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음이 아닌 실수들의 산술 평균이 기하 평균보다 크거나 같다는 부등식이다. 등호는 모든 실수들이 같을 때 성립하며, 기하학적으로는 주어진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일 때 최소 둘레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적 귀납법, 코시의 증명, 젠센 부등식, 미분, 치환, 폴리아의 증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이 부등식은 금융의 연평균 수익률 계산,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증명, 모츠킨 다항식의 비음성 증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가중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제곱-산술-기하-조화 평균 부등식, 행렬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등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균 - 제곱평균제곱근
    제곱평균제곱근(RMS)은 값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통계량으로, 이산 데이터의 경우 각 값의 제곱의 평균의 제곱근, 연속 함수의 경우 함수 제곱의 적분 평균의 제곱근으로 정의되며, 전기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표준편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평균 - 조화 평균
    조화 평균은 양의 실수들의 역수의 산술 평균의 역수로 정의되며, 작은 값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율이나 비를 포함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평균의 한 종류이다.
  • 부등식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부등식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개요
이름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영문명Arithmetic-Geometric Mean Inequality
내용음이 아닌 실수들의 산술 평균은 항상 기하 평균보다 크거나 같고, 두 평균이 같을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수가 같음이다.
세부 내용
조건음이 아닌 실수
부등식(x₁ + x₂ + ... + xₙ)/n ≥ (x₁x₂...xₙ)^(1/n)
필요충분조건모든 수가 같음
증명
방법다양한 증명 방법 존재
예시귀납법,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옌센 부등식 활용 가능
활용
최적화 문제최댓값 또는 최솟값 구하기
응용 분야다양한 수학 문제 해결
관련 항목
관련 개념평균
산술 평균
기하 평균
관련 부등식제곱 평균-산술 평균 부등식
일반화 평균 부등식

2. 정의

n개의 음이 아닌 실수 x_1, x_2, \ldots, x_n에 대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frac{x_1 + x_2 + \cdots + x_n}{n} \ge \sqrt[n]{x_1 x_2 \cdots x_n}

등호는 모든 x_i가 서로 같을 때, 즉 x_1 = x_2 = \cdots = x_n일 때 성립한다.

여기서,


  • n개 수의 산술 평균은 그 수들을 모두 더해서 n으로 나눈 값이다.


:\frac{x_1 + x_2 + \cdots + x_n}{n}

  • 기하 평균은 음수가 아닌 수들에 대해서만 정의되며, 더하기와 나누기 대신 곱하기와 근을 사용한다.


:\sqrt[n]{x_1 \cdot x_2 \cdots x_n}

  • 만약 x_1, x_2, \ldots, x_n > 0이면, 기하 평균은 각 수들의 자연 로그의 산술 평균을 지수 함수에 넣은 값과 같다.


:\exp \left( \frac{\ln {x_1} + \ln {x_2} + \cdots + \ln {x_n}}{n} \right)

3. 기하학적 해석

2차원 공간에서 는 변의 길이가 , 인 직사각형둘레이다. 유사하게, 는 면적이 로 동일한 넓이를 가진 정사각형의 둘레이다. 따라서 인 경우,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주어진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일 때 가장 작은 둘레를 갖는다고 말한다.

전체 부등식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차원으로 확장한 것이다. 변의 길이가 인 차원 상자를 생각해 보자. 상자의 모든 꼭짓점은 서로 다른 방향의 개의 모서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꼭짓점에 연결된 모서리의 평균 길이는 이다. 반면에 \sqrt[n]{x_1 x_2 \cdots x_n}는 동일한 부피를 가진 차원 정육면체의 모서리 길이이며, 따라서 정육면체의 꼭짓점에 연결된 모서리의 평균 길이이기도 하다.

