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베드로 광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베드로 광장은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광장으로, 성 베드로 대성전 앞에 위치한다. 1656년부터 1667년까지 교황 알렉산데르 7세의 명으로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재설계했으며, 바티칸 궁전에서 교황의 강복을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광장 중앙에는 기원전 13세기에 세워진 이집트 오벨리스크가 있으며, 베르니니는 이를 중심으로 광장을 설계했다. 광장은 타원형으로, 열주랑과 분수, 그리고 140개의 성인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를 통해 산탄젤로 다리까지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 베드로 대성당 - 피에타 (미켈란젤로)
미켈란젤로의 피에타는 죽은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1498년에서 1500년 사이 제작된 대리석 조각상으로, 피라미드 구도, 젊은 성모, 절제된 수난 표현이 특징이며 성 베드로 대성당에 전시, 방탄 유리로 보호되고 있다. -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건축물 - 스칼라 레지아 (바티칸)
스칼라 레지아는 바티칸에 위치한 건축물 또는 장소에 대한 명칭으로, 여러 주제를 다루며 하위 주제와 세부 하위 주제로 구성될 수 있다. - 바티칸 시국-이탈리아 국경 - 라테라노 조약
라테라노 조약은 1929년 이탈리아 왕국과 교황청 간에 체결되어 "로마 문제"를 해결하고 바티칸 시국을 건립하여 교황청의 독립적인 주권을 보장하는 조약으로, 1984년 개정을 통해 가톨릭교회가 이탈리아 국가의 유일한 종교라는 조항이 삭제되었다.
성 베드로 광장 | |
---|---|
개요 | |
![]() | |
로마자 표기 | Piazza San Pietro |
위치 | 바티칸 시국 |
좌표 | 41°54′08″N 12°27′26″E |
상세 정보 | |
유형 | 도시 광장 |
설계자 | 잔 로렌초 베르니니 |
라틴어 명칭 | Forum Sancti Petri |
이탈리아어 명칭 | Piazza San Pietro |
2. 역사
교황 알렉산데르 7세의 명령에 따라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1656년에서 1667년까지 성 베드로 광장을 다시 설계했다. 베르니니는 최대한 많은 사람이 교황의 강복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의 앞마당을 설계했다. 그는 카를로 마데르노의 궁전 같은 입면과 경쟁하지 않기 위해 도리스식 토스카나 주식을 사용했지만, 공간에 어울리는 경외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거대한 비례를 사용했다.
광장 부지는 기존 구조물들 때문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바티칸 궁전 부속 건물들이 밀집해 있었고, 교황의 아파트들을 가리지 않도록 구성해야 했다. 중앙에는 오벨리스크가, 광장 한쪽에는 카를로 마데르노가 만든 화강암 분수[14]가 있었다. 베르니니는 분수가 타원의 초점처럼 보이게 하였고,[15] 1675년 그의 사망 5년 전에 옆자리에도 분수를 하나 더 만들었다. 대성전을 떠나는 방문자들에게 원근법적 효과를 높임으로써 훌륭한 솜씨의 바로크 극장으로 칭송받은 광장의 사다리꼴 형태는 부지 제약으로 말미암은 큰 성과였다.
광장 중앙에는 붉은 회강암으로 이루어진 이집트 오벨리스크가 세워져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네로 경기장에 있다가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의 지시로 도메니코 폰타나가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18] 이 탑을 옮기는 작업에는 수백 필의 말과 수천 명의 근로자가 동원되었고, 밧줄에 불이 붙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한 선원의 기지로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이 선원은 성지주일에 성 베드로 대성전에 종려나뭇잎을 공급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다.[18]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는 로마에서 유일하게 한 번도 쓰러진 적이 없는 오벨리스크다. 중세에는 오벨리스크 꼭대기 금속 공 안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골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폰타나는 먼지만 발견했다.[19] 베르니니는 오벨리스크를 광장 중앙에 두고 꼭대기에 십자가를 설치하여 그리스도교의 승리를 나타냈다. 1817년에는 오벨리스크 그림자를 이용해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둥근 돌들이 배치되어 거대한 해시계 역할을 하게 되었다.
