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사이버네틱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코사이버네틱스는 맥스웰 몰츠가 노버트 위너의 사이버네틱스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심리학 이론이다. 몰츠는 인간의 마음을 사이버네틱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보고, 의식은 조작자 역할을, 잠재의식은 신경계를 기반으로 하는 메커니즘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와 현실적인 자아상이 중요하며, 부정적인 생각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긍정적 사고와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나 과학적 근거 부족과 과장된 주장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학 - 시크릿 (책)
시크릿은 론다 번이 2006년에 쓴 자기 계발서로, 끌어당김의 법칙을 이용하여 원하는 것을 현실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며, '요청하기', '믿기', '받기'의 단계를 통해 성공 방법을 제시하지만, 과학적 근거 부족과 사회 구조적 문제 간과로 비판받기도 한다.
사이코사이버네틱스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사이코-사이버네틱스 |
원제 | Psycho-Cybernetics |
저자 | 맥스웰 말츠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출판사 | 사이먼 & 슈스터 |
출판일 | 1960년 |
쪽수 | 288쪽 |
ISBN | 978-0671700751 |
내용 | |
주제 | 자기 계발 |
장르 | 자기 계발서 |
영향 | 앤서니 라빈스 지그 지글러 |
관련 정보 | |
관련 웹사이트 | Psycho-Cybernetics Book Review |
2. 맥스웰 몰츠와 사이버네틱스
맥스웰 몰츠는 노버트 위너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서 영감을 얻었으며,[4] 이 책은 동물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개발을 도운 자동 유도 미사일을 목표 추구 메커니즘으로 묘사하고 있다.[5] 몰츠는 위너의 이러한 관점을 인간에게 적용하여, 인간의 마음 역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작동하는 일종의 성공 메커니즘으로 이해했다. 그는 특히 자아상이 이 메커니즘의 작동 방향과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이코사이버네틱스'' 이론을 체계화했다.
2. 1. 사이버네틱 메커니즘의 특징
맥스웰 몰츠는 노버트 위너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서 영감을 얻었다.[4] 위너의 책은 동물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개발에 참여했던 자동 유도 미사일을 목표를 추구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했다.[5]몰츠는 ''사이코사이버네틱스''에서 위너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이버네틱 메커니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목표"를 받아들일 수 있다.
: 감지 장비(카메라, 레이더, 적외선, 레이저 등)를 갖추고 있다.
: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수정 장치를 갖추고 있다.
: 일종의 기억 장치를 갖추고 있다.
# 조작자는 메커니즘에 목표를 부여하고 "시작"시킨다.
#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메커니즘은 감지된 정보와 목표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 목표 방향으로 제대로 가고 있다면,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진행한다.
: 목표 방향에서 벗어났다면, "목표 - 감지된 정보"의 오차가 0이 될 때까지 수정 장치가 작동한다.
# 메커니즘은 성공적인 움직임을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참조하여, 다시 계산할 필요 없이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한다.
몰츠는 위너가 인간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보았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의식적인 마음은 목표를 식별하고 설정하는 "조작자" 역할을 한다.
# 흔히 "잠재의식"이라고 불리는 것은 단순한 "마음"이 아니라, 신경계를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네틱 메커니즘이다.
: 이 메커니즘은 목표 ''이미지''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감정''이 그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
: 눈, 귀와 같은 감각 기관이 감지 장비 역할을 한다.
: 근육과 신경계를 포함한 다양한 신체 시스템이 메커니즘을 추진한다.
: 신경계는 다른 시스템과 협력하여 수정 장치로 기능한다.
: 기억은 과거의 성공 경험을 활용하여 미래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 조작자(의식)는 메커니즘에 목표를 부여한다. 몰츠는 이를 "자동 성공 메커니즘" 또는 "자동 실패 메커니즘"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동일한 메커니즘이 목표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메커니즘은 목표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구분하지 않고 주어진 목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 가장 강력한 목표 이미지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자아상)이며, 이는 메커니즘을 통해 매우 다양하고 유용하거나 해로운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 성공적인 반응이 나타나면, 과거의 성공을 기억함으로써 메커니즘은 그 성공적인 반응을 반복하게 된다.