따라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동일한 부피를 가진 모든 차원 상자 중에서 오직 -정육면체만이 각 꼭짓점에 연결된 모서리의 평균 길이가 가장 작다고 말한다.[3]

4. 증명

수학적 귀납법, 코시의 증명, 옌센 부등식, 미분, 치환 등을 통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다.[6][1][7]

4. 1. 수학적 귀납법

수학적 귀납법으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다.

우선, n=1인 경우, 이는 자명하게 성립한다.

다음으로, n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n+1에 대해 성립함을 보인다. x_1, x_2, \cdots, x_{n+1}의 산술 평균을 x = \frac{x_1 + x_2 + \cdots + x_{n+1}}{n+1}라고 하자.

만약 x_1 = x_2 = \cdots = x_{n+1}이라면, 자명하게 x^{n+1} = x_1x_2\cdots x_{n+1}이 성립한다. 그렇지 않다면, x보다 큰 수와 x보다 작은 수의 쌍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며, 일반성을 잃지 않고 x_n > x > x_{n+1}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x_n - x)(x - x_{n+1}) > 0

이다. 또한, y = x_{n} + x_{n+1} - x라고 정의하면, y는 양의 실수이고,

:nx = x_1 + x_2 + \cdots + x_{n-1} + x_n + x_{n+1} - x = x_1 + x_2 + \cdots+ x_{n-1} + y

이므로, xn개의 음이 아닌 실수 x_1, x_2, \ldots, x_{n-1}, y의 산술 평균이 된다.

귀납 가정에 따라,

:x^{n+1} = x^nx \ge x_1x_2\cdots x_{n-1}yx

이다. 또한

:yx - x_nx_{n+1} = (x_n + x_{n+1} - x)x - x_nx_{n+1} = (x_n - x)(x - x_{n+1}) > 0

이므로,

:yx > x_nx_{n+1}

이다. 따라서,

:x^{n+1} = x^nx \ge x_1x_2\cdots x_{n-1}yx \ge x_1x_2\cdots x_{n-1}x_nx_{n+1}

이다. x > 0이므로, x_1, x_2, \ldots, x_{n-1} 가운데 0이 있다면 첫 번째 부등호는 등호가 될 수 없고, 0이 없다면 두 번째 부등호는 등호가 될 수 없다. 따라서 n+1에 대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이 증명된다.

4. 2. 코시의 증명

다음은 잘 알려진 산술 규칙에 직접 의존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 전진-후진 귀납법을 사용하는 경우별 증명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 의한 것이며, 그의 해석학 강의에서 찾을 수 있다.[6]

만약 모든 항이 같다면:

:x|x영어1 = x|x영어2 = ⋯ = x|x영어n,

그들의 합은 ''n''x|x영어1이므로, 산술 평균은 x|x영어1이다. 그리고 그들의 곱은 x|x영어1''n''이므로, 기하 평균은 x|x영어1이다. 그러므로,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은 같으며, 이는 우리가 원하는 결과이다.

모든 항이 같지 않은 경우, 산술 평균이 기하 평균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분명히, 이것은 ''n'' > 1일 때만 가능하다.

이 경우는 훨씬 더 복잡하며, 하위 경우로 나눈다.

4. 3. 젠센 부등식

로그 함수는 엄격 오목 함수이므로, 로그 함수의 옌센 부등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유도할 수 있다.[1]

:\ln\frac{x_1+x_2+\cdots+x_n}n>\frac1n(\ln x_1+\ln x_2+\cdots+\ln x_n)\qquad(\lnot x_1=x_2=\cdots=x_n)

로그 함수가 엄격 오목 함수라는 것은 이계 도함수 판정법으로 보일 수 있다.[1]

:(\ln x)''=\left(\frac1x\right)'=-\frac1{x^2}<0\qquad(x>0)

젠센 부등식에 따르면, 오목 함수의 산술 평균에 대한 함숫값은 함숫값의 산술 평균보다 크거나 같다. 로그 함수는 오목 함수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1]

:\log \left(\frac { \sum x_i}{n} \right) \geq \frac{1}{n} \sum \log x_i = \frac{1}{n} \log \left( \prod x_i\right) = \log \left( \prod x_i\right)^{1/n}.

