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성 갤럭시 GOS 성능 조작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갤럭시 GOS 성능 조작 사건은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의 성능을 의도적으로 제한한 사건이다. GOS(Game Optimizing Service)는 발열 관리를 명목으로 도입되었으나, 벤치마크 앱을 제외한 대부분의 앱에서 성능을 제한하여 소비자를 기만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로 인해 긱벤치는 갤럭시 S10부터 S22, 탭 S8까지의 제품군을 벤치마크 목록에서 제외했고, 공정거래위원회는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 소비자들은 집단 소송을 준비하고 불매 운동을 벌이는 등 강하게 반발했으며, 삼성전자 주가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건 - 자작극
    자작극은 본래 자신이 만든 연극에서 유래했지만, 현재는 남을 속이기 위해 꾸며낸 사건을 의미하며, 예술 형태로도 나타나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어 표현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의 균형이 필요하다.
  • 기업 범죄 - 뇌물
    뇌물은 권력 기구의 성립과 함께 직무 관련 부당한 이익을 주고받는 행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며 현대 사회에서는 불법으로 간주되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법률 제정,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 뇌물 방지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기업 범죄 - 미나마타병
    미나마타병은 일본 미나마타시에서 발생한 수은 중독 질환으로, 일본질소비료 공장에서 배출된 메틸수은이 원인이며,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고, 1968년 일본 정부는 이를 공해병으로 인정했다.
  • 삼성전자 - 박재완 (1955년)
    박재완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무직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국회의원을 거쳐 이명박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하고 퇴임 후에는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 삼성전자 - 고동진 (1961년)
    고동진은 1961년생으로 삼성전자에서 무선사업부 사장과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현재 국회의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한다.
삼성 갤럭시 GOS 성능 조작 사건
개요
사건 종류소비자 기만
관련 회사삼성전자
발생 기간2022년
관련 제품갤럭시 S22, 갤럭시 S21, 갤럭시 S20, 갤럭시 노트20, 갤럭시 Z 폴드3, 갤럭시 Z 플립3, 갤럭시 탭 S8
상세 내용
문제점삼성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 (Game Optimizing Service, GOS)의 성능 제한
내용삼성전자가 일부 갤럭시 스마트폰의 성능을 의도적으로 제한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된 논란이다.
GOS는 게임 실행 시 성능을 제한하여 발열을 억제하는 기능이지만, 게임뿐만 아니라 다른 앱에서도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GOS 우회 앱사용자들이 GOS 기능을 우회하여 성능 제한을 해제하는 앱을 사용했다.
경과
초기 대응삼성전자는 GOS가 발열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며, 소비자가 선택적으로 기능을 끌 수 있도록 업데이트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논란 확산GOS가 벤치마크 앱을 감지하여 성능 제한을 하지 않는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긱벤치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이 벤치마크 점수 조작으로 퇴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집단 소송소비자들은 삼성전자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결과 및 영향
삼성전자 입장GOS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주가 하락사건 이후 삼성전자의 주가가 하락했다.
이미지 손상삼성전자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 사건의 발단 및 전개

2. 1. 초기 GOS 문제 제기

GOS는 갤럭시 S7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미 예전부터 갤럭시로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GOS에 대한 불만이 꾸준히 있어왔다. 그러나 이때는 아직 크게 공론화되지는 못했다.[2]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화된 것은 갤럭시 S22 출시 이후이다.[2] GOS의 문제가 전자기기 고관심층 중심으로 차츰 사용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3], 이에 따라 SBS 산하 뉴미디어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스브스뉴스의 오목교 전자상가 시리즈에서 GOS 등의 문제에 대해 삼성전자 직원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4]

SBS 오목교 전자상가 - 삼성전자 직원 인터뷰
질문삼성전자 직원의 답변
갤럭시 제품들이 전통적으로 GPU 클럭 수가 낮다는 문제가 모바일 게임 커뮤니티 등에서 제기되고 있다.소비자 안전이 절대적인 기준이므로 가장 중요하다. 게임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기능이나 성능을 끌어내기 때문에 다소 타이트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내부적인 판단이 존재한다.
갤럭시 유저들 사이에서 GOS 끄는 법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 있다. GOS 비활성화 방법을 풀어줄 생각이 있는가?우리는 소비자 안전에 굉장히 집중하고 있으며 그 부분에 있어서 조금이라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다.



