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셀 (이동 통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Cell)은 이동 통신에서 주파수 자원 효율을 높이기 위해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분할한 것을 의미한다. 각 셀은 기지국을 통해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며, 인접 셀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간섭을 줄이고, 떨어진 셀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전체 주파수 활용도를 높인다. 셀의 크기는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등으로 구분되며, 셀 크기를 줄이면 수용 가능한 통화량이 증가한다. 셀은 섹터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동 중인 사용자의 통신을 끊김 없이 유지하기 위해 핸드오프 기술을 사용한다. 이동 통신 기술은 1G부터 시작하여 2G, 3G, 4G, 5G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채널 접속 방식과 주파수 재사용 기술을 통해 통신 용량을 늘려왔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기지국 서브시스템, 코어 회선 교환 네트워크, 패킷 교환 네트워크, 공중 전화망 등으로 구성되며, 소형 셀 기술을 통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시설 - 광섬유
    광섬유는 굴절률이 다른 코어와 클래딩으로 구성되어 전반사 원리를 통해 빛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가느다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실로, 통신, 의료,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고속 통신의 핵심 매체로 자리 잡았다.
  • 통신 시설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이동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 이동 통신 - 코드분할다중접속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은 1989년 퀄컴에 의해 개발되어 1996년 한국에서 상용화된 기술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여러 사용자가 통신하며, TDMA, FDMA보다 적은 기지국으로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고, 보안 강화, 간섭 저항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셀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개요
유형셀룰러 네트워크
목적이동 통신
핵심 기술주파수 재사용
핸드오버
주요 구성 요소기지국 (셀 타워)
이동 통신 교환국 (MSC)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RNC)
표준GSM
CDMA
UMTS
LTE
5G
작동 원리
셀 구조지리적 영역을 작은 셀로 분할하여 주파수 재사용 효율성을 높임
주파수 재사용인접하지 않은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스펙트럼 효율성을 극대화
핸드오버이동 중에도 통화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셀 간에 자동으로 연결을 전환
주요 특징
이동성 지원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 제공
넓은 커버리지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통신 서비스 제공
높은 용량많은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
기술 발전
1G아날로그 방식의 초기 셀룰러 네트워크
2G디지털 방식 도입, SMS 메시지 지원
3G데이터 통신 속도 향상,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
4G (LTE)고속 데이터 통신, IP 기반 네트워크
5G초고속, 초저지연 통신, 대규모 연결 지원
활용 분야
스마트폰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앱 사용
사물 인터넷 (IoT)다양한 장치 간의 연결 및 데이터 교환
자율 주행차량 간 통신, 교통 정보 수집
원격 의료원격 진료, 환자 모니터링
보안
주요 위협도청
스푸핑
서비스 거부 공격
보안 기술암호화
인증
방화벽
관련 용어
기지국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비
이동 통신 사업자 (MNO)셀룰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회사
SIM 카드사용자 식별 모듈, 가입자 정보 저장
주파수무선 신호가 사용하는 특정 대역
기타
참고이동통신, 무선 통신

2. 기본 개념

이동 통신에서는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넓은 지역을 작은 로 나누고, 각 셀에 기지국을 설치한다.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기지국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서비스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인다.[27]

셀을 이용한 주파수 재활용


인접한 셀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간섭을 피하고, 떨어진 셀에서는 동일 주파수를 재활용한다. 이러한 셀룰러 방식을 통해 제한된 주파수로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채널 용량 증가는 벨 연구소의 아모스 조엘이 개발한 이동 통신 스위칭 시스템 덕분이다.[5] 이 시스템은 통화를 가장 가까운 사용 가능한 셀룰러 타워로 전환하여, 주어진 지역의 여러 통화자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주파수 재사용을 결정하는 요소는 재사용 거리와 재사용 계수이다. 재사용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R\sqrt{3N}

여기서 ''R''은 셀 반경이고 ''N''은 클러스터당 셀 수이다. 셀 반경은 1km에서 30km까지 다양할 수 있다.[18]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비율이다. 일반적인 값은 1/3, 1/4, 1/7, 1/9 및 1/12이다.[19]