위 식에서 가장 왼쪽 변과 가장 오른쪽 변에 역로그를 취하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얻는다.[1]

4. 4. 미분

미분을 통해 함수의 극값을 구하여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다. 우선 n=1,2인 경우,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자명하게 성립한다.

이제 n>1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가정 아래, n+1>2에 대하여 증명한다. 모든 항이 같은 경우,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자명하게 성립한다. 모든 항이 같지는 않을 경우, x_1 \ne x_2이라고 전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다음 식을 증명하여야 한다.

:\frac{x_1 + \cdots + x_n + x_{n+1}}{n+1} - (x_1 \cdots x_n x_{n+1})^{\frac{1}{n+1}} > 0

이는 음이 아닌 실수 x_1, \dots, x_n \ge 0을 고정하고, 함수

:f(t)=\frac{x_1 + \cdots + x_n + t}{n+1} - (x_1 \cdots x_n t)^{\frac{1}{n+1}} \qquad (t \ge 0)

를 정의하였을 때, 다음을 증명하여야 한다는 것과 같다.

:f(x_{n+1}) > 0

극값을 구하기 위해, f미분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f'(t) = \frac{1}{n+1} - \frac{1}{n+1}(x_1 \cdots x_n)^{\frac{1}{n+1}}t^{-\frac{n}{n+1}}

따라서, f는 다음과 같은 임계점을 갖는다.

:f'(t_0)=0 \iff t_0 = (x_1 \cdots x_n)^{\frac{1}{n}}

그러므로 f의 가능한 극값은 다음과 같다.

:f(0) = \frac{x_1 + \cdots + x_n}{n+1} > 0

:

\begin{align}

f(t_0) & = \frac{x_1 + \cdots + x_n + ({x_1 \cdots x_n})^{\frac{1}{n}}}{n+1} - ({x_1 \cdots x_n})^{\frac{1}{n+1}}(x_1 \cdots x_n)^{\frac{1}{n(n+1)}} \\

& = \frac{x_1 + \cdots + x_n}{n+1} + \frac{1}{n+1}({x_1 \cdots x_n})^{\frac{1}n} - ({x_1 \cdots x_n})^{\frac{1}n} \\

& = \frac{x_1 + \cdots + x_n}{n+1} - \frac{n}{n+1}({x_1 \cdots x_n})^{\frac{1}n} \\

& = \frac{n}{n+1}\left(\frac{x_1 + \cdots + x_n}n - ({x_1 \cdots x_n})^{\frac{1}n}\right) \\

& > 0

\end{align}



:\lim_{t\to\infty}f(t)=\infty>0

여기서 f(t_0) = 0일 수 없는 이유는, 이미 x_1 \ne x_2이라고 전제하였기 때문이다. 모든 극값이 0보다 크므로, 임의의 t \ge 0에 대하여,

:f(t)>0

이다. 특히, t=x_{n+1}일 경우,

:f(x_{n+1})>0

이다. 이렇게 n+1에 대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이 증명되었다.

4. 5. 치환

모든 숫자가 같지 않다면, ${\displaystyle x_{i}<\alpha
: ${\displaystyle \alpha (x_{j}+x_{i}-\alpha )-x_{i}x_{j}=(\alpha -x_{i})(x_{j}-\alpha )>0}$

숫자들이 여전히 같지 않다면, 위와 같이 숫자들을 계속 치환한다. 최대 ${\displaystyle (n-1)}$번의 치환 단계를 거치면 모든 숫자가 ${\displaystyle \alpha }$로 치환되고, 기하 평균은 각 단계마다 엄격하게 증가한다. 마지막 단계 후, 기하 평균은 ${\displaystyle {\sqrt[{n}]{\alpha \alpha \cdots \alpha }}=\alpha }$가 되어 부등식이 증명된다.