몰츠는 거의 모든 부정적인 결과의 근본 원인이 의식이 메커니즘(잠재의식)에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걱정은 부정적인 가능성에 집중하게 만들어, 잠재의식과 신체 시스템이 그 부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하지만 동시에 몰츠는 이것이 인간이 목표 이미지를 생성할 능력이 있다는 증거이며, 부정적인 이미지 대신 긍정적인 이미지에 집중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긍정적인 결과는 긍정적인 목표에 집중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긍정적인 목표를 효과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그 목표가 현실적이고 자신과 일치한다고 인식하게 만드는 건강하고 적절한 자아상이 필요하다고 몰츠는 강조했다.
그는 프레스콧 레키의 아이디어를 인용하며, 개인이 가진 기존의 생각 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거부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메커니즘이 긍정적인 목표를 향해 움직이게 하려면, 개인의 생각 체계, 특히 자아상이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의식(조작자)은 편안하게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고, 메커니즘(잠재의식)은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3. 사이코사이버네틱스의 핵심 원리
맥스웰 몰츠는 노버트 위너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의 마음과 행동 역시 목표를 추구하는 기계 시스템과 유사한 원리로 작동한다고 보았다.[4][5] 사이코사이버네틱스의 핵심은 인간의 신경계, 특히 전통적으로 잠재의식이라 불리는 부분이 자동 목표 추구 메커니즘처럼 기능한다는 것이다.
이 메커니즘은 의식(몰츠는 이를 '조작자'라고 칭함)이 설정한 '목표 이미지'를 받아들여,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동으로 작동한다. 중요한 특징은 이 메커니즘이 목표의 성격, 즉 그것이 긍정적인 것이든 부정적인 것이든 구별하지 않고 주어진 목표 이미지를 향해 나아간다는 점이다.
몰츠는 다음과 같은 핵심 원리들을 제시했다.
- 자아상의 중요성: 우리가 스스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 즉 자아상은 이 자동 메커니즘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목표 이미지가 된다.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자아상은 성공적인 목표 달성의 기반이 된다.
- 성공 메커니즘과 실패 메커니즘: 인간 내면의 메커니즘은 하나이지만, 어떤 목표 이미지를 주느냐에 따라 '자동 성공 메커니즘' 또는 '자동 실패 메커니즘'으로 작동할 수 있다. 긍정적인 목표에 집중하면 성공으로, 부정적인 목표(걱정, 두려움 등)에 집중하면 실패로 나아간다.
- 걱정의 영향: 걱정은 부정적인 가능성에 지속적으로 집중하게 함으로써, 메커니즘에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각인시켜 실패를 유도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 긍정적 목표 설정의 필요성: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식적으로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프레스콧 레키가 지적했듯이, 설정된 목표가 자신의 자아상과 일치하여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사이코사이버네틱스는 의식적인 마음이 긍정적인 목표 설정과 건강한 자아상 구축을 통해 내재된 자동 성공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3. 1. 조작자와 메커니즘
맥스웰 몰츠는 노버트 위너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서 영감을 얻었다.[4] 위너의 책은 동물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을 도운 자동 유도 미사일을 목표를 추구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한다.[5]몰츠는 ''사이코사이버네틱스''에서 위너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이버네틱 메커니즘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메커니즘'''의 특징
: * 목표 수용: "목표"를 받아들일 수 있다.
: * 감지 장비: 카메라, 레이더 등 목표 달성 과정을 감지하는 장비를 갖추고 있다.
: * 추진 시스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동력을 가지고 있다.
: * 수정 장치: 목표에서 벗어났을 때 경로를 수정하는 장치를 가지고 있다.
: * 기억 장치: 과거의 성공적인 움직임을 기억하여 활용한다.
; '''조작자'''의 역할
: * 목표 부여 및 시작: 조작자는 메커니즘에 목표를 부여하고 작동을 시작시킨다.
; '''메커니즘'''의 작동 방식
: * 오차 감지 및 수정: 목표와 현재 상태(감지된 것)의 차이를 계산한다.
: 경로 유지: 제대로 나아가고 있다면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진행한다.
: 경로 수정: 목표에서 벗어났다면, "목표 - 감지된 것"의 오차가 0이 될 때까지 수정 장치가 작동한다.