2. 1. 셀의 크기와 수용 용량

하나의 셀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통화량은 일정하다. 셀은 동일한 강도를 갖는 전자파장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평면상에서 기지국을 중심으로 한 원모양이 된다. 실제로는 인접 셀과의 전파 강도에 따른 구획 조정에 따라 다각형(대개의 경우 육각형) 모양이다. 셀의 반지름을 반으로 줄이면 면적은 1/4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셀의 크기를 반으로 줄일 경우 동일한 지역에는 4배의 셀이 들어서게 되고, 수용 가능한 통화량도 4배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평소 통화량이 많은 곳의 셀은 크기를 줄이고 통화량이 적은 곳은 셀 크기는 넓게 하여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28]

실제 사용되는 셀의 크기별 종류는 다음과 같다.[29]

셀 종류설명
메가 셀(Mega Cell)인공위성 통신 등에 사용되는 광범위 셀로 반지름 100km - 500km의 셀이다.
매크로 셀(Macro Cell)반지름 35km 이내의 셀로 이동 통신 가입자가 적은 교외 지역에 쓰인다.
마이크로 셀(Micro Cell)0.5km - 1km의 반지름을 갖는 셀로 이동 통신 안테나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거리가 주요 전파 경로이다. 셀의 반지름이 작아 전파가 여러 경로를 통해 안테나에 수신되는 다이버시티 효과가 일어난다.
피코 셀 (Pico Cell)반지름 50m 이내의 셀로 도심 밀집 지역 및 지하에 배치된다.


2. 2. 섹터

하나의 셀을 섹터로 나누어 서비스하는 지향성 셀이 셀의 수용량 증가와 통화 품질 향상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30]

2. 3. 핸드 오프

이동 통신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통신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특정한 셀에서 인접 셀로 이동할 때 통신이 끊기지 않고 지속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핸드 오프(Handoff영어) 또는 핸드오버(Handover영어)라 한다.[31]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분산된 이동 통신 송수신기가 지속적인 통신 중에 셀에서 셀로 이동함에 따라 한 셀 주파수에서 다른 셀 주파수로의 전환이 중단 없이, 기지국 운영자나 수동 전환 없이 전자적으로 수행된다. 이를 핸드오버 또는 핸드오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기지국에서 모바일 장치에 대한 새로운 채널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서비스된다. 그러면 모바일 장치는 현재 채널에서 새 채널로 자동으로 전환되고 통신이 계속된다.

모바일 시스템이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정확한 세부 사항은 시스템마다 상당히 다르다.

3. 이동 통신 기술의 역사

이동 통신 기술의 역사는 1947년 12월 11일, 벨 연구소의 엔지니어인 더글러스 H. 링이 작성한 내부 메모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는 AT&T에 이동 통신 시스템 개발을 제안했다.[6]

최초의 상업용 이동 통신 네트워크인 1G는 1979년 일본전신전화 (NTT)에 의해 일본에서 처음으로 출시되었으며, 초기에는 도쿄 대도시 지역에서 서비스되었다. 5년 이내에 NTT 네트워크는 일본 전체 인구를 커버하도록 확장되었고, 최초의 전국적인 1G 네트워크가 되었다. 이는 아날로그 무선 네트워크였다. 벨 시스템은 1947년부터 이동 통신 기술을 개발해왔으며, 1979년 이전에 시카고댈러스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했지만, 상업 서비스는 벨 시스템의 분할로 인해 지연되었으며, 이동 통신 자산은 지역 벨 운영 회사로 이전되었다.

무선 혁명은 199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며,[7][8][9] 아날로그 전자공학에서 디지털 전자공학으로의 전환을 이끌었다.[10] 벨 연구소에서 1955년과 1960년 사이에 발명된 MOSFET[11][12][13][14][15]는 1990년대 초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되었으며, 전력 MOSFET, LDMOS (RF 증폭기), RF CMOS (RF 회로) 장치의 광범위한 채택은 디지털 무선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개발과 확산을 이끌었다.[10][16][17]

최초의 상업용 디지털 이동 통신 네트워크인 2G는 1991년에 출시되었다. 이는 새로운 사업자들이 기존의 1G 아날로그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도전하면서 이 분야의 경쟁을 촉발시켰다.