만약 숫자 중 0이 있다면, 기하 평균도 0이 되어 부등식은 자명하게 증명된다. 따라서 모든 숫자가 양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모든 숫자가 같지 않다면, ${\displaystyle 0
: ${\displaystyle x_{i}+x_{j}-\beta -{\frac {x_{i}x_{j}}{\beta }}={\frac {(\beta -x_{i})(x_{j}-\beta )}{\beta }}>0}$

이후 증명은 앞선 치환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어진다.

4. 6. 폴리아의 증명

조지 폴리아는 지수 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증명하였다.[7]

모든 실수 ''x''에 대해 ''f''(''x'') = e''x''–1 – ''x''라고 하자. 여기서 첫 번째 도함수는 ''f′''(''x'') = e''x''–1 – 1이고, 두 번째 도함수는 ''f′′''(''x'') = e''x''–1이다. ''f''(1) = 0, ''f′''(1) = 0이고 모든 실수 ''x''에 대해 ''f′′''(''x'') > 0이므로, ''f''는 ''x'' = 1에서 절대 최솟값을 갖는 엄격한 볼록 함수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 대해 ''x'' ≤ e''x''–1가 성립하며, 등호는 ''x'' = 1일 때만 성립한다.

음이 아닌 실수 ''x''1, ''x''2, ⋯, ''xn''의 목록을 고려해 보자. 만약 모두 0이라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이 등호와 함께 성립한다. 따라서 산술 평균 ''α'' > 0을 가정할 수 있다. 위 부등식을 ''n''번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등호는 모든 ''i'' ∈ {1, ⋯, ''n''}에 대해 ''xi'' = ''α''일 때만 성립한다. 지수 함수의 인수는 다음과 같이 단순화할 수 있다.

:

:

:

(*)로 돌아가서,

:

이것은 ''x''1''x''2 ⋯ ''xn'' ≤ ''αn''을 생성하므로, 다음을 얻는다.[7]

:

5. 활용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예를 들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금융 수학에서는 연평균 수익률을 계산할 때 이 부등식을 활용한다. 기하 평균(연평균 수익률)이 산술 평균(평균 연간 수익률)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12]

모츠킨 다항식과 같이 제곱의 합 다항식이 아닌 비음 다항식의 경우에도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이용하여 비음임을 증명할 수 있다.[4]

5. 1. 예제

a, b, c > 0 이라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1+a)(1+b)(1+c) \ge 2\sqrt{a} \cdot 2\sqrt{b} \cdot 2\sqrt{c} = 8\sqrt{abc}

n!에 대한 간단한 상한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에 따르면,

:1+2+\dots+n \ge n\sqrt[n]{n!}

:\frac{n(n+1)}{2} \ge n\sqrt[n]{n!}

따라서,

:\left(\frac{n+1}{2}\right)^n \ge n!

n=1에서 등호가 성립한다. 이는 다음과 동등하다.

:(n+1)^n \ge 2^nn!

모든 양의 실수 x, y, z에 대해 함수 f(x,y,z) = \frac{x}{y} + \sqrt{\frac{y}{z}} + \sqrt[3]{\frac{z}{x}}의 최솟값을 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f(x,y,z) = 6 \cdot \frac{ \frac{x}{y} + \frac{1}{2} \sqrt{\frac{y}{z}} + \frac{1}{2} \sqrt{\frac{y}{z}} + \frac{1}{3} \sqrt[3]{\frac{z}{x}} + \frac{1}{3} \sqrt[3]{\frac{z}{x}} + \frac{1}{3} \sqrt[3]{\frac{z}{x}} }{6} = 6\cdot\frac{x_1+x_2+x_3+x_4+x_5+x_6}{6}

여기서 x_1=\frac{x}{y},\qquad x_2=x_3=\frac{1}{2} \sqrt{\frac{y}{z}},\qquad x_4=x_5=x_6=\frac{1}{3} \sqrt[3]{\frac{z}{x}}이다.