성 베드로 대성전은 “화해의 길”이라는 뜻의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로 통하는 대로를 따라 산탄젤로 다리까지 이어져 있다.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는 1929년에 로마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가 체결한 라테란 조약을 기념하고자 1937년에 착공하여 1950년 대희년을 맞아 개통되었다. 비아 델라 콘칠리아치오네 양편에는 아름다운 건물들이 나지막하게 줄지어 있고 그 길이 끝나는 곳에 베르니니가 설계한 성 베드로 광장이 나타난다.[20] 한때 광장으로 가는 이 대로를 점유하던 중세 시대 아파트 700여 채는 1936년 10월 23일 베니토 무솔리니에 의해 철거가 시작되었으며, 1937년 10월 8일에 완전히 파괴되었다. 오늘날에는 산탄젤로 성에서도 성 베드로 대성전을 쉽게 볼 수 있다.
2. 1. 열주랑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교황 알렉산데르 7세의 명을 받아 1656년부터 1667년까지 성 베드로 광장을 다시 설계했다. 베르니니는 카를로 마데르노의 성 베드로 대성전 입면과 경쟁하지 않도록 도리스식 토스카나 주식(柱式)을 사용하면서도, 웅장함을 더하기 위해 거대한 비례를 적용했다.광장 부지는 기존 건물들 때문에 제약이 있었지만, 베르니니는 열주랑을 통해 공간에 질서를 부여했다. 그는 오벨리스크와 카를로 마데르노가 만든 분수를 타원의 초점처럼 보이게 배치하고, 1675년에는 또 하나의 분수를 추가했다. 광장의 사다리꼴 형태는 원근법적 효과를 높여 바로크 극장과 같다는 칭송을 받았다.
거대한 토스카나식 열주랑은 네 개의 기둥으로 깊숙이 들어간 틀을 이루며,[16] 대성전과 타원형 영역에 사다리꼴 모양의 입구를 형성한다. 타원의 장축은 대성전 입면에 평행하여 전진하는 운동의 연속을 중단시킨다. 베르니니는 열주랑이 ‘어머니 같은 팔’로 방문객을 에워싼다고 표현했다. 남쪽으로는 바르베리니 정원이, 북쪽으로는 열주랑이 바티칸 건물들을 가린다.
타원 중앙에는 붉은 회강암 이집트 오벨리스크가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기원전 13세기에 세워져 칼리굴라 황제가 네로 경기장으로 옮겼고,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의 명으로 도메니코 폰타나가 현재 위치로 옮겼다.[18] 오벨리스크를 옮기는 작업에는 수백 필의 말과 수천 명의 근로자가 동원되었으며, 밧줄에 불이 붙는 위험한 상황도 있었지만 한 선원의 기지로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이 선원은 성지주일에 성 베드로 대성전에 종려나뭇잎을 공급하는 권한을 받았다.[18]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는 로마에서 유일하게 한 번도 쓰러진 적이 없는 오벨리스크다. 중세에는 오벨리스크 꼭대기 금속 공 안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골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폰타나는 먼지만 발견했다.[19] 베르니니는 오벨리스크를 광장 중앙에 두고 꼭대기에 십자가를 설치하여 그리스도교의 승리를 나타냈다.
1817년에는 오벨리스크 그림자를 이용해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둥근 돌들이 배치되어 거대한 해시계 역할을 하게 되었다.