삼성전자 측의 해명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소비자 안전''''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이 해명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제품에 대한 의구심을 더 부채질하여 GOS 문제가 한국 대중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3]

유저들은 자체적으로 삼성 갤럭시 제품들의 벤치마크 치팅을 적발하기 시작했다. 벤치마크 앱인 Geekbench의 패키지명을 원신으로 바꾸고 테스트한 결과, 원래의 Geekbench 앱으로 돌린 결과보다 점수가 훨씬 낮게 나오는 것이 갤럭시 기기들에서 확인되었다.[5]

유저들은 또한 GOS의 apk 파일을 분석하여 GOS가 1만 개 이상의 앱 목록을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으며 이를 성능 조절에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데이터베이스상에는 카메라 앱, 넷플릭스 등 게임과 무관한 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아울러 기기 식별정보와 설치된 앱 목록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도 무단으로 수집해 삼성 서버에 전송한다는 문제도 지적되었다.[6]

이후 Geekbench의 개발사인 Primate Labs 측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확인하여 갤럭시 S10, S20, S21, S22, 갤럭시 탭 S8 등의 갤럭시 제품군을 벤치마크 목록에서 퇴출시켰다.[1]

2. 2. 언론 보도 및 사용자 반응

갤럭시 S7에서 처음 도입된 GOS는 이미 예전부터 갤럭시로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크게 공론화되지는 않았다.[2] 갤럭시 S22 출시 이후 GOS 문제가 전자기기 고관심층을 중심으로 사용자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3] SBS 산하 뉴미디어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스브스뉴스의 오목교 전자상가 시리즈에서 GOS 등의 문제에 대해 삼성전자 직원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4]

SBS 오목교 전자상가 - 삼성전자 직원 인터뷰[4]
질문삼성전자 직원의 답변
갤럭시 제품들이 전통적으로 GPU 클럭 수가 낮다는 문제가 모바일 게임 커뮤니티 등에서 제기되고 있다.소비자 안전이 절대적인 기준이므로 가장 중요하다. 게임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기능이나 성능을 끌어내기 때문에 다소 타이트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내부적인 판단이 존재한다.
갤럭시 유저들 사이에서 GOS 끄는 법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 있다. GOS 비활성화 방법을 풀어줄 생각이 있는가?우리는 소비자 안전에 굉장히 집중하고 있으며 그 부분에 있어서 조금이라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다.



삼성전자 측은 ''''소비자 안전''''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이용자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제품에 대한 의구심을 키워 GOS 문제가 한국 대중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3] 사용자들은 자체적으로 삼성 갤럭시 제품들의 벤치마크 치팅을 적발하기 시작했다. 벤치마크 앱인 Geekbench의 패키지명을 원신으로 바꾸고 테스트한 결과, 원래의 Geekbench 앱으로 돌린 결과보다 점수가 훨씬 낮게 나오는 것이 갤럭시 기기들에서 확인되었다.[5] 또한, 사용자들은 GOS의 apk 파일을 분석하여 GOS가 1만 개 이상의 앱 목록을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으며 이를 성능 조절에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데이터베이스상에는 카메라 앱, 넷플릭스 등 게임과 무관한 앱들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기기 식별정보와 설치된 앱 목록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도 무단으로 수집해 삼성 서버에 전송한다는 문제도 지적되었다.[6] 이후 Geekbench의 개발사인 Primate Labs 측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확인하여 갤럭시 S10, S20, S21, S22, 갤럭시 탭 S8 등의 갤럭시 제품군을 벤치마크 목록에서 퇴출시켰다.[1]

2. 3. 벤치마크 조작 의혹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발열 등에 따라 CPU/GPU 성능이 조절되는 스로틀링이 발생한다. 그러나 GOS는 스로틀링 감지가 아닌 앱 식별자를 기준으로 벤치마크 앱을 제외한 다른 앱에서 인위적으로 성능을 제한한다. 따라서 기기를 냉각해도 성능이 향상되지 않는다. GOS는 Geekbench, 3DMark 등의 벤치마크 앱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해제하여 성능이 좋은 것처럼 사용자를 속였다.[7]





갤럭시 Z 플립 3의 경우 GOS Off 상태에서 긱벤치 5 점수가 싱글 1007점, 멀티 3473점이지만, GOS On 상태에서는 싱글 265점, 멀티 1775점으로 성능이 크게 감소한다.[8] 갤럭시 탭 S8의 경우 GPU 클럭이 벤치마크에서는 818이지만 게임에서는 220으로 낮아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9]

