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AU사절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AU사절단(AMISOM)은 2007년 유엔의 승인을 받아 소말리아에 파병된 아프리카 연합(AU)의 평화 유지 임무였다. 이 임무는 소말리아의 과도 연방 정부를 지원하고 이슬람 법정 연합(ICU)과 알 샤바브와 같은 무장 단체에 맞서 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AMISOM은 우간다, 부룬디, 케냐, 에티오피아, 지부티, 시에라리온 등 여러 국가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2012년에는 병력 규모가 17,731명으로 확대되었다. 이 임무는 2022년 3월에 종료되었고, 소말리아 주도의 아프리카 연합 과도기 임무(ATMIS)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대외 관계 -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과도임무단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과도임무단(ATMIS)은 소말리아의 안보를 책임지는 아프리카 연합의 평화 유지 임무 조직으로, 소말리아 국가 안보군에 안보 책임을 점진적으로 이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부룬디,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5개 국가의 병력을 포함합니다. - 소말리아 정부 - 소말리아의 총리
소말리아의 총리는 정부수반으로,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임명과 교체 시기에 모호한 점이 있으며, 총리직이 폐지되거나 공석으로 유지된 적도 있고, 현재는 함자 압디 바레가 재임 중이다. - 소말리아 정부 -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과도임무단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과도임무단(ATMIS)은 소말리아의 안보를 책임지는 아프리카 연합의 평화 유지 임무 조직으로, 소말리아 국가 안보군에 안보 책임을 점진적으로 이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부룬디, 지부티, 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5개 국가의 병력을 포함합니다. - 소말리아 내전 - 모가디슈 전투 (1993년)
1993년 10월 3일부터 4일까지 소말리아 모가디슈에서 벌어진 모가디슈 전투는 유엔의 '희망 회복 작전'의 일환으로 미군 주도 연합군이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지휘하의 소말리아 민병대를 진압하려 했으나 격렬한 시가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초래하며 미국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 소말리아 내전 - 푼틀란드
푼틀란드는 소말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국으로, 마지르틴 술탄국에서 기원하여 1998년 자치 공화국으로 선포되었으며, 소말리아 연방 국가의 일부로서 소말릴란드와 영토 분쟁을 겪고 있고, 가축, 유향 생산, 어업 등이 주요 산업이며 빈곤율이 낮은 편이다.
소말리아 AU사절단 | |
---|---|
개요 | |
![]() | |
활동 기간 | 2007년 3월 - 2022년 3월 31일 (15년 25일) |
본부 | 모가디슈 |
규모 | 20,626명 (2019년) |
작전 지역 | 소말리아 중부 및 남부 |
이전 조직 | IGASOM |
계승 조직 | ATMIS |
교전 세력 | |
연합군 | TFG (2007–2012) 에티오피아 (2007–2014) FGS (2012–2022) 아흘루 순나 왈자마 (2007–2018) 라스캄보니 운동 |
적군 | ICU (2007–2009) 알-샤바브 (2007–2022) ARS (2007–2009) 라스 캄보니 여단 (2007–2010) 히즈불 이슬람 (2009–2014) |
관련 전쟁 |
2. 배경
2005년 과도 연방 정부는 소말리아에 외국 군대 배치 가능성을 놓고 심각하게 분열되었다. 여러 소말리아 지도자와 단체들은 그러한 개입에 강력하게 반대했다.[13] 정부 간 개발 기구(IGAD)는 2005년 3월에 파병할 계획이었으나, 작전은 취소되었다.[14] 2005년 3월 25일, 이슬람 법정 연합(ICU)은 모가디슈의 군벌과 싸우는 떠오르는 이슬람 단체로, 소말리아에 배치된 외국 평화 유지군은 환영받지 못할 것이며 죽음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5] 2006년 5월과 6월 사이에 벌어진 모가디슈 전투에서 수도를 장악한 후 ICU가 우위를 점하게 되자, UN 감시자들은 제안된 외국군 배치에 대한 ICU의 적대감 수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16]
아프리카 연합은 2006년 9월 14일 소말리아에 군대를 파병하는 계획을 채택했다.[17] ICU는 IGASOM을 미국/서방의 세력 성장을 억제하려는 수단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ICU가 명백히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군 파병 계획은 계속되었다.[16] 2006년 12월까지 UN 안전 보장 이사회는 해당 단체에 무기 금수 조치를 부과했지만,[18] 금수 조치는 부분적으로 해제되었고, 2006년 12월 6일 6개월 동안 외국 군대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었다.[19]
아프리카 연합의 전쟁 참여는 에티오피아와 미국이 아프리카 연합에게 '정권 교체'의 역할을 맡도록 강력히 요청한 결과였다. 소말리아에서 새롭게 계획된 아프리카 연합 군사 작전은 에티오피아의 침략과 TFG를 정당화하려는 시도였다. Cocodia에 따르면, "AMISOM은 평화 작전이라기보다는 정권 교체를 위한 도구에 더 가까웠다."[20][21] AMISOM의 배치는 에티오피아군이 반란을 부추기면서 그들의 존재가 출구 전략 역할을 했다.[22] 2007년 2월 20일, 유엔은 아프리카 연합의 평화 유지 임무 파병을 승인했으며, 이 임무는 소말리아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SOM)로 알려졌다. 이 임무의 명시된 주요 목표는 소말리아의 국민 화해 회의를 지원하는 것이었다.[21] 2007년부터 2009년까지 AMISOM은 주로 우간다, 부룬디, 그리고 소수의 케냐 군인으로 구성되었다.
2007년 동안 이 작전은 우간다 인민 방위군(UPDF)에 크게 의존했는데, 우간다는 이 임무의 시작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말까지 부룬디 군인들도 이 작전에 합류했다. AMISOM의 초기 임무는 공격적인 무력 사용을 허용하지 않았고, 그 결과 에티오피아군과 반란군 간의 분쟁에 대한 개입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AMISOM과 ENDF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으며, 이는 소말리아 내 에티오피아의 목표에 대한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악화되었다.[23] 유럽 연합은 12월 침략에 대한 미국의 과도한 지원에 대해 '예외적으로 불쾌해'했으며, 새롭게 창설된 AMISOM 임무에 대한 자금을 수개월 동안 보류했다고 한다.[24]
2. 1. 초기 상황 (2005-2006)
2. 1. 1.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의 분열
(내용 없음)2. 1. 2. 이슬람 법정 연합(ICU)의 등장과 반대
소말리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이슬람 법정 연합(ICU)은 2006년 소말리아 남부 대부분을 장악하며 급부상했다. ICU는 샤리아 법에 기반한 통치를 시행했고, 이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와 국제 사회의 우려를 샀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ICU를 자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세력으로 간주하고 TFG를 지원하며 소말리아 내전에 개입했다. ICU의 등장은 소말리아 내전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으며, 지역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2. 1. 3. 국제사회의 개입 노력
(빈칸)2. 2. AMISOM 파병 결정 (2007)
아프리카 연합 평화 안보 이사회는 2007년 1월 AMISOM을 승인했으며, 6개월 후 UN 임무가 될 것으로 명시적으로 가정했다.[25]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7년 2월 21일, 아프리카 연합이 6개월의 임무를 가진 평화 유지 임무를 배치하도록 승인했다.[6] 2007년 8월 2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아프리카 연합의 AMISOM 배치를 6개월 더 연장하는 것을 승인하고 사무총장에게 AMISOM을 유엔 소말리아 임무로 대체하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요청했다.[7]
2019년 5월 31일, 안전 보장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472를 승인하여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이 AMISOM의 배치를 2020년 5월 31일까지 유지하도록 승인하고, 2020년 2월 28일까지 병력 수를 19,626명으로 감축하도록 승인했다.[26] 안전 보장 이사회는 [5월 29일]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AMISOM) 요원의 배치를 9개월 동안 재승인하기로 결정했으며, 선거를 앞두고 보안을 지원하고 2021년까지 소말리아군에게 점진적으로 책임을 넘기기 위해 노력하도록 요구했다.[27]
2. 2. 1.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07년 2월 21일, 아프리카 연합이 6개월의 임무를 가진 평화 유지 임무를 배치하도록 승인했다.[6] 2007년 8월 2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아프리카 연합의 AMISOM 배치를 6개월 더 연장하는 것을 승인하고 사무총장에게 AMISOM을 유엔 소말리아 임무로 대체하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요청했다.[7]2019년 5월 31일, 안전 보장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472를 승인하여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이 AMISOM의 배치를 2020년 5월 31일까지 유지하도록 승인하고, 2020년 2월 28일까지 병력 수를 19,626명으로 감축하도록 승인했다.[26]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AMISOM) 요원의 배치를 9개월 동안 재승인하기로 결정했으며, 선거를 앞두고 보안을 지원하고 2021년까지 소말리아군에게 점진적으로 책임을 넘기기 위해 노력하도록 요구했다.[27]
2. 2. 2. 아프리카 연합의 역할
아무것도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기 때문에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2. 2. 3. 에티오피아와 미국의 지원
(내용 없음)3. 임무 승인 및 계획
3. 1. 임무 범위

IGASOM은 결국 8,000명의 병력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첫 해에 3억 3,500만 달러의 비용이 예상되었다.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25에 따르면, 소말리아와 국경을 접한 국가들은 IGASOM에 병력을 파견할 수 없었다. 나머지 (국경을 접하지 않은) IGAD 회원국에는 수단, 에리트레아, 우간다가 포함된다. 이 세 국가에만 부담이 집중되는 것에 대한 반대(그리고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간의 경쟁)로 인해, 임무는 아프리카 연합의 다른 회원국까지 확대되었다.