베르니니는 광장을 폭 240m의 타원형으로 완성하고, 4열로 늘어선 총 372개의 석주와 140구의 성인상으로 광장을 둘러쌌다. 그는 콜로세움에서 영감을 받아 광장을 거대한 극장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베르니니는 광장 설계를 통해 팔을 벌린 인체에 대성당과 광장을 겹쳐 표현하며, "모든 교회의 어머니"인 성 베드로 대성전이 어머니처럼 양팔을 벌려 신자들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형상화했다.[9][10]
베르니니는 Ponte Sant'Angelo|산탄젤로 다리영어에 10명의 천사를 배치하여, 수난과 고통을 생각하며 성지로 향하는 신자들을 맞이하게 했다. 광장 안의 특정 장소에서는 4열의 기둥이 겹쳐 보여 닫힌 공간이면서도 세계로 열린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이 장소는 '기둥 중심(centro del colonnato)'이라는 표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2. 2. 오벨리스크
타원의 중앙에는 붉은 회강암으로 이루어진 이집트 오벨리스크가 세워져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25.5m 높이의 청동 사자들로 지탱되고 있으며, 맨 위에는 십자가 있고, 키지 가문의 청동 문장이 그 위에 올려져 있어 전체 높이는 41m에 달한다. 기원전 13세기에 세워진 이 오벨리스크는 원래 헬리오폴리스에 세워졌었다.서기 37년, 황제 칼리굴라는 이 오벨리스크를 네로 경기장의 중앙 스피나로 옮겨 세웠다. 네로 경기장은 현재 대성전의 왼쪽에 남아 있다.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의 지시로 기술자 겸 건축가인 도메니코 폰타나가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18]
이 탑을 옮기는 작업에는 수백 필의 말과 수천 명의 근로자가 동원되었고, 굵은 나무와 밧줄, 안전목 등이 사용되었다. 무게가 320톤이나 되는 이 거대한 돌덩이를 세우는 것은 무척이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작업이었다. 그 광경을 지켜보는 사람들은 어떤 소리도 내서는 안 된다는 엄명이 떨어졌다. 그러나 작업을 시작하자 밧줄과 밧줄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불이 붙었다. 그대로 작업을 계속하면 밧줄도 끊어지고 탑도 넘어질 것이 뻔했다. 모두가 아무 말도 못하고 그 광경을 바라보고만 있었는데, 그때 한 사람이 “밧줄에 물을 부으시오!”라고 외쳤다. 선원이었던 그 남자는 사태의 심각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해결 방법도 알고 있었다. 그의 말에 따라 즉시 밧줄에 물이 부어졌고, 근로자들은 아무 사고 없이 그 일을 마칠 수 있었다. 자신의 목숨을 내어 놓고 고함을 지른 용감한 선원은 처벌 대신 교황으로부터 성지주일에 성 베드로 대성전에 종려나뭇잎(성지가지)을 공급할 수 있는 권한을 상으로 받았다. 그의 후손들은 오늘날까지도 그 특권을 누리고 있다.[18]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는 로마에서 유일하게 한 번도 쓰러진 적이 없는 오벨리스크이기도 하다. 중세 때에는 사람들 사이에서 오벨리스크 꼭대기에 있는 금으로 된 공 안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골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야기가 떠돌았다.[19] 나중에 폰타나는 오벨리스크 꼭대기에 있었고 먼지만 발견된 고대의 금속 공을 제거했다(현재는 로마 미술관에서 보관 중).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오벨리스크를 세우는 작업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그는 이 구조물을 자신의 웅장한 광장 한가운데에 두었다. 오벨리스크의 꼭대기에는 십자가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이교도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승리와 다스림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석회화에 있는 방사선에 따라 안에서 자갈들이 되었을 것들을 안정시키기 위한 포석이 많이 있다. 정오에 태양이 황도의 각 표지에 들어갈 때 오벨리스크의 그림자 끝을 표시하고자 1817년에 둥근 돌들을 배치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오벨리스크는 거대한 해시계의 바늘 역할을 하게 되었다.