: * 성공 경험 활용: 메커니즘은 기억 장치에 저장된 성공적인 움직임을 참조하여, 다시 탐색할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한다.
몰츠는 위너가 인간 역시 이러한 사이버네틱 메커니즘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보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인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인간의 '''조작자'''와 '''메커니즘'''
: * '''조작자''' (Operator|오퍼레이터eng): 의식적인 마음. 목표를 식별하고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 * '''메커니즘''' (Mechanism|메커니즘eng): 전통적으로 "잠재의식"이라 불리는 것. 이는 '마음'이라기보다는 신경계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적인 목표 추구 시스템이다.
: 목표 수용: 목표 '''이미지'''를 받아들인다. 이때 '''감정'''이 목표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감지 장비: 눈, 귀와 같은 감각 기관이 메커니즘의 감지 장비 역할을 한다.
: 추진 시스템: 근육과 신경계를 포함한 다양한 신체 시스템이 메커니즘을 목표 방향으로 추진한다.
: 수정 장치: 신경계는 다른 시스템과 협력하여 수정 장치로 기능한다.
: 기억 활용: 기억은 과거의 성공 경험을 저장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
; '''메커니즘'''의 작동 특징
: * 목표 지향성: 조작자(의식)가 메커니즘에 목표를 부여하면, 메커니즘은 그 목표를 향해 자동으로 작동한다. 몰츠는 이를 "자동 성공 메커니즘" 또는 "자동 실패 메커니즘"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동일한 메커니즘이 목표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작동함을 의미한다.
: * 목표의 성격 무관: 메커니즘은 목표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구분하지 않고 주어진 목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 * 자아상의 중요성: 가장 강력한 목표 이미지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자아상)이다. 자아상은 메커니즘에 매우 광범위한 영향을 미쳐 유용하거나 해로운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 * 성공 경험의 반복: 일단 성공적인 반응 방식이 발견되면, 메커니즘은 과거의 성공을 기억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성공적인 반응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몰츠는 거의 모든 부정적인 결과의 핵심 원인이 의식(조작자)이 메커니즘에게 부적절하거나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걱정은 부정적인 가능성에 집중하게 만들어 메커니즘(잠재의식, 신체 시스템)이 그 부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반대로, 이는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설정하고 집중하면 메커니즘이 긍정적인 결과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긍정적인 결과는 긍정적인 목표에 집중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를 위해서는 현실적이고 적절한 자아상을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설정된 긍정적인 목표가 자신과 일치하고 달성 가능하다고 믿을 수 있어야 한다. 몰츠는 프레스콧 레키의 아이디어를 인용하며, 개인이 가진 기존의 생각 체계(특히 자아상)와 일치하지 않는 정보나 목표는 거부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긍정적인 목표를 효과적으로 설정하고 메커니즘이 이를 향해 움직이게 하려면, 자아상을 포함한 생각의 체계가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와 조화를 이루도록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조작자(의식)는 편안하게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고, 메커니즘은 그에 따라 성공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3. 2. 자아 이미지와 목표 설정
맥스웰 몰츠는 노버트 위너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서 영감을 얻었다.[4] 위너는 이 책에서 동물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을 도운 자동 유도 미사일을 목표를 추구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했다.[5]몰츠는 위너의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 역시 유사한 사이버네틱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한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의 메커니즘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조작자 (의식): 목표를 식별하고 설정하는 주체이다.
- 메커니즘 (잠재의식, 신경계 등): 의식이 설정한 '목표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작동하는 자동 시스템이다.
- 목표 수용: 설정된 목표 이미지를 받아들인다. 감정은 목표 이미지 수용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 감지: 눈, 귀와 같은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 정보를 수집한다.
- 추진: 신경계와 근육 등 신체 시스템을 통해 목표 방향으로 나아간다.
- 수정: 목표와 현재 상태(감지된 정보)의 차이를 인식하고, 그 차이를 줄이기 위해 행동을 수정한다.
- 기억: 과거의 성공적인 행동 패턴을 기억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목표 달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 메커니즘은 설정된 목표 이미지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구별하지 않고 그 방향으로 작동한다. 즉, 의식이 어떤 목표 이미지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몰츠는 대부분의 부정적인 결과가 의식이 메커니즘에 부적절하거나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았다.