4. 셀 신호 인코딩

여러 송신기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 다양한 채널 접속 방식이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DMA), 시분할 다중 접속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CDMA) 등이 있다.[2]


  •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각 셀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 주파수가 서로 다르다. 각 셀룰러 통화에는 전이중 작동을 제공하기 위해 주파수 쌍(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하나,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하나)이 할당된다. D-AMPS와 같은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다.
  •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접속): 각 셀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송신 및 수신 타임 슬롯이 서로 다르다.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사용하여 전송을 위해 시간 슬라이스에 맞는 음성 데이터 버스트를 저장 및 전달하고 수신단에서 확장하여 수신기에 다소 정상적인 소리가 나는 음성을 생성한다. GSM에서 사용되었다.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냉전 동안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으로 개선된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초기 CDMA 셀룰러 시스템 및 Wi-Fi에 사용되었다. DSSS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동시 전화 통화를 시간이나 주파수로 채널화할 필요 없이 단일 광대역 RF 채널에서 수행할 수 있다. CDMA는 3G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기반이 되었다.


MIMO와 같은 다중화 방식은 안테나 다이버시티의 더 정교한 버전으로, 활성 빔포밍과 결합되어 공간 다중화 기능을 제공한다. 대규모 MIMO 배치를 통해 더 많은 채널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셀 사이트당 가입자 수 또는 사용자당 데이터 처리량을 늘릴 수 있다. 직교 진폭 변조 (QAM) 모뎀은 기호당 증가하는 비트 수를 제공하여 사용자당 더 큰 데이터 처리량을 가능하게 한다.

5. 주파수 재사용

이동 통신에서는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넓은 지역을 작은 셀로 나누고, 각 셀의 기지국이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기지국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인다.[27] 이렇게 셀을 구성하면 제한된 주파수로 넓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개의 주파수(F1-F4)를 갖는 주파수 재사용 패턴의 예


셀룰러 네트워크의 핵심 특징은 주파수 재사용을 통해 서비스 범위(커버리지)와 용량을 모두 늘리는 것이다. 인접한 셀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해야 하지만,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가 과도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충분히 멀리 떨어진 두 셀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2]

주파수 재사용을 결정하는 요소는 재사용 거리와 재사용 계수이다. 재사용 거리 ''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R\sqrt{3N}

여기서 ''R''은 셀 반경이고, ''N''은 클러스터당 셀 수이다. 셀 반경은 1km에서 30km까지 다양할 수 있으며, 큰 셀은 더 작은 셀로 나눌 수 있다.[18]

주파수 재사용 계수는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비율이다. 이는 ''1/K''(또는 ''K'')이며, 여기서 ''K''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없는 셀의 수이다. 주파수 재사용 계수의 일반적인 값은 1/3, 1/4, 1/7, 1/9, 1/12이다(또는 표기법에 따라 3, 4, 7, 9, 12).[19]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기반 시스템은 1의 주파수 재사용 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인접한 기지국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서로 다른 기지국과 사용자는 주파수 대신 코드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LTE와 같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기반 시스템도 주파수 재사용이 1인 상태로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셀 간 무선 자원 관리가 중요하며, 이미 표준에 다양한 셀 간 간섭 조정(ICIC) 수단이 정의되어 있다.[20]

6. 지향성 안테나

셀 타워는 트래픽이 많은 지역에서 수신을 개선하기 위해 종종 지향성 신호를 사용한다. 미국에서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전방향성 셀 타워 신호를 100W의 출력으로 제한한다. 타워에 지향성 안테나가 있는 경우 FCC는 셀 사업자가 최대 500W의 등가 등방 복사 전력(ERP)을 방출하도록 허용한다.[21]

원래의 셀 타워는 균일한 전방향성 신호를 생성했으며, 셀의 중심에 위치했고 전방향성이었지만, 셀룰러 맵은 세 개의 셀이 수렴하는 육각형의 모서리에 셀룰러 전화 타워가 위치하도록 다시 그릴 수 있다.[22] 각 타워에는 각 셀에 대해 120도씩 세 개의 다른 방향을 향하는 세 개의 지향성 안테나 세트가 있으며(총 360도), 세 개의 다른 셀로 다른 주파수로 송수신한다. 이를 통해 최소 세 개의 채널과 각 셀당 세 개의 타워가 제공되며, 최소한 한 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할 가능성이 크게 증가한다.

