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용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용선은 대한민국의 미술가로, 서울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동 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독일 표현주의와 프란시스 베이컨 등의 서구 미술을 한국적 양식과 결합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으며, 도시 환경 속 인간성을 표현하는 작품과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는 역사 연작으로 알려져 있다. 2009년 대한민국 올해의 예술가로 선정되었으며,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조각가 - 장욱진
장욱진은 충청남도 연기군 출신의 한국 화가로, 단순하고 순수한 화풍으로 일상적인 소재를 표현하여 한국적인 정서를 담아낸 작품 활동을 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양주시에 장욱진미술관이 건립되었다. - 대한민국의 조각가 - 윤효중
윤효중은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조각가로, 배재고보와 도쿄미술학교를 졸업 후 문전과 선전에서 수상하며 활동하다 광복 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창설에 참여했으며, 이충무공 동상 등 기념 동상과 여러 작품을 남겼으나 친일 작품 제작 행적으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화가 - 윤석남
윤석남은 자연과 여성을 주제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실험하며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이는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가로, 1985년 '시월모임' 결성을 통해 한국 여성주의 미술 운동의 시작을 알렸고 국제적인 무대에서도 활동하며 여성의 삶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화가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서용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수상 |
2. 생애
서용선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다가 2008년에 물러난 후, 2009년 대한민국 올해의 예술가로 선정되어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2] 1995년 미국 버몬트주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2006년과 2010년에는 호주 멜버른의 모나쉬 대학교에 초청되었다. 2003년에는 파리 대학교, 2001년에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3][4]
2. 1. 교육 및 교수 활동
서용선은 1975년부터 1982년까지 서울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했으며, 1986년부터 2008년까지 같은 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했다.[1] 교수직에서 물러난 후 2009년 대한민국 올해의 예술가로 선정되어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2]1995년 미국 버몬트주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2006년과 2010년에는 호주 멜버른의 모나쉬 대학교에 초청받았다. 2003년에는 파리 대학교, 2001년에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했다.[3][4]
3. 작품 세계
서용선은 독일 표현주의[5]와 프란시스 베이컨의 영향을 받아 한국 전통 양식과 결합하는 예술을 선보였다. 1980년대 초 소나무 연작을 그리다가, 이후 사회적, 역사적 주제로 전환했다. "초상화, 풍경, 역사, 전쟁, 신화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지만, 도시 환경에서 인간성을 표현하는 작품, 그리고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는 역사 연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2] 뉴욕과 베를린에서의 경험은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그림은 종종 가면을 쓴 듯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도시 풍경을 보여준다.[6]
3. 1. 서구 미술의 영향과 한국적 양식의 결합
서용선은 독일 표현주의[5]와 프란시스 베이컨과 같은 유럽의 영향을 받아 한국 전통 양식과 결합하는 예술을 선보였다.1980년대 초, 그는 소나무 연작을 그리기 시작했고, 몇 년 후 사회적, 역사적 주제로 전환했다. 그는 "초상화, 풍경, 역사, 전쟁, 신화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지만, 도시 환경에서 인간성을 표현하는 작품, 그리고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는 역사 연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2]
뉴욕과 베를린 방문은 그의 그림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그림은 종종 대략적으로 묘사된 가면을 쓴 듯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도시 풍경을 보여준다.[6]
3. 2. 주요 주제: 도시, 역사, 인간
1980년대 초 그는 소나무 연작을 그리기 시작했다. 몇 년 후 그는 사회적, 역사적 주제로 전환했다.[2]그는 이후 "초상화, 풍경, 역사, 전쟁, 신화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지만, 도시 환경에서 인간성을 표현하는 작품, 그리고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는 역사 연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2]
뉴욕과 베를린 방문은 그의 그림에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그림은 종종 대략적으로 묘사된 가면을 쓴 듯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도시 풍경을 보여준다.[6]
4. 주요 전시
| 연도 | 전시명 | 장소 | 국가 |
|---|---|---|---|
| 2011 | Festart | 오사카 | 일본 |
| 2011 | galerie son | 베를린 | |
| 2010 | 눈 위의 꽃 | 대전시립미술관 | 대한민국 |
| 2009 | 올해의 작가 | 국립현대미술관 | 대한민국 |
| 2009 | 미래를 기억하다 | 박수근 미술관 | 대한민국 |
| 2009 | 새로운 시대의 시작 | 국립현대미술관 | 대한민국 |
| 2005 | Crecloo Art Gallery | 미국 뉴욕 | |
| 2004 | 일민미술관 | 대한민국 | |
| 2004 | 광주 비엔날레 | 대한민국 | |
| 2001 | 주(駐) 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문화부 | 독일 베를린 | |
| 2001 | 이동 미술관 | 국립현대미술관 | 대한민국 |
| 2001 | 서울시립미술관 | 대한민국 | |
| 2001 | 한국 현대 미술: 회화의 복권 | 국립현대미술관 | 대한민국 |
| 2001 | Exposition de echanges interuniverstaires 2001 | Galerie Bernanos | 프랑스 파리 |
| 2000 | 한국 현대 미술 | 유네스코 궁전 | 레바논 베이루트 |
| 1999 | 한국 현대 미술 - 자연의 소리 | Triangle Gallery | 캐나다 앨버타 캘거리 |
| 1996 | '96 서울 미술 전시회 | 서울시립미술관 | 대한민국 |
| 1995 | 한중(韓中) 미술 교류전 | 예술의 전당 | 대한민국 |
| 1993 | 자화상 드로잉 | Swan Gallery | 미국 뉴욕 |
| 1990 | 표현과 상상력 | 동방미술관 & 로스앤젤레스 아트 코어 갤러리 | 미국 |
| 1987 | 제19회 Cagnue 국제 회화전 | 프랑스 Cagnue |
5. 공공 미술 프로젝트
서용선은 여러 공공 미술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1년 철암 광산 마을 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했고,[1] 2007년에는 철암에서 공공 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벽화 디렉터를 맡았다.[1] 2008년에는 트라이 앵글 프로젝트 디렉터를 역임했으며,[1] 2009년에는 베를린에서 "세상의 벽" 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했다.[1]
6. 수상
| 연도 | 수상 |
|---|---|
| 2014년 | 제26회 이중섭 미술상 |
| 2009년 |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
7. 출판
| 제목 | 출판사 | 발행년도 | 비고 |
|---|---|---|---|
| 1975-2007 서용선 I,II,III | 갤러리 604 | 2010 | 부산 |
| 2009 올해의 작가 서용선 | 국립현대미술관 | 2009 | 과천 |
| 서용선 | 아트 비방, 시공사 | 1994 | 서울 |
참조
[1]
Naver people
서용선
http://people.search[...]
[2]
웹사이트
'Artist of the Year 2009' - Seo Young-Sun
http://www.moca.go.k[...]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2011-04-02
[3]
웹사이트
Suh Yong-sun
http://www.goethe.de[...]
Goethe-Institut
2011-04-02
[4]
웹사이트
Suh Yongsun
http://suhyongsun.co[...]
Suh Yongsun
2011-04-02
[5]
웹사이트
"The Wall in the World": The Far-Eastern Iron Curtain
http://www.goethe.de[...]
Goethe-Institut
2011-04-02
[6]
웹사이트
Suh Yongsun
http://www.galerie-s[...]
Galerie Son
2011-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