특히, 자신에 대한 이미지, 즉 자아상은 가장 강력한 목표 이미지로 작용하여 메커니즘의 행동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걱정'과 같이 부정적인 가능성에 집중하는 것은 메커니즘이 그 부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반대로, 의식적으로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설정하고 집중하면 메커니즘은 긍정적인 결과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목표에 집중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실적이고 적절한 자아상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긍정적인 자아상은 설정된 목표가 자신과 일치하며 달성 가능하다는 믿음을 주어, 메커니즘이 목표를 향해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다. 몰츠는 프레스콧 레키의 아이디어를 인용하며, 개인이 가진 기존의 생각 체계(특히 자아상)와 일치하지 않는 목표 이미지는 내부적으로 거부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긍정적인 자아상을 통해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유지하는 것이 성공적인 목표 달성의 핵심이다.
3. 3. 성공 메커니즘과 실패 메커니즘
맥스웰 몰츠는 노버트 위너의 저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4] 위너의 책은 동물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된 자동 유도 미사일을 목표를 추구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했다.[5] 몰츠는 이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인간의 심리 과정에 적용하여 '사이코사이버네틱스' 이론을 발전시켰다.몰츠에 따르면, 인간의 신경계는 일종의 목표 지향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 이 메커니즘은 전통적으로 잠재의식이라고 불리는 것과 유사하며, 의식적인 마음(조작자)이 설정한 목표를 향해 자동으로 움직인다. 중요한 점은 이 메커니즘 자체가 선하거나 악하지 않다는 것이다. 어떤 목표 이미지가 주어지느냐에 따라 성공 또는 실패를 향해 작동할 뿐이다.
몰츠는 이 동일한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두 가지 방식을 구분하여 설명했다.
- 자동 성공 메커니즘: 의식적인 마음이 긍정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 이미지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집중하면, 신경계 메커니즘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과거의 성공 경험은 기억되어 유사한 상황에서 성공적인 반응을 반복하도록 돕는다.
- 자동 실패 메커니즘: 반대로 의식적인 마음이 실패, 걱정,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에 집중하면, 메커니즘은 그 부정적인 결과를 현실로 만드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몰츠는 걱정이란 부정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성공과 실패는 우리가 어떤 목표 이미지를 마음속에 그리느냐에 달려있다. 몰츠는 특히 자아상(자신에 대한 이미지)이 가장 강력한 목표 이미지라고 강조했다.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자아상을 가질 때, 우리는 긍정적인 목표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성공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는 프레스콧 레키의 아이디어를 인용하며, 인간은 자신의 핵심 신념(특히 자아상)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나 목표는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즉, 긍정적인 목표를 효과적으로 추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목표가 자신의 자아상과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몰츠는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설정하고, 건강한 자아상을 구축함으로써 누구나 내재된 성공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3. 4. 걱정과 부정적 피드백
맥스웰 몰츠는 인간의 신경계와 마음이 사이버네틱스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목표 추구 메커니즘과 유사하다고 보았다.[4][5] 이 메커니즘은 전통적으로 잠재의식으로 불리며, 의식적인 마음이 제시하는 '목표 이미지'를 받아들여 작동한다. 중요한 특징은 이 메커니즘이 목표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구별하지 않고 주어진 이미지를 향해 나아간다는 점이다.몰츠는 걱정이 부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지적했다. 즉, 실패나 원하지 않는 결과와 같은 부정적인 가능성에 계속 집중하면, 이 자동 시스템은 이를 달성해야 할 목표로 받아들여 '자동 실패 메커니즘'을 작동시킨다. 그는 대부분의 부정적인 결과가 이처럼 의식이 메커니즘에 부적절한 목표 이미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집중하면, 메커니즘은 '자동 성공 메커니즘'으로 작동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 간의 차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며, 이 차이(일종의 부정적 피드백 신호)를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수정해 나간다. 목표를 향해 올바르게 나아가고 있을 때는 별다른 수정 없이 계속 진행하지만, 목표에서 벗어났다고 감지되면 그 차이가 해소될 때까지 신경계와 근육 등 관련 시스템이 동원되어 경로를 수정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목표에 집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몰츠는 이를 위해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신의 자아상과 일치하는 긍정적인 목표 이미지만이 메커니즘에 의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사이코사이버네틱스의 주요 개념
맥스웰 몰츠는 사이코사이버네틱스를 통해 인간의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는 여러 핵심 개념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정신적 표상: 사람은 실제 대상 자체가 아니라 그것에 대한 자신의 정신적 표상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한다. 예를 들어, 실제 곰이든 곰으로 분장한 사람이든 '곰'이라는 이미지가 형성되면 공포를 느낀다.
