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리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리티스는 고대 이집트 제2중간기에 힉소스가 세운 왕국의 왕으로,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저서 『아피온 반박』에서 주로 언급된다. 힉소스 군대는 이집트 파라오 티마이오스 통치 기간에 나일 델타를 점령하고 멤피스를 정복한 후, 살리티스를 왕으로 세웠다. 살리티스는 아바리스에 요새를 건설하고 19년간 통치했으며, 브논 또는 베온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살리티스의 정체는 고고학적으로 증명된 통치자와의 동일성 여부를 두고 논쟁이 있으며, 그의 이름의 기원과 의미에 대한 추측도 존재한다.

2. 생애

살리티스는 주로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저서 『아피온 반박』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요세푸스는 이 내용이 마네토의 기록을 인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 "티마이오스"(또는 "투티마이오스") 통치 시기, 근동에서 온 힉소스 군대가 갑자기 나타나 별다른 저항 없이 나일 델타 지역을 점령했다고 전해진다. 힉소스는 멤피스를 정복하고 티마이오스를 폐위시킨 후, 도시와 사원을 파괴하고 이집트 원주민을 살해하거나 포로로 잡는 등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고 한다.[1]

이후 힉소스는 자신들 중 한 명인 살리티스를 왕으로 세웠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살리티스는 멤피스에 거주하며 상이집트하이집트 모두로부터 조공을 징수하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는 요새를 설치하여 통치 기반을 다졌다.[1] 그는 새롭게 정복한 영토를 지키기 위해 동쪽 국경을 요새화하는 데 힘썼으며, 특히 나일강 동쪽에 위치한 아바리스를 중요한 거점으로 삼아 재건하고 강력한 방어 시설과 대규모 병력을 배치했다.[1] 요세푸스는 살리티스가 아바리스에 24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주둔시키고, 매년 여름 방문하여 식량과 급여를 지급하며 군사 훈련을 감독했다고 기록했다.[1]

살리티스는 19년간 통치한 후 사망했으며, 그의 왕위는 브논(또는 베온)이라는 다른 아시아인에게 계승되었다.[1]

2. 1. 아바리스 건설과 국경 강화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마네토의 기록을 인용하여 전하는 바에 따르면, 힉소스가 이집트를 침략하여 멤피스를 점령하고 기존 파라오를 폐위시킨 후 살리티스를 왕으로 삼았다.[1] 그는 멤피스에 거주하며 상이집트하이집트 양쪽에서 조공을 거두었으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에는 요새를 설치하여 통치 기반을 다졌다.[1]

살리티스는 새롭게 정복한 영토를 확고히 지키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를 위해 그는 이집트 동쪽 국경의 방비를 강화하는 동시에, 아직 독립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던 상이집트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요새를 건설할 필요성을 느끼고 최적의 장소로 나일강의 부바스티테 지류 동쪽에 위치한 아바리스를 선택했다.[1]

살리티스는 아바리스를 재건하고 도시 주변에 견고한 성벽을 쌓아 방어력을 강화했다. 또한, 약 24만 명에 이르는 대규모 병력을 아바리스에 주둔시켜 국경 수비를 맡겼다. 그는 매년 여름 아바리스를 방문하여 군대에 식량을 공급하고 급료를 지급했으며, 군사 훈련을 철저히 감독하여 외부 위협에 대비했다.[1]

살리티스는 19년간 통치한 후 사망했으며, 그의 왕위는 브논 또는 베온이라는 또 다른 아시아인에게 계승되었다.[1]

2. 2. 통치 기간 및 사망

살리티스는 주로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저서 『아피온 반박』의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다. 요세푸스는 이 기록이 마네토의 원문을 인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 "티마이오스"(또는 "투티마이오스")가 통치하던 시기, 힉소스 군대가 근동에서 갑자기 나타나 별다른 저항 없이 나일 델타 지역을 점령했다. 힉소스는 멤피스를 정복하고 티마이오스를 폐위시킨 후, 도시와 사원을 파괴하고 이집트 원주민을 살해하거나 포획하는 등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1]

