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로역 (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로역은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이다.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98년 5월 2일 완전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되었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역이 전소되어 192명이 사망하는 등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여 영업이 중단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31일 복구되어 정상 영업을 재개했다. 지하 3층 규모의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역 중 승강장이 가장 좁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의 전철역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대구 중구의 전철역 - 서문시장역
    서문시장역은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으로, 서문시장에서 역명이 유래되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중앙로역 (대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심행 승강장, 2016년 10월
안심행 승강장, 2016년 10월
한국어 역명중앙로역
한자 역명中央路驛
로마자 표기Jungangno Station
부역명시청, 중구청·에듀윌 공무원 아카데미
주소대구광역시 중구 성내동
운영 정보
노선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2선
개업일1997년 11월 26일
역 번호131
운영 기관대구교통공사
노선 정보
영업 거리설화명곡역 기점 13.8 km
이전 역130 반월당
다음 역대구역 132
역간 거리0.7 km

2. 역명

중앙대로에 역이 위치하며, 대구광역시의 중심가인 중앙로와 동성로에 걸쳐 있어 '''중앙로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부역명은 '''에듀윌 공무원학원'''이다.[6] 과거 부역명으로 '메트로안과'가 있었으나 2017년 9월 4일에 삭제되었다. 이후 2018년 1월 1일부터 '비엘성형외과피부과의원'이라는 부역명이 새로 표기되었으나, 이 역시 계약 만료로 삭제되고 현재의 부역명 '''에듀윌 공무원학원'''으로 변경되었다.

3. 역사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98년 5월 2일 1호선 전 구간이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2003년 2월 18일에는 김대한의 방화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하여 역 운영이 중단되는 큰 사건을 겪었다. 이 참사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역 시설이 전소되어 한동안 열차 운행이 중단되고 중앙대로 일부 구간의 차량 통행이 통제되기도 했다. 이후 복구 작업을 거쳐 같은 해 10월 21일에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이 재개되었고,[7] 12월 31일부터는 역 시설 복구가 완료되어 정상적인 영업을 다시 시작했다. 참사 이후 안전 시설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스크린도어, 엘리베이터 등 편의 및 안전 시설이 보강되었다.

3. 1. 연표

3. 2.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2월 18일, 김대한의 방화로 인해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하여 중앙로역이 완전히 불에 타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참사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48명이 부상당하는 등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당시 중앙로역은 회차선이 설치된 운전역이자 관리역이었기 때문에, 이 사건으로 중앙로역을 포함한 인근 역들의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또한, 역 구조물의 안전 문제가 제기되면서 중앙대로의 반월당네거리 ~ 중앙네거리 구간과 중앙네거리 ~ 대구역네거리 구간의 차량 통행(시내버스 포함)이 한동안 전면 통제되기도 했다.

참사 이후 복구 작업이 진행되어 2003년 10월 21일에는 주변 선로가 복구되었고, 열차는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식으로 운행이 재개되었다.[7] 이후 역 시설 전체가 완전히 복구되어 2003년 12월 31일부터 정상적인 영업을 다시 시작했다.

참사를 계기로 안전 시설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2009년 5월 29일에는 동대구역, 반월당역과 함께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또한 2010년 6월 1일에는 엘리베이터가 새로 설치되었고, 중앙지하상가와 연결되는 출구에는 에스컬레이터와 캐노피가 설치되어 이용객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했다.

4. 역 구조

지하 3층 규모의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대구 도시철도의 모든 역 중에서 승강장이 가장 좁게 건설되었다. 승강장 벽면 색상은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이전에는 빨간색이었으나, 현재는 다른 색으로 변경되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앙로역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모습. 2003년 화재 참사 당시에는 스크린도어가 없었다.

4. 1. 승강장

wikitext

방면노선행선지
상행-- 1호선반월당 · 상인 · 설화명곡 방면
하행-- 1호선대구역 · 동대구역 · 안심 · 하양 방면


  •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5. 역 주변

6. 사진

안심 방면 승강장 (역명판 교체 전)


7. 승차량 변동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에서 승차량이 2번째로 많은 역이다.

2003년 2월 18일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여파로 인해 중앙로역의 영업이 2003년 12월 30일까지 중단되었다. 이 참사의 영향으로 2003년 승차량이 크게 감소했으나, 이후 점차 회복세를 보였다.

최근 1일 평균 승차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승차 인원주석
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23,49423,24823,300미공개22,82324,4283,53417,77818,17321,151[8]
노선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19,46019,76519,72019,92020,45520,39920,57719,92020,14820,369[9]
노선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colspan="5" |
대구 도시철도 1호선20,24119,79819,52510,87211,576


8. 인접한 역

(설화명곡 방면)중앙로역 (131)대구역
(하양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tro.or.k[...] 2012-10-15
[2] 뉴스 중앙로역 좁은 통로 참사 더 키웠다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3-02-18
[3] 서적 The Handbook of Tunnel Fire Safety https://books.google[...]
[4] 뉴스 200 dead, missing in Daegu arson http://joongangdaily[...] 2003-02-19
[5] 문서
[6] 문서
[7] 뉴스 지하철 21일 전 구간 운행...안전은 제자리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03-10-21
[8]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9]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도시철도공사 2009-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