AMISOM은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바에 따르면, 초기 3개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85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총 9개 대대로 성장하여, 초기 6개월의 안정화 기간 동안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이 임무는 부룬디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B)를 모델로 했다.[5]
3. 1. 1. 초기 평화 유지 임무
IGASOM은 결국 8,000명의 병력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첫 해에 3억 3,500만 달러의 비용이 예상되었다.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25에 따르면, 소말리아와 국경을 접한 국가들은 IGASOM에 병력을 파견할 수 없었다. 나머지 (국경을 접하지 않은) IGAD 회원국에는 수단, 에리트레아, 우간다가 포함된다. 이 세 국가에만 부담이 집중되는 것에 대한 반대(그리고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간의 경쟁)로 인해, 임무는 아프리카 연합의 다른 회원국까지 확대되었다.
AMISOM은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안된 바에 따르면, 초기 3개 대대로 구성되었으며, 85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총 9개 대대로 성장하여, 초기 6개월의 안정화 기간 동안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이 임무는 부룬디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B)를 모델로 했다.[5]
3. 1. 2. 평화 강제 임무로의 전환
2010년 7월 22일 캄팔라에서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AU 장관들은 임무의 범위를 평화 유지에서 평화 강제 중심으로 확대하여 알 샤바브와 더 직접적으로 교전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정은 2010년 7월 캄팔라 공격 직후 내려졌다.[53] 며칠 후, UN의 압력에 따라 AU는 임무 범위를 확대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알 샤바브에 대한 선제 공격을 허용하고 다른 아프리카 국가로부터 더 많은 병력을 약속했다.[54]2010년 7월 23일, 지부티와 기니는 AMISOM에 병력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55] 2010년 9월 17일, AU 특사는 나이로비에서 우간다의 추가 대대가 합류한 후 AMISOM의 규모가 6,300명에서 7,200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56] 2010년 12월, UN은 AMISOM이 임무의 허가된 규모를 12,000명으로 늘리는 것을 지지했고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64, 2010년 12월 22일), 동시에 우간다는 1,800명의 병력을, 부룬디는 850명의 병력을 추가로 약속했다는 보고가 있었다.[57]
2011년 3월 부룬디는 AMISOM에 1,000명의 추가 병력을 파견하여 부룬디 병력의 총 배치를 4,400명으로 늘렸다.[58] Africa Research Bulletin에서 부룬디 군사 책임자 고데프루아 니욤바레 장군은 2011년 3월 14일에 병사들이 일주일 전에 배치되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59]

2012년 2월 UN 안전 보장 이사회는 배치된 병력 수를 12,000명에서 17,731명으로 늘렸다. 이 승인은 이전에 국가의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걸쳐 위치를 점유했던 알 샤바브 전사들에 대한 일련의 최근 성공 이후에 이루어졌다.[60] 같은 달, AU 사령관 프레드 무기샤는 알 샤바브가 "가장 약해진 상태"에 있으며, 겪었던 잇따른 군사적 패배와 수백 명의 단체 전사들이 아라비아 반도로의 탈출로 인해 "머지않은 미래에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61]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성공적인 군사 작전으로 인해 미국은 또한 알 샤바브 반군을 근절하고 그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AMISOM 군대를 훈련하고 장비를 갖추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62]
2011년 10월, 케냐 국방군은 린다 니치 작전을 시작하여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 샤바브를 공격했다.[63][64] 11월 12일, 케냐 정부는 AMISOM 지휘 하에 병력을 재배치하기로 합의했고,[65] 2012년 3월에는 AMISOM에 합류하기 위해 5,000명의 병력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5]
''East African''은 2012년 3월 AMISOM 본부 및 부문 사령부의 재편성에 대해 보도했다. 인력(J1)은 AU가 이끌고, 케냐는 정보(J2) 및 물류(J4)를, 우간다는 작전(J3) 및 엔지니어(J8)를, 부룬디는 계획(J5) 및 통신/IS(J6)를, 시에라리온은 훈련(J7)을, 지부티는 CIMIC(J9)를 담당할 것이다. 또한 4개의 부문이 있을 것이다. 우간다는 제1부문(샤벨레 및 바나디르), 케냐가 운영하는 제2부문(주바랜드), 부룬디가 담당하는 제3부문(게도, 바, 바쿨), 그리고 에티오피아 군대가 철수하여 지부티가 지휘하게 될 부문이다.[66]

2013년 11월, 에티오피아 정부는 소말리아에 배치된 자국 군대를 AMISOM 다국적군에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소말리아 외무부 장관 포우지아 하지 유수프는 이 결정을 환영하며, 이 조치가 반군 단체에 대한 AMISOM의 캠페인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에티오피아 당국의 발표는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시도한 10월 폭탄 테러 시도가 실패한 지 한 달 만에, 그리고 에티오피아가 반군 단체로부터 새로운 테러 위협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나왔다.[68] 에티오피아 외무부 대변인 디나 무프티 대사에 따르면, AMISOM에 합류하려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결정은 평화 유지 작전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려는 의도이다.[69] 분석가들은 또한 이 움직임이 주로 재정적 고려 사항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시사했으며, 에티오피아 군대의 작전 비용이 이제 AMISOM의 예산에 포함될 예정이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소말리아 영토에서의 오랜 경험, 헬리콥터와 같은 장비, 그리고 더욱 긴밀한 협력의 가능성이 연합군이 영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어진다.[70] 반면에 2006년 에티오피아의 가혹한 개입에서 비롯된 지역적 반감으로 인해 에티오피아의 AMISOM 진입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또한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에 대한 소말리아의 반감을 결집의 외침으로 사용하고 더 많은 회원을 모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71]
2013년 12월, 미국 정부는 AMISOM과 소말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모가디슈에 군사 조정 기구를 설립했다. 이 부대는 AMISOM과 소말리아 당국 간의 계획가와 통신 담당자를 포함하여 5명 미만의 고문으로 구성된다. 이는 연합군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합군에 대한 자문 및 계획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72]
2021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EU와 그 동맹국은 AMISOM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참여에 대해 케냐에 분기별 지급액 8억 1,100만 실링을 포함하여 총 25억 4,000만 실링을 상환했다. 이 자금은 2011년 10월 시작된 이후 천천히 감소했으며, 마지막 할부에서 각 군인은 약 800달러(92,800실링)를 받았다.[73]
3. 2. ICU의 저항
2006년 12월 2일, 정부 간 개발 기구(IGAD)와 이슬람 법정 연합(ICU)는 회담을 갖고 ICU가 IGAD의 계획에 따르겠다는 우호적이고 공식적인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28] 그러나 12월 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25가 통과될 무렵,[29] ICU는 평화 유지군이 소말리아에 진입하는 것을 공개적으로, 그리고 군사적으로 반대했으며, 어떤 평화 유지군이라도 적대 세력으로 간주하겠다고 맹세했다. 지역 분열로 인해 에티오피아군이 임무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ICU의 저항도 있었다.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레아군이 IGAD 평화 유지군에 포함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대해 경계했다.ICU의 위협에 직면하여, 군대(대대)를 파견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제안한 유일한 IGAD 회원국인 우간다는 임무의 현재 실행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철회했다.[30][31][32] 우간다는 무거운 무기로 진행되는 적극적인 적대 행위가 있는 경우(바이도아 전투 참조) 평화 유지군을 투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2007년 1월 1일, 2006년 12월 여러 전투에서 ICU가 패배한 후, 우간다는 다시 군대 대대를 파견하겠다는 약속을 갱신했다. 우간다와 나이지리아(아프리카 연합 회원이지만 정부 간 개발 기구의 회원국은 아님) 사이에 총 8,000명의 평화 유지군을 파견하겠다는 약속이 있었다.[33] 가나, 르완다, 탄자니아도 군대 파견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되었다.[34]
3. 2. 1. IGAD-ICU 회담과 결렬
요약(summary) 내용이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리겠습니다.3. 2. 2.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25호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2. 3. 우간다의 파병 철회 및 재개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요약(summary)와 원본 소스(source)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3. 3. 국제사회의 지원

2006년 12월에서 2007년 1월에 걸쳐 이슬람 법정 연합이 패배한 후, 국제 사회는 임무 수행을 위한 재정적 약속과 군사력 동원을 시작했다. 아프리카 연합(AU)의 국가들은 정부간 개발 기구 (IGAD) 공동체 외부에서 지원을 제공하도록 요청받았다.