셀룰러 전화 주파수 재사용 패턴.


그림의 숫자는 채널 번호이며, 3개의 셀마다 반복된다. 대용량 지역의 경우 대형 셀을 더 작은 셀로 세분할 수 있다.[23]

이러한 지향성 신호는 고속도로를 따라, 경기장과 같은 건물 내에서도 수신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21]

7. 방송 메시지 및 페이징

거의 모든 셀룰러 시스템에는 여러 이동 통신 장치에 정보를 분배하는 데 사용되는 방송 메커니즘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이동 통신 송수신기와 기지국 간의 일대일 통신을 위한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페이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세 가지 페이징 절차는 순차적, 병렬 및 선택적 페이징이다.

페이징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네트워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화가 위치한 제한된 수의 셀을 알고 있다. 이 셀 그룹을 GSM 또는 UMTS 시스템에서는 위치 영역이라고 하고, 데이터 패킷 세션이 관련된 경우 라우팅 영역이라고 한다. LTE에서는 셀이 추적 영역으로 그룹화된다. 페이징은 이러한 모든 셀에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행된다. 페이징 메시지는 호출기, CDMA 시스템에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UMTS 시스템에서는 패킷 기반 연결에서 낮은 다운링크 지연 시간을 허용한다.

LTE/4G에서 페이징 절차는 데이터 패킷을 UE에 전달해야 할 때 MME에 의해 시작된다. MME에서 지원하는 페이징 유형은 다음과 같다.


  • 기본.
  • SGs_CS 및 SGs_PS.
  • QCI_1 ~ QCI_9.

8. 이동 전화 네트워크



이동 통신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해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나 다중 접속을 사용하더라도 일정량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면 채널 포화가 일어나 정상적인 서비스가 어렵게 된다.[26] 이동 통신에서는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셀로 나누고 셀 중간에 위치한 기지국이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기지국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재활용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2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전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4종류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다. 인접한 셀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간섭에 의한 문제를 회피하면서 떨어진 셀에서는 동일 주파수를 재활용한다. 이렇게 셀을 구성하면 넓은 지역을 제한된 몇 개의 주파수로 서비스할 수 있다.

휴대 전화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가장 흔한 예이며, 휴대 전화는 셀 사이트(기지국) 또는 송신 타워를 통해 전화를 받거나 걸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전파는 휴대 전화로 신호를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

위성 전화, 위성 회선 이용 서비스를 제외하고, 기지국 상호 간이나 비 이동 통신 대상 등에는 유선 통신을 하며, 기지국과 이동국 간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한다.

휴대 전화PHS (접속형(독자형))・위성 전화 등에서는 독자적인 전화망을 구성하여, 공중 전화망과 상호 접속하고 있다. 또한, PHS (활용형(의존형))는 ISDN 방식의 공중 전화망에 의존하고 있다.

8. 1.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구조

현대 휴대 전화 네트워크는 전파 주파수가 제한된 공유 자원이기 때문에 셀 방식을 사용한다. 셀 사이트와 핸드셋은 컴퓨터 제어하에 주파수를 변경하고 저전력 송신기를 사용하므로, 일반적으로 제한된 수의 전파 주파수를 많은 발신자가 동시에 사용하여 간섭을 줄일 수 있다.[24]

셀룰러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가입자에게 커버리지와 용량을 모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넓은 지리적 영역은 가시선 신호 손실을 방지하고 해당 지역에서 많은 수의 활성 전화기를 지원하기 위해 더 작은 셀로 분할된다. 모든 셀 사이트는 전화 교환기(또는 스위치)에 연결되며, 전화 교환기는 다시 공중 전화망에 연결된다.

셀룰러 이동 통신망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기지국으로 구성된 기지국 서브시스템 네트워크.
  • 음성 통화 및 문자 처리를 위한 코어 회선 교환 네트워크.
  • 이동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패킷 교환 네트워크.
  • 가입자를 더 넓은 전화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공중 전화망.


이 네트워크는 GSM 시스템 네트워크의 기초이다. 이 네트워크는 고객이 이동성 관리, 등록, 통화 설정 및 핸드오버를 포함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모든 전화는 해당 셀의 모서리에 있는 RBS(무선 기지국)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RBS는 차례로 이동 통신 스위칭 센터(MSC)에 연결된다. MSC는 공중 전화망(PSTN)에 연결을 제공한다.

