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 정씨는 송나라에서 고려로 건너온 정신보의 후손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정인경은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판삼사사를 지냈으며 서산군에 봉해졌다. 주요 인물로는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의병장인 정인홍과 제14대 국회의원 정기호가 있다. 조선 시대에 문과 5명, 무과 4명의 급제자를 배출하였으며, 광주광역시 서구,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함양군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서산 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문 이름 | 서산 정씨 |
한자 표기 | 瑞山鄭氏 |
관향 | 충청남도 서산시 |
기원 | 한국 |
시조 | |
시조 | 정신보 (鄭臣保) |
중시조 | 정인경(鄭仁卿) |
창성 시조 | (정응충)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정인홍 |
집성촌 | |
집성촌 |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충청북도 영동군 황금면 죽전리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덕암리 경상남도 합천군 전라남도 장성군 |
통계 정보 | |
2000년 인구 | 15,362명 |
순위 | 285위 |
기타 정보 | |
관련 웹사이트 | 서산정씨대종회 |
2. 역사
원조 정신보(鄭臣保)는 송나라에서 상서형부원외랑(尙書刑部員外郞)에 올랐다가 1237년에 고려로 건너와 서산(瑞山)에 정착했다.[4]
시조 정인경(鄭仁卿)은 정신보의 아들로 1254년(고종 41)에 문과에 급제하고 1299년(충렬왕 25)에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어 정조사(正朝使)로 원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그 후 추성정책안사공신(推誠定策安社功臣) 벽상삼중대광광정대부(壁上三重大匡匡靖大夫) 도검의중찬(都僉議中贊) 상장군(上將軍) 판전이사사(判典理司事)가 되었고 서산군(瑞山君)에 봉해졌다. 또한 원나라 황제로부터 무덕장군정동성이문관(武德將軍征東省理問官)에 임명되기도 하였다.[5]
2. 1. 주요 가문
3. 본관
4. 인물
- 정인홍(鄭仁弘, 1535년 ∼ 1623년) : 조선 중기의 학자·의병장·정치가이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큰 공을 세웠으나, 대북의 영수로서 정치적 격변기에 극단적인 주장을 펼쳐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정기호(鄭璣浩, 1942년 ~ )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등 여러 정당에 몸담았으며, 주로 경상남도 지역에서 활동했다.
4. 1. 고려
정인홍(1535년 ~ 1623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 의병장, 정치가이다. 정기호(1942년 ~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4. 2. 조선
4. 3. 현대
정기호(1942년 ~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정인홍(1535년 ~ 1623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 의병장, 정치가였다.5. 과거 급제자
서산 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명, 무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 문과
정결(鄭潔)
정성량(鄭成良)
정인함(鄭仁涵)
정희(鄭僖)
정희렴(鄭希廉)
; 무과
정구서(鄭龜瑞)
정석정(鄭錫禎)
정인서(鄭麟瑞)
정제룡(鄭霽龍)
; 생원시
정결(鄭潔)
정기(鄭沂)
정림(鄭琳)
정인홍(鄭仁弘)
정인흡(鄭仁洽)
정지교(鄭之僑)
정함(鄭涵)
정희렴(鄭希廉)
정희립(鄭希立)
정희익(鄭希益)
; 진사시
정경징(鄭景徵)
정동오(鄭東五)
정복진(鄭復振)
정승렬(鄭昇烈)
정연(鄭埏)
정옥(鄭沃)
정옹(鄭滃)
정완(鄭琬)
정인준(鄭仁濬)
정인함(鄭仁涵)
정제(鄭濟)
정척(鄭滌)
5. 1. 문과
서산 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명을 배출하였다.인물 |
---|
정결(鄭潔) |
정성량(鄭成良) |
정인함(鄭仁涵) |
정희(鄭僖) |
정희렴(鄭希廉) |
5. 2. 무과
서산 정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정구서(鄭龜瑞)
- 정석정(鄭錫禎)
- 정인서(鄭麟瑞)
- 정제룡(鄭霽龍)
5. 3. 생원시
서산 정씨는 조선시대 생원시 합격자로 정결(鄭潔), 정기(鄭沂), 정림(鄭琳), 정인홍(鄭仁弘), 정인흡(鄭仁洽), 정지교(鄭之僑), 정함(鄭涵), 정희렴(鄭希廉), 정희립(鄭希立), 정희익(鄭希益)이 있다.5. 4. 진사시
서산 정씨는 조선시대에 여러 명의 진사시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정경징(鄭景徵)
- 정동오(鄭東五)
- 정복진(鄭復振)
- 정승렬(鄭昇烈)
- 정연(鄭埏)
- 정옥(鄭沃)
- 정옹(鄭滃)
- 정완(鄭琬)
- 정인준(鄭仁濬)
- 정인함(鄭仁涵)
- 정제(鄭濟)
- 정척(鄭滌)
6. 집성촌
광주광역시서구 서창동, 경상북도김천시 대덕면 추량리, 경상남도함양군 지곡면 덕암리,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인곡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이천리, 전라남도장성군 장성읍, 충청북도영동군 황간면 죽전리,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미천리[3] 등지에 서산 정씨 집성촌이 있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서산 정씨 瑞山鄭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5
[3]
웹사이트
정씨(鄭氏) 본관(本貫) 서산(瑞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8
[4]
서적
여와집
[5]
서적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