- 자기 이미지: 스스로에 대한 자기 이미지가 변화하면 극적인 행동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몰츠는 이를 '자기 이미지 실현'이라 보았다.
- 최면과 아이디어 수용: 최면은 특정 아이디어나 믿음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상태이며, 이렇게 수용된 생각은 우리가 무엇을 보고 어떤 목표를 추구할지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준다.
- 상상력: 상상력은 성공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첫 번째 열쇠이다. 의식적인 노력과 반대되는 상상(믿음)은 실제 행동을 방해할 수도 있다(예: 길항근 작용).
- 부정적 피드백 활용: 사이버네틱스 메커니즘처럼, 부정적 피드백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경로를 수정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만약 수정 조치가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반응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 성공 기억: 성공 메커니즘은 성공을 발견하면 그것에 집중하고 오류는 잊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과거의 성공과 행복했던 순간들을 의식적으로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4. 1. 정신적 표상과 실제
사람은 실제 사실 자체가 아니라, 마음속으로 사실이라고 믿는 정신적 표상에 따라 행동하고 느낀다. 즉, 우리가 반응하는 것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 사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나 이미지이다. 예를 들어, 실제 곰을 보든, 곰으로 분장한 배우를 보든, 혹은 크고 털이 많은 개를 곰으로 착각하든, '곰'이라는 정신적 표상이 형성되면 그에 맞는 공포를 느끼게 된다.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흔히 생각하는 '의지'의 문제라기보다는 '상상'의 결과이다. 맥스웰 몰츠는 상상력을 성공 메커니즘의 첫 번째 열쇠로 보았다. 어떤 견해를 자신이나 타인으로부터 받아들이고 그것이 사실이라고 확신하게 되면, 이는 최면과 같은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최면 자체가 아이디어나 믿음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렇게 받아들여진 생각은 우리가 무엇을 보고 인식할지, 어떤 목표를 추구할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정신적 표상의 힘은 신체적인 반응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면 상태의 역도 선수에게 '연필조차 들 수 없다'고 지시하면, 선수는 실제로 연필을 들지 못하게 된다. 이는 의식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들 수 없다'는 정신적 표상이 반대 작용을 하는 근육(길항근)을 활성화시켜 실제 행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자신에 대한 정신적 표상, 즉 자기 이미지 역시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스스로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때, "아, '이것'이 바로 나구나"라고 깨닫는 순간 극적인 행동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낮은 자존심을 가진 사람이 쉽게 분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부정적인 자기 이미지와 관련될 수 있다. 인생이 무가치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종종 스스로 가치 있는 개인적 목표를 설정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이는 목표 부재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모든 사람의 내면에 존재하는 실제 자기는 매력적이며, 자석처럼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몰츠는 설명한다.
