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언어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언어학은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화자의 지역, 계급, 성별 등 사회적 요인과 언어 현상의 상관관계를 미시적 및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 학문은 언어 접촉, 언어 변화, 언어 정책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며, 방언학을 비롯해 정치학, 역사학 등 여러 분야와 연관된다. 사회언어학은 랄프 파솔드의 저서를 통해 사회언어학(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과 언어사회학(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으로 분류되며, 언어 공동체, 사회적 네트워크, 언어 변이, 언어적 위신과 같은 핵심 개념을 다룬다. 또한, 사회언어학적 방법론과 응용 사례를 통해 언어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하며, 한국 사회에서도 언어 변이, 세대 차이, 성별, 사회 계층, 정치 성향과 언어 사용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사회언어학 | |
---|---|
사회언어학 개요 | |
정의 | 사회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과 언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
연구 대상 | 언어 변이, 언어 변화, 방언, 사회 계층, 성별, 민족, 코드 전환 등 사회적 요인이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주요 개념 | |
위신 | 특정 언어나 방언이 사회적으로 가지는 가치나 중요도 |
언어 이데올로기 | 언어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신념 |
언어 계획 | 언어 사용을 의도적으로 변경하려는 노력 |
언어 변화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언어가 변하는 현상 |
코드 전환 | 대화 중에 하나 이상의 언어를 번갈아 사용하는 현상 |
다중언어 |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 |
변체 | 특정 언어 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 (예: 방언, 사회 방언) |
연구 분야 | |
기술 언어학 | 언어의 실제 사용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연구 분야 |
언어 변이 | 사회적 요인에 따라 언어 사용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
언어 변종 | 특정 언어 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 (예: 방언, 사회 방언) |
화용론 | 언어 사용의 맥락과 의미를 연구하는 분야 |
사용역 | 언어가 사용되는 특정 상황이나 맥락 |
담화 분석 | 대화나 텍스트를 분석하여 언어 사용의 패턴을 파악하는 연구 |
방언 | 지역이나 사회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언어 형태 |
사투리 | 특정 지역이나 사회 집단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언어 형태 |
관련 분야 | |
응용 언어학 | 언어 교육, 언어 정책 등 실용적인 문제에 언어학 지식을 적용하는 분야 |
역사 언어학 | 언어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분야 |
언어 인류학 | 문화와 언어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 |
사회문화 언어학 |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언어를 연구하는 분야 |
언어 사회학 | 사회 구조와 언어 사용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 |
참고 정보 | |
사회언어학 관련 학자 | 사회언어학자 |
사회언어학 관련 분류 | 분류 |
사회언어학 관련 포털 | 언어학 포털 |
2. 사회언어학의 역사
랄프 파솔드(Ralph Fasold)는 《사회언어학》(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과 《언어사회학》(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이라는 두 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이 두 책의 목차를 통해 사회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 알 수 있다.[37]
사회언어학은 화자가 사는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요인과 언어 현상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미시적인 접근법과[33], 하나의 언어를 단위로 하여 사회 조직과의 관련(언어 접촉·언어 변화·언어 정책)에서 생각하는 거시적인 접근법이 있다. 지역에 관해서는, 특히 방언학이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34][35][36]
현재 사회언어학 연구는 매우 다양하며, 정치학이나 역사학에 접근하는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2. 1. 초기 연구
언어의 사회적 측면은 현대적 의미에서 1930년대 인도와 일본의 언어학자들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고, 1900년대 초 스위스의 루이 고샤(Louis Gauchat)에 의해서도 연구되었지만, 서구에서는 훨씬 후까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2][3] 반면, 언어 변화의 사회적 동기를 연구하는 것은 19세기 후반의 파동 모델(wave model)에 기초를 두고 있다. "sociolinguistics"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토마스 콜란 호드슨(Thomas Callan Hodson)이 1939년에 ''Man in India''에 발표한 논문 "Sociolinguistics in India"의 제목에서였다.[2][3]방언 지리학(Dialectology)은 오래된 분야이며, 20세기 초 한스 쿠라트(Hans Kurath)와 레이븐 아이 맥데이비드 주니어(Raven I. McDavid Jr.)와 같은 방언 지리학자들은 미국에서 방언 지역에 대한 대규모 조사를 시작했다.