2. 4. 긱벤치 퇴출

기기 성능 측정 벤치마크인 Geekbench는 GOS 적용 시 갤럭시 S22 Ultra의 싱글코어와 멀티코어 성능이 각각 '''53.9%, 64.2%'''만큼 낮아진다는 테스트 결과를 발표했다.[31]

Geekbench는 2022년 3월 5일에 공식적으로 삼성 갤럭시 S10, S20, S21, S22 제품군을 벤치마크 평가목록에서 영구적으로 제외시켰다.[32][33][1] 이후 2022년 3월 16일에는 삼성 갤럭시 탭 S8 제품군이 추가로 영구 퇴출되었다.[34][1] 이로써 삼성 갤럭시Geekbench에서 최다로 퇴출된 브랜드이자 최초로 태블릿이 퇴출당한 브랜드가 되었다.[35]

3. GOS의 문제점 및 논란

3. 1. 성능 조작 (벤치마크 치팅)

GOS는 발열 등이 아닌 앱 식별자를 기준으로 성능을 제한한다. 벤치마크 앱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풀어 기기의 성능이 좋은 것처럼 사용자를 기만하였다.[7]

예시로 갤럭시 Z 플립 3의 경우 GOS Off 상태에서는 긱벤치 5 점수가 싱글 1007점 및 멀티 3473점이지만, GOS On 상태에서는 싱글 265점 및 멀티 1775점으로 실성능이 크게 하락한다.[8] 갤럭시 탭 S8의 경우 GPU 클럭이 벤치마크에서는 818이지만 게임에서는 220으로, 성능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9]

3. 2. 구형 기기 성능 저하

갤럭시 S22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구형 기기들도 GOS 업데이트로 성능이 인위적으로 저하되었다. 긱벤치 측에서 공식적으로 성능 저하를 확인하고 퇴출시킨 기기들만 따져도 갤럭시 S10까지 포함되며[1], 그 외에도 여러 구형 갤럭시 기기들의 성능 저하가 사용자들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어느 순간 성능이 떨어진 구형 갤럭시 기기에서 GOS를 비활성화했더니 성능이 이전처럼 좋아졌다고 지적하고 있다.[10]

이처럼 발열 문제가 크지 않았던 구형 갤럭시 기기들까지 강제로 성능을 낮춘 것은 계획적 구식화, 즉 최신 스마트폰을 팔기 위한 목적일 것이라고 사용자들은 의심하고 있다. 최신 스마트폰의 성능 향상이 더디니 대신 구형 기기들의 성능을 낮추는 식으로 구매 수요를 늘린 것이라는 것이다.[10]

3. 3. 가짜 FPS 표시

삼성 갤럭시 기기로 게임을 플레이할 때, 실제 화면은 버벅거리지만 표기 FPS는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리뷰어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사용자들은 표기상 FPS는 50~60대인데 실제 체감은 20~40 FPS 수준이라고 지적했다.[11][12] 이 문제는 갤럭시 S21 시리즈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갤럭시 S22, S23, S24, 갤럭시 탭 S8 등에서도 여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1]

논란이 되자 삼성전자는 한국 삼성 커뮤니티 댓글을 통해, 초당 프레임 수를 증가시키는 '프레임 부스터' 기술이라고 설명했다.[13] 그러나 이 기능은 사용자의 명시적 설치나 고지 없이 기본 설치 및 활성화되어 있었고, 삼성은 논란 전에는 이를 공식적으로 홍보하거나 언급한 적이 없었다.

기능 비활성화 방법 또한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 '게임 플러그인'을 별도 설치 후 프레임 부스터 OFF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 절차를 따라도 기능이 비활성화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13][14] 프레임 부스터 OFF 설정 후 게임 우선모드를 켰다가 다시 꺼야 비활성화된다는 보고도 있다.[15]

일부 사용자들은 프레임 보간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도 의심한다. 프레임 보간이 제대로 된다면 입력 지연이 발생하더라도 화면은 부드러워야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고 심한 버벅임이 느껴지기 때문이다.[16] 이는 삼성이 거짓 해명을 한 것이거나, 완성도가 낮은 기능을 눈속임용으로 탑재했다는 의미가 된다.

