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미셸역 (몬트리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미셸역 (Station Saint-Michel)은 몬트리올 지하철 파란색 5호선의 역으로, 몬트리올 생미셸 대로에 위치해 있다.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6량 편성의 열차에 대응하며, 필요시 9량까지 연장 가능하다. 역명은 인근 도로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굴착식으로 건설되었고, 벽화가 전시되어 있다. 생미셸역은 여러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심야 버스 및 노인 전용 셔틀 버스도 운행한다. 주변에는 프티마그레브, 생미셸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란색 선 (몬트리올) - 스노든역
스노든역은 몬트리올 지하철의 환승역으로, 파란색 선과 오렌지 선이 교차하며, 클로드 귀테의 벽화와 장-루이 보리외의 조각 격자가 설치되어 있고, 지역 지주 J. 스노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파란색 선 (몬트리올) - 아카디역
아카디역은 몬트리올 지하철 파란색 선의 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구조에 다양한 색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아카디아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되었고, 몬트리올 교통공사 버스 노선으로 환승 가능하며, 영화 촬영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 1986년 개업한 철도역 - 도봉역
도봉역은 서울 도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3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의정부, 광운대, 부천,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 - 1986년 개업한 철도역 - 도봉산역
도봉산역은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6년 '누원역'으로 개업 후 1988년 역명이 변경되었고, 7호선은 1996년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도봉산과 서울창포원 등의 시설이 있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생미셸역 (몬트리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생미셸 |
다른 이름 | Saint-Michel |
![]() | |
노선 | 파란색 선 |
개업일 | 1986년 6월 16일 |
운영 기관 | 몬트리올 교통공사 |
깊이 | 15.8m (33번째로 깊음) |
접근성 | 없음 |
ARTM 구역 | A |
승객 수 | }} |
운영 정보 | |
이전 역 | 디베르빌 |
설계 정보 | |
건축가 | Lemoyne & Associés |
2. 역 구조
이 역은 불바르 생미셸 양쪽에 출입구가 나있으며 아랫층에 하나의 개찰구로 연결되어있다. 9량 대응의 다른 파란색 선 승강장과는 달리 이 역 승강장은 6량 대응이다. 하지만 승강장 끝에 필요에 따라 9량 대응으로 늘여서 운행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파란색 선이 앙주로 연장할 경우 필요에 따라 9량 대응으로 증결 운행할 수 있다.[4]
역 이름은 동명의 인근 도로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이 지역은 예전에 코트생미셸 (Côte Saint-Michel)로 불리었으며 오늘날에는 생미셸 지역으로 자리잡았다.[5] 이 지역은 또한 몽테 생미셸 (Montée Saint-Michel), 슈망 뒤 생미셸 (Chemin du Saint-Michel), 슈망 뒤 소 (Chemin du Sault), 11번가 (11e Avenue) 등으로 알려졌다가 1969년에 불바르 생미셸로 자리잡았다.[5]
생미셸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굴착식으로 지어진 역 승강장은 끝 부분에 출구로 이어지는 익랑이 있으며 여기서 메자닌까지 이어지는 계단이 있다. 승강장 벽에는 노르망 모팻, 샤를 르메, 로레아 마루아, 마르셀랭 카디날 등이 그린 벽화 네 점이 각각 전시되어있다.[4]
익랑 층에는 메자닌으로 이어지는 계단과 에스컬레이터가 스노든 방면 승강장으로 바로 이어져있고 도착 승객들은 선상 다리를 건너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도록 하여 실용성을 더했다.[4]
생미셸 역은 생미셸 대로 양쪽에 입구가 두 개 있는 상대식 승강장 역으로, 공통 매표소로 연결된다.