2. 2. 서구의 기여
서구권에서 사회언어학 연구의 선구자는 미국의 찰스 A. 퍼거슨이나 윌리엄 라보브, 그리고 영국의 베이질 번스타인 등의 언어학자들이었다. 1960년대에는 윌리엄 스튜어트[4]와 하인츠 클로스가 여러 중심 언어 이론의 기본 개념을 소개했는데, 이 이론은 표준어 변종이 국가 간에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영국의 지역 변종 대 다중 중심 "영어";[5] 독일어의 지역 표준어 대 다중 중심 "독일어";[6]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그리고 세르비아어 대 다중 중심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등을 들 수 있다.[7] 언어인류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델 하이메스는 민족지학에 기반한 사회언어학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으며, 학술지 ''언어와 사회''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그는 민족지학과 의사소통 능력에 중점을 두어, 상황(Setting), 참여자(Participants), 목적(Ends), 행위 순서(Act sequence), 열쇠(Key), 도구(Instrumentalities), 규범(Norms), 장르(Genres)의 머리글자를 딴 SPEAKING 방법론을 개발했는데, 이 방법론은 문화적 맥락에서의 발화 사건을 분석하는 도구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3. 사회언어학의 주요 개념
랄프 파솔드(Ralph Fasold)는 사회언어학에 관한 두 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이 책들의 목차를 통해 사회언어학의 연구 범위를 알 수 있다.
- 언어사회학(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 사회적 다언어주의, 이중언어 사용, 언어 태도, 언어 선택, 언어 보존과 변화, 언어 계획 등을 다룬다.
- 사회언어학(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37]: 호칭, 의사소통 민족지학, 담화, 언어와 성, 언어학적 화용론, 피진어와 크리올어, 언어 변이, 사회언어학의 응용 등을 다룬다.
사회언어학 연구는 매우 광범위하지만, 몇 가지 기본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화자가 사는 지역, 계급, 성별 등 사회학적 요인과 언어 현상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미시적 접근법과,[33] 언어를 단위로 사회 조직과의 관련성(언어 접촉, 언어 변화, 언어 정책)을 연구하는 거시적 접근법이 있다. 지역 방언은 방언학에서 주로 연구한다.[34][35][36] 최근 사회언어학은 정치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고 있다.
사회언어학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언어 공동체''': 특정 언어를 독특하고 상호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집단으로, 슈프레흐분트라고도 한다. 구성원은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 '''사회적 네트워크''': 특정 언어 공동체 구성원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구성원 간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느슨한' 또는 '밀접한' 네트워크로 구분된다.[15]
- '''언어 변이와 사회적 계층''': 계층과 직업은 언어에서 중요한 표지 중 하나이다.[37] 노동 계급은 표준어 사용이 적고, 중산층은 표준어에 가깝게 말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과잉 교정 현상으로 인해 상류층도 중산층보다 표준어를 덜 사용할 수 있다.
- '''사회적 열망과 과잉 교정''': 윌리엄 래보브의 연구에 따르면, 특정 계층에 속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말투를 바꾸려 하지만, 원어민이 아니기 때문에 과잉 교정을 하는 경향이 있다.[17]
- '''권력 역학과 언어''': 교사-학생, 직원-고객 관계 등 권력 역학은 언어 간 계층적 차이를 유발한다.[17]
비표준 방언 (하위 계층) | 표준 방언 (상위 계층) |
---|---|
오늘 비 안 올 것 같아. | 오늘 비가 오지 않을 것 같아.[18] |
어제 너 나한테 그것 줬잖아. | 어제 네가 그것을 나에게 주었어.[19] |
제대로 해야 해. | 제대로 해야 해.[20] |
- '''사회적 언어 코드''': 베이실 번스타인은 언어 코드를 정교한 코드와 제한된 코드로 구분했다.[21]
- '''언어적 위신''': 특정 말투에 부여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가치이다. 개별 음운 수준이나 언어 선택의 거시적 수준에서 나타날 수 있다. 고급 방언(acrolectal)과 저급 방언(basilectal)으로 구분하기도 한다.[14] 비표준 언어는 낮은 위신을 갖지만, 특정 집단에서는 은밀한 위신을 갖기도 한다.
