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형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각형자리는 북쪽 하늘에 위치한 별자리로, '시칠리아'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델타 문자와 닮아 '델토톤'으로 불렸으며, 바빌로니아에서는 '쟁기'를 의미하는 별자리로 여겨졌다. 이 별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속한다. 주요 천체로는 3등성인 알파, 베타 별과 나선 은하인 M33(삼각형자리 은하)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삼각별'로 불리며, 전통적으로 방향을 잡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각형자리 - 삼각형자리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는 삼각형자리 방향에 위치한 국부 은하군에서 세 번째로 큰 나선 은하이며, 안드로메다 은하와 중력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약 273만 광년 거리에 약 400억 개의 별을 포함하며 활발한 항성 형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 삼각형자리 - HD 13189
HD 13189는 외계 행성 HD 13189b를 거느리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으로, HD 13189b는 목성 질량의 8~20배로 추정되며 1.85 AU 거리에서 472일 주기로 공전하고 2005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다.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의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그리스 신화 속 오만한 왕비 카시오페이아와 연관되며, 셰다르, 카프 등의 별과 다양한 성운,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삼각형자리 | |
---|---|
기본 정보 | |
명칭 | 삼각형자리 |
로마자 표기 | Triangulum |
약자 | Tri |
소유격 | Trianguli |
쿨미네이션 시간 | 20시 |
쿨미네이션 날짜 | 12월 중순 |
상징 | 삼각형 |
속하는 사분면 | NQ1 |
위치 | |
적경 | 01h 31m 27.9408s - 02h 50m 39.9523s |
적위 | +37.3470840° - +25.6050701° |
특징 | |
별의 수 | 15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별) |
밝은 별의 수 | 1 |
가장 밝은 별 | β Tri |
밝기 | 3.00 등급 |
메시에 천체 수 | 1 |
유성우 | 없음 |
영역 | |
총 면적 | 131.847 평방도 |
순위 | 78위 |
관측 조건 | |
위도 범위 | 90 ~ 60 |
관측 용이 시기 | 12월 |
인접 별자리 | |
별과 행성 | |
행성을 가진 별의 수 | 3 |
별자리군 | |
소속 | 페르세우스 |
2. 역사와 신화
삼각형자리는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과 의미로 인식되어 온 별자리이다.
바빌로니아 별 목록에서는 안드로메다자리 감마와 함께 별자리를 형성했다.[1] 기원전 1000년경 편찬된 MUL.APIN에 처음 등장했으며, 2월 새벽 하늘에 나타나 메소포타미아에서 봄 파종 시기를 알렸다.[1]
고대 그리스에서는 델토톤(Δελτωτόν)이라 불렀는데, 이는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닮았기 때문이다. 로마 작가들은 델토툼(Deltotum)으로 음역했다.[2] 에라토스테네스는 나일 삼각주와, 히기누스는 시칠리아 섬과 연관시켰다.[3] 케레스가 유피테르에게 시칠리아 섬을 하늘에 두도록 간청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 그리스 천문학자들은 트리고논(Τρίγωνον)이라 불렀고, 로마화되어 트리고눔(Trigonum)이 되었다.[2]
알파와 베타는 아랍어로 "저울대"를 뜻하는 "알 미잔(Al Mīzān)"이라 불렸다.[6] 중국에서는 안드로메다자리 감마와 삼각형자리 베타, 감마, 델타를 포함한 인접 별들이 천대장군(天大将军)이라 불렸다.[3][4]
17세기 요한 바이어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세 지역을 나타내는 트리플리키타스(Triplicitas)와 오르비스 테라룸 트리페르티투스(Orbis terrarum tripertitus)라고 불렀다.[2]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1690년 ι, 10, 12를 묶어 삼각자리 (소)를 만들고, 원래 별자리를 삼각자리 (대)(Triangulum Majus)로 개명했으나,[5] 국제천문연맹 (IAU)은 작은 별자리를 인정하지 않았다.[6]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Triangulum''', 약칭은 '''Tri'''로 정해졌다.
