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내동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내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대구성의 동쪽에 위치하여 이름 붙여졌다. 1998년 봉산동과 동성동이 통합되어 성내1동이 되었으며, 이후 남성동, 북성동, 서성동, 달성동이 통합되어 현재의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으로 구성되었다. 성내동은 18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구읍성과 관련된 지명 및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의 행정 구역 변천사를 거쳤다. 주요 시설로는 교육 시설, 교통 시설, 문화 및 상업 시설, 주거 시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 대봉동
대봉동은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동으로, 1917년 봉덕동과 대명동의 일부가 대구부에 편입되면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한때 남구에 속했으나 현재는 중구에 속하며, 대구불교방송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 동성로 (대구)
동성로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과거 대구읍성 성곽 자리에 조성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지나가고, 대구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성내동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성내1동 |
한자 표기 | 城內1洞 |
영문 표기 | Seongnae 1(il)-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90 |
세대 | 2,401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4975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봉산동 덕산동 사일동 남일동 동성로3가 동문동 문화동 공평동 동성로2가 태평로1가 교동 용덕동 상덕동 완전동 포정동 동성로1가 북성로1가 화전동 |
통 | 13 |
반 | 75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3길 87 |
홈페이지 | 성내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성내2동 |
한자 표기 | 城內2洞 |
영문 표기 | Seongnae 2(i)-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76 |
세대 | 2,872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4498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장관동 상서동 수동 덕산동 종로1가 종로2가 동일동 남일동 전동 동성로3가 수창동 태평로3가 서성로1가 하서동 남성로 계산동1가 계산동2가 동산동 서성로2가 포정동 서문로1가 서내동 북성로2가 대안동 태평로2가 북성로1가 화전동 향촌동 북내동 |
통 | 14 |
반 | 81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415길 48 |
홈페이지 | 성내2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성내3동 |
한자 표기 | 城內3洞 |
영문 표기 | Seongnae 3(sam)-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중구 |
면적 | 0.79 |
세대 | 2,147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4725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도원동 수창동 태평로3가 인교동 서야동 서성로1가 시장북로 동산동 서문로2가 달성동 |
통 | 12 |
반 | 67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3길 32-10 |
홈페이지 | 성내3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성내동은 1998년 행정동 통합으로 탄생했으며, 각 동은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성내1동은 대구역과 반월당역을 중심으로 동성로 등 상권이 발달한 지역이며[1], 성내2동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약령시, 경상감영공원, 계산성당 등 역사 문화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2] 성내3동은 달성공원과 북성로 공구골목 등이 있는 주상복합 지역이다.[3]
성내1동은 대구읍성 동쪽에 위치했다는 의미의 동성동(東城洞)과 현재 대구제일중학교 자리에 있던 봉산(鳳山)을 중심으로 한 봉산동이 1998년 통합되어 형성되었다. 봉산은 여러 이름으로 불렸는데, 산의 모양이 자라를 닮아 자래바우산, 또는 연귀산, 운귀산으로도 불렸다. 조선 순종 때 정오를 알리는 오포(午砲)를 쏘았다고 하여 오포산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정월대보름 달맞이 명소여서 월견산(月見山)이라고도 했다. 현재의 봉산이라는 이름은 약 200년 전, 한 부부가 산의 자라바위에 공을 들여 봉황 꿈을 꾸고 아들을 낳았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4][5]