3. 1. 언어 공동체
언어 공동체는 사회언어학에서 서로 간에 독특하고 상호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뚜렷한 집단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때때로 슈프레흐분트라고도 한다.언어 공동체의 일원으로 간주되려면 의사소통 능력이 있어야 한다. 즉, 화자는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화자는 하나 이상의 언어에 대해 의사소통 능력을 가질 수 있다.[12]
지역이나 위치와 같은 인구 통계적 특징은 언어 공동체 개념에서 언어 공동체의 경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정 집단의 의사소통 패턴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3]
언어 공동체는 전문적인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직업 집단, 고등학생이나 힙합 팬과 같은 뚜렷한 사회 집단, 또는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긴밀한 집단일 수 있다.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은 종종 집단의 특수한 목적과 우선 순위를 충족하기 위해 속어 또는 전문 용어를 개발한다. 이는 스포츠 팀 내에서 사용되는 은어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실천 공동체는 사회언어학이 사회화, 능력 및 정체성 간의 관계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정체성은 매우 복잡한 구조이기 때문에 언어 사회화를 연구하는 것은 실제 활동(일상 활동)의 미시적 상호 작용 수준을 조사하는 수단이다. 언어 학습은 가족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학교, 스포츠 팀 또는 종교와 같은 더 큰 지역 환경의 지원을 받는다. 언어 공동체는 더 큰 실천 공동체 내에 존재할 수 있다.[12]
3. 2.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 속 언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언어가 놓여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사회적 네트워크는 특정 언어 공동체를 공동체 내 개별 구성원 간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네트워크는 구성원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따라 '느슨한' 또는 '밀접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15] 예를 들어, 사무실이나 공장은 모든 구성원이 서로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밀접한 공동체로 간주될 수 있다. 100명 이상의 학생이 있는 대규모 수업은 학생들이 강사와 1~2명의 다른 학생들과만 상호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느슨한 공동체일 것이다. '다중적' 공동체는 구성원들이 서로 여러 가지 관계를 갖는 공동체이다.[15] 예를 들어, 어떤 지역 사회에서는 구성원들이 같은 거리에 살고, 같은 고용주를 위해 일하고, 심지어 서로 결혼하기도 한다.사회적 네트워크의 느슨함이나 밀접함은 화자가 채택하는 말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비 두보이(Sylvie Dubois)와 바바라 호바스(Barbara Horvath)는 루이지애나 주 케이준 지역의 한 공동체에서 화자들이 비교적 밀집된 사회적 네트워크(즉, 강한 지역적 유대감을 가지고 공동체의 다른 많은 화자들과 상호 작용)에 참여할 경우 영어의 "th" [θ]를 [t](또는 [ð]를 [d])로 발음할 가능성이 더 높고, 네트워크가 느슨할 경우(즉, 지역적 유대감이 적을 경우) 그럴 가능성이 더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16]
사회적 네트워크는 국가나 도시와 같은 거시적 수준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이웃이나 한 가족과 같은 대인 관계 수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 채팅방, 페이스북 그룹, 단체 및 온라인 데이트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3. 3. 언어 변이와 사회적 계층
언어 사회학은 방언 지리학과는 별개의 분야로서 도시 지역의 언어 변이 연구를 통해 개척되었다. 방언 지리학이 언어 변이의 지리적 분포를 연구하는 반면, 언어 사회학은 계층을 포함한 다른 변이 원인에 초점을 맞춘다. 계층과 직업은 사회에서 발견되는 가장 중요한 언어 표지 중 하나이다.[37] 언어 사회학의 기본적인 발견 중 하나는 계층과 언어 변이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는 반증하기 어렵다. 노동 계급 구성원은 표준어로 간주되는 것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하위, 중산층, 상류 중산층은 표준어에 더 가깝게 말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류층, 심지어 상류 중산층조차도 중산층보다 표준어를 '덜'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계층뿐만 아니라 계층적 열망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주변 사람들과 더 잘 어울리거나 자신이 인식되기를 원하는 방식에 맞추기 위해 다르게 말하거나 원치 않는 억양을 감출 수 있다.예를 들어, 화자가 사는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언어 현상을 보려는 미시적인 접근법과 함께[33], 하나의 언어를 단위로 하여 그것을 사회 조직과의 관련에서 생각하는(언어 접촉·언어 변화·언어 정책) 거시적인 접근법도 있다. 지역에 관해서는, 특히 방언학이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34][35][36]
3. 3. 1. 사회적 열망과 과잉 교정
1960년대 윌리엄 래보브(William Labov)의 연구 등을 통해 사회적 열망이 말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계층적 열망에도 이는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특정 계층(주로 상류층과 상류 중산층)과 어울리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사회경제적으로 그 계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계층 사람들처럼 들리도록 말투를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상류층 원어민이 아니기 때문에 종종 과잉 교정(hypercorrection)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말투를 지나치게 교정하여 새로운 오류를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17]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아지는 개인에게도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한다.어떤 접촉 상황에서든 교사-학생 또는 직원-고객 관계와 같이 권력 역학이 존재한다. 이러한 권력 역학은 언어 간 계층적 차이를 야기한다.