2. 3. 베르니니의 설계 의도
교황 알렉산데르 7세의 명령에 따라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1656년에서 1667년까지 성 베드로 대성전 앞 광장을 다시 설계했다. 베르니니는 교황이 강복하는 모습을 최대한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의 앞마당을 만들고자 했다.[4] 그는 수십 년 동안 성 베드로 광장의 실내 설계를 맡았으며, 마침내 자신의 유명한 열주랑을 통해 광장에 질서를 부여했다.[5][6]베르니니는 카를로 마데르노의 궁전 같은 입면과 경쟁하지 않기 위해 도리스식 토스카나 주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공간에 적합하고 경외감을 불러일으키도록 전에 없는 거대한 비례를 사용했다. 광장 부지는 기존 구조물들 때문에 많은 제약을 받았는데(오른쪽 그림 참조), 바티칸 궁전 부속 건물들이 밀집해 있었고, 교황의 아파트들을 가리지 않도록 구성해야 했다.[7] 중앙에는 오벨리스크가, 광장 한쪽에는 카를로 마데르노가 만든 화강암 분수가 있었다.[7] 베르니니는 분수가 타원의 초점처럼 보이도록 하였고,[8] 1675년 그의 사망 5년 전에 옆자리에 분수를 하나 더 만들었다.
거대한 토스카나식 열주랑과 네 개의 기둥은[9] 대성당과 그 앞에 있는 타원형 영역에[10] 사다리꼴 모양의 입구를 이룬다. 대성전 입면에 평행인 타원의 장축은 전진하는 운동의 연속을 중단시킨다. 사다리꼴 입구와 대조되는 광장의 타원형 중앙부는 베르니니의 표현에 따르면 ‘어머니 같은 팔’로 방문객을 에워싼다. 남쪽으로는 열주랑이 공간을 정의하고, 북쪽에서는 바티칸 건물들을 희미하게 만든다.
베르니니는 광장을 폭 240m에 달하는 거대한 타원형으로 완성했다. 광장을 둘러싼 4열의 석주 위에는 140구의 성인상이 있다. 베르니니는 콜로세움에서 영감을 받아 성 베드로 광장을 거대한 극장 공간으로 변모시키려 했다. 그는 설계 당시 스케치에서 팔을 벌린 인체에 대성당과 광장을 겹쳐 그렸다. 베르니니는 전 세계에서 구원을 찾아 광장에 모이는 신자들의 심정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산탄젤로 다리에 10명의 천사를 배치하여,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수난과 자신의 고통을 생각하며 성지로 향하도록 했다. 고통스러운 수난의 길 끝에는 거대한 타원형 광장이 기다리고 있다.
베르니니는 특정 장소에서 보면 벽에 늘어선 기둥이 포개져 광장 바깥이 깨끗하게 보이는 장치를 만들었다. 4열의 기둥은 어떤 장소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세워져 있었다. 베르니니는 닫혀 있으면서도 세계가 열려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참조
[1]
서적
St. Peter's in the Vatic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
서적
Bernini: His Life and His Ro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3]
서적
The Renaissance in Italy: Architecture • Sculpture • Frescoes
Viking Press
1969
[4]
서적
1975
[5]
서적
St. Peter's in the Vatic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6]
서적
Bernini: His Life and His Ro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7]
문서
교황 바오로 5세의 명령으로 1613년 설립됨
1613
[8]
간행물
Roma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9]
문서
성 베드로 대성당의 기둥과 장식에 대한 설명
[10]
문서
타원형 광장의 크기
[11]
간행물
Roma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12]
웹사이트
Outline of St. Peter's, Old St. Peter's, and Circus of Nero
https://web.archive.[...]
[13]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14]
문서
교황 바오로 5세의 명령으로 1613년 만들어짐
1613
[15]
간행물
Roma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16]
문서
성 베드로 대성당의 기둥과 장식에 대한 설명
[17]
문서
타원형 광장의 크기
[18]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19]
간행물
Roma e Dintorni
Touring Club Italiano
[20]
서적
로마 똘레랑스의 제국
(주)살림출판사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