8. 2. 소형 셀

소형 셀은 기지국보다 더 작은 서비스 영역을 가지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9]

  • 마이크로 셀: 2km 미만
  • 피코 셀: 200m 미만
  • 펨토 셀: 약 10m
  • 아토 셀: 1m~4m

8. 3.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이동 통신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통신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특정한 셀에서 인접 셀로 이동할 때 통신이 끊기지 않고 지속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핸드오프(Handoff영어) 또는 핸드오버(Handover영어)라 한다.[31]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분산된 이동 통신 송수신기가 지속적인 통신 중에 셀에서 셀로 이동함에 따라 한 셀 주파수에서 다른 셀 주파수로의 전환이 중단 없이, 기지국 운영자나 수동 전환 없이 전자적으로 수행된다. 이를 핸드오버 또는 핸드오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기지국에서 모바일 장치에 대한 새로운 채널이 자동으로 선택되어 서비스된다. 그러면 모바일 장치는 현재 채널에서 새 채널로 자동으로 전환되고 통신이 계속된다.

전화 사용자가 통화 중 한 셀 영역에서 다른 셀 영역으로 이동하면, 모바일 스테이션은 통화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할 새 채널을 검색한다. 새 채널이 발견되면, 네트워크는 모바일 장치에게 새 채널로 전환하도록 명령하고 동시에 통화를 새 채널로 전환한다.

CDMA에서는 여러 CDMA 휴대 전화가 특정 라디오 채널을 공유한다. 신호는 각 전화에 특정된 의사 잡음 코드(PN 코드)를 사용하여 분리된다. 사용자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면, 휴대 전화는 여러 기지국(또는 동일 사이트의 섹터)과 동시에 라디오 링크를 설정한다. 이는 전통적인 셀룰러 기술과는 달리, 전화가 새 셀로 전환되는 정의된 지점이 없기 때문에 "소프트 핸드오프"라고 한다.

IS-95 간 주파수 핸드오버 및 NMT와 같은 구형 아날로그 시스템에서는 통신 중 대상 채널을 직접 테스트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경우, IS-95의 파일럿 비콘과 같은 다른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새로운 채널을 검색하는 동안 통신이 거의 항상 잠시 중단된 후, 예기치 않게 이전 채널로 돌아갈 위험이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행 중인 통신이 없거나 통신을 중단할 수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가 자발적으로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한 다음 가장 강력한 신호의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

8. 4.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선택

주파수는 셀(cell) 커버리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주파수는 서로 다른 용도에 더 적합하다. 450 MHz NMT와 같은 낮은 주파수는 시골 지역의 커버리지에 매우 적합하다. GSM 900 (900 MHz)은 가벼운 도시 지역 커버리지에 적합하다. GSM 1800 (1.8 GHz)은 구조적 벽에 의해 제한되기 시작한다. UMTS는 2.1 GHz에서 GSM 1800과 상당히 유사한 커버리지를 갖는다.

높은 주파수는 커버리지 측면에서는 불리하지만 용량 측면에서는 확실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한 층을 커버하는 피코셀이 가능해지고, 실질적으로 인접한 셀에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셀 서비스 영역은 해당 셀 내외부의 전송 시스템 간섭으로 인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는 특히 CDMA 기반 시스템에서 그렇다. 수신기는 특정 신호 대 잡음비를 필요로 하며, 송신기는 다른 송신기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너무 높은 전송 전력으로 전송해서는 안 된다. 수신기가 송신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수신된 전력은 감소하므로 송신기의 전력 제어 알고리즘은 수신된 전력 수준을 복원하기 위해 전송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간섭(잡음)이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전력보다 높아지고 송신기의 전력을 더 이상 증가시킬 수 없게 되면 신호가 손상되어 결국 사용할 수 없게 된다. CDMA 기반 시스템에서 동일한 셀 내의 다른 모바일 송신기의 간섭이 커버리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두드러지며, ''셀 호흡''이라고 한다.