3. 역명 유래
생미셸(Saint-Michel)은 대천사 미카엘에 대한 프랑스 가톨릭식 호칭이다. 기독교, 무슬림과 일부 유대교에서는 성 미카엘은 이스라엘의 수호자인 대천사로 알려져있으며, 기독교에서 미카엘은 가브리엘, 라파엘과 함께 지명된 대천사 중 한 명으로, 천상 군대의 지휘관으로 알려져있다.[5][6] 생미셸 대로는 18세기 후반부터 역이 위치한 옛 생미셸 시(Ville Saint-Michel)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버스 연결편
노선 종점 경유지 비고 41 생미셸 지역 / 엉식
↔ 포레스트 / 피뇌프소베역, 생미셸-몽레알노르역 평일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 67 생미셸 ↔ 졸리엣역 생미셸 / 앙리 부라사 매일 상시 운행 93 장 탈롱 ↔ 에버렛 / 피뇌프 파크역, 디베르빌역, 파브르역, 장 탈롱역 매일 상시 운행 141 장 탈롱 에스트 ↔ 오노레 보그랑역 생미셸역, 갈르리 당주 쇼핑몰 매일 상시 운행 188 쿠튀르 ↔ 쿠튀르 / 랑젤리에 생미셸역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253 생미셸 골드 셔틀버스 ↔ 르불바르 쇼핑센터 가브리엘 랄르망 공원 월/수/금 주간에만 운행
노인 전용 셔틀버스357 생미셸 ↔ 프롱트낙역 생미셸 / 앙리 부라사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72 장 탈롱 ↔ 모리스 뒤플레시 / 리비에르데프레리 나뮈르역, 디베르빌역, 파브르역, 장 탈롱역, 드카스텔노역, 파크역, 아카디역, 캐노라역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467 생미셸 급행 ↔ 졸리엣역 생미셸 / 앙리 부라사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행
4. 1. 일반 버스 노선
생미셸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 종점 | 경유지 | 비고 |
---|---|---|---|
41 | 생미셸 지역 / 엉식 ↔ 포레스트 / 피뇌프 | 소베역, 생미셸-몽레알노르역 | 평일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 |
67 | 생미셸 ↔ 졸리엣역 | 생미셸 / 앙리 부라사 | 매일 상시 운행 |
93 | 장 탈롱 ↔ 에버렛 / 피뇌프 | 파크역, 디베르빌역, 파브르역, 장 탈롱역 | 매일 상시 운행 |
141 | 장 탈롱 에스트 ↔ 오노레 보그랑역 | 생미셸역, 갈르리 당주 쇼핑몰 | 매일 상시 운행 |
188 | 쿠튀르 ↔ 쿠튀르 / 랑젤리에 | 생미셸역 |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 |
253 | 생미셸 골드 셔틀버스 ↔ 르불바르 쇼핑센터 | 가브리엘 랄르망 공원 | 월/수/금 주간에만 운행 노인 전용 셔틀버스 |
357 | 생미셸 ↔ 프롱트낙역 | 생미셸 / 앙리 부라사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372 | 장 탈롱 ↔ 모리스 뒤플레시 / 리비에르데프레리 | 나뮈르역, 디베르빌역, 파브르역, 장 탈롱역, 드카스텔노역, 파크역, 아카디역, 캐노라역 |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
467 | 생미셸 급행 ↔ 졸리엣역 | 생미셸 / 앙리 부라사 |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행 |
4. 2. 심야 버스 노선
생미셸역에서 심야 시간에 이용 가능한 버스 노선은 357번 생미셸과 372번 장 탈롱이다.357번 생미셸 버스는 생미셸 / 앙리 부라사에서 프롱트낙역까지 운행하며, 생미셸역을 경유하여 남쪽으로는 보비앙, 로즈몽, 마송, 디베르빌 / 뒤몽루아얄, 디베르빌 / 라셸, 뒤아브르 / 생트카트린느를 거쳐 프롱트낙역에 도착한다. 북쪽으로는 크레마지, 자리, 소베, 앙리 부라사를 경유한다.
