은 본래 '사(謝)'씨였으나, 선조인 사복(謝服)이 장군으로 출정할 때 황제가 성씨가 좋지 않다고 여겨 '사(射)'로 바꾸게 했다고 전해진다.[10]

헌제 초기에 삼보 지역에 큰 기근과 혼란이 발생하자[11], 사견은 관직을 버리고 동생 사원과 함께 남서쪽 익주로 피난하여 당시 익주목이었던 유장에게 의탁했다.[11] 유장은 사견을 장사로 임명했다.[11]

214년,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후, 사견은 유비에게 발탁되어 광한군 태수를 거쳐 촉군 태수를 역임했다.[11]

3. 생애

본래 '''사'''(謝)씨였으나, 선조인 사복(謝服) 대에 이르러 사(射)씨로 성을 바꾸었다.[11]

어릴 때부터 형 사견(射堅)과 함께 명성이 있었으며, 태위 황보숭은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자신의 딸과 혼인시켰다.[11][5]

헌제 초기에 삼보 지역에 큰 기근이 들자, 형 사견과 함께 관직을 버리고 익주로 가서 유장에게 몸을 의탁하였다.[11]

유비가 익주와 한중을 평정한 후인 건안 24년(219년), 여러 신하들이 유비를 한중왕으로 추대하는 상소문을 올렸는데, 이때 사원은 의조(議曹)·종사중랑(從事中郞)·군의(軍議) 중랑장으로서 이름을 올렸다.[7][2] 이는 헌제가 조조에게 위왕(魏王) 작위를 내린 것에 맞서 유비 또한 제후 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주요 인물 11명 중 한 명으로 기록된 것이다.[2]

촉한 건국 이후, 승상 제갈량이 관직을 열었을 때 사원을 좨주(祭酒)로 임명하였다.[11][5] 장무 3년(223년) 4월, 유비가 임종 시 황태자 유선에게 남긴 유조(遺詔)에는 "사군(射君, 사원으로 추정됨)이 와서 승상(제갈량)이 너의 지력이 뛰어나고 배움이 기대 이상이라고 감탄했다는 말을 전해주었다. 승상이 너를 그렇게 보니 내가 무엇을 더 걱정하겠는가?"라는 내용이 있다.[8][6]

이후 종사중랑(從事中郞)으로 옮겼으나, 재임 중에 사망하였다.[11][5] 5세기 배송지는 조기와 지우(摯虞)가 저술한 《삼보결록주(三輔決錄注)》의 기록을 인용하여 사원의 행적을 보충하였다.[5]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32
[2] 서적 Sanguozhi vol. 32
[3] 서적 Sanfu Jue Lu Z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2
[4] 서적 Sanfu Jue Lu Z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2
[5] 서적 Sanfu Jue Lu Z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2
[6] 서적 Zhuge Liang Ji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2
[7] 서적 三国志 蜀書 先主伝
[8] 서적 先主伝注『諸葛亮集』
[9] 문서
[10] 서적 正史 三国志 ちくま学芸文庫
[11] 서적 삼보결록주(三輔決錄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