2007년 1월 17일, 케냐 주재 미국 대사 마이클 란네버거는 미국이 소말리아 평화 유지군 파견을 지원하기 위해 4천만 달러를 약속했다고 말했다.[35] 1월 20일까지 유럽 연합은 1,500만 유로를 약속했다.[36] 2007년 1월 19일, 이 임무는 아프리카 연합 평화 안보 위원회의 69차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정의되고 승인되었다.[5] 2007년 1월 22일, 말라위는 소말리아 평화 유지 임무에 반대대대에서 대대(약 400명에서 1,200명 사이의 병력)를 파견하기로 합의했다.[37] 2007년 1월 24일, 나이지리아는 소말리아 평화 유지 임무에 대대 (770명에서 1,100명 사이의 병력)를 파견하겠다고 약속했다.[38]
2007년 2월 1일, 부룬디는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하여 최대 1,000명의 병력을 파병하겠다고 약속했다.[39] 3월 27일까지 1,700명의 부룬디 평화 유지군이 소말리아로 파견될 것이 확인되었다.[40] 2007년 2월 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아프리카 연합과 정부간 개발 기구 주도의 평화 유지 임무의 시작을 환영했다.[41] 2007년 2월 5일, 탄자니아는 소말리아 정부군 훈련을 제공했지만, 평화 유지군을 파병하지는 않았다.[42] 2007년 2월 9일, 이슬람교 지지세가 가장 강했던 북부 모가디슈에서 소말리아 시위대 800명이 모여 평화 유지 임무에 항의하며 미국, 에티오피아, 우간다 국기를 불태웠다. 저항 단체인 '두 이주 땅의 민중 저항 운동'의 가면을 쓴 대표는 에티오피아 군대가 그들의 호텔에서 공격받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같은 단체는 평화 유지군에게 소말리아에 오지 말라고 경고하는 영상을 만들었다.[43] 이 시점까지 우간다, 나이지리아, 가나, 말라위 및 부룬디가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했지만, 총 병력은 제안된 8,000명 규모의 절반 정도였다.[44] 우간다는 최대 9개월 동안 지속되는 임무를 위해 1,400명의 병력과 일부 장갑차를 약속했고, AU는 1,160만 달러를 약속했다.[45] 2007년 2월 16일, 우간다는 2007년 2월 17일 토요일부터 레비 카루한가 소장의 지휘 하에 숙련된 병사 1,500명을 파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보고에 따르면 병사들은 임무를 위해 2년 동안 훈련을 받아왔다.[46]
3. 3. 1. 재정 지원
2006년 12월에서 2007년 1월에 걸쳐 이슬람 법정 연합이 패배한 후, 국제 사회는 임무 수행을 위한 재정적 약속과 군사력 동원을 시작했다. 아프리카 연합(AU)의 국가들은 정부간 개발 기구 (IGAD) 공동체 외부에서 지원을 제공하도록 요청받았다.
2007년 1월 17일, 케냐 주재 미국 대사 마이클 란네버거는 미국이 소말리아 평화 유지군 파견을 지원하기 위해 4천만 달러를 약속했다고 말했다.[35] 1월 20일까지 유럽 연합은 1,500만 유로를 약속했다.[36]
3. 3. 2. 군사력 동원
2006년 12월에서 2007년 1월 사이, 이슬람 법정 연합이 패배한 후 국제 사회는 소말리아 AU사절단 임무 수행을 위한 재정 지원 및 군사력 동원을 시작했다. 아프리카 연합(AU) 국가들은 정부간 개발 기구 (IGAD) 공동체 외부에서 지원을 제공하도록 요청받았다.
2007년 1월 17일, 마이클 란네버거 케냐 주재 미국 대사는 미국이 소말리아 평화 유지군 파견을 지원하기 위해 4천만 달러를 약속했다고 발표했다.[35] 1월 20일, 유럽 연합은 1,500만 유로를 약속했다.[36] 2007년 1월 19일, 아프리카 연합 평화 안보 위원회의 69차 회의에서 임무가 공식적으로 정의되고 승인되었다.[5]
2007년 1월 22일, 말라위는 소말리아 평화 유지 임무에 반대대대에서 대대(약 400명에서 1,200명 사이의 병력)를 파견하기로 합의했다.[37] 1월 24일, 나이지리아는 대대 (770명에서 1,100명 사이의 병력)를 파견하겠다고 약속했다.[38]
2007년 2월 1일, 부룬디는 최대 1,000명의 병력을 파병하겠다고 약속했다.[39] 3월 27일, 1,700명의 부룬디 평화 유지군이 소말리아로 파견될 것이 확인되었다.[40] 2월 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아프리카 연합과 정부간 개발 기구 주도의 평화 유지 임무의 시작을 환영했다.[41] 2월 5일, 탄자니아는 소말리아 정부군 훈련을 제공했지만, 평화 유지군을 파병하지는 않았다.[42]
2월 9일, 이슬람교 지지세가 가장 강했던 북부 모가디슈에서 소말리아 시위대 800명이 모여 평화 유지 임무에 항의하며 미국, 에티오피아, 우간다 국기를 불태웠다. 저항 단체인 '두 이주 땅의 민중 저항 운동'의 가면을 쓴 대표는 에티오피아 군대가 그들의 호텔에서 공격받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같은 단체는 평화 유지군에게 소말리아에 오지 말라고 경고하는 영상을 만들었다.[43] 이 시점까지 우간다, 나이지리아, 가나, 말라위 및 부룬디가 평화 유지 임무에 참여했지만, 총 병력은 제안된 8,000명 규모의 절반 정도였다.[44] 우간다는 최대 9개월 동안 지속되는 임무를 위해 1,400명의 병력과 일부 장갑차를 약속했고, AU는 1,160만 달러를 약속했다.[45] 2월 16일, 우간다는 2007년 2월 17일부터 레비 카루한가 소장의 지휘 하에 숙련된 병사 1,500명을 파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보고에 따르면 병사들은 임무를 위해 2년 동안 훈련을 받아왔다.[46]
4. 소말리아 배치
소말리아에 AMISOM이 배치되기 며칠 전, 모가디슈의 폭력 사태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47] 2007년 3월 6일, 첫 아프리카 연합군이 군용 차량 3대와 함께 모가디슈 공항에 도착했다.[9]
부룬디 군대는 기술적으로 2007년 8월 초에 투입될 준비가 되었지만, 미국과 프랑스가 약속한 장비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48] 2007년 12월 23일, 부룬디 군인 100명으로 구성된 선발대가 배치되었고, 2007년 12월 24일에 다른 병사 100명이 도착했다.[49][50] 2008년 말까지 1,700명의 부룬디 군인이 모가디슈에 배치되었다.[51]
2009년 7월 28일, 세계 보건 기구는 모가디슈에 주둔한 AMISOM 군인 21명이 급성 말초 부종, 호흡 곤란, 심계항진, 발열 증세를 보이며 아프고 3명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52] WHO는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 AMISOM, 그리고 나이로비의 아가 칸 대학교 병원과 함께 조사를 시작했다. 2009년 4월 26일부터 2010년 5월 1일까지 241명의 AU 군인이 하지 부종과 최소 하나의 추가 증상을 보였고, 환자 4명이 사망했다. 최소 52명의 군인이 케냐와 우간다의 병원으로 공수되었다. 입원 환자 31명 중 4명이 폐고혈압을 동반한 우측 심부전을 겪었다. 이 질병은 군대에 제공된 음식만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현지에서 조달한 음식은 섭취하지 않음). 이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습성 각기병과 일치했기 때문에, 영향을 받은 군인들에게 티아민을 투여하여 빠르고 극적인 회복을 보였다.