이후 힉소스는 자신들 중 한 명인 살리티스를 왕으로 세웠다. 요세푸스는 살리티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자신들 중 한 명을 왕으로 삼았는데, 그의 이름은 살리티스였다. 그는 멤피스에 거주하며 상이집트와 하이집트 모두에게 조공을 징수하고, 가장 전략적인 장소에 요새를 남겨두었다.[1]

살리티스는 새롭게 정복한 영토를 공고히 하기 위해 동쪽 국경을 요새화하는 데 힘썼다. 그는 나일강의 부바스티테 지류 동쪽에 위치한 아바리스를 전략적 요충지로 판단하고, 이곳에 강력한 요새를 건설했다.[1] 요세푸스는 아바리스 요새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이 도시를 건설하고 벽으로 극도로 안전하게 만들었으며, 24만 명에 달하는 많은 무장 병력을 국경 경비대로 정착시켰다. 그는 여름에 그곳에 가서 식량을 배급하고 급여를 분배하며, 외국인을 두려워하도록 군사 훈련을 주의 깊게 실시했다.[1]

살리티스는 19년간 통치한 후 사망했으며, 그의 왕위는 브논(또는 베온)이라는 다른 아시아인에게 계승되었다.[1]

3. 정체에 대한 논쟁

살리티스의 이집트 선임자로 알려진 티마이오스와 아시아인 후임자인 브논의 정체 역시 논쟁의 대상이다. 티마이오스는 제13왕조 말기의 파라오인 제드네페르레 데드무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2][3] 근거가 약하다는 비판이 있다.[9]

3. 1. 이름의 기원과 의미

살리티스를 고고학적으로 증명된 통치자와 동일시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다. 그는 때때로 멤피스의 사제 계보 문서에 언급된 샤렉 또는 샬렉이라는 통치자와 연관되었으며, 훨씬 더 증명된 왕인 세시와도 연관되었다.[2][3] 독일 이집트학자 위르겐 폰 베케라트는 살리티스를 또 다른 제2중간기 통치자인 야크빔 세카엔레와 연관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4] 윌리엄 F. 올브라이트는 살리티스가 움만 만다 왕 잘루티와 동일인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올브라이트는 "자-아-루-티"에 인도이란어족 어원을 부여했다.[5][6] 현재 지식 수준에서 살리티스는 미확인 상태로 남아 있다.[7][1]

심지어 그의 이름조차 이집트어로 원래 어떤 의미였는지에 대한 단서가 없지만, 마네토의 요약본에서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가 사용한 변형 "사이터스"는 사이즈 델타 도시를 언급할 수 있다. 이 이름이 이집트에 머무는 동안 성경의 족장 요셉이 사용했던 "권력의 관리자"라는 의미의 칭호인 ''샬릿''과 연관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창세기 42:6), 이는 매우 약한 추정으로 간주된다.[8][1]

참조

[1] 서적 Against Apion – Translation and commentary by John M. G. Barclay Brill 2007
[2]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3rd ed.), vol. II, part 1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Books 1992
[4] 웹사이트 Salitis' page on eglyphica.de http://www.eglyphica[...]
[5] 논문 New Light on the History of Western Asia in the Second Millennium BC
[6] 서적 The Coming of the Greeks: Indo-European Conquests in the Aegean and the Near East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8
[7] 서적 Flavius Josephus Contra Apionem, Buch 1. Einleitung, Text, Text-kritischer Apparat, Übersetzung und Kommentar Kohlhammer Verlag 2005
[8] 논문 Sui frammenti di Manetone nel primo libro del "Contra Apionem" di Flavio Giuseppe
[9] 서적 Lexikon der Agyptologie, vol. 6 Otto Harrassowitz Verlag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