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인 (관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인(舍人)은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된 관직 명칭이다. 고려 시대에는 왕명 출납, 문서 작성 등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중서문하성의 사인은 국정 운영에 참여하는 핵심 관료였다. 중국에서는 주나라 때부터 군주의 측근을 지칭했으며, 시대에 따라 태자 사인, 중서 사인, 내사 사인 등으로 불렸다. 송나라 이후에는 고귀한 집안의 자제나 무관의 자제를 지칭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천황이나 귀족의 측근에서 일하는 하급 관료를 의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관직과 칭호 - 군사 (관직)
    군사(軍師)는 동아시아에서 역사적으로 참모, 감찰관, 도독 대행 등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한국 신라 시대와 중국 삼국 시대, 일본 전국 시대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한국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한국의 관직과 칭호 - 집사
    집사는 대저택에서 고용주를 보좌하고 가사를 관리하는 직업으로, 역사적으로 집사관이라는 관직이나 하인 계급의 우두머리 역할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역할과 직무가 다양해지고 대중문화에도 묘사된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중국의 관직과 칭호 - 태위
    태위는 동아시아의 삼공 중 하나로, 주로 군사 지휘를 담당하는 최고위 관직이었으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에 차이가 있었다.
사인 (관직)
개요
관직 이름사인 (舎人)
설명고대 중국과 일본의 관직
중국의 사인
역할황제의 측근에서 시중을 들고 호위하는 역할
기원전국시대부터 존재
역사진나라: 중복, 사인 등의 관직 설치
한나라: 낭관의 일종으로 황제를 모심
위진남북조시대: 품계가 높은 귀족 자제들이 주로 임명, 황족 우대
수나라: 문하시랑이 사인을 겸직
당나라: 태자사인, 왕부사인 등 다양한 사인직 존재
명나라: 금의위 소속 사인 존재
일본의 사인
역할귀족을 모시는 시종
기원6세기경부터 존재
종류동궁사인 (春宮舎人): 황태자를 모시는 사인
왕신사인 (王臣舎人): 친왕 및 고위 귀족을 모시는 사인
역사헤이안 시대: 무사 계급 출신이 임명되는 경우 증가
가마쿠라 시대: 쇼군 가문의 사인이 중용
에도 시대: 각 번의 번사들이 사인 역할을 수행

2. 한국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 합문, 동궁관, 제비주부 등에 설치되었으며, 품계와 정원은 모두 달랐다.

2. 1. 고려 시대

고려 중서문하성과 합문(閤門), 동궁관(東宮官), 제비주부(諸妃主府)에 설치되었으며 품계와 정원은 모두 달랐다.

3. 중국

중국에서 사인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주나라 때 처음 나타난 사인은[2] 군주의 측근을 의미했다.[3] 이후 에서는 '''태자 사인'''을 두었고, 위・에서는 中書舍人|중서 사인중국어을, 에서는 내사 사인을 두었다. 초기에도 내사 사인을 두었다가 후에 중서 사인으로 고쳤다.

나라와 원나라 시대에는 귀족 집안의 자제를 "사인"이라 불렀고[4], 명나라 시대에는 경비소에 배치될 무관의 자제를 "사인" 또는 중서 사인이라 불렀다.[5]

송나라 이후, 관료, 귀족, 향신, 지주의 자제를 "사인"이나 "사"라고 불렀으며, 대만[6], 중국 푸젠성민난, 광둥성 차오산 일대에서 원외랑과 유사한 직책으로 사용되었다. "아(阿)"자를 붙여 "아사(阿舎)"라고도 불렀다.

3. 1. 주나라 ~ 수나라

주나라 때 처음 나타났으며[2], 군주의 측근이었다[3].에서는 '''태자 사인'''을 두었고, 위・에서는 中書舍人|중서 사인중국어을, 에서는 내사 사인을 두었으며, 초기에도 내사 사인을 두었다가 후에 중서 사인으로 개칭했다.

3. 2. 당나라 ~ 명나라

당나라에서는 중서 사인, 태자 중 사인, 태자 사인, 기거 사인, 통사 사인, 태자 통사 사인 등 다양한 종류의 사인이 있었다. 구당서 (직관지)에 따르면 이러한 직책들이 열거되어 있다.[2]

송나라원나라 시대에는 고귀한 집안의 자제를 "사인"이라고 불렀다.[4] 명나라 시대에는 경비소에 배치될 무관의 자제를 "사인" 또는 중서 사인이라고 칭했다.[5]

4. 일본

일본에서 사인(舎人)은 고대부터 사용된 용어로, 천황이나 귀족의 측근에서 일하는 하급 관료를 지칭했다. 이들은 여러 씨족이 담당했으며, 각각 특정 업무를 맡아 조정에 봉사했다.

4. 1. 일본의 사인

サイン|사인일본어은 일본 조정에서 4등관 제도 아래의 관직 중 최하위 관리인 시텐(史典)을 의미한다.[1] 시텐은 다이호 율령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율령제 하에서는 대개 가문에서 세습되었다.[1] 8세기 후반 이후, 시텐은 실무 능력을 갖춘 관료를 등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1]

참조

[1] 서적 史記・列伝・廉頗藺相如伝
[2] 서적 周禮註疏四十二卷 卷第十六 https://ctext.org/wi[...]
[3] 서적 漢書·高帝紀
[4] 문서 元˙白樸˙牆頭馬上˙第一折
[5] 문서 喻世明言˙卷四十˙沈小霞相會出師表
[6] 뉴스 台南小吃算什麼!這27道「阿舍菜」,才是台灣味的極致 - 天下雜誌 https://www.cw.com.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