2010년 7월 22일 캄팔라에서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AU 장관들은 임무의 범위를 평화 유지에서 평화 강제 중심으로 확대하여 알 샤바브와 더 직접적으로 교전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정은 2010년 7월 캄팔라 공격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내려졌다.[53] 며칠 후, UN의 압력에 따라 AU는 임무 범위를 확대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알 샤바브에 대한 선제 공격을 허용하고 다른 아프리카 국가로부터 더 많은 병력을 약속했다.[54]
2010년 7월 23일, 지부티와 기니는 AMISOM에 병력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55] 2010년 9월 17일, AU 특사는 나이로비에서 우간다의 추가 대대가 합류한 후 AMISOM의 규모가 6,300명에서 7,200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56] 2010년 12월, UN은 AMISOM이 임무의 허가된 규모를 12,000명으로 늘리는 것을 지지했고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64, 2010년 12월 22일), 동시에 우간다는 1,800명의 병력을, 부룬디는 850명의 병력을 추가로 약속했다는 보고가 있었다.[57]
2011년 3월 부룬디는 AMISOM에 1,000명의 추가 병력을 파견하여 부룬디 병력의 총 배치를 4,400명으로 늘렸다.[58] AFP는 Africa Research Bulletin에서 부룬디 군사 책임자 고데프루아 니욤바레 장군이 2011년 3월 14일에 병사들이 일주일 전에 배치되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59]
2012년 2월 UN 안전 보장 이사회는 배치된 병력 수를 12,000명에서 17,731명으로 늘렸다. 이 승인은 이전에 국가의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걸쳐 위치를 점유했던 알 샤바브 전사들에 대한 일련의 최근 성공 이후에 이루어졌다.[60] 같은 달, AU 사령관 프레드 무기샤는 알 샤바브가 "가장 약해진 상태"에 있으며, 겪었던 잇따른 군사적 패배와 수백 명의 단체 전사들이 아라비아 반도로의 탈출로 인해 "머지않은 미래에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61]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성공적인 군사 작전으로 인해 미국은 또한 알 샤바브 반군을 근절하고 그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AMISOM 군대를 훈련하고 장비를 갖추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62]
2011년 10월, 케냐 국방군은 린다 니치 작전을 시작하여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 샤바브를 공격했다.[63][64] 11월 12일, 케냐 정부는 AMISOM 지휘 하에 병력을 재배치하기로 합의했고,[65] 2012년 3월에는 AMISOM에 합류하기 위해 5,000명의 병력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5]
''East African''은 2012년 3월 AMISOM 본부 및 부문 사령부의 재편성에 대해 보도했다. 인력(J1)은 AU가 이끌고, 케냐는 정보(J2) 및 물류(J4)를, 우간다는 작전(J3) 및 엔지니어(J8)를, 부룬디는 계획(J5) 및 통신/IS(J6)를, 시에라리온은 훈련(J7)을, 지부티는 CIMIC(J9)를 담당할 것이다. 또한 4개의 부문이 있을 것이다. 우간다는 제1부문(샤벨레 및 바나디르), 케냐가 운영하는 제2부문(주바스), 부룬디가 담당하는 제3부문(게도, 바, 바쿨), 그리고 에티오피아 군대가 철수하여 지부티가 지휘하게 될 부문이다.[66]
2013년 11월, 에티오피아 정부는 소말리아에 배치된 자국 군대를 AMISOM 다국적군에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소말리아 외무부 장관 포우지아 하지 유수프는 이 결정을 환영하며, 이 조치가 반군 단체에 대한 AMISOM의 캠페인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에티오피아 당국의 발표는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시도한 10월 폭탄 테러 시도가 실패한 지 한 달 만에, 그리고 에티오피아가 반군 단체로부터 새로운 테러 위협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나왔다.[68] 에티오피아 외무부 대변인 디나 무프티 대사에 따르면, AMISOM에 합류하려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결정은 평화 유지 작전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려는 의도이다.[69] 분석가들은 또한 이 움직임이 주로 재정적 고려 사항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시사했으며, 에티오피아 군대의 작전 비용이 이제 AMISOM의 예산에 포함될 예정이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소말리아 영토에서의 오랜 경험, 헬리콥터와 같은 장비, 그리고 더욱 긴밀한 협력의 가능성이 연합군이 영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어진다.[70] 반면에 2006년 에티오피아의 가혹한 개입에서 비롯된 지역적 반감으로 인해 에티오피아의 AMISOM 진입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또한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에 대한 소말리아의 반감을 결집의 외침으로 사용하고 더 많은 회원을 모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71]
2013년 12월, 미국 정부는 AMISOM과 소말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모가디슈에 군사 조정 기구를 설립했다. 이 부대는 AMISOM과 소말리아 당국 간의 계획가와 통신 담당자를 포함하여 5명 미만의 고문으로 구성된다. 이는 연합군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합군에 대한 자문 및 계획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72]
2021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EU와 그 동맹국은 AMISOM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참여에 대해 케냐에 분기별 지급액 8억 1,100만 실링을 포함하여 총 25억 4,000만 실링을 상환했다. 이 자금은 2011년 10월 시작된 이후 천천히 감소했으며, 마지막 할부에서 각 군인은 약 800달러(92,800실링)를 받았다.[73]
4. 1. 초기 배치 (2007-2009)
2007년 3월 6일, 첫 아프리카 연합군이 군용 차량 3대와 함께 모가디슈 공항에 도착했다.[9] 이는 소말리아에 AMISOM이 배치되기 며칠 전, 모가디슈의 폭력 사태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한 직후였다.[47]2007년 12월 23일, 부룬디 군인 100명으로 구성된 선발대가 배치되었고, 2007년 12월 24일에 다른 병사 100명이 도착했다.[49][50] 2008년 말까지 1,700명의 부룬디 군인이 모가디슈에 배치되었다.[51] 부룬디 군대는 기술적으로 2007년 8월 초에 투입될 준비가 되었지만, 미국과 프랑스가 약속한 장비가 아직 도착하지 않아 배치가 지연되었다.[48]
2009년 7월 28일, 세계 보건 기구는 모가디슈에 주둔한 AMISOM 군인 21명이 급성 말초 부종, 호흡 곤란, 심계항진, 발열 증세를 보이며 아프고 3명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52] WHO는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 AMISOM, 그리고 나이로비의 아가 칸 대학교 병원과 함께 조사를 시작했다. 2009년 4월 26일부터 2010년 5월 1일까지 241명의 AU 군인이 하지 부종과 최소 하나의 추가 증상을 보였고, 환자 4명이 사망했다. 최소 52명의 군인이 케냐와 우간다의 병원으로 공수되었다. 입원 환자 31명 중 4명이 폐고혈압을 동반한 우측 심부전을 겪었다. 이 질병은 군대에 제공된 음식만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현지에서 조달한 음식은 섭취하지 않음). 이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습성 각기병과 일치했기 때문에, 영향을 받은 군인들에게 티아민을 투여하여 빠르고 극적인 회복을 보였다.
4. 1. 1. 우간다 군대의 선발대 도착
2007년 3월 6일, 첫 아프리카 연합군이 군용 차량 3대와 함께 모가디슈 공항에 도착했다.[9] 이는 소말리아에 AMISOM이 배치되기 며칠 전, 모가디슈의 폭력 사태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한 직후였다.[47]4. 1. 2. 부룬디 군대의 합류
2007년 12월 23일, 부룬디 군인 100명으로 구성된 선발대가 배치되었고, 2007년 12월 24일에 다른 병사 100명이 도착했다.[49][50] 2008년 말까지 1,700명의 부룬디 군인이 모가디슈에 배치되었다.[51] 부룬디 군대는 기술적으로 2007년 8월 초에 투입될 준비가 되었지만, 미국과 프랑스가 약속한 장비가 아직 도착하지 않아 배치가 지연되었다.[48]2009년 7월 28일, 세계 보건 기구는 모가디슈에 주둔한 AMISOM 군인 21명이 급성 말초 부종, 호흡 곤란, 심계항진, 발열 증세를 보이며 아프고 3명이 사망했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52] WHO는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 AMISOM, 그리고 나이로비의 아가 칸 대학교 병원과 함께 조사를 시작했다. 2009년 4월 26일부터 2010년 5월 1일까지 241명의 AU 군인이 하지 부종과 최소 하나의 추가 증상을 보였고, 환자 4명이 사망했다. 최소 52명의 군인이 케냐와 우간다의 병원으로 공수되었다. 입원 환자 31명 중 4명이 폐고혈압을 동반한 우측 심부전을 겪었다. 이 질병은 군대에 제공된 음식만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현지에서 조달한 음식은 섭취하지 않음). 이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습성 각기병과 일치했기 때문에, 영향을 받은 군인들에게 티아민을 투여하여 빠르고 극적인 회복을 보였다.
