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구벌대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서구, 서구, 중구, 수성구를 경유하는 도로이다.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으며, 같은 해 9월 29일 강창교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주요 교차로로는 하산리 교차로, 동곡 교차로, 신당네거리, 죽전네거리, 두류네거리, 반월당 교차로, 범어네거리, 만촌네거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 다부 나들목
다부 나들목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이며, 1995년 8월 29일 중앙고속도로 칠곡 ~ 서안동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 경북대로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광역시 군위군까지 이어지는 경북대로는 여러 시·군을 연결하며 중앙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등과 연결되고, 가산초등학교, 의성소방서,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등의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중구의 교통 - 동성로 (대구)
동성로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과거 대구읍성 성곽 자리에 조성되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지나가고, 대구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문화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 대구 중구의 교통 - 중앙대로 (대구)
대구광역시 남구에서 북구를 잇는 중앙대로는 대구광역시도 제61호선에 속하며, 주요 교차로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도시철도 구간을 지난다. - 대구 서구의 교통 - 서대구역
서대구역은 경부선에 위치한 고속철도와 대구권 광역철도가 정차하는 복합환승역으로, 2022년 3월 개업 후 운영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나 역세권 개발 지연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대구 서구의 교통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4호선은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일반국도로, 새만금 지역과 주요 도시 및 관광지를 연결하며 여러 고속도로, 국도와의 교차로를 통해 전국 주요 지역과의 접근성을 제공하지만 일부 도심 구간에서는 교통 혼잡이 발생할 수 있는 300km가 넘는 장거리 노선이다.
| 달구벌대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대구광역시도 |
| 노선 번호 | 국도 제25호선의 일부 국도 제30호선의 일부 대구광역시도 제40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의 일부 |
| 노선명 | 달구벌대로 |
| 총 연장 | 33.58km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
| 주요 경유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
|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월동 |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대구광역시도 제17호선 대구광역시도 제27호선 대구광역시도 제29호선 대구광역시도 제3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
2. 연혁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달구벌대로'''를 고시[1]
- 2009년 9월 29일 : 강창교(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 580m 구간 확장 개통[2]
2. 1. 주요 연혁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달구벌대로'''를 고시[1]
- 2009년 9월 29일 : 강창교(달성군 다사읍 죽곡리 ~ 대구광역시 달서구 파호동) 580m 구간 확장 개통[2]
2. 2. 대구동서고속화도로 계획 (무산)
1991년 성서네거리에서 남부시외버스터미널(현 만촌네거리 일대)까지 11.5km의 고가도로를 계획했으나, 후에 연호네거리까지 연장해 17.5km를 고가도로 건설을 계획했다.[5] 이 때문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고가도로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기초공사 시 설계변경이 필요했고, 예산이 추가됐다.[5] 결국 논의 끝에 고가도로 건설은 무산됐다.[5] 2020 대구도시기본계획[4]에 따르면 '''대구동서고속화도로'''로 개편하는 방안이 있었다.3. 주요 경유지
4. 노선
달구벌대로는 시내권에서 평일 출퇴근 시간에 교통량이 많아 정체 구간이 발생하기도 한다.[3]
달구벌대로의 주요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
- 하산리 교차로: 달구벌대로2길, 달구벌대로8길, 하목정길, 하목정1길과 연결된다.
- 동곡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강변대로와 연결된다.
- 동곡사거리: 하빈남로, 달구벌대로55길과 연결된다.
- 다사읍사무소 교차로: 매곡로와 연결된다.
- 매곡사거리: 다사역로와 연결된다.
- 신당네거리 (계명대역): 대구광역시도 제17호선, 달서대로와 연결된다.
- 성서네거리 (성서산업단지역): 대구광역시도 제27호선, 성서로와 연결된다.
- 용산네거리: 대구광역시도 제29호선, 용산로와 연결된다.
- 죽전네거리 (죽전역): 대구광역시도 제31호선, 와룡로와 연결된다.
- 감삼네거리 (감삼역): 대구광역시도 제37호선, 당산로와 연결된다.
- 두류네거리 (두류역): 국도 제5호선, 서대구로, 국도 제2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두류공원로와 연결된다.
- 반고개네거리 (반고개역): 대구광역시도 제51호선, 달서로, 명덕로와 연결된다.
- 신남네거리 (청라언덕역): 대구광역시도 제57호선, 달성로와 연결된다.
- 계산오거리: 대구광역시도 제59호선, 서성로, 명륜로, 제마루로와 연결된다.