3. 4. 화면 주사율 및 밝기 제한

삼성전자는 갤럭시 S22 시리즈가 최대 120Hz의 화면 주사율과 최대 1300nit(S22) 또는 1750nit(S22+)의 밝기를 제공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17] 그러나 실제로는 GOS 작동 시 주사율 및 밝기가 그보다 낮게 제한되어 논란이 되었다.[18]

3. 5. 비게임 앱 성능 제한

Geekbench 앱의 패키지명을 인스타그램으로 바꾸어 테스트한 결과, 갤럭시 기기에서 원래 Geekbench 앱으로 실행했을 때보다 낮은 점수가 나오는 것이 확인되었다.[19] 즉, 사용자들은 게임 앱뿐만 아니라 비게임 앱에서도 성능 제한이 있음을 확인했다. Geekbench 개발사 측에서도 갤럭시 기기에서 비게임 앱의 성능 저하를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은 비게임 앱에서는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았다고 주장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20]

3. 6. 개인정보 무단 수집 및 원격 조작 의혹

GOS를 분석한 결과, GOS가 기기 식별자 및 설치된 앱 목록 등 개인 정보를 무단 수집하여 삼성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원격으로 성능을 조작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6] 긱벤치 개발자인 John Poole도 이를 확인하고 공유하였다.[21]

섬네일


한국 표준시 기준 2022년 3월 3일까지 갤럭시 기기에서 비게임 앱의 성능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2022년 3월 4일 특정 시점[23]부터는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시점에 기기와 삼성 서버 간의 통신 트래픽 기록이 포착되어,[22] 삼성이 원격 패치, 소위 '잠수함 패치'를 통해 증거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2][6] 긱벤치 개발사는 2024년 3월 3일 갤럭시 기기에서 비게임 앱 성능 저하를 확인했으나 이후 확인이 불가능했던 점을 언급하며, 삼성이 확인 후 쓰로틀링을 제거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서버 측면의 작동이 문제 파악을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의혹과 벤치마크 치팅 혐의를 부정하고 있다.[24]

4. 삼성전자의 대응 및 논란

4. 1. 1차, 2차 공지

한국 표준시 기준 2022년 3월 3일 삼성 멤버스 커뮤니티에 첫번째 공지사항이 게시되었다.[25] 해당 공지사항에서 삼성전자는 GOS를 장시간 게임 실행 시 발열 방지를 위해 성능을 최적화하는 앱이라고 주장하였으며,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성능 우선 옵션'을 제공하는 SW 업데이트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공지사항 이후에도 소비자들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소비자들은 GOS를 통한 사전에 고지되지 않은 고의적인 성능 저하가 '속임수'라고 지적하고 있는 반면, 삼성은 한국어에서 부자연스러운 'Needs'라는 영어 단어 표현을 쓰며 사과나 해명 없이 SW 업데이트를 실시하겠다는 일방적 의사만 전달했기 때문이다.[26]

이후 해당 공지사항은 삭제되었다.

1차 공지는 삭제되고 추가 공지가 올라왔다.[27] 2022년 3월 4일에 게시된 2차 공지에서는 삼성이 몇 가지 해명을 덧붙였다.

이 공지에서 삼성은 GOS가 일반앱(비게임앱)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비게임앱의 성능은 제한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이미 비게임앱에서의 성능 저하를 확인했으며 Geekbench 개발사 측 또한 해당 사실을 확인했기에 삼성 측의 주장에 의문이 존재한다.[28][29]

왜 벤치마크에는 성능제한을 걸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벤치마크는 게임 앱이 아니므로 GOS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 공지는 여전히 'Heavy', 'VOC' 등 한국어에서 부자연스럽고 일반인은 알아듣기 힘든 업무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광고 속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제품에 대한 정당한 항의에 잘못을 인정하긴커녕, 전문가 또는 삼성 직원이나 알아들을 표현으로 변명 글을 두번이나 올린 것은 그 자체로 또 다른 소비자 무시라는 항의가 쏟아지고 있다.[30]

4. 2. 부적절한 해명

5. 여파 및 사회적 영향

공정거래위원회는 삼성전자가 '갤럭시 S22 시리즈'를 '역대 최고 성능'으로 홍보하면서, GOS 프로그램으로 인해 실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소비자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점에 대해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36] 이는 소비자를 오인하게 만들고 기만하는 허위과장광고에 해당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36]

공정위는 화면 주사율 및 밝기에 대해서도 최댓값으로 홍보하고 '소비자의 안전'을 이유로 제한을 건 행위 역시 표시광고법 상 '과장광고'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고 보았다.[37] 다만, '세계 최고' 등과 같은 최상급 표현은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하여 제재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37]