2. 1. 서양
고대 그리스에서는 델타(Δ) 문자와 비슷하여 '델토톤'이라고 불렸으며, 에라토스테네스는 이를 나일 삼각주와 연결했고, 로마 작가 히기누스는 시칠리아 섬과 연관시켰다.[3] 시칠리아의 보호신인 세레스가 주피터에게 시칠리아섬을 하늘에 올려달라고 청했다는 신화도 전해진다.[2]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와 프톨레마이오스는 트리고논(Τρίγωνον)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로마 시대에 트리고눔(Trigonum)으로 번역되었다.[2] 이 별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포함된다.
17세기 독일의 천문 지도 제작자 요한 바이어는 이 별자리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세 지역을 나타내는 트리플리키타스(Triplicitas)와 오르비스 테라룸 트리페르티투스(Orbis terrarum tripertitus)라고 불렀다.[2]

폴란드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1690년에 ι, 10, 12를 분리하여 삼각자리 (소)를 만들고, 원래 별자리를 삼각자리 (대)(Triangulum Majus)로 개명했으나, 작은삼각형자리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5][6]
2. 2. 동양
바빌로니아에서는 이 별자리를 쐐기 문자로 (쟁기)라고 불렀으며, 안드로메다자리 감마와 함께 쟁기자리를 형성했다.[1] 쟁기는 "엔릴의 길"—즉, 태양 경로의 가장 북쪽 분기—의 첫 번째 별자리였으며, 메소포타미아에서 봄 파종 시기를 알리는 역할을 했다.[1]중국에서는 안드로메다자리 감마와 삼각형자리 베타, 감마, 델타를 포함한 주변 별들을 묶어 "천대장군(天大将军)"이라고 불렀다.[3][4]
1874년(메이지 7년) 문부성에서 출판된 세키토 나리오의 천문서 『성학첩경』에서 "토리아구류무"라는 읽기와 "삼각"이라는 해설이 소개되었다. 1879년(메이지 12년) 노먼 로키어의 저서 『Elements of Astronomy』를 번역한 『락씨 천문학』에서도 "삼각"으로 소개되었다. 1908년(메이지 41년) 9월 일본 천문학회 회보 『천문월보』 제1권 6호에 "9월의 하늘"이라는 기사에서 "삼각"으로 불렸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번역명은 1925년(다이쇼 14년) 도쿄 천문대 편집 『이과연표』에도 "삼각(산카쿠)"으로 계승되었고, 1944년(쇼와 19년) 천문학 용어 재검토 때도 "삼각"이 유지되었다. 전후에도 "삼각"이 사용되었으며, 1952년 7월 일본 천문학회는 "별자리 이름은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한다"라고 하였고, Triangulum의 일본어 이름은 "산카쿠"로 정해졌다.
3. 특징
비교적 밝은 3~4등급의 별들이 좁고 긴 이등변삼각형을 이루고 있다.[7] 3등성 α, β와 4등성 γ가 이등변삼각형에 가까운 형태의 길쭉한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α에서 약 5° 서쪽에 보이는 나선 은하 M33은, 별자리의 이름을 따서 '삼각형자리 은하'라고 불린다.
4. 주요 천체
삼각형자리에는 1등급 별은 없지만, 다양한 등급의 별과 은하를 포함하고 있다. 주요 천체는 다음과 같다.
이름 | 밝기 | 특징 |
---|---|---|
β성 | 3.00등급 | 쌍성 |
α성 | 3.41등급 | 카푸트 트리안굴리(Caput Trianguli)라는 별칭, 거성, 쌍성 |
삼각형자리 6 | 색깔이 대조되는 이중성 (짙은 노란색, 옅은 파란색), 각각 연성 | |
M33 | 5.8 등급 | 거대 풍차 은하, 국부 은하군의 일원, 290만 광년 거리, 어두운 하늘에서 육안 관측 가능 |
NGC 925 | 12등급 | 나선 은하 |
NGC 672 | 11.6 등급 | 막대 나선 은하 |
3C 48은 최초로 발견된 퀘이사이다.[36] 1963년 z=0.367로 당시 알려진 천체 중에서 가장 큰 적색 편이를 보였으며, 가장 멀리 있는 천체로 여겨졌다.