- 반월당 교차로 (반월당역): 대구광역시도 제61호선, 중앙대로와 연결된다.
- 봉산육거리: 대구광역시도 제63호선, 공평로, 이천로, 대봉로, 봉산문화1길과 연결된다.
- 삼덕네거리 (경대병원역): 대구광역시도 제67호선, 동덕로와 연결된다.
- 수성교지하차도: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 신천대로와 연결된다.
- 수성교 교차로: 신천동로와 연결된다.
- 대구은행네거리 (대구은행역): 대구광역시도 제69호선, 수성로와 연결된다.
- 수성네거리: 대구광역시도 제71호선, 들안로와 연결된다.
- 범어네거리 (범어역): 대구광역시도 제77호선, 동대구로와 연결된다.
- 수성구청역 교차로: 범어로와 연결된다.
- 남부삼가시장: 대구광역시도 제79호선, 동원로와 연결된다.
- 만촌네거리 (만촌역): 국도 제25호선, 무열로, 대구광역시도 제23호선, 청호로와 연결된다.
- 연호네거리 (연호역):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범안로와 연결된다.
- 대공원역 (대공원역): 대구광역시도 제87호선, 야구전설로와 연결된다.
- 월드컵삼거리: 대구광역시도 제89호선, 월드컵로와 연결된다.
- 시지동: 대구광역시도 제96호선, 고모로와 연결된다.
- 고산역 (고산역): 시지로, 천을로와 연결된다.
- 신매네거리 (신매역): 대구광역시도 제91호선, 고산로와 연결된다.
- 신매동: 신매로, 달구벌대로645길과 연결된다.
- 중산삼거리: 경산로와 연결된다.
달구벌대로를 경유하는 주요 시설물은 다음과 같다.
5. 주요 건물 및 시설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지나는 달구벌대로 구간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위치한다. 하빈면에는 동곡치안센터(달구벌대로 182)와 다사검문소(달구벌대로 377)가 있다. 다사읍에는 문양차량사업소(달구벌대로 431), 매곡정수사업소(달구벌대로 717), 매곡119안전센터(달구벌대로 753), 다사치안센터(달구벌대로 800-1), 다사고등학교(달구벌대로 839), 대실역(달구벌대로 지하888), 대구강서소방서(달구벌대로 920)가 위치하고 있다.
달서구 구간에는 강창역을 지나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가 나오며, 이후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이 차례로 위치한다. 르노코리아 서비스코너 신당점과 성서농협을 지나면 이곡1동 행정복지센터와 성서파출소가 나타난다. 계속해서 대구성서초등학교, 이곡역, 대구장성초등학교를 지나면 홈플러스 성서점이 위치하고, 용산역이 이어진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를 지나면 죽전역, 감삼우체국, 감삼치안센터, 푸른방송, 감삼역이 차례로 나타난다. 대구경북양돈농협과 근로복지공단 대구서부지사를 지나면 두류역이 나오고, 반고개역까지 이어진다.
서구 구간에는 달성고등학교, 내당4치안센터, 홈플러스 내당점이 달구벌대로에 위치한다.
중구 구간에는 대구중부소방서가 달구벌대로 1926에 위치해 있다. 청라언덕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000에 있다. 중구선거관리위원회는 달구벌대로 2042에, 남산지구대는 달구벌대로 2048에 위치한다. 현대백화점 대구점은 달구벌대로 2077에, 동아백화점은 달구벌대로 2085에 위치한다. 반월당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100에 위치한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는 달구벌대로 2150에, 경북대학교치과병원은 달구벌대로 2175에,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은 달구벌대로 2177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는 달구벌대로 2178에 있다. 경대병원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190에 위치하며, 근로복지공단 대구지역본부는 달구벌대로 2195에 위치한다.
수성구 구간에는 iM뱅크 본점과 대구수성우체국이 달구벌대로 2310번과 2320번에 각각 위치해있다. 대구은행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300번에 있고,범어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396번에 있다. 수성구청은 달구벌대로 2450번에 있으며, 범어도서관은 달구벌대로 2451번에 위치해있다. 수성경찰서는 달구벌대로 2460번, 대구범어2동우체국은 달구벌대로 2465번에 있다. 수성구청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500번에 있고, 만촌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584번에 있다. 대구남부정류장은 달구벌대로 2599번에 있다. 만촌119안전센터는 달구벌대로 2658번에 있고, 담티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672번에 있다. 대륜중학교와 대륜고등학교는 달구벌대로 2700번에 위치한다. 연호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870번, 대공원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950번에 있다. 대구고산초등학교는 달구벌대로 3067번, 대구고산우체국은 달구벌대로 3070번에 있다. 고산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3080번에 있으며, 고산2동 행정복지센터는 달구벌대로 3091번에 있다.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는 달구벌대로 3170번에 있다. 신매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3180번에 있고, 대구신매우체국은 달구벌대로 3182번에 있다. 대구교통공사 사월관리소와 고산1동행정복지센터는 달구벌대로 3260번과 3260-2에 위치하고, 사월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3290번에 있다.