이 외에도 대구읍성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 동문이 있던 자리는 동문동(東門洞), 동문 밖 첫 동네는 동일동(東仁洞), 남문 안 첫 동네는 남일동(南一洞)이라 불렀으며, 읍성의 동쪽 길은 동성로, 북쪽 길은 북성로가 되었다. 왕골밭이나 용둣골 같은 순우리말 지명은 한자식 이름인 완전동(莞田洞), 용덕동(龍德洞)으로 바뀌었다. 대구향교가 1833년 현재의 남산동으로 이전하기 전에 있었던 곳이라 하여 교동(校洞)이라는 지명이 생겼고, 활을 쏘는 사정(射亭)이 있었다 하여 사일동(射一洞), 대구지방법원이 위치하여 공평하게 일을 처리하라는 의미로 공평동(公平洞)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4][5]
=== 행정 구역 변천 ===
연도 | 행정 구역 |
---|---|
1894년 이전 | 대구도호부 동상면(東上面), 서상면(西上面) 일부 |
1895년 | 대구부 대구군 동상면 |
1896년 |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
1910년 |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
1911년 | 대구부 (일본식 동명 제정: 동문정, 남욱정, 동성정, 남용강정, 동본정, 행정, 영정, 궁정, 남정, 동천대전정, 북용강정, 북욱정, 수정, 남성정, 하서정, 서성정, 서천대전정, 명치정, 시장정, 경정, 덕산정 등) |
1947년 4월 1일 | 일본식 동(町) 명칭을 한국식 동(洞)으로 개칭 (아래 표 참조) |
1949년 8월 15일 | 대구시 동성동, 봉산동 |
1953년 4월 1일 | 대구시 종로출장소, 중부출장소 봉산동 |
1963년 1월 1일 | 대구시 중구 동성동, 봉산동 |
1965년 2월 1일 | 교동을 동성동에 통합 |
1980년 4월 1일 | 종로동의 사일동, 남일동, 동일동, 동성로3가를 동성동에 편입 |
1981년 7월 1일 | 대구직할시 중구 동성동, 봉산동, 북성동 |
1995년 1월 1일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동, 봉산동, 북성동, 달성동 |
1998년 1월 1일 | 봉산동과 동성동을 성내1동으로 통합 |
1998년 9월 14일 | 남성동과 북성동을 성내2동으로 통합, 서성동과 달성동을 성내3동으로 통합 |
구 행정구역 (일본식 정(町)) | 신 행정구역 (한국식 동(洞) 또는 로/가) |
---|---|
대구부 명치정1·2정목, 본정1·2정목, 서성정1·2정목, 경정1·2정목, 원정1·2정목, 금정1·2정목, 동성정1~3정목 | 대구부 계산동1·2가, 서문로1·2가, 서성로1·2가, 종로1·2가, 북성로1·2가, 태평로2·3가, 동성로1~3가 |
대구부 팔운정, 수정(壽), 시장정, 북내정, 횡정, 시장북통, 서내정, 남성정, 수정(竪), 달성정, 팔중원정, 덕산정, 대화정, 동천대전정, 서천대전정, 동운정, 행정, 궁정, 삼립정, 남용강정, 북용강정, 남정, 동본정, 남욱정, 북욱정, 전정(田), 전정(前), 영정, 봉산정, 촌상정, 칠성정, 상정, 동문정, 상서정, 하서정, 신정, 남산정, 대봉정 | 대구부 수창동, 수동, 동산동, 북내동, 서야동, 시장북로, 서내동, 남성로, 인교동, 달성동, 도원동, 덕산동, 대안동, 동일동, 장관동, 동인동, 태평로1가, 사일동, 삼덕동, 공평동, 완전동, 남일동, 교동, 문화동, 상덕동, 화전동, 전동, 용덕동, 봉산동, 향촌동, 칠성동, 포정동, 동문동, 상서동, 하서동, 대신동, 남산동, 대봉동 |
성내동의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3. 법정동
3. 1. 성내1동
성내1동은 대구역, 반월당역과 6개의 간선도로가 연결되는 대구 교통의 중심지이다. 동성로, 봉산문화거리, 패션주얼리거리, 야시골목 등이 있어 젊음과 패션의 거리로 알려져 있다. 대구백화점, 동아백화점, 롯데백화점 등 주요 상권이 발달하여 낮과 밤 모두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1]
3. 2. 성내2동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한약 약종상, 떡전골목, 공구상가, 수제화 골목 등 전문 업종 상가들이 밀집해 있으며, 금융과 유통 등 대구의 중심 상업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약령시, 경상감영공원, 계산성당, 제일교회, 이상화 고택 등 많은 문화재와 유서 깊은 명물거리가 있어 도심 속에서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이다. 현재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종로 진골목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근대골목투어 코스로 전국의 많은 관람객들이 찾고 있다.[2]
3. 3. 성내3동
성내3동은 달성동의 주거 밀집 지역과 북성로를 중심으로 한 명물 거리가 함께 있는 전형적인 주상복합 지역이다. 북성로 명물 거리에는 오토바이, 산업공구, 중기, 타월, 신발 등을 취급하는 특색 있는 상업 골목들이 밀집해 있다. 관내에는 달성공원과 삼성상회 옛 터, 옛 KT&G(구 전매청) 부지가 자리 잡고 있다. 옛 KT&G 부지에는 문화창조발전소가 건립되었으며,[3] 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창조발전소 주변 지역이 재개발되었다.