비표준 방언 (하위 계층과 관련됨) | 표준 방언 (상위 계층과 관련됨) |
---|---|
오늘 비 안 올 것 같아. | 오늘 비가 오지 않을 것 같아.[18] |
어제 너 나한테 그것 줬잖아. | 어제 네가 그것을 나에게 주었어.[19] |
제대로 해야 해. | 제대로 해야 해.[20] |
3. 3. 2. 권력 역학과 언어
1960년대 윌리엄 래보브(William Labov)의 연구 등을 통해 사회적 열망이 말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계층적 열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특정 계층(주로 상류층과 상류 중산층)과 어울리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사회경제적으로 그 계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계층 사람들처럼 들리도록 말투를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상류층 원어민이 아니기 때문에 종종 과잉 교정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말투를 지나치게 교정하여 새로운 오류를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아지는 개인에게도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난다.어떤 접촉 상황에서든 교사-학생 또는 직원-고객 관계와 같이 권력 역학이 존재한다. 이러한 권력 역학은 언어 간 계층적 차이를 야기한다.[17]
비표준 방언 (하위 계층과 관련됨) | 표준 방언 (상위 계층과 관련됨) |
---|---|
오늘 비 안 올 것 같아. | 오늘 비가 오지 않을 것 같아.[18] |
어제 너 나한테 그것 줬잖아. | 어제 네가 그것을 나에게 주었어.[19] |
제대로 해야 해. | 제대로 해야 해.[20] |
3. 4. 사회적 언어 코드
베이실 번스타인(Basil Bernstein)은 그의 저서 '정교화된 코드와 제한된 코드: 그 사회적 기원과 몇 가지 결과'(Elaborated and restricted codes: their social origins and some consequences)에서 언어 코드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구어적 의사소통과 비구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강조의 차이에 따라 언어 코드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가족 구성, 사회적 통제, 구어적 피드백, 그리고 사회 계급과 같은 요인들이 정교화된 코드와 제한된 코드의 발달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21]번스타인은 정교한 코드와 제한된 코드 두 가지 코드를 제시했으며, 각 코드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두 코드와 관련된 아동 발달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 제한된 코드에만 노출된 아이는 언어적 의사소통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더 많이 배우기 때문에, 두 코드 모두에 노출된 아이보다 어휘력이 부족할 수 있다.