n = 6에 대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f(x,y,z) \ge 6 \cdot \sqrt[6]{ \frac{x}{y} \cdot \frac{1}{2} \sqrt{\frac{y}{z}} \cdot \frac{1}{2} \sqrt{\frac{y}{z}} \cdot \frac{1}{3} \sqrt[3]{\frac{z}{x}} \cdot \frac{1}{3} \sqrt[3]{\frac{z}{x}} \cdot \frac{1}{3} \sqrt[3]{\frac{z}{x}} } = 6 \cdot \sqrt[6]{ \frac{1}{2 \cdot 2 \cdot 3 \cdot 3 \cdot 3} \frac{x}{y} \frac{y}{z} \frac{z}{x} } = 2^{2/3} \cdot 3^{1/2}

평균의 모든 항이 같을 때, 즉 \frac{x}{y} = \frac{1}{2} \sqrt{\frac{y}{z}} = \frac{1}{3} \sqrt[3]{\frac{z}{x}}일 때 등호가 성립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x, y, z)는 원점에서 시작하는 반직선 위에 있으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y,z)=\biggr(t,\sqrt[3]{2}\sqrt{3}\,t,\frac{3\sqrt{3}}{2}\,t\biggr)\quad (t>0)

5. 2. 코시-슈바르츠 부등식 증명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증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5. 3. 금융

금융 수학에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연평균 수익률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기하 평균(연평균 수익률)이 산술 평균(평균 연간 수익률)보다 작다는 것을 보여준다.[12] 금융 분야에서는 미래의 여러 기간 동안 자산의 수익률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데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로그 정규 자산 수익률의 경우, 기하 자산 수익률로부터 산술 자산 수익률을 계산하는 정확한 공식이 존재한다.[12]

간단하게 연간 기하 수익률 ''r1, r2, ... , rN''|r1, r2, ... , rN영어을 N|N영어년의 시간 범위를 고려한다고 가정할 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r_n=\frac{V_n - V_{n-1}}{V_{n-1}},

여기서:

:V_n = 시간 n에서의 자산 가치,

:V_{n-1} = 시간 n-1에서의 자산 가치.

기하 평균 수익률과 산술 평균 수익률은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_N=\left(\prod_{n = 1}^N(1+r_n)\right)^{1/N},

:a_N=\frac1N \sum_{n = 1}^Nr_n.

연간 기하 자산 수익률이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를 때,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기하 평균 수익률을 산술 평균 수익률로 변환할 수 있다.[12]

:1+g_N=\frac{1+a_N}{\sqrt{1+\frac{\sigma^2}{(1+a_N)^2}}},

여기서 \sigma^2는 관찰된 자산 수익률의 분산이다. aN|aN영어에 대한 이 음함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풀 수 있다. 먼저,

:z=(1+a_N)^2,

로 설정하면 2차 다항식 방정식을 얻는다.

:z^2 - (1+g)^2 - (1+g)^2\sigma^2 = 0.

z|z영어에 대해 이 방정식을 풀고 z|z영어의 정의를 사용하면 aN|aN영어에 대한 4개의 가능한 해를 얻는다.

:a_N = \pm \frac{1+g_N}{\sqrt{2}}\sqrt{1 \pm \sqrt{1+\frac{4\sigma^2}{(1+g_N)^2}}}-1.

하지만,

: \sqrt{1+\frac{4\sigma^2}{(1+g_N)^2}} \geq 1.

이것은 유일한 2개의 가능한 해가 (자산 수익률은 실수이므로) 다음과 같음을 의미한다.

:a_N = \pm \frac{1+g_N}{\sqrt{2}}\sqrt{1 + \sqrt{1+\frac{4\sigma^2}{(1+g_N)^2}}}-1.