4. 2. 자아 이미지 실현
맥스웰 몰츠는 자기 이미지의 변화를 자기 이미지 실현으로 보았다. 그는 "아, '이것'이 바로 나구나"라고 깨닫는 순간이 바로 극적인 행동 변화가 일어나는 지점이라고 설명했다.4. 3. 최면과 아이디어 수용
최면은 특정 아이디어, 즉 믿음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수용된 아이디어는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결정하며, 나아가 어떤 목표를 추구할지를 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사람은 객관적인 사실 자체보다는 자신이 마음속으로 사실이라고 믿는 이미지에 따라 행동하고 감정을 느낀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단순한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상상'의 결과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우리는 사물 자체가 아니라 그것에 대한 우리의 정신적 표상에 따라 반응한다. 실제 곰을 마주쳤을 때뿐만 아니라, 곰 역할을 하는 배우나 심지어 크고 털 많은 개를 곰으로 착각했을 때도 비슷한 공포를 느낄 수 있다. 이는 '곰'이라는 정신적 이미지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만약 자신이나 선생님, 부모, 친구 등 다른 사람으로부터 어떤 견해를 받아들이고 그것이 진실이라고 강하게 확신하게 된다면, 이는 최면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최면 상태에서는 받아들인 아이디어가 신체적인 반응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면술사가 힘센 역도 선수에게 가벼운 연필조차 들 수 없다고 암시하면, 선수는 실제로 연필을 들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는 '들 수 없다'는 아이디어를 받아들임으로써, 연필을 들려는 의식적인 노력에 반대되는 근육(길항근)이 무의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4. 4. 길항근과 상상력
모든 근육에는 반대 작용을 하는 길항근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최면술사가 역도 선수에게 연필조차 들 수 없다고 강하게 암시하면, 선수는 실제로 연필을 들지 못하게 된다. 이는 의식적인 노력(들려는 의지)에 대해 길항근이 반대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즉, '할 수 없다'는 믿음(상상)이 길항근을 활성화시켜 실제 행동을 방해하는 것이다.이처럼 사람이 행동하거나 행동하지 않는 것은 단순히 '의지'의 문제가 아니라 '상상력'의 영향을 받는다. 어떤 생각이 사실이라고 강하게 믿게 되면, 마치 최면에 걸린 것처럼 그 믿음대로 행동하게 된다. 사람은 실제 사실보다는 자신이 사실이라고 믿는 마음속의 상(이미지)에 따라 행동하고 느끼기 때문이다. 맥스웰 몰츠는 이러한 상상력을 성공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첫 번째 열쇠로 보았다.
5. 사이코사이버네틱스의 평가 및 영향
이 책은 빠르게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1960년 이후로 꾸준히 출판되고 있다.
6. 사이코사이버네틱스 저서
맥스웰 몰츠는 사이코사이버네틱스 개념을 설명하고 발전시키는 여러 저서를 출간했다. 그의 저작들은 이후 여러 저자에 의해 개정되거나 확장되어 출판되기도 하였다.
6. 1. 주요 저서
- 맥스웰 몰츠, ''Psycho-Cybernetics'', Prentice Hall Press, 1960
- Bobbe L. Sommer, Mark Falstein, ''Psycho-Cybernetics 2000'', Prentice Hall Press, 1993;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3245 한글판]
- 맥스웰 몰츠, Dan Kennedy, ''The New Psycho-Cybernetics'', Prentice Hall Press, 200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77&aid=0002157279 한글판]
6. 2. 사후 출판된 개정판
맥스웰 몰츠가 1975년에 사망한 이후 여러 개정판이 출판되었다.[6]연도 | 제목 | 저자/편집자 | 출판사 | ISBN | 비고 |
---|---|---|---|---|---|
1993 | 사이코사이버네틱스 2000 | Bobbe L. Sommer, Mark Falstein | Prentice Hall Press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3245 한글판] | |
1996 | 사이코사이버네틱스 2000 | Bobbe Sommer | Prentice Hall | 978-0132638494 | |
2002 | 새로운 사이코사이버네틱스 | Dan Kennedy | Prentice Hall Press | 978-073520285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77&aid=0002157279 한글판] |
2015 | 사이코사이버네틱스, 업데이트 및 확장 | Matt Furey | Tarcher Perigee | 978-0399176135 |
참조
[1]
서적
Psycho-Cybernetics
Simon & Schuster
[2]
웹사이트
Psycho-Cybernetics Book Review
http://www.profitadv[...]
www.profitadvisors.com
2008-03-14
[3]
뉴스
'Psycho-Cybernetics' Author; Plastic Surgeon Tries to Heal Inner Scars
https://web.archive.[...]
Los Angeles Times
1973-11-02
[4]
서적
Cybernetics, 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the Machine
M.I.T. Press
1961
[5]
서적
Psycho-Cybernetics: Updated and Expanded
Perigee
2015
[6]
웹사이트
CUMC Obituary Database
http://library-archi[...]
[7]
뉴스
김진혁의 소크라테스 칼럼 - 이제는 성공학이다.
http://news.jknew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