4. 2. 역할 확대 (2010-2022)
2010년 7월 22일 캄팔라에서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AU 장관들은 임무의 범위를 평화 유지에서 평화 강제 중심으로 확대하여 알 샤바브와 더 직접적으로 교전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정은 2010년 7월 캄팔라 공격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내려졌다.[53] 며칠 후, UN의 압력에 따라 AU는 임무 범위를 확대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알 샤바브에 대한 선제 공격을 허용하고 다른 아프리카 국가로부터 더 많은 병력을 약속했다.[54]2010년 7월 23일, 지부티와 기니는 AMISOM에 병력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55] 2010년 9월 17일, AU 특사는 나이로비에서 우간다의 추가 대대가 합류한 후 AMISOM의 규모가 6,300명에서 7,200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56] 2010년 12월, UN은 AMISOM이 임무의 허가된 규모를 12,000명으로 늘리는 것을 지지했고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64, 2010년 12월 22일), 동시에 우간다는 1,800명의 병력을, 부룬디는 850명의 병력을 추가로 약속했다는 보고가 있었다.[57]
2011년 3월 부룬디는 AMISOM에 1,000명의 추가 병력을 파견하여 부룬디 병력의 총 배치를 4,400명으로 늘렸다.[58] AFP는 Africa Research Bulletin에서 부룬디 군사 책임자 고데프루아 니욤바레 장군이 2011년 3월 14일에 병사들이 일주일 전에 배치되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59]
2012년 2월 UN 안전 보장 이사회는 배치된 병력 수를 12,000명에서 17,731명으로 늘렸다. 이 승인은 이전에 국가의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걸쳐 위치를 점유했던 알 샤바브 전사들에 대한 일련의 최근 성공 이후에 이루어졌다.[60] 같은 달, AU 사령관 프레드 무기샤는 알 샤바브가 "가장 약해진 상태"에 있으며, 겪었던 잇따른 군사적 패배와 수백 명의 단체 전사들이 아라비아 반도로의 탈출로 인해 "머지않은 미래에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61]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성공적인 군사 작전으로 인해 미국은 또한 알 샤바브 반군을 근절하고 그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AMISOM 군대를 훈련하고 장비를 갖추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62]
2011년 10월, 케냐 국방군은 린다 니치 작전을 시작하여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 샤바브를 공격했다.[63][64] 11월 12일, 케냐 정부는 AMISOM 지휘 하에 병력을 재배치하기로 합의했고,[65] 2012년 3월에는 AMISOM에 합류하기 위해 5,000명의 병력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5]
''East African''은 2012년 3월 AMISOM 본부 및 부문 사령부의 재편성에 대해 보도했다. 인력(J1)은 AU가 이끌고, 케냐는 정보(J2) 및 물류(J4)를, 우간다는 작전(J3) 및 엔지니어(J8)를, 부룬디는 계획(J5) 및 통신/IS(J6)를, 시에라리온은 훈련(J7)을, 지부티는 CIMIC(J9)를 담당할 것이다. 또한 4개의 부문이 있을 것이다. 우간다는 제1부문(샤벨레 및 바나디르), 케냐가 운영하는 제2부문(주바스), 부룬디가 담당하는 제3부문(게도, 바, 바쿨), 그리고 에티오피아 군대가 철수하여 지부티가 지휘하게 될 부문이다.[66]
2013년 11월, 에티오피아 정부는 소말리아에 배치된 자국 군대를 AMISOM 다국적군에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소말리아 외무부 장관 포우지아 하지 유수프는 이 결정을 환영하며, 이 조치가 반군 단체에 대한 AMISOM의 캠페인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에티오피아 당국의 발표는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시도한 10월 폭탄 테러 시도가 실패한 지 한 달 만에, 그리고 에티오피아가 반군 단체로부터 새로운 테러 위협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나왔다.[68] 에티오피아 외무부 대변인 디나 무프티 대사에 따르면, AMISOM에 합류하려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결정은 평화 유지 작전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려는 의도이다.[69] 분석가들은 또한 이 움직임이 주로 재정적 고려 사항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시사했으며, 에티오피아 군대의 작전 비용이 이제 AMISOM의 예산에 포함될 예정이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소말리아 영토에서의 오랜 경험, 헬리콥터와 같은 장비, 그리고 더욱 긴밀한 협력의 가능성이 연합군이 영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어진다.[70] 반면에 2006년 에티오피아의 가혹한 개입에서 비롯된 지역적 반감으로 인해 에티오피아의 AMISOM 진입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또한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에 대한 소말리아의 반감을 결집의 외침으로 사용하고 더 많은 회원을 모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71]
2013년 12월, 미국 정부는 AMISOM과 소말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모가디슈에 군사 조정 기구를 설립했다. 이 부대는 AMISOM과 소말리아 당국 간의 계획가와 통신 담당자를 포함하여 5명 미만의 고문으로 구성된다. 이는 연합군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합군에 대한 자문 및 계획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72]
2021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EU와 그 동맹국은 AMISOM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참여에 대해 케냐에 분기별 지급액 8억 1,100만 실링을 포함하여 총 25억 4,000만 실링을 상환했다. 이 자금은 2011년 10월 시작된 이후 천천히 감소했으며, 마지막 할부에서 각 군인은 약 800달러(92,800실링)를 받았다.[73]
4. 2. 1. 평화 강제 임무 강화
2010년 7월 22일 캄팔라에서 열린 비공개 회의에서 AU 장관들은 임무의 범위를 평화 유지에서 평화 강제 중심으로 확대하여 알 샤바브와 더 직접적으로 교전하기로 합의했다. 이 결정은 2010년 7월 캄팔라 공격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내려졌다.[53] 며칠 후, UN의 압력에 따라 AU는 임무 범위를 확대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알 샤바브에 대한 선제 공격을 허용하고 다른 아프리카 국가로부터 더 많은 병력을 약속했다.[54]2010년 7월 23일, 지부티와 기니는 AMISOM에 병력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55] 2010년 9월 17일, AU 특사는 나이로비에서 우간다의 추가 대대가 합류한 후 AMISOM의 규모가 6,300명에서 7,200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56] 2010년 12월, UN은 AMISOM이 임무의 허가된 규모를 12,000명으로 늘리는 것을 지지했고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64, 2010년 12월 22일), 동시에 우간다는 1,800명의 병력을, 부룬디는 850명의 병력을 추가로 약속했다는 보고가 있었다.[57]
2011년 3월 부룬디는 AMISOM에 1,000명의 추가 병력을 파견하여 부룬디 병력의 총 배치를 4,400명으로 늘렸다.[58] AFP는 Africa Research Bulletin에서 부룬디 군사 책임자 고데프루아 니욤바레 장군이 2011년 3월 14일에 병사들이 일주일 전에 배치되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59]
2012년 2월 UN 안전 보장 이사회는 배치된 병력 수를 12,000명에서 17,731명으로 늘렸다. 이 승인은 이전에 국가의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걸쳐 위치를 점유했던 알 샤바브 전사들에 대한 일련의 최근 성공 이후에 이루어졌다.[60] 같은 달, AU 사령관 프레드 무기샤는 알 샤바브가 "가장 약해진 상태"에 있으며, 겪었던 잇따른 군사적 패배와 수백 명의 단체 전사들이 아라비아 반도로의 탈출로 인해 "머지않은 미래에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61]
이슬람주의자들에 대한 성공적인 군사 작전으로 인해 미국은 또한 알 샤바브 반군을 근절하고 그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AMISOM 군대를 훈련하고 장비를 갖추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62]
2011년 10월, 케냐 국방군은 린다 니치 작전을 시작하여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 샤바브를 공격했다.[63][64] 11월 12일, 케냐 정부는 AMISOM 지휘 하에 병력을 재배치하기로 합의했고,[65] 2012년 3월에는 AMISOM에 합류하기 위해 5,000명의 병력을 파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5]
''East African''은 2012년 3월 AMISOM 본부 및 부문 사령부의 재편성에 대해 보도했다. 인력(J1)은 AU가 이끌고, 케냐는 정보(J2) 및 물류(J4)를, 우간다는 작전(J3) 및 엔지니어(J8)를, 부룬디는 계획(J5) 및 통신/IS(J6)를, 시에라리온은 훈련(J7)을, 지부티는 CIMIC(J9)를 담당할 것이다. 또한 4개의 부문이 있을 것이다. 우간다는 제1부문(샤벨레 및 바나디르), 케냐가 운영하는 제2부문(주바스), 부룬디가 담당하는 제3부문(게도, 바, 바쿨), 그리고 에티오피아 군대가 철수하여 지부티가 지휘하게 될 부문이다.[66]