마지막으로, 기하 평균 수익률이 증가하면 산술 평균 수익률이 감소하는 일이 없어야 하므로, aN|aN영어를 gN|gN영어에 대해 미분한 값은 음수가 아니어야 한다. 실제로, 둘 다 자산 가치의 평균 성장을 측정하므로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이는 aN|aN영어에 대한 음함수 방정식의 한 가지 해, 즉

:a_N = \frac{1+g_N}{\sqrt{2}}\sqrt{1 + \sqrt{1+\frac{4\sigma^2}{(1+g_N)^2}}}-1.

을 남긴다.

따라서, 로그 정규 분포 자산 수익률의 가정 하에서 산술 자산 수익률은 기하 자산 수익률에 의해 완전히 결정된다.[12]

5. 4. 다항식

모츠킨 다항식 x^4y^2+x^2y^4-3x^2y^2+1은 비음 다항식이며, 제곱의 합 다항식이 아니다.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이용하여 x_1 = x^4 y^2, x_2 = x^2 y^4, x_3 = 1에 대해 비음임을 증명할 수 있다.[4] 즉,

:\sqrt[3]{(x^4 y^2) \cdot (x^2 y^4) \cdot (1)} \le \frac{(x^4 y^2)+(x^2 y^4)+(1)}{3}

식을 정리하고 양변에 3을 곱하면

:3 x^2 y^2 \le x^4 y^2 + x^2 y^4 + 1이 되므로[5]

:0 \le x^4 y^2 + x^2 y^4 - 3 x^2 y^2 + 1이다.

6. 관련 정리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다음과 같이 여러 형태로 일반화할 수 있다.


  • 뮤어헤드 부등식
  • 맥클로린의 부등식
  • QM-AM-GM-HM 부등식
  • 일반화된 평균 부등식
  • 복소수의 평균[13]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의 일반화

6. 1. 가중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가중 산술 평균과 가중 기하 평균 사이에도 비슷한 부등식이 성립한다. ''n''개의 음수가 아닌 실수 ''x''1, ''x''2, …, ''x''''n''과 그에 대응하는 가중치 α1, α2, …, α''n''가 있을 때, 가중치의 합 \alpha = \alpha_1 + \alpha_2 + \cdots + \alpha_n이라 하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frac{\alpha_1 x_1 + \alpha_2 x_2 + \cdots + \alpha_n x_n}{\alpha} \geq \sqrt[\alpha]{x_1^{\alpha_1} x_2^{\alpha_2} \cdots x_n^{\alpha_n}}

마찬가지로 이 부등식은 모든 ''x''''k''들이 같을 때 등식이 된다.

\alpha_k=0(k=0, 1, \cdots, n)를 가중치로 갖는 x_k은 전체 식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배제하고 생각하면, 증명에서 다루는 모든 \alpha_k는 양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는 f(x)=lnx에서 젠센 부등식을 이용하면 쉽게 증명할 수 있다.

x>0일 때 f(x)=lnx는 오목 함수, 즉 위로 볼록한 함수이므로

:\begin{align}

\ln\Bigl(\frac{\alpha_1x_1+\cdots+\alpha_nx_n}\alpha\Bigr) & >\frac{\alpha_1}\alpha\ln x_1+\cdots+\frac{\alpha_n}\alpha\ln x_n \\

& =\ln \sqrt[\alpha]{x_1^{\alpha_1} x_2^{\alpha_2} \cdots x_n^{\alpha_n}}.

\end{align}

이다. f(x)=lnx는 단조 함수이므로

: \frac{\alpha_1 x_1 + \alpha_2 x_2 + \cdots + \alpha_n x_n}{\alpha} \geq \sqrt[\alpha]{x_1^{\alpha_1} x_2^{\alpha_2} \cdots x_n^{\alpha_n}}

가 성립함이 증명된다.