소비자들은 삼성전자의 GOS 성능 조작에 대해 "소비자 기만"이자 "사기"라며 강하게 비판했다.[38] 이러한 반응은 2015년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와 유사한 사건으로 인식되었으며, '300km/h로 달리는 스포츠카를 안전을 위해 100km/h로 제한한 것'과 같다는 비유가 등장했다.[38]

갤럭시 S22 소비자들은 '포르쉐를 100km/h로 속도 제한 걸면 당신은 사겠습니까'라는 배너를 걸고 집단 소송을 준비하는 네이버 카페를 개설했으며, 3월 4일 07:00 기준으로 1,300명 이상이 가입했다.[39] 일부 소비자들은 예약 구매를 취소하거나 집단 소송을 준비했으며,[40]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네이버 카페에서는 삼성전자에 대한 불매 운동을 지지하는 글들이 올라왔다.[40] 매장 관계자들은 GOS 관련 문의가 크게 늘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서울 소재 통신사 대리점에서는 예약 취소 인원이 발생했고, 한 대형 매장에서는 사전 판매량의 10%가 취소되었다고 밝혔다.[40] KMDA 관계자는 일부 이탈은 있으나 전체적인 변화는 없다고 밝혔지만, 대규모 이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왔다.[40][41]

이번 사태로 인해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별점은 2022년 3월 7일 04:04 기준으로 평균 2점대로 하락했으며, 일부 소비자들은 아이폰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 대한민국에서 애플 페이 사용 불가 등 OS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언급하며, 이번 사건으로 인해 큰 배신감을 느꼈다고 밝혔다.[42]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GOS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하며 불매 운동에 동참하는 청원이 올라왔다.[43]

Geekbench는 GOS 적용 시 갤럭시 S22 Ultra의 싱글코어와 멀티코어 성능이 각각 '''53.9%, 64.2%'''만큼 낮아진다는 테스트 결과를 발표했다.[31] 2022년 3월 5일, Geekbench는 공식적으로 삼성 갤럭시 S10, S20, S21, S22 제품군을 벤치마크 평가 목록에서 영구적으로 제외시켰다.[32][33][1] 이후 2022년 3월 16일에는 삼성 갤럭시 탭 S8 제품군이 추가로 영구 퇴출되었다.[34][1] 이로써 삼성 갤럭시Geekbench에서 최다로 퇴출된 브랜드이자 최초로 태블릿이 퇴출당한 브랜드가 되었다.[35]

5. 1.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공정거래위원회는 삼성전자가 '갤럭시 S22 시리즈'를 '역대 최고 성능'으로 홍보하면서, GOS 프로그램으로 인해 실제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소비자에게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점에 대해 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했다.[36] 이는 소비자를 오인하게 만들고 기만하는 허위과장광고에 해당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36]

공정위는 화면 주사율 및 밝기에 대해서도 최댓값으로 홍보하고 '소비자의 안전'을 이유로 제한을 건 행위 역시 표시광고법 상 '과장광고'에 해당될 소지가 있다고 보았다.[37] 다만, '세계 최고' 등과 같은 최상급 표현은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하여 제재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37]

5. 2. 소비자 집단 소송

소비자들은 삼성전자의 GOS 성능 조작에 대해 "소비자 기만"이자 "사기"라며 강하게 비판했다.[38] 이러한 반응은 2015년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와 유사한 사건으로 인식되었으며, '300km/h로 달리는 스포츠카를 안전을 위해 100km/h로 제한한 것'과 같다는 비유가 등장했다.[38]

갤럭시 S22 소비자들은 '포르쉐를 100km/h로 속도 제한 걸면 당신은 사겠습니까'라는 배너를 걸고 집단 소송을 준비하는 네이버 카페를 개설했으며, 3월 4일 07:00 기준으로 1,300명 이상이 가입했다.[39] 일부 소비자들은 예약 구매를 취소하거나 집단 소송을 준비했으며,[40]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네이버 카페에서는 삼성전자에 대한 불매 운동을 지지하는 글들이 올라왔다.[40] 매장 관계자들은 GOS 관련 문의가 크게 늘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서울 소재 통신사 대리점에서는 예약 취소 인원이 발생했고, 한 대형 매장에서는 사전 판매량의 10%가 취소되었다고 밝혔다.[40] KMDA 관계자는 일부 이탈은 있으나 전체적인 변화는 없다고 밝혔지만, 대규모 이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왔다.[40][41]