4. 1. 항성
- β성은 삼각형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3.00등급의 백색 거성이다.[6] 지구로부터 127광년 떨어져 있으며,[12] 분광 쌍성계이다. 주성은 태양 질량의 3.5배인 분광형 A5IV의 백색 별로, 주계열에서 벗어나 팽창하고 있다. 부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태양 질량의 약 1.4배인 황백색 F형 주계열성으로 추정된다. 두 별은 31일마다 공통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별로부터 50~400 천문 단위 떨어진 먼지 원반으로 둘러싸여 있다.[13]
- α성는 3.41등급의 황백색 준거성으로, '카푸트 트리안굴리'(Caput Trianguli) 또는 '라스 알 무탈라트'(Ras al Muthallath)라고도 불리며, 삼각형의 꼭짓점에 있다.[14] 옅은 노란색의 거성으로 어두운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 2016년 8월에는 아랍어로 "삼각형"을 뜻하는 "'''모살라'''(Mothallah)"라는 고유 이름이 IAU에 의해 인증되었다.
- γ성는 4.00등급의 A형 주계열성으로, 지구에서 약 112광년 떨어져 있다.[15] 태양보다 약 두 배 크고 약 33배 밝으며 빠르게 회전한다. 베타별과 마찬가지로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의 80배 반경을 가진 먼지 원반으로 둘러싸여 있다.[16]
- δ성는 지구에서 3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분광 쌍성계로, 태양과 비슷한 크기의 두 황색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별은 10일마다 서로 공전하며, 거리는 불과 0.1 AU이다.[17]
- 삼각형자리 6(과거에는 삼각형자리 ι별)은 중간 크기의 망원경으로 보면 짙은 노란색과 옅은 파란색 별이 대조를 이루는 이중성이다. 이들은 각각 연성을 이룬다.[19]
- HAT-P-38은 국제천문연맹(IAU) 100주년 기념 행사 "IAU100 NameExoWorlds"에서 핀란드에 명명권이 주어져, 주성은 Horna, 외계 행성은 Hiisi로 명명되었다.
4. 2. 심원 천체 (Deep-sky Objects)
M33 (삼각형자리 은하)는 '거대 풍차 은하'라고도 불리는 나선 은하로, 국부 은하군의 일원이다. 290만 광년 떨어져 있고, 밝기는 5.8 등급으로, 충분히 어두운 하늘이라면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28] 광공해가 있는 하늘이라면 소형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찾기 어려우며, 표면이 어두워 배율을 낮추어야 한다.M33 외에도 12 등급보다 어두운 여러 은하들이 있다.
- 10′크기에 12등급의 NGC 925 나선은하.
- 5′크기에 11.6 등급의 NGC 672 막대 나선 은하. IC 1727과 상호작용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삼각형자리 은하는 17세기에 조반니 바티스타 호디에르나에 의해 발견되었다.[28] 국부 은하군의 멀리 떨어진 구성원인 이 은하는 약 230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 5.8로 어두운 하늘에서는 맨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다. 희미한 천체이기 때문에 작은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도 광공해가 있는 하늘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우며, 관찰하려면 낮은 배율이 필요하다. 지름이 46,000 광년인 나선 은하로,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보다 작다. 안드로메다 은하와의 거리가 300 킬로파섹 미만이라는 사실은 이 은하가 더 큰 은하의 위성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29] 이들의 속도로 보아 상호 작용을 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30] 이 별자리 내에서 이 은하는 물고기자리의 경계 근처에 위치하며, 알파 삼각형자리에서 서북서쪽으로 3.5도, 안드로메다자리 베타에서 남서쪽으로 7도 떨어져 있다.[14] 이 은하 내의 NGC 604는 별 형성이 일어나는 H II 영역이다.[31][32]
NGC 925는 10 분각 길이의 12등급 나선 은하, NGC 672는 5분각 길이의 11.6등급 막대 나선 은하이다. NGC 672는 근처의 IC 1727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 둘은 88,000 광년 떨어져 있고 약 1,800만 광년 떨어져 있다.[34] 이 두 은하와 근처의 다른 네 개의 왜소 불규칙 은하는 NGC 672 그룹을 구성하며, 이 여섯 은하는 모두 지난 천만 년 동안 별 형성이 폭발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 그룹은 주 은하인 막대 나선 은하 NGC 784로 명명된 NGC 784 그룹으로 알려진 또 다른 여섯 은하 그룹과 연결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과 두 개의 고립된 왜소 은하를 합쳐 총 14개의 은하는 공통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이며 암흑 물질 필라멘트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그룹을 구성한다.[35]
3C 48은 관측된 최초의 퀘이사였지만, 1963년 3C 273의 정체가 밝혀진 후에야 진정한 정체가 밝혀졌다.[36] 겉보기 등급은 16.2이며 알파 삼각형자리에서 북서쪽으로 약 5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14]
5. 한국과 삼각형자리
죄송합니다. 이전 답변은 주어진 섹션 제목("한국과 삼각형자리")과 요약에 맞는 내용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빈 내용을 출력했습니다.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과 삼각형자리"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요약에서 언급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없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 하에서는 해당 섹션에 내용을 채울 수 없습니다.
