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가정법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가정법원은 대한민국의 가정 관련 소송 및 심판을 담당하는 법원이다. 1963년 10월 1일 서울가정법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이전에는 경성소년심판소, 서울소년심리원, 서울지방법원 소년부지원, 서울형사지방법원 소년부지원의 역사를 거쳤다. 주요 조직으로는 향소부, 항고부, 합의부, 가사소송단독 등이 있으며, 사무국에는 총무과, 종합민원실 등이 있다. 역대 법원장과 수석부장판사 명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가정법원 - 수원가정법원
    수원가정법원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하여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용인시의 가정법원 사건을 관할하고 성남, 여주, 평택, 안산, 안양지원을 관할하며, 특히 소년보호사건은 경기도 내 19개 시·군 지역의 사건을 본원에서 모두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가정법원 - 인천가정법원
    인천가정법원은 2016년 3월 1일에 개원하여 인천광역시를 관할 구역으로 가사·가족관계등록, 소년 보호 재판 업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재판부와 총무과, 가사과로 구성되어 있다.
  • 서울 서초구 소재의 관공서 -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중앙지방법원은 1895년 한성재판소로 설립, 여러 차례 명칭 변경 및 분리·통합을 거쳐 200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일부 지역을 관할하고 민사, 형사, 파산 재판부를 두고 국선변호 전담변호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서울 서초구 소재의 관공서 - 법원행정처
    법원행정처는 대한민국 법원의 사법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사법 제도 연구를 통해 사법부의 효율성과 투명성 향상을 추구하지만,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으로 논란이 있었다.
  • 1963년 설립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선거를 관리하는 독립 헌법기관으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 정당 및 정치자금 관리, 민주시민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선거 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 1963년 설립 - 도치기 방송
    도치기 방송은 도치기현을 대상으로 하는 중파 라디오 방송국으로, 간토 지방 독립 방송국들과 교류하며 JRN/NRN 계열 프로그램도 방송하고, 도치기 TV 설립 참여 및 FM 보완 중계국 운영, 흑우 교도소 방송 제작 등 지역 사회 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가정법원
기본 정보
개요
종류가정법원
관할 구역서울특별시
설치 근거법원조직법 제29조
상세 정보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 246 (우)06737
대표 전화02-2055-8000
홈페이지서울가정법원 홈페이지
연혁
개원1963년 10월 1일

2. 연혁

2. 1. 서울가정법원 이전

2. 2. 서울가정법원

1942년 3월 25일 경성소년심판소, 1945년 10월 11일 경성소년심판소가 설치되었다. 1947년 1월 1일 서울소년심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8년 6월 1일 서울지방법원 소년부지원, 1949년 8월 15일 서울지방법원 소년부지원, 1963년 7월 1일 서울형사지방법원 소년부지원을 거쳐 1963년 10월 1일 서울가정법원으로 승격되었다.

3. 조직

향소부, 항고부, 합의부, 가사소송단독, 소년단독, 가정보호단독, 가족관계등록비송단독, 가사조정단독, 가사조정위원회가 있다.

=== 사무국 ===

서울가정법원의 사무국에는 총무과, 종합민원실, 가사과, 가족관계등록과, 조사관실이 있다.

3. 1. 재판부

향소부, 항고부, 합의부, 가사소송단독, 소년단독, 가정보호단독, 가족관계등록비송단독, 가사조정단독, 가사조정위원회가 있다.

3. 2. 사무국

서울가정법원의 사무국에는 총무과, 종합민원실, 가사과, 가족관계등록과, 조사관실이 있다.