이번 사태로 인해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별점은 2022년 3월 7일 04:04 기준으로 평균 2점대로 하락했으며, 일부 소비자들은 아이폰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 대한민국에서 애플 페이 사용 불가 등 OS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언급하며, 이번 사건으로 인해 큰 배신감을 느꼈다고 밝혔다.[42]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GOS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하며 불매 운동에 동참하는 청원이 올라왔다.[43]

5. 3. 긱벤치 퇴출

Geekbench는 GOS 적용 시 갤럭시 S22 Ultra의 싱글코어와 멀티코어 성능이 각각 '''53.9%, 64.2%'''만큼 낮아진다는 테스트 결과를 발표했다.[31] 2022년 3월 5일, Geekbench는 공식적으로 삼성 갤럭시 S10, S20, S21, S22 제품군을 벤치마크 평가 목록에서 영구적으로 제외시켰다.[32][33][1] 이후 2022년 3월 16일에는 삼성 갤럭시 탭 S8 제품군이 추가로 영구 퇴출되었다.[34][1] 이로써 삼성 갤럭시Geekbench에서 최다로 퇴출된 브랜드이자 최초로 태블릿이 퇴출당한 브랜드가 되었다.[35]

5. 4. 정치권 반응

5. 5. 주가 하락

GOS 사태는 삼성전자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월 16일에 열린 삼성전자 주주총회를 앞두고 3월 6일부터 진행된 투표에서, 주주들은 이 사태로 인해 노태문 MX 사업부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에 대해 반대표를 던졌다.[44]