2013년 11월, 에티오피아 정부는 소말리아에 배치된 자국 군대를 AMISOM 다국적군에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소말리아 외무부 장관 포우지아 하지 유수프는 이 결정을 환영하며, 이 조치가 반군 단체에 대한 AMISOM의 캠페인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또한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7] 에티오피아 당국의 발표는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시도한 10월 폭탄 테러 시도가 실패한 지 한 달 만에, 그리고 에티오피아가 반군 단체로부터 새로운 테러 위협을 받은 지 일주일 만에 나왔다.[68] 에티오피아 외무부 대변인 디나 무프티 대사에 따르면, AMISOM에 합류하려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결정은 평화 유지 작전을 더욱 안전하게 만들려는 의도이다.[69] 분석가들은 또한 이 움직임이 주로 재정적 고려 사항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고 시사했으며, 에티오피아 군대의 작전 비용이 이제 AMISOM의 예산에 포함될 예정이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소말리아 영토에서의 오랜 경험, 헬리콥터와 같은 장비, 그리고 더욱 긴밀한 협력의 가능성이 연합군이 영토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어진다.[70] 반면에 2006년 에티오피아의 가혹한 개입에서 비롯된 지역적 반감으로 인해 에티오피아의 AMISOM 진입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 또한 알 샤바브가 에티오피아에 대한 소말리아의 반감을 결집의 외침으로 사용하고 더 많은 회원을 모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71]
2013년 12월, 미국 정부는 AMISOM과 소말리아 정부의 요청에 따라 모가디슈에 군사 조정 기구를 설립했다. 이 부대는 AMISOM과 소말리아 당국 간의 계획가와 통신 담당자를 포함하여 5명 미만의 고문으로 구성된다. 이는 연합군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연합군에 대한 자문 및 계획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72]
2021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EU와 그 동맹국은 AMISOM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참여에 대해 케냐에 분기별 지급액 8억 1,100만 실링을 포함하여 총 25억 4,000만 실링을 상환했다. 이 자금은 2011년 10월 시작된 이후 천천히 감소했으며, 마지막 할부에서 각 군인은 약 800달러(92,800실링)를 받았다.[73]
4. 2. 2. 지부티, 기니 등 추가 파병
아무런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4. 2. 3. 케냐군의 AMISOM 편입
요약(summary)이 비어있으므로, 원본 소스(source) 역시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 및 원본 소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4. 2. 4. 에티오피아군의 AMISOM 통합
요약(summary)과 원본소스(source)의 내용이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4. 2. 5. 미국의 군사 지원 확대
(내용 없음)5. 지휘 및 구성
wikitext
미션 책임자는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의장 특별 대표(SRCC)였다. 2015년 10월 7일, 모잠비크 출신의 프란시스코 카에타노 호세 마데이라가 니제르 출신의 마망 삼보 시디쿠를 대신하여 이 직책에 임명되었다.[74]
==== 미션 책임자 (SRCC) ====
미션 책임자는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의장 특별 대표(SRCC)였다. 2015년 10월 7일, 모잠비크 출신의 프란시스코 카에타노 호세 마데이라가 니제르 출신의 마망 삼보 시디쿠를 대신하여 이 직책에 임명되었다.[74]
==== 역대 사령관 ====
==== 역대 부사령관 ====
==== 역대 참모장 ====
==== 역대 대변인 ====
번호 | 이름 | 국적 | 기간 (시작) | 기간 (종료) |
---|---|---|---|---|
1 | 패디 안쿤다(Paddy Ankunda) 대위[111] | 우간다 | 2007년 3월 | 2008년 2월 |
2 | 바리게 바-호쿠(Barigye Ba-Hoku) 소령[112] | 우간다 | 2008년 2월 | 2011년 5월 3일 |
3 | 패디 안쿤다(Paddy Ankunda) 중령[113][114] | 우간다 | 2011년 5월 3일 | 2012년 7월 8일 |
4 | 알리 아덴 후메드(Ali Aden Houmed) 대령 | 지부티 | 2012년 7월 8일 | 2014년 12월 |
5 | 폴 은주구나(Paul Njuguna) 중령 | 케냐 | 2015년 3월 16일 | 2016년 4월? |
6 | 조 키베트(Joe Kibet) 중령[115] | 케냐 | 2016년 4월 | 2017년 4월? |
7 | 윌슨 로노(Wilson Rono) 중령 | 케냐 | 2017년 4월 | 2018년 4월 |
8 | 리처드 옴웨가(Richard Omwega) 중령 | 케냐 | 2018년 4월 | 현직 |
==== 초기 구역 분할 (2012) ====
2011년 10월 15일, 케냐군은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샤바브를 공격했다. 2012년 2월 2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36호는 케냐군을 포함하여 AMISOM 병력 수를 17,731명으로 증원하는 것을 승인했다.[116] 이 결의안은 2012년 중반부터 발효되었다. 이때 초기 우간다와 부룬디 AMISOM 군대는 모가디슈에서 알샤바브 무장 세력을 상당 부분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부대는 새로운 구역으로 재편성되었다.[117]
- '''제1구역''' (본부: 모가디슈, 주로 우간다 파견대의 관할)은 바나디르, 중부 샤벨레, 하부 샤벨레 지역을 포함했다.
- '''제2구역''' (본부: 키스마유, 주로 케냐 국방군(KDF)의 관할이며, 시에라리온 파견대가 예상됨)은 게도, 중부 주바, 하부 주바 지역을 포함했다.
- '''제3구역''' (본부: 바이도아, 주로 부룬디 파견대의 관할)은 바, 바쿨 지역을 포함했다.
- '''제4구역''' (본부: 벨레트 웨인, 지부티 파견대의 관할)은 히란 지역을 포함했다.
==== 수정된 구역 분할 (2014) ====
2013년 11월 1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4호는 에티오피아 파견대의 포함을 통해 병력 22,126명으로 증원을 승인했다.[118] 이는 2014년 1월에 발효되었으며, 이때 구역 조직은 다음과 같이 수정되었다:[119]
- '''제1구역''' (모가디슈: 바나디르 및 하부 샤벨레 지역) – 우간다 인민 국방군(UPDF) 파견대
- '''제2구역''' (도브헤이: 하부 및 중부 주바 지역) – 케냐 국방군(KDF) 파견대, 시에라리온 파견대는 이 부대가 철수할 때까지 '제2구역 키스마유'에서 작전 수행. 2016년 1월 에티오피아 군대가 키스마유에 배치되었다.[120]
- '''제3구역''' (바이도아: 바, 바쿨 및 게도 지역) – 에티오피아 파견대
- '''제4구역''' (벨레트 웨인: 히란 지역) – 지부티 파견대
- '''제5구역''' (조우하르: 중부 샤벨레 지역) – 부룬디 파견대
5. 1. 지휘 구조
미션 책임자는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의장 특별 대표(SRCC)였다. 2015년 10월 7일, 모잠비크 출신의 프란시스코 카에타노 호세 마데이라가 니제르 출신의 마망 삼보 시디쿠를 대신하여 이 직책에 임명되었다.[74]
번호 | 이름 | 국적 | 기간 (시작) | 기간 (종료) |
---|---|---|---|---|
1 | 패디 안쿤다(Paddy Ankunda) 대위[111] | 우간다 | 2007년 3월 | 2008년 2월 |
2 | 바리게 바-호쿠(Barigye Ba-Hoku) 소령[112] | 우간다 | 2008년 2월 | 2011년 5월 3일 |
3 | 패디 안쿤다(Paddy Ankunda) 중령[113][114] | 우간다 | 2011년 5월 3일 | 2012년 7월 8일 |
4 | 알리 아덴 후메드(Ali Aden Houmed) 대령 | 지부티 | 2012년 7월 8일 | 2014년 12월 |
5 | 폴 은주구나(Paul Njuguna) 중령 | 케냐 | 2015년 3월 16일 | 2016년 4월? |
6 | 조 키베트(Joe Kibet) 중령[115] | 케냐 | 2016년 4월 | 2017년 4월? |
7 | 윌슨 로노(Wilson Rono) 중령 | 케냐 | 2017년 4월 | 2018년 4월 |
8 | 리처드 옴웨가(Richard Omwega) 중령 | 케냐 | 2018년 4월 | 현직 |
5. 1. 1. 미션 책임자 (SRCC)
미션 책임자는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의장 특별 대표(SRCC)였다. 2015년 10월 7일, 모잠비크 출신의 프란시스코 카에타노 호세 마데이라가 니제르 출신의 마망 삼보 시디쿠를 대신하여 이 직책에 임명되었다.[74]
5. 1. 2. 역대 사령관
wikitable
5. 1. 3. 역대 부사령관
5. 1. 4. 역대 참모장
5. 1. 5. 역대 대변인
wikitable번호 | 이름 | 국적 | 기간 (시작) | 기간 (종료) |
---|---|---|---|---|
1 | 패디 안쿤다(Paddy Ankunda) 대위[111] | 우간다 | 2007년 3월 | 2008년 2월 |
2 | 바리게 바-호쿠(Barigye Ba-Hoku) 소령[112] | 우간다 | 2008년 2월 | 2011년 5월 3일 |
3 | 패디 안쿤다(Paddy Ankunda) 중령[113][114] | 우간다 | 2011년 5월 3일 | 2012년 7월 8일 |
4 | 알리 아덴 후메드(Ali Aden Houmed) 대령 | 지부티 | 2012년 7월 8일 | 2014년 12월 |
5 | 폴 은주구나(Paul Njuguna) 중령 | 케냐 | 2015년 3월 16일 | 2016년 4월? |
6 | 조 키베트(Joe Kibet) 중령[115] | 케냐 | 2016년 4월 | 2017년 4월? |
7 | 윌슨 로노(Wilson Rono) 중령 | 케냐 | 2017년 4월 | 2018년 4월 |
8 | 리처드 옴웨가(Richard Omwega) 중령 | 케냐 | 2018년 4월 | 현직 |
5. 2. 구역 분할
2011년 10월 15일, 케냐군은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샤바브를 공격했다. 2012년 2월 2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36호는 케냐군을 포함하여 AMISOM 병력 수를 17,731명으로 증원하는 것을 승인했다.[116] 이 결의안은 2012년 중반부터 발효되었다. 이때 초기 우간다와 부룬디 AMISOM 군대는 모가디슈에서 알샤바브 무장 세력을 상당 부분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부대는 새로운 구역으로 재편성되었다.[117]
- '''제1구역''' (본부: 모가디슈, 주로 우간다 파견대의 관할)은 바나디르, 중부 샤벨레, 하부 샤벨레 지역을 포함했다.