- 1963년 고등교육위원회는 중산층(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 모두에 노출됨) 아이들과 비교하여 저소득층(하위 계층) 8~11세 및 11~15세 아이들의 언어적 IQ가 저하되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를 수행했다.[22]
- 번스타인의 연구,[23][24] 베네이블스의 연구,[25] 레이버넷의 연구,[26] 그리고 1958년 교육위원회 보고서[27]는 저소득층(제한된 코드에만 노출됨) 아이들이 비언어적 과제에 비해 언어적 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성공률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21]
3. 4. 1. 제한된 코드
베이즐 번스타인에 따르면, 제한된 코드(Restricted code)는 개인적 표현보다 대인 관계에 중점을 두는, 언어 이외의 의사소통(extraverbal communication)이 우세한 것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그의 이론은 공유된 지역적 정체성에서 공통의 관심사와 의도가 생성되어, 분리된 의도의 예측 가능성을 만들고, 따라서 언어적 발화를 단순화하는, 확립된 사회 구조에 따라 작동하는 환경 내에서 이 코드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환경에는 군대, 종교 및 법률 분위기, 범죄 및 교도소 하위 문화, 장기적인 결혼 관계, 그리고 아이들 사이의 우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21]화자들 사이의 강력한 유대감은 종종 명시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을 불필요하게 만들고 개인적 표현을 무관하게 만든다. 그러나 단순화는 코드 내의 지능이나 복잡성의 부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화자들의 유대감을 확인하기 위해 언어 이외의 수단(얼굴 표정, 터치 등)을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번스타인은 익숙한 방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우아함과 시선의 교환을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젊은 남자가 낯선 사람에게 춤을 청하는 예를 언급한다.[21]
따라서 암시된 의미는 정교한 코드(elaborated code)보다 이 코드에서 더 큰 역할을 한다. 제한된 코드는 또한 화자들을 통합하고 연대감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21]
3. 4. 2. 정교화된 코드
베이즐 번스타인은 '정교화된 코드'를 비언어적 의사소통보다 언어적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정의했다. 이 코드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이 개인에게 주어지고, 성향과 기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환경에서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경우, 정교화된 코드 사용자는 제한된 코드 사용자보다 더 넓은 어휘를 사용하고, 구문적 예측 가능성이 낮다. 미리 정해진 구조와 연대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육적, 직업적 성공을 위해 개인이 의도를 명시적으로 언어적으로 전달해야 한다.[21]번스타인은 (제한된 코드가 하위 계층과 연관되는 반면) 정교화된 코드가 상위 계층과 연관되는 것을 주의 깊게 언급한다. 풍부한 자원이 있으면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코드를 별개의 사회 계층과 연관짓는 연구가 작은 표본을 사용했고 상당한 변이가 있었다고 경고한다.[21]
그는 또한 정교화된 코드는 지적 우위가 아니라 사회적 맥락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정교화된 코드는 사회적/공동체적 유대감의 주장보다 개인적 발전에 중점을 둔 맥락 기반의 차이에 따라 제한된 코드와 다르다.[21]
3. 4. 3. 코드와 아동 발달
번스타인은 두 코드의 근본적으로 다른 가치를 고려하여 언어 발달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한된 코드에만 노출된 아이는 언어적 의사소통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더 많이 배우기 때문에, 두 코드 모두에 노출된 아이보다 어휘력이 부족할 수 있다. 제한된 코드 자체에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정교한 코드에 노출되지 않은 아이는 표준적이고 명확한 언어적 의사소통과 이해가 학습, 교사 및 다양한 배경을 가진 다른 학생들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에 필요한 정규 교육에 입학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코드에만 노출된 아이들은 교육 환경에서 적절하고 널리 이해되는 말하기 방식을 습득하기 위해 정교한 코드에 대한 유치원 교육을 받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22]또한 번스타인은 사회 계급에 따른 언어 발달에 대한 여러 연구를 언급한다. 1963년 고등교육위원회는 언어적 IQ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는데, 중산층(제한된 코드와 정교한 코드 모두에 노출됨) 아이들과 비교하여 저소득층(하위 계층) 8~11세 및 11~15세 아이들의 언어적 IQ가 저하되는 것을 보여주었다.[22] 또한 번스타인의 연구,[23][24] 베네이블스의 연구,[25] 레이버넷의 연구,[26] 그리고 1958년 교육위원회 보고서[27]는 저소득층(제한된 코드에만 노출됨) 아이들이 비언어적 과제에 비해 언어적 과제에서 상대적으로 성공률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21]