5. 1. 달성군 구간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지나는 달구벌대로 구간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위치한다. 하빈면에는 동곡치안센터(달구벌대로 182)와 다사검문소(달구벌대로 377)가 있다. 다사읍에는 문양차량사업소(달구벌대로 431), 매곡정수사업소(달구벌대로 717), 매곡119안전센터(달구벌대로 753), 다사치안센터(달구벌대로 800-1), 다사고등학교(달구벌대로 839), 대실역(달구벌대로 지하888), 대구강서소방서(달구벌대로 920)가 위치하고 있다.5. 2. 달서구 구간
강창역을 지나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가 나오며, 이후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이 차례로 위치한다. 르노코리아 서비스코너 신당점과 성서농협을 지나면 이곡1동 행정복지센터와 성서파출소가 나타난다. 계속해서 대구성서초등학교, 이곡역, 대구장성초등학교를 지나면 홈플러스 성서점이 위치하고, 용산역이 이어진다.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를 지나면 죽전역, 감삼우체국, 감삼치안센터, 푸른방송, 감삼역이 차례로 나타난다. 대구경북양돈농협과 근로복지공단 대구서부지사를 지나면 두류역이 나오고, 반고개역까지 이어진다.5. 3. 서구 구간
달성고등학교, 내당4치안센터, 홈플러스 내당점이 서구 달구벌대로에 위치한다.5. 4. 중구 구간
대구중부소방서가 달구벌대로 1926에 위치해 있다. 청라언덕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000에 있다. 중구선거관리위원회는 달구벌대로 2042에, 남산지구대는 달구벌대로 2048에 위치한다. 현대백화점 대구점은 달구벌대로 2077에, 동아백화점은 달구벌대로 2085에 위치한다.반월당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100에 위치한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는 달구벌대로 2150에, 경북대학교치과병원은 달구벌대로 2175에, 경북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은 달구벌대로 2177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는 달구벌대로 2178에 있다. 경대병원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190에 위치하며, 근로복지공단 대구지역본부는 달구벌대로 2195에 위치한다.
5. 5. 수성구 구간
iM뱅크 본점과 대구수성우체국이 달구벌대로 2310번과 2320번에 각각 위치해있다. 대구은행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300번에 있고,범어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396번에 있다. 수성구청은 달구벌대로 2450번에 있으며, 범어도서관은 달구벌대로 2451번에 위치해있다. 수성경찰서는 달구벌대로 2460번, 대구범어2동우체국은 달구벌대로 2465번에 있다. 수성구청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500번에 있고, 만촌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584번에 있다. 대구남부정류장은 달구벌대로 2599번에 있다.만촌119안전센터는 달구벌대로 2658번에 있고, 담티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672번에 있다. 대륜중학교와 대륜고등학교는 달구벌대로 2700번에 위치한다. 연호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870번, 대공원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2950번에 있다. 대구고산초등학교는 달구벌대로 3067번, 대구고산우체국은 달구벌대로 3070번에 있다. 고산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3080번에 있으며, 고산2동 행정복지센터는 달구벌대로 3091번에 있다.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는 달구벌대로 3170번에 있다. 신매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3180번에 있고, 대구신매우체국은 달구벌대로 3182번에 있다. 대구교통공사 사월관리소와 고산1동행정복지센터는 달구벌대로 3260번과 3260-2에 위치하고, 사월역은 달구벌대로 지하 3290번에 있다.
참조
[1]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http://gwanbo.mois.g[...]
2009-07-10
[2]
간행물
대구광역시공고 제2009-650호
http://sido.daegu.go[...]
2009-09-21
[3]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4]
간행물
2020 대구도시기본계획
http://www.daegu.go.[...]
대구광역시
2007-02
[5]
뉴스
달구벌 일화-(6)달구벌대로의 애환
http://news.imaeil.c[...]
2019-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