- '''제2구역''' (본부: 키스마유, 주로 케냐 국방군(KDF)의 관할이며, 시에라리온 파견대가 예상됨)은 게도, 중부 주바, 하부 주바 지역을 포함했다.
- '''제3구역''' (본부: 바이도아, 주로 부룬디 파견대의 관할)은 바, 바쿨 지역을 포함했다.
- '''제4구역''' (본부: 벨레트 웨인, 지부티 파견대의 관할)은 히란 지역을 포함했다.
2013년 11월 1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4호는 에티오피아 파견대의 포함을 통해 병력 22,126명으로 증원을 승인했다.[118] 이는 2014년 1월에 발효되었으며, 이때 구역 조직은 다음과 같이 수정되었다:[119]
- '''제1구역''' (모가디슈: 바나디르 및 하부 샤벨레 지역) – 우간다 인민 국방군(UPDF) 파견대
- '''제2구역''' (도브헤이: 하부 및 중부 주바 지역) – 케냐 국방군(KDF) 파견대, 시에라리온 파견대는 이 부대가 철수할 때까지 '제2구역 키스마유'에서 작전 수행. 2016년 1월 에티오피아 군대가 키스마유에 배치되었다.[120]
- '''제3구역''' (바이도아: 바, 바쿨 및 게도 지역) – 에티오피아 파견대
- '''제4구역''' (벨레트 웨인: 히란 지역) – 지부티 파견대
- '''제5구역''' (조우하르: 중부 샤벨레 지역) – 부룬디 파견대
2017년 1월, 키스마유는 폴 녜마 대령 지휘하의 별도 구역인 – '''제6구역''' – 으로 언급되었다.[121] 2017년 11월 22일, AMISOM의 트위터 피드는 부룬디의 프레데릭 은다이사바 대령이 케냐 국방군(KDF)의 폴 K 녜마 대령을 제6구역 사령관으로 교체한다고 발표했으며, 이 지휘부를 키스마유에 주둔하는 부룬디, 케냐, 에티오피아 군대로 구성된 다국적 구역이라고 설명했다.
5. 2. 1. 초기 구역 분할 (2012)
2011년 10월 15일, 케냐군은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알샤바브를 공격했다. 2012년 2월 2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36호는 케냐군을 포함하여 AMISOM 병력 수를 17,731명으로 증원하는 것을 승인했다.[116] 이 결의안은 2012년 중반부터 발효되었다. 이때 초기 우간다와 부룬디 AMISOM 군대는 모가디슈에서 알샤바브 무장 세력을 상당 부분 몰아내는 데 성공했고, 부대는 새로운 구역으로 재편성되었다.[117]
- '''제1구역''' (본부: 모가디슈, 주로 우간다 파견대의 관할)은 바나디르, 중부 샤벨레, 하부 샤벨레 지역을 포함했다.
- '''제2구역''' (본부: 키스마유, 주로 케냐 국방군(KDF)의 관할이며, 시에라리온 파견대가 예상됨)은 게도, 중부 주바, 하부 주바 지역을 포함했다.
- '''제3구역''' (본부: 바이도아, 주로 부룬디 파견대의 관할)은 바, 바쿨 지역을 포함했다.
- '''제4구역''' (본부: 벨레트 웨인, 지부티 파견대의 관할)은 히란 지역을 포함했다.
5. 2. 2. 수정된 구역 분할 (2014)
2013년 11월 1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4호는 에티오피아 파견대의 포함을 통해 병력 22,126명으로 증원을 승인했다.[118] 이는 2014년 1월에 발효되었으며, 이때 구역 조직은 다음과 같이 수정되었다:[119]
- '''제1구역''' (모가디슈: 바나디르 및 하부 샤벨레 지역) – 우간다 인민 국방군(UPDF) 파견대
- '''제2구역''' (도브헤이: 하부 및 중부 주바 지역) – 케냐 국방군(KDF) 파견대, 시에라리온 파견대는 이 부대가 철수할 때까지 '제2구역 키스마유'에서 작전 수행. 2016년 1월 에티오피아 군대가 키스마유에 배치되었다.[120]
- '''제3구역''' (바이도아: 바, 바쿨 및 게도 지역) – 에티오피아 파견대
- '''제4구역''' (벨레트 웨인: 히란 지역) – 지부티 파견대
- '''제5구역''' (조우하르: 중부 샤벨레 지역) – 부룬디 파견대
5. 3. 파견 부대
5. 3. 1. 우간다 파견대
'''a. 지휘관'''
'''b. 전투 부대'''
2007년 3월 우간다 군대가 처음 배치되어 모가디슈에 두 개 대대를 파견한 이후, 2015년까지 소말리아 AU사절단(AMISOM)에 대한 우간다 인민방위군(UPDF)의 기여는 각 2~3개 대대로 구성된 3개의 전투 부대로 확대되었다. 다음 표는 AMISOM에 배치된 우간다 전투 부대, 즉 'Ugabag'에 대한 세부 정보를 나열한다. 제시된 정보는 우간다 언론 보도 (대부분 'Allafrica.com' 웹사이트에서 수집)와 AMISOM 웹사이트의 뉴스 보도에서 수집되었다.