3. 5. 언어적 위신
사회언어학 분석에서 중요한 개념은 위신이다. 특정한 말투에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가치가 부여되며, 이는 화자에게 적용된다. 이것은 여러 수준에서 작용할 수 있다.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자음 뒤에 오는 /r/ 발음 조사에서 라보브가 발견한 것처럼 개별 음운 수준에서 실현될 수도 있고,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이중언어 사용에서 보이는 것처럼 언어 선택의 거시적 수준에서 실현될 수도 있다. 스위스 독일어와 고지 독일어 사이의 이중언어 사용이 아마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사회언어학 이론의 중요한 함의는 화자들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간에 발화 행위를 할 때 '다양체'를 선택한다는 것이다.[37]보다 표준적인 방언과 위신이 낮은 방언을 구분하기 위해 고급 방언(acrolectal)과 저급 방언(basilectal)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14]
일반적으로 비표준 언어는 위신이 낮은 언어로 간주된다. 그러나 전통적인 노동 계급 지역 사회와 같은 특정 집단에서는 노동 계급 방언이 일반적으로 강력한 내부 집단 표식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표준 언어가 많은 맥락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질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자신과 닮고 소리가 비슷한 사람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비표준 변종의 사용(과장된 경우에도)은 지역 자부심과 집단 및 계급 연대 의식을 표현한다. 비표준 언어 사용과 관련된 바람직한 사회적 가치를 은밀한 위신이라고 한다. 따라서 술집에 가거나 이웃과 바비큐를 할 때와 은행에 갈 때 비표준 변종의 사용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하나는 친숙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편안한 환경이고, 다른 하나는 더 전문적일 필요성을 느끼는 비즈니스적인 측면이 있다.
4. 사회언어학적 방법론
랄프 파솔드는 《언어사회학(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과 《사회언어학(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37]이라는 두 권의 저서를 통해 사회언어학의 연구 분야를 제시했다.
사회언어학은 화자의 지역, 계급, 성별 등 사회학적 요인과 언어 현상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미시적 접근법과[33], 언어를 사회 조직과의 관련성(언어 접촉, 언어 변화, 언어 정책)에서 파악하는 거시적 접근법을 모두 포함한다. 지역 방언 연구는 방언학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34][35][36]
오늘날 사회언어학 연구는 매우 다양하며, 정치학이나 역사학과 융합하는 접근법도 나타나고 있다.
4. 1. 사회언어학적 면접
'''사회언어학적 면접'''은 사회언어학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이다. 연구자는 연구 대상 언어 또는 방언의 화자로부터 많은 양의 말을 수집하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한다. 면접은 연구자와 면접 대상자 간의 길고 느슨하게 구조화된 대화 형태를 취한다. 연구자의 주요 목표는 유도를 통해 구어체 말투, 즉 일상적이고 격식 없는 대화와 관련된 레지스터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관찰자의 역설 때문에 이 목표는 복잡해진다. 즉, 연구자는 면접관이 없는 상황에서 사용될 말투를 유도하려고 시도해야 한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험자가 면접 환경의 형식성과 인위성에 주의를 덜 기울이도록 다양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자는 싸움이나 죽을 뻔한 경험과 같이 피험자의 삶에서 기억에 남는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유도할 수 있다.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피험자가 감정적으로 몰입하면, 면접 상황의 형식성에 대한 주의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여러 피험자를 함께 면접하여, 면접관과 단둘이 있을 때보다 서로 더 편안하게 대화하도록 유도한다.
그 후 연구자는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이야기나 피험자 간의 대화와 같이 더 구어적인 맥락에서 피험자가 말하는 방식과, 피험자가 형식적인 면접 환경에 더 주의를 기울일 때 나타나는 더 신중한 말하기 방식을 비교하여 언어에 대한 스타일 전환의 영향을 연구할 수 있다. 나이, 성별, 민족성과 같은 인구 통계적 특징과 말하기 행동의 상관관계는 서로 다른 면접 대상자의 말하기를 비교하여 연구할 수 있다.
4. 2. 사회언어학의 응용
사회언어학은 다양한 연구 방법과 목표를 가진 하위 분야로 나뉜다. 예를 들어, 사회언어학에 기반한 번역 프레임워크는 언어적으로 적절한 번역이 원어의 의사소통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말한다. 번역은 목표 언어의 사회적 관행과 문화적 규범도 통합해야 한다.[10] 이를 위해 표본 인구를 대상으로 인지 면접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번역에 대한 실증적 테스트를 포함한다.[11][10]흔히 연구되는 변이의 원천은 지역 방언이다. 방언학은 주로 지리적 분포와 관련 특징을 기반으로 언어의 변이를 연구한다. 지역에 해당하는 문법적 및 음운론적 특징에 관심이 있는 사회언어학자는 종종 방언학자라고 불린다.