실제 통신 사업자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커버리지 맵을 보거나 Opensignal 또는 CellMapper와 같은 독립적으로 크라우드소싱된 맵을 보면 셀 커버리지의 예를 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송신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는 가장 강한 커버리지 지점을 계산하여 계산할 수 있다.

9. 코어 네트워크

기지국 상호 간, 다른 이동 통신망, 고정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이다.[1] 1990년대부터 VoATM영어(음성 over 비동기 전송 모드)가 사용되었다.[1] 2000년대에 들어 비용 절감을 위해 이동체 데이터 통신망의 IP over ATM에서 완전한 인터넷 프로토콜화와 함께 VoIP화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1] PHS도 참조할 것.[1]

고정 통신망으로부터의 발신의 경우, 전화번호로 이동 통신 관문 교환기를 선택하여 접속한다.[1] 음성 압축 방식의 변환이나 무음 압축은 이동 통신망 측의 관문 교환기에서 수행된다.[1]

10. 위치 등록

홈 메모리는 이동국의 위치 정보, 과금 정보 등 모든 가입자 데이터를 관리한다.[1]

단말의 전원을 켜면 기지국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1] 또한, 위치 등록 구역을 넘을 때는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1] 통화 중에 기지국의 서비스 구역을 넘을 때는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한다.[1] 또한, 단말의 GPS 수신기나 무선 LAN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위치 정보를 얻어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존재한다.[1]

11. 무선 제어

무선 제어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는 이동 단말(Mobile Station)과 통신하는 기지국(Node)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Radio Network Controller)로 구성된다.

12. 국제 표준

단말기가 국경을 넘어 이동하기 때문에 국제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ellular Networks, Cells, and Base Stations — EITC http://www.eitc.org/[...] 2024-11-22
[2] 서적 Fundamentals of Mobile Data Netwo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Google's Private Cell Phone Network Could Be a Threat to Cellular Carriers | MIT Technology Review http://www.technolog[...] Technologyreview.com 2013-01-24
[4] 웹사이트 Private 5G Networks: 2024 – 2030 https://www.snstelec[...] 2024-05-08
[5] 특허 "3,663,762" 1972-05-16
[6] 간행물 The 1947 Paper That First Described a Cell-Phone Network https://www.theatlan[...] 2011-09-16
[7] 서적 RF and Microwave Passive and Active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
[8] 논문 The wireless revolution 1991-11
[9] 뉴스 The wireless revolution https://www.economis[...] 1999-01-21
[10] 서적 Silicon RF Power MOSFET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5
[11] 논문 Frosch and Derick: Fifty Years Later (Foreword) https://iopscience.i[...] 2007-09-01
[12] 논문 Surface Protection and Selective Masking during Diffusion in Silicon https://iopscience.i[...] 1957
[13]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14] 서적 History of Semiconductor Engineering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07
[15] 논문 The mechanisms for silicon oxidation in steam and oxygen https://linkinghub.e[...] 1960
[16] 서적 5G Mobile Communications: Concepts and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
[17] 논문 Asad Abidi Recognized for Work in RF-CMOS 2008
[18] 문서 Telecommunication Networks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1997
[19] 웹사이트 Phone Networks http://www.therevers[...] The Reverse Phone 2011-06-08
[20] 웹사이트 Heterogeneous LTE Networks an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http://www.nomor.de/[...] Nomor Research 2010-12
[21] 웹사이트 The Myth of Cellular Tower Health Hazards http://www.wirelessw[...] 2007-03
[22] 웹사이트 Cellular Telephone Basics http://www.privateli[...] Privateline.com 2006-01-01
[23] 특허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for Different Cell Sizes 1979-03-13
[24] 서적 The evolution of mobile communications in the US and Europe. Regulation, technology, and markets Artech House 1993
[25] 웹사이트 CDMA 2000 and CDMA 450 https://www.itu.int/[...] 2003-12-03
[26] 웹인용 CDMA 방식의 채널 포화 http://rsiwin.com.ne[...] 2006-01-07
[27] 서적 CDMA 이동 통신(IMT-2000) 기전연구사 2006
[28] 서적 CDMA(개정증보판) 진한도서 2008
[29] 서적 차세대 이동 통신 실무기술 진한도서 2009
[30] 서적 같은책
[31] 서적 GSM 이동 통신 기술 기초 진한엠엔비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