372번 장 탈롱 버스는 나뮈르역에서 모리스 뒤플레시 / 리비에르데프레리까지 운행하며, 생미셸역을 경유하여 동쪽으로는 장 탈롱 / 피뇌프, 비오, 드라송시옹, 라코르데르, 랑젤리에, 데갈르리 당주, 자리, 봄바르디에, 르노드 라푸앵트, 콜베르 / 래리, L. J. 포르제 / 앙리 부라사, 아르망 봄바르디에 / 앙리 부라사, 모리스 뒤플레시, 페라스, 로돌프 포르제, 리비에르데프레리를 거쳐 모리스 뒤플레시 / 리비에르데프레리에 도착한다. 서쪽으로는 디베르빌역, 파브르역, 장 탈롱 / 크리스토프 콜롬브, 장 탈롱역, 드카스텔노역, 파크역, 아카디역, 그레이엄 / 록랜드, 캐노라역, 장 탈롱 / 레이어드, 루세른, 빅토리아를 거쳐 나뮈르역에 도착한다.
4. 3. 급행 버스 노선
41번 버스는 평일 오전 5시 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하며, 소베역을 경유하여 생미셸 지역 / 엉식과 포레스트 / 피뇌프 구간을 운행한다. 67번 버스는 매일 상시 운행하며, 졸리엣역 방면은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앙리 부라사역 방면은 오후 2시부터 오후 9시까지 최대 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생미셸 / 앙리 부라사와 졸리엣역 구간을 운행한다. 93번 버스는 매일 상시 운행하며, 파크역과 에버렛 / 피뇌프 구간을 운행한다. 141번 버스는 매일 상시 운행하며, 평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양방향 최대 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생미셸역과 오노레 보그랑역을 잇는 장 탈롱 에스트 노선이다.188번 버스는 평일 러시 아워에만 운행하며, 생미셸역과 쿠튀르 / 랑젤리에 구간을 운행한다. 253번 버스는 월/수/금 주간에만 운행하는 노인 전용 셔틀버스로, 가브리엘 랄르망 공원과 르불바르 쇼핑센터 구간을 운행한다. 357번 버스는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하며, 생미셸 / 앙리 부라사와 프롱트낙역 구간을 운행한다. 372번 버스는 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하며, 나뮈르역과 모리스 뒤플레시 / 리비에르데프레리 구간을 운행한다. 467번 버스는 평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운행하며, 생미셸 / 앙리 부라사와 졸리엣역 구간을 운행하는 급행 노선이다.
4. 4. 노인 전용 셔틀 버스
생미셸역에서는 253번 오르 생미셸 셔틀 (Navette Or Saint-Michel)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버스는 노인 전용 셔틀버스로, 가브리엘 랄르망 공원에서 르불바르 쇼핑센터 구간을 운행한다.253번 버스는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주간에만 운행하며, 북쪽 방면으로는 생미셸 도서관, 슈퍼 C, 새미 프루츠, CLSC 생미셸, 생미셸 로즈몽 노인 커뮤니티 센터, 데자르댕, 조르주 베르노 수영장, 앙드레 코르노 아파트, 데카리에르 아파트, 장 쿠튀, 에마우스 아파트, 브뤼쉐시 아파트를 경유한다. 남쪽 방면으로는 생미셸 아파트, 생마티유 커뮤니티 센터, 로르 코난 아파트, 가브리엘 사가르 아파트를 경유한다.
5. 인접한 역
6. 주변 명소
생미셸역 근처에는 마그레브 지역 이민자 밀집 지역인 프티마그레브 (Petit-Maghreb)가 있다. 또한 생미셸 도서관, 몬트리올 시 행정 센터, 조셉 프랑수아 페로 학교 (École Joseph-François-Perrault, 몬트리올 교육청 소관), 존 F. 케네디 학교 (John F. Kennedy High School, 영어권 몬트리올 교육청 소관), 프랑수아 페로 공원 (Parc François-Perrault)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are Zones
https://www.artm.que[...]
2022-07-01
[2]
웹사이트
Saint-Michel Metro Station
http://www.stm.info/[...]
[3]
웹사이트
Blue line extension
http://www.stm.info/[...]
2019-11-14
[4]
웹인용
Métro Saint-Michel : Architecture
http://metrodemontre[...]
2019-05-20
[5]
웹인용
La toponymie
http://ville.montrea[...]
2019-05-11
[6]
웹인용
성 미카엘
https://terms.naver.[...]
최성희
2019-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