화자가 사는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언어 현상을 보려는 미시적인 접근법과 함께,[33] 하나의 언어를 단위로 하여 그것을 사회 조직과의 관련에서 생각하는(언어 접촉·언어 변화·언어 정책) 거시적인 접근법도 있다. 지역에 관해서는, 특히 방언학이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34][35][36]
현재 사회언어학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정치학이나 역사학에 접근하는 접근법도 두드러진다.
5. 사회언어학의 분과 학문
랄프 파솔드(Ralph Fasold)는 《사회언어학》(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과 《언어사회학》(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이라는 두 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이 두 책의 목차는 사회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37]
《언어사회학》(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 | 《사회언어학》(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 |
---|---|
화자가 사는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언어 현상을 보려는 미시적인 접근법과 함께[33], 하나의 언어를 단위로 하여 그것을 사회 조직과의 관련에서 생각하는(언어 접촉·언어 변화·언어 정책) 거시적인 접근법도 있다.
지역에 관해서는, 특히 방언학이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34][35][36]
현재, 사회언어학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정치학이나 역사학에 접근하는 접근법도 두드러진다.
6. 한국 사회와 사회언어학
화자의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요인과 언어 현상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미시적 접근법과[33], 하나의 언어를 단위로 사회 조직과의 관련성(언어 접촉, 언어 변화, 언어 정책)을 살펴보는 거시적 접근법이 있다.
사회언어학 연구는 정치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
6. 1. 지역 방언
언어 변이 연구는 사회적 제약이 맥락적인 환경에서 언어가 결정되는 방식에 관심을 갖는다. 변이는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 문법, 어조와 같은 언어의 여러 측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신호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역에 관해서는, 특히 방언학이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34][35][36]6. 2. 세대 차이와 언어
언어 변이 연구는 사회적 제약이 맥락적인 환경에서 언어를 결정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는다. 변이는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 문법, 어조와 같은 언어의 여러 측면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신호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령대, 연령에 따른 변이, 진행 중인 언어 변화의 징후와 같이 인구 내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연령 기반 변이 유형이 있다. 속어의 사용은 연령에 따른 변이일 수 있다. 젊은 사람들은 오늘날의 속어를 더 잘 알아듣고 사용하는 반면, 나이든 세대는 새로운 속어를 알아듣지 못할 수 있지만 자신이 젊었을 때 사용하던 속어를 사용할 수 있다.[28]6. 3. 성별과 언어
언어 변이 연구는 사회적 제약이 맥락적인 환경에서 언어를 결정하는 방식에 관심을 갖는다. 변이는 성과 관련될 수도 있다. 남성과 여성은 평균적으로 약간 다른 언어 스타일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질적인 차이라기보다는 양적인 차이이다. 여성이 남성보다 특정한 말투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남성이 여성보다 키가 크다는 것과 비슷하다(즉, 남성은 평균적으로 여성보다 키가 크지만, 어떤 여성은 어떤 남성보다 키가 크다). 남성과 여성의 말투의 다른 변이에는 높낮이, 어조, 말버릇, 말끊기, 완곡어법 사용 등의 차이가 포함된다.[28]6. 4. 사회 계층과 언어
언어 사회학은 방언 지리학과는 별개의 분야로서 도시 지역의 언어 변이 연구를 통해 개척되었다. 방언 지리학이 언어 변이의 지리적 분포를 연구하는 반면, 언어 사회학은 계층을 포함한 다른 변이 원인에 초점을 맞춘다. 계층과 직업은 사회에서 발견되는 가장 중요한 언어 표지 중 하나이다. 언어 사회학의 기본적인 발견 중 하나는 계층과 언어 변이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는 반증하기 어렵다. 노동 계급 구성원은 표준어로 간주되는 것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하위, 중산층, 상류 중산층은 표준어에 더 가깝게 말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류층, 심지어 상류 중산층조차도 중산층보다 표준어를 '덜'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계층뿐만 아니라 계층적 열망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거나 주변 사람들과 더 잘 어울리거나 자신이 인식되기를 원하는 방식에 맞추기 위해 다르게 말하거나 원치 않는 억양을 감출 수 있다.[33]6. 5. 정치 성향과 언어 사용
화자가 사는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사회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언어 현상을 보려는 미시적인 접근법과 함께[33], 하나의 언어를 단위로 하여 그것을 사회 조직과의 관련에서 생각하는(언어 접촉·언어 변화·언어 정책) 거시적인 접근법도 있다.현재 사회언어학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정치학이나 역사학에 접근하는 접근법도 두드러진다.