4. 주요 시설
성내동은 대구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교통, 상업, 문화 시설이 밀집된 지역이다. 대구역, 반월당역 등 주요 교통 시설과[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교차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2] 동성로를 중심으로 한 상권이 발달했으며[1], 대구 약령시, 경상감영공원, 계산성당 등 역사·문화 자원도 풍부하다.[2] 또한 달성공원과 같은 휴식 공간 및 주거 시설도 갖추고 있다.[3]
4. 1. 교육 시설
4. 2. 교통 시설
성내1동은 대구역과 반월당역이 위치하며, 6개의 주요 간선도로가 연결되는 대구 교통의 중심지이다.[1] 성내2동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2]4. 3. 문화 및 상업 시설
성내1동은 대구역, 반월당역 및 6개의 간선도로가 연결되는 대구 교통의 중심지이다. 이곳에는 동성로, 봉산문화거리, 패션주얼리거리, 야시골목 등이 형성되어 있어 젊음과 패션의 거리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구백화점, 동아백화점, 롯데백화점 등 주요 백화점들이 위치하여 상권이 활발하며, 주간과 야간 모두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1]성내2동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교통, 상업, 금융, 유통의 중심 역할을 하는 상업지역이다. 한약 약종상 거리, 떡전골목, 공구상가, 수제화 골목 등 다양한 전문 업종 상가들이 밀집해 있다. 문화적으로는 약령시, 경상감영공원, 계산성당, 제일교회, 이상화 고택 등 다수의 문화재와 유서 깊은 명물거리가 자리하고 있어 도심 속에서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현재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종로 진골목 개발이 진행 중이며, 근대골목투어 코스가 운영되어 전국에서 많은 관람객들이 방문하고 있다.[2]
성내3동은 달성동의 주거 밀집 지역과 북성로를 중심으로 한 명물거리가 공존하는 주상복합 지역이다. 북성로 명물거리에는 오토바이, 산업공구, 중장비, 타월, 신발 등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상점들이 모여 있다. 관내에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인 달성공원과 삼성상회의 옛 터가 위치해 있다. 또한, 과거 KT&G(구 전매청)가 있던 부지에는 문화창조발전소가 건립되었으며, 이 주변 지역은 도심재생 사업을 통해 새롭게 정비되었다.[3]
4. 4. 주거 시설
wikitext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달성파크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 달성지구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중구 달성로 123 (달성동) | 2023년 6월 | |
힐스테이트 도원센트럴 | 현대건설 | 도원개발㈜ | 중구 태평로 50 (도원동) | 2024년 4월 | |
힐스테이트 대구역 센트럴 | ㈜포스시티 | 중구 태평로28길 13 (태평로2가) | 2023년 11월 | ||
힐스테이트 달성공원역 | ㈜우리자산신탁 | 중구 태평로 39 (태평로3가) | 2024년 10월 | ||
청라언덕역 서한포레스트 | ㈜서한 | ㈜다건이엔씨 | 중구 달구벌대로 2021 (동산동) | 2022년 10월 | |
대구역 센트럴자이 | 지에스건설㈜ | KT&G | 중구 서성로 99 (수창동) | 2017년 10월 | |
대구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 | 제일건설㈜ | ㈜웰메이드개발 | 중구 달성로26길 70 (수창동) | 2023년 9월 |
참조
[1]
웹인용
성내1동 지명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2]
웹인용
성내2동 지역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3]
웹인용
성내3동 지역특성
https://www.jung.dae[...]
2022-04-01
[4]
서적
건들바위
대구중구문화원
1998
[5]
웹인용
성내1동 유래 및 연혁
http://www.jung.daeg[...]
2021-09-19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