6. 현대 천문학에서의 중요성
삼각형자리 은하(M33)는 국부은하군 연구에 중요한 천체이다. '거대 풍차 은하(great Pinwheel Galaxy)'라고도 불리는 나선은하로, 국부은하군의 일원이다. 290만 광년 떨어져 있고, 밝기는 5.8 등급으로, 충분히 어두운 하늘이라면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광공해가 있는 하늘이라면 소형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찾기는 어려우며, 표면이 어두워 배율을 낮추어야 한다.
삼각형자리에 위치한 다른 은하들은 모두 12 등급보다 어둡다. 가장 큰 은하는 10′크기에 12등급의 NGC 925 나선은하이고, NGC 672는 5′크기에 11.6 등급의 막대나선은하이다.
이처럼 삼각형자리에 위치한 다양한 천체들은 별의 진화, 은하의 구조 및 상호작용, 퀘이사와 같은 초기 우주 천체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조
[1]
논문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1998
[2]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ublications Inc.
1963
[3]
웹사이트
Triangulum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29
[4]
서적
Star Lore: Myths, Legends, and Facts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4
[5]
웹사이트
Triangulum Min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29
[6]
서적
Star-Hopping: Your Visa to Viewing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7]
서적
Guidebook to the Constellations: Telescopic Sights, Tales, and Myth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8]
논문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922
[9]
웹사이트
Triangulum,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3-05-24
[10]
서적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11]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12]
웹사이트
Beta Trianguli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9
[13]
논문
Coplanar Circumbinary Debris Disks
2012
[14]
서적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Aurum Press
1991
[15]
웹사이트
Gamma Trianguli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5-25
[16]
논문
Characterization of Dusty Debris Disks: The IRAS and Hipparcos Catalogs
2007-05
[17]
웹사이트
Delta Triangul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3-06-16
[18]
웹사이트
7 Trianguli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8-29
[19]
서적
Burnham's Celestial Handbook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1978
[20]
서적
David Levy's Guide to Variable Star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1]
논문
A Spectrophotometric Study of RW Trianguli
2004
[22]
웹사이트
R Trianguli – Variable Star of Mira Ceti type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7-21
[23]
웹사이트
XX Trianguli – Variable of RS CVn type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07-26
[24]
논문
Doppler imaging of stellar surface structure. XI. The super starspots on the K0 giant HD 12545: Larger than the entire Sun
1999
[25]
논문
The SOPHIE Search for Northern Extrasolar Planets: II. A Multi-planet System Around HD 9446
http://www.aanda.org[...]
2010
[26]
논문
A giant planet around the massive giant star HD 13189
http://www.aanda.org[...]
2005
[27]
웹사이트
The peculiar asymmetry of NGC 949
http://www.spacetele[...]
2015-06-14
[28]
논문
Hodierna's Observations of Nebulae and his Cosmology
1985-02
[29]
논문
Dwarf Galaxy Planes: the Discovery of Symmetric Structures in the Local Group
2013
[30]
논문
The Geometric Distance and Proper Motion of the Triangulum Galaxy (M33)
2005
[31]
간행물
NGC 604: Giant Stellar Nursery in M33
1996-08-16
[32]
논문
A Search for "Dwarf" Seyfert Nuclei. III. Spectroscopic Parameters and Properties of the Host Galaxies
1997-10
[33]
웹사이트
A distorted duo
https://www.spacetel[...]
2017-08-14
[34]
웹사이트
NGC 672
http://www.noao.edu/[...]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2003-10-20
[35]
논문
The NGC 672 and 784 galaxy groups: evidence for galaxy formation and growth along a nearby dark matter filament
2008
[36]
서적
Beyond Southern Skies: Radio Astronomy and the Parkes Telesc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