6. 2. 제곱-산술-기하-조화 평균 부등식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에 제곱 평균과 조화 평균에 대한 결론을 추가할 수 있다. 음이 아닌 실수 x_1, x_2, \dots, x_n \ge 0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frac{n}{\frac{1}{x_1} + \frac{1}{x_2} + \cdots + \frac{1}{x_n}}

\le \sqrt[n]{x_1 x_2 \cdots x_n}

\le \frac{x_1 + x_2 + \cdots + x_n}{n}

\le \sqrt{\frac{x_1^2 + x_2^2 + \cdots x_n^2}{n}}

특히, 각각의 부등호가 등호가 될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실수들이 같다는 것이다. 즉,

:\frac{n}{\frac{1}{x_1} + \frac{1}{x_2} + \cdots + \frac{1}{x_n}}

< \sqrt[n]{x_1 x_2 \cdots x_n}

< \frac{x_1 + x_2 + \cdots + x_n}{n}

< \sqrt{\frac{x_1^2 + x_2^2 + \cdots x_n^2}{n}}

\qquad (\lnot x_1 = x_2 = \cdots = x_n)

:\frac{n}{\frac{1}{x_1} + \frac{1}{x_2} + \cdots + \frac{1}{x_n}}

= \sqrt[n]{x_1 x_2 \cdots x_n}

= \frac{x_1 + x_2 + \cdots + x_n}{n}

= \sqrt{\frac{x_1^2 + x_2^2 + \cdots x_n^2}{n}}

\qquad (x_1 = x_2 = \cdots = x_n)

6. 3. 행렬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행렬에 대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의 일반화는 대부분 유니터리 불변 노름 수준에서 적용된다. 이는 행렬 AB가 양의 준정부호 행렬이라 하더라도, 행렬 AB는 양의 준정부호 행렬이 아닐 수 있어 표준 제곱근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9] 바티아(Bhatia)와 키타네(Kittaneh)는 임의의 유니터리 불변 노름 |||\cdot|||과 양의 준정부호 행렬 AB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였다.

:|||AB|||\leq \frac{1}{2}|||A^2 + B^2|||

이후, 같은 저자들은 다음의 더 강력한 부등식을 증명했다.[10]

:|||AB||| \leq \frac{1}{4}|||(A+B)^2|||

차원 n=2에 대해,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의 가장 강력한 행렬 일반화는 다음과 같으며, 모든 n에 대해서도 성립할 것으로 추측된다.

:|||(AB)^{\frac{1}{2}}|||\leq \frac{1}{2}|||A+B|||

이 추측은 2012년 스티븐 드러리(Stephen Drury)에 의해 증명되었다. 그는 다음을 증명했다.[11]

:\sqrt{\sigma_j(AB)}\leq \frac{1}{2}\lambda_j(A+B), \ j=1, \ldots, n.

6. 4. 기타 일반화

이 부등식의 다른 일반화된 형태로는 뮤어헤드 부등식, 일반화된 평균 부등식 등이 있다.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의 다른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The Mathematical Gardner Springer
[2] 웹사이트 Euclid's Elements, Book V, Proposition 25 https://aleph0.clark[...]
[3] 서적 The Cauchy-Schwarz Master Class: An Introduction to the Art of Mathematical Inequal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Inequalities (Proc. Sympos. Wright-Patterson Air Force Base, Ohio, 1965) Academic Press
[5] 문서 Sum of Squares seminar https://people.cs.uc[...] University of Chicago
[6] 서적 Cours d'analyse de l'École Royale Polytechnique, première partie, Analyse algébrique, http://visualiseur.b[...]
[7] 서적 Four unit mathematics Hodder Arnold H&S
[8] 간행물 Self-Improvement of the Inequality Between Arithmetic and Geometric Means http://jmi.ele-math.[...] 2023-01-11
[9] 간행물 On the singular values of a product of operators
[10] 간행물 Notes on matrix arithmetic-geometric mean inequalities
[11] 간행물 On a question of Bhatia and Kittaneh
[12] 간행물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ithmetic and Geometric Returns http://www.ssrn.com/[...] 2011
[13] 문서 Unification Theories: Means and Generalized Euler Formulas
[14] 서적 The Mathematical Gardner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