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무공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선무공신(宣武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우거나 후방에서 지원한 공로로 1604년(선조 37년)에 책봉된 공신입니다.
선무공신 등급 및 명단선무공신은 1등, 2등, 3등으로 나뉘며, 총 18명이 책봉되었습니다.


  • 1등 공신 (3명): 효충장의적의협력 선무공신(孝忠仗義迪毅協力 宣武功臣)
  • 이순신(李舜臣)
  • 권율(權慄)
  • 원균(元均)

  • 2등 공신 (5명): 효충장의협력 선무공신(效忠仗義協力 宣武功臣)
  • 신점(申點)
  • 권응수(權應銖)
  • 김시민(金時敏)
  • 이정암(李廷馣)
  • 이억기(李億祺)

  • 3등 공신 (10명): 효충장의 선무공신(效忠仗義 宣武功臣)
  • 정기원(鄭期遠)
  • 권협(權鋏)
  • 유사원(柳思瑗)
  • 고언백(高彦伯)
  • 이광악(李光岳)
  • 조경(趙儆)
  • 권준(權俊)
  • 이순신(李純信)
  • 기효근(奇孝謹)
  • 이운룡(李雲龍)

선무공신의 의미와 특전선무공신은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들을 기리기 위해 책봉되었습니다. 선무공신에게는 등급에 따라 본인, 부모, 처자에게 품계를 올려주고, 토지, 노비 등을 하사하는 등 다양한 특전이 주어졌습니다.
선무원종공신선무공신 외에도, 임진왜란에서 공을 세웠으나 선무공신에 포함되지 않은 인물들을 위해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이 책봉되었습니다. 선무원종공신은 총 9,060명으로, 1등 559명, 2등 3,510명, 3등 4,939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무원종공신에는 종친, 관리, 평민, 노비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포함되었습니다.
참고 자료

  • 선무공신은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웠거나 명나라에 병량주청사신(兵糧奏請使臣)으로 가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어졌습니다.
  • 임진왜란 이후 책봉된 공신은 선무공신, 호성공신, 청난공신 등이 있습니다.
  • 현대에는 공신 제도가 없지만, 훈장, 포장 등을 수여받거나 국가유공자로 지정되는 것이 유사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무공신
선무공신(宣武功臣)
훈호선무공신(宣武功臣)
분야군사, 정치
시대조선
수훈임진왜란
개요
정의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주어진 훈호
선발 기준어가를 호종한 자
군사를 일으켜 적을 섬멸한 자
무기를 만들어 군수품을 조달한 자
특징3등급으로 나누어 녹훈
공신들에게는 토지와 노비 지급
초상화 제작 및 공신각에 봉안
선무공신 목록
1등공신이순신
권율
원균
2등공신신점
이정암
조효원
김응남
김시민
이억기
최호
고언백
정기원
권응수
유숭인
이운룡
김완
정충신
박명현
3등공신김경봉
각성
강홍립
고경명
곽재우
김덕령
김세준
김신원
김흥우
남이신
노직
유사원
유극량
윤승훈
이광악
이대원
이몽학
이봉
이상질
이시언
이시해
이응표
이종성
이즙
정사제
정현룡
조경
조익
최경회
한효순
황진
관련 자료
관련 문헌선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