4. 역대 법원장

순번이름재임기간주요 경력
권한대행권순영1963년 9월 30일 ~ 1963년 11월 6일수석부장판사
1대기세훈1963년 11월 7일 ~ 1968년 12월 2일청주지방법원에서 전보
2대강안희1968년 12월 3일 ~ 1971년 9월 9일서울민사지방법원장으로 전보
3대한만수1971년 9월 10일 ~ 1973년 3월 24일대구지방법원장, 광주고등법원장 임명
4대윤운영1973년 3월 24일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서울형사지방법원장으로 전보
5대장순룡1975년 10월 1일 ~ 1980년 5월 24일서울민사지방법원장에서 전보, 광주고등법원장 임명
6대한만춘1980년 5월 25일 ~ 1981년 4월 20일
7대박우동1981년 4월 21일 ~
8대김달식1983년 9월 1일 ~
9대김용준1984년 7월 20일 ~ 1988년 7월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10대홍성운1988년 7월 20일 ~ 1991년 1월 24일전주지방법원장에서 전보
11대김승진1991년 2월 ~ 1992년 8월 11일대구지방법원장, 서울민사지방법원장으로 전보
12대이정락1992년 8월 12일 ~ 1993년 2월 5일인천지방법원장
13대김주상1993년 2월 5일
14대이재화1993년 2월 22일 ~대전지방법원
15대최공웅1993년 ~ 1994년 2월
16대정지형1994년 2월 23일 ~ 1994년 7월 20일광주지방법원장에서 전보
17대지홍원~ 1995년 2월 20일광주고등법원장으로 승진
18대안문태1995년 2월 ~수원지방법원장에서 전보
19대김종배1999년 2월 23일 ~ 1999년 4월 27일정년 퇴임
20대정용인1999년 4월 28일 ~ 1999년 10월 11일인천지방법원장, 대전고등법원장 승진
21대신명균1999년 10월 12일 ~ 2000년 7월 20일창원지방법원장, 사법연수원장에서 전보
22대이융웅2000년 7월 28일 ~
23대신정치2001년 2월 12일 ~ 2002년 2월 7일대전지방법원장, 대전고등법원장으로 승진
24대강완구2002년 2월 8일 ~ 2003년 2월 11일대구고등법원장으로 승진
25대황인행2003년 2월 12일 ~
26대송기홍2004년 2월 11일 ~ 2005년 7월 11일정년 퇴임
27대이동흡2005년 8월 5일 ~ 2005년 11월 3일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수원지방법원장으로 전보
28대양동관2005년 11월 4일 ~ 2006년 6월
29대이호원2006년 8월 24일 ~ 2008년 2월 12일
30대이윤승2008년 2월 13일 ~ 2009년 1월 23일
31대유원규2009년 2월 9일 ~ 2009년 9월 9일
32대김용균2009년 9월 10일 ~ 2010년 2월서울행정법원장 겸직
33대김대휘2010년 2월 11일 ~ 2011년 2월 16일의정부지방법원장
34대김용헌2011년 2월 17일 ~ 2012년 9월 6일대전지방법원장, 광주고등법원장 승진
35대황찬현2012년 9월 7일 ~ 2013년 3월 31일대전지방법원장, 서울중앙지방법원장으로 전보
36대박홍우2013년 4월 1일 ~ 2014년 1월대전고등법원장으로 승진
37대최재형2014년 2월 13일 ~ 2015년 2월 11일대전지방법원장,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복귀
38대여상훈2015년 2월 12일 ~ 2017년 2월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복귀
39대성백현2017년 2월 ~ 2019년 2월
40대김용대2019년 2월 ~ 2021년 2월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41대김인겸2021년 2월 ~ 2023년 2월
42대최호식2023년 2월 ~


5. 역대 수석부장판사


  • 김선종 2004년 2월 18일 ~ 2006년 2월 19일
  • 김홍우 2006년 2월 20일 ~ 2008년 2월 20일
  • 안영길 2008년 2월 21일 ~ 2011년 2월 27일
  • 손왕석 2011년 2월 28일 ~ 2013년 2월 24일
  • 노정희 2013년 2월 25일 ~ 2015년 2월 11일
  • 민유숙 2015년 2월 12일 ~ 2016년 2월 10일
  • 허부열 2016년 2월 11일 ~ 2017년 2월 8일
  • 이은애 2017년 2월 9일 ~ 2018년 8월 29일
  • 이태수 2018년 8월 30일 ~ 현재

참조

[1] 뉴스 동아일보 1963-09-30
[2] 뉴스 동아일보 1963-1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