7. 관련 서적
- 이익섭,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 김하수, <<문제로서의 언어>>(전2권),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8.
- Wardhaugh, Ronald,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Blackwell, 4th edition
- * 박의재 역, <<현대 사회언어학>>, 한신문화사, 1999.
- Milroy, James, ''Linguistic Variation and Change: On the Historical Sociolinguistic of English'', Blackwell, 1992.
- * 정영인(외 6인) 역, <<언어변이와 변화>>, 태학사, 1997.
- Bonvillain, Nancy, ''Language, Culture and Communication'', 2002, 4th edition
- * 한국사회언어학회 역, <<문화와 의사소통의 사회언어학>>, 한국문화사, 2007.
참조
[1]
논문
Studying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Sociolinguistics or linguistic anthropology?
2008
[2]
서적
Sociolinguistics: The Essential Readings
Wiley-Blackwell
[3]
웹사이트
T. C. Hodson and the Origins of British Socio-linguistics by John E. Joseph
http://www.ncl.ac.uk[...]
2004-04
[4]
서적
Readings in the Sociology of Language
Mouton
[5]
서적
Zur Theorie des Dialekts: Aufsätze aus 100 Jahren Forschung
F. Steiner
[6]
서적
Die deutsche Sprache i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das Problem der nationalen Varietäten
Walter de Gruyter
[7]
서적
Jezik i nacionalizam
http://bib.irb.hr/da[...]
Durieux
2019-05-17
[8]
웹사이트
Sociolinguistics
https://www.linguist[...]
2021-04-19
[9]
웹사이트
William Labov
https://oxfordre.com[...]
2021-04-19
[10]
서적
The Sociolinguistics of Survey Translation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9-07-09
[11]
논문
Adapting and Improving Methods to Manage Cognitive Pretesting of Multilingual Survey Instruments
https://www.surveypr[...]
2013-12-01
[12]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Society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13]
논문
Speech Community: Reflections Upon Communication
https://doi.org/10.1[...]
2004-01-01
[14]
서적
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9-02-26
[15]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Wiley-Blackwell
[16]
논문
Let's tink about dat: Interdental Fricatives in Cajun English
https://web.stanford[...]
[17]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Society and Identity
[18]
논문
Linguistic and social interaction in two communities
[19]
서적
The Social Differentiation of English in Norwic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English in New York 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Elaborated and restricted codes: their social origins and some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Bobbs-Merrill
[22]
간행물
Higher Education Appendix One
H.M.S.O.
[23]
논문
Some sociological determinants of perception: An enquiry into sub-cultural differences
[24]
논문
Language and social class: A research note
[25]
논문
The reserve of ability in part-time technical college courses
[26]
unpublished PhD thesis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social class: an investigation into the patterns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of working-class secondary school children
University of London Library
1963
[27]
간행물
Fifteen to Eighteen
H.M.S.O.
[28]
웹사이트
Gender and Communication
https://www.research[...]
2021-04-23
[29]
서적
Socio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Socio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Routledge
[32]
서적
社会言語学の展望
くろしお出版
[33]
논문
地域言語の社会言語学的研究
https://hdl.handle.n[...]
1990-07
[34]
서적
Dialect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日本語方言の研究
東京堂出版
1977-08
[36]
간행물
方言学、その理論と実際
1928
[37]
서적
한신문화사
199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외국인 마을’의 한국어 생활 [로버트 파우저, 사회의 언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