참조

[1] 뉴스 "'갤탭S8'도 결국…긱벤치, 삼성제품 연달아 '퇴출'"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24-10-29
[2] 뉴스 "발열 잡았다던 삼성 갤럭시 S22, '강제 성능 제한' 논란 일파만파" https://it.donga.com[...] IT동아 2024-10-27
[3] 뉴스 삼성은 왜 갤럭시 스마트폰 GOS를 포기하지 않았을까 https://www.sisain.c[...] 시사IN 2024-10-29
[4] Youtube 유튜브 영상 https://www.youtube.[...]
[5] 뉴스 "'갤럭시S22' 성능 저하 논란 속 주목받는 中 모바일 게임 '원신'의 정체는"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4-10-29
[6] 뉴스 삼성전자 해명에도 반발 여전…‘GOS 사태’, 대규모 소송 이어지나 https://www.asiatime[...] 아시아타임즈 2024-10-29
[7] 뉴스 "가장 강력한 폰이라더니"…갤S22 성능 저하 논란에 삼성 "즉시 개선"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2-04-16
[8] 뉴스 삼성 갤플립3에 'GOS' 적용되면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속도 수준 https://www.insight.[...] 인사이트 (언론) 2024-10-29
[9] Youtube 갤럭시탭 S8 울트라 성능 테스트 영상 https://www.youtube.[...]
[10] 뉴스 Samsung is artificially slowing down your Galaxy smartphone https://www.sammobil[...] SamMobile 2024-10-29
[11] Youtube 표기 FPS 조작 문제를 최초로 보고한 Golden Reviewer 유튜브 채널 영상 (S21 울트라) https://www.youtube.[...]
[12] 문서 IT기기 커뮤니티 유저의 보고글 https://meeco.kr/min[...]
[13] 문서 삼성 측 담당자의 답변 (한국 삼성 커뮤니티) https://r1.community[...]
[14] Youtube 리뷰어의 테스트 영상 https://www.youtube.[...]
[15] 문서 IT기기 커뮤니티 유저의 보고글 https://meeco.kr/min[...]
[16] 문서 의심을 제기하는 사용자들 (댓글) https://r1.community[...]
[17] 뉴스 "[인포그래픽] 스마트폰의 한계를 다시 뛰어넘다, 갤럭시 S22 시리즈" https://news.samsung[...] 삼성전자 뉴스룸 2022-04-16
[18] 뉴스 "[생생경제] \"삼성 갤럭시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GOS) 논란 어디로\"" https://www.ytn.co.k[...] YTN 2024-10-29
[19] 뉴스 SW 개선 약속했지만‥ 그칠 줄 모르는 삼성 GOS 논란 https://www.thelec.k[...] 디일렉 2024-10-29
[20] 뉴스 일파만파 '삼성 GOS 논란' 갤럭시S22 흥행 적신호 '깜빡'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4-10-29
[21] 트위터 긱벤치 개발자 John Poole이 X(트위터)에 남긴 메시지 https://x.com/i/web/[...]
[22] 뉴스 “보급형보다 못한 플래그십, 소비자 기만”…갤럭시S22 GOS 논란 ‘일파만파’ https://www.itbiznew[...] IT비즈뉴스 2024-10-30
[23] 문서 일부 사용자들의 보고에 따르면 오후 10시 근처. 그러나 모든 기기가 한꺼번에 통신을 하는 것은 아닐 것이므로 기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ttps://www.dogdrip.[...]
[24] 뉴스 삼성전자, GOS 잠수함 패치 의혹 반박... "고사양 게임에만 적용됐었다" https://www.newswork[...] 뉴스워커 2024-10-29
[25] 뉴스 "[두잇의 IT타임] 반쪽 성능 갤럭시S22…삼성전자 GOS 논란 해결책, 구매자 달랠까?" https://nownews.seou[...] 나우뉴스 2024-10-30
[26] 뉴스 "성능 우선 옵션 제공하겠다" 삼성전자 'GOS' 논란에 입 열었지만…소비자 반응 '싸늘' https://www.techm.kr[...] 테크M 2024-10-30
[27] 뉴스 일파만파 '삼성 GOS 논란' 갤럭시S22 흥행 적신호 '깜빡'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4-10-29
[28] 뉴스 눈사태처럼 커지는 S22 GOS 문제, 삼성 제시한 추가해법 적절한가? https://www.betanews[...] 베타뉴스 2024-10-30
[29] 문서 비게임 앱에까지 적용
[30] 뉴스 “고객Needs를…” 삼성 해명이 분노 더 키웠다… 홈피에 항의글 수천건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10-30
[31] 뉴스 게임하면 성능 저하… 갤럭시S22 ‘GOS’ 작동 논란 확산 https://segye.com/vi[...] 세계일보 2022-04-16
[32] 트위터 "[https://twitter.com/geekbench/status/1499879201066860554]" https://twitter.com/[...]
[33] 뉴스 "[ET] 갤럭시 S22 게임 켜면 성능 반토막?…GOS가 뭐기에?" https://news.kbs.co.[...] KBS 2022-04-16
[34] 뉴스 "'GOS' 논란 속에 갤탭S8은 긱벤치 평가목록서 빠져" https://moneys.mt.co[...] 머니투데이 2022-04-16
[35] 뉴스 갤럭시 S22 'GOS 논란', 결국 갤럭시 탭 S8도 피하지 못했다... 삼성 긱벤치서 최다 퇴출 제조사라는 불명예 안아! https://kr.aving.net[...] 에이빙뉴스 2024-10-30
[36] 뉴스 삼성 '갤S22 GOS 기능' 표시광고법 위반 의혹…공정위, 신고접수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03-07
[37] 뉴스 공정위, 갤럭시 S22 ‘GOS 논란’ 조사 착수 https://www.hani.co.[...] 한겨레 2022-03-07
[38] 뉴스 “스포츠카 샀는데 속도제한 한 격”…갤S22 성능 소비자 기만 논란 확산 https://www.hani.co.[...] 한겨레 2022-03-06
[39] 웹인용 "[두잇의 IT타임] 반쪽 성능 갤럭시S22…삼성전자 GOS 논란 해결책, 구매자 달랠까?" https://nownews.seou[...] 서울신문 2022-03-04
[40] 뉴스 “이건 사기다”…갤럭시 S22 유저들, 게임 성능 제한에 ‘부글부글’ https://www.asiatime[...] 아시아타임즈 2022-03-03
[41] 뉴스 "고객 10%가 취소했어요"…삼성 등돌린 갤럭시S22 고객들 https://www.asiatime[...] 아시아타임즈 2022-03-04
[42] 뉴스 성능 논란 갤럭시·반쪽짜리 아이폰… 선택지 없는 ‘폰 시장’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2-03-07
[43] 뉴스 “100만원 넘는 폰이 왜이래” 화들짝 놀란 삼성, 결국 백기? http://biz.heraldcor[...] 헤럴드경제 2022-03-04
[44] 뉴스 삼성전자 GOS에 뿔난 개미들…주주총회 안건 반대 등 집단행동 나섰다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2-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