전투 부대 | 지휘관 | 소말리아 도착 | 소말리아 출발 | 병력 | 구성 | 비고 |
---|---|---|---|---|---|---|
Ugabag I | 피터 엘웨루 대령[122] | 2007년 3월 | 1,700명 | 보병 대대 1개 (피터 엘웨루 대령) 및 기갑/기동 보병 대대 1개 (카이즈(Kyazze) 대령) | 5명의 인원 손실?[137] | |
Ugabag II | 2007년 12월 | 2008년 11월 | 장교 97명 및 사병 1,600명 | 대대 2개? | 11개월의 배치 기간 동안 3명의 병사가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지만, 총 9명의 우간다인과 1명의 부룬디인이 배치 기간 동안 사망했다.[138] | |
Ugabag III | 잭슨 바카숨바(Jackson Bakasumba) 대령 | 2008년 11월/12월 | 2009년 8월/9월 | 1,700명 | [138] | |
Ugabag IV | 투미시메 카츠가지(Tumusiime Katsigazi) 대령 | 2009년 9월 | 1,703명 | 대대 2개? | [139] | |
Ugabag V | 2010년 5월? | 1,650명 | 대대 2개? | |||
Ugabag VI | 온도구(Ondogu) 대령, 또는 프랜시스 체모(Francis Chemo) 중령 | 2010년 4월? | 2011년 1월 | 23 대대(Lt. Col. 패트릭 티비화(Patrick Tibihwa), 2011년 6월 KIA)[140]와 19 대대(Lt. Col. 앤서니 루크와요 무우시(Anthony Lukwayo Mbuusi)) 및 69 대대(Lt. Col. 존 무가룰라(John Mugarula))를 포함할 수 있음. | 9개월 배치. 10명의 인원 손실 및 30명 부상 [141] 모가디슈 전투에 적극 참여[90] | |
Ugabag VII | 저스투스 베시시라(Justus Besisira) 중령 | 2011년 1월 | 1,800명 | 대대 2개? | [142] | |
Ugabag VIII | 카얀자 무항가(Kayanja Muhanga) 대령 | 7 Bn, 29 Bn 및 33 Bn | 2012년 5월 아프고예 진격 작전인 작전 프리 샤벨에 참여[143] | |||
Ugabag IX | 스테판 무게르와(Stephen Mugerwa) 대령, 또는 프레데릭 아키키 루가디야(Frederick Akiiki Rugadya) 중령, 또는 유진 세부그와오(Eugine Ssebugwawo) 중령 | 2012년 4월 | 2013년 5월 | 1,500명(2,369명으로도 표기) | 2012년 5월 아프고예 진격 작전인 작전 프리 샤벨에 참여. 342 Bn(Lt. Col. 존 카통골레(John Katongole))을 포함한 Ugabag IX+(스테판 무게르와(Stephen Mugerwa) 대령)에 의해 증원됨?[143] | |
Ugabag X | 에디슨 무와구지(Edison Muwaguzi) 대령(또는 무한구지(Muhanguzi)), 나중에 기소 및 강등 | 2013년 10월 | 25 Bn(메이저 젠타무(Sentamu)), 39 Bn(Lt. Col. 와말레(Wamale)), 45 Bn(메이저 루지로(Ruziro)) | Ugabag 8을 대체. | ||
Ugabag XI | 조셉 발리쿠뎀베(Joseph Balikudembe) 대령 | 2013년 1월 | 2014년 2월 | 1,700명 | Ugabag 9를 대체. 2013년 5월부터 하산 킴보와(Hassan Kimbowa) 대령 휘하의 Ugabag XI+에 의해 증원됨? | |
Ugabag XII | 에미 멀린드와(Emmy Mulindwa) 대령[144] | 2013년 9월/10월 | 2014년 10월/11월 | 2,930명 | 37 Bn(메이저 루기라(Lugira)), 43 Bn(메이저 안칸쿤다(Ankankunda)) 및 61 Bn(메이저 오주가(Ojuga)) | 17명의 인원 손실. 2014년 8월~10월 바라웨 진격 작전인 작전 인디안 오션에 참여[145] |
Ugabag XIII | 윌리엄 바이노무기샤(William Bainomugisha) 대령, 그 후 벤 세르와다(Ben Sserwada) 대령 | 2014년 2월 | 2015년 6월 | |||
Ugabag XIV | 프랭크 킴바데(Frank Kyambadde) 대령 | 2014년 10월/11월 | 2015년 11월/12월 | 2,754명 | 22명의 인원 손실. 바라웨에 주둔. Ugabag XII를 대체. | |
Ugabag XV | 실비오 아구마(Silvio Aguma) 대령 | 2016년 4월 | 35 Bn(Lt. Col. 폴 무한구지(Paul Muhanguzi)) | 아르비스카에 주둔. UPDF 부대에서 3개의 전투 부대를 구성하는 신규 전투 부대. | ||
Ugabag XVI | 보스코 무탐비(Bosco Mutambi) 대령, 그 후 피터 오몰라 가틸라노(Peter Omola Gatilano) 대령 | 2015년 6월 | 2016년 7월 | 1,400명 | 13 Bn(메이저 므웨시지(Mwesigye)) 포함[146] | 마르카에 본부를 둔 전투 부대.[146] 2015년 9월 1일 알샤바브에 의해 제나알레 인근의 회사 기지가 점령되었고, 전투 부대가 소말리아에 배치된 직후였다. 19명의 우간다 군인이 사망하고 1명이 포로로 잡혔으며[147], 22명이 부상당했다. 이로 인해 전투 부대 지휘관이 교체되었고, 나중에 조사 위원회가 구성되었다.[148] |
Ugabag XVII | 밥 오긱(Bob Ogik) 대령 | 2015년 11월 | 2016년 12월 | 2,777명[149] | 바라웨에 주둔. Ugabag XIV를 대체. | |
Ugabag XVIII | 로널드 비기르와(Ronald Bigirwa) 대령 | 2016년 3월/4월 | 2017년 4월[150] | 아르비스카에 주둔. Ugabag XV를 대체. | ||
Ugabag XIX | 앤서니 무우시 루콰고(Anthony Mbuusi Lukwago) 대령 | 2016년 7월 | 2017년 7월[151] | 마르카 지역에서 작전 수행. Ugabag XVI를 대체.[152] | ||
Ugabag XX | 버너드 아리나이트 투하이스(Bernerd Arinaitwe Tuhaise) 대령(투함(Tuhame))[153] | 2016년 12월 | 2017년 11월[108] | 2,745명 | 7 Bn, 69 Bn 및 기타 1개 | Ugabag XVII를 대체.[131] |
Ugabag XXI | 크리스 오그왈(Chris Ogwal) 대령 | 2017년 4월 | 2018년 4월[154] | Ugabag XVIII을 대체.[155][150] | ||
Ugabag XXII | 2017년 7월 | 1 Bn 및 19 Bn(Lt. Col. 로버트 나하미야(Robert Nahamya))[156] | 마르카 지역에서 Ugabag XIX를 대체.[157] 나중에 셀잘레에 본부를 둔 것으로 보고됨.[158][156] | |||
Ugabag XXIII | 에리아질 자케 오콜롱(Eriazile Zake Okolong) 대령 | 2017년 11월/12월 | 2018년 12월 | 2,400명[159] | [160] | |
Ugabag XXIV | 잭슨 카얀자(Jackson Kayanja) 대령[161] | |||||
Ugabag XXV | 폴 무왕구지(Paul Muwanguzi) 대령(또는 무한구지(Muhanguzi)) | 2018년 7월 | 2019년 7월 | 1,406명 | Ugabag XXII 대체[162][163][164] | |
Ugabag XXVI | 토퍼 마기노(Topher Magino) 대령 | Ugabag XXIII를 대체할 예정.[165] | ||||
Ugabag XXVII | 샘 코시야 쿠테사(Sam Kosiya Kutesa) 대령 | 2020년 9월 | [166] | |||
Ugabag XXVIII | 윌버포스 세룬쿠마(Wilberforce Sserunkuma) 대령 | 2019년 7월 | Ugabag XXV를 대체[167][168] | |||
Ugabag XXIX | 에드워드 카두(Edward Kaddu) 대령 | 2019년 12월 | 2021년 4월 | [166] | ||
Ugabag XXX | 지미 나비유 무소케(Jimmy Nabiyu Musoke) 대령[169] | 2020년 9월 | 1,800명 | [170] | ||
Ugabag XXXI | 프랜시스 아라그모이(Francis Aragmoi) 대령[171] | 2021년 12월? | ||||
Ugabag XXXII | 조나단 오조크 오 chom(Jonathan Ojok Ochom) 대령 [172] | 2021년 4월 | 우간다 전투 부대 XXIX를 대체. | |||
Ugabag XXXIII | 2021년 8월 | 1,848명 | 우간다 전투 부대 XXX를 대체할 예정.[173] | |||
5. 3. 2. 부룬디 파견대
'''a. 지휘관'''
'''b. 대대'''
부룬디는 2007년 12월에 소말리아 모가디슈에 첫 번째 대대를 파견하여 AMISOM에 참여했다. 장비 부족 등의 이유로 2008년 10월까지 국가 파견대를 2개 대대로 늘리는 데 시간이 걸렸다.[184] 그러나 이후 부룬디 파견군은 6개 대대 규모로 증가했다.[185] 부룬디의 병력 투입은 종종 5,432명으로 언급되는데, 이는 6개 대대(각 대대당 약 850명)의 병력과 본부 및 지원 부대를 합한 규모이다.
- '''제1 대대'''. 2007년 12월 도착.[186]
- '''제2 대대'''. 2008년 10월 중순 배치.[184]
- '''제7 대대''' (중령 퐁티엔 하키지마나). 2011년 동안 복무했으며 모가디슈 전투에 참여했다.[187]
- '''제8 대대'''
- '''제9 대대''' (중령 파스칼 하키지마나). 2011년 동안 복무했으며 모가디슈 전투에 참여했다.[187]
- '''제10 대대''' (중령 에지드 니타바라). 2011년 동안 복무했으며 모가디슈 전투에 참여했다.[187]
- '''제11 대대''' (중령 그리고르 은디쿠마잠보). 2011년 동안 복무했으며 모가디슈 전투에 참여했다.[187]
- '''제12 대대''' (중령 리차드 비메니이마나). 2011년 동안 복무했으며 모가디슈 전투에 참여했다.[187]
- '''제26 대대'''. 2015년 5월 말 귀국.[188]
- '''제27 대대'''. 2015년 5월 말 귀국.[188]
- '''제28 대대'''. 14개월의 배치 기간을 마치고 2015년 10월 귀국.
- '''제29 대대'''. 2015년 11월 귀국; 제35 대대로 교체.
- '''제30 대대'''. 2015년 11월 귀국; 제36 대대로 교체.
- '''제31 대대''', 828명. 2016년 5월 28일 귀국.
- '''제32 대대''' (소령 존 마니라키자). 1년 간의 배치 기간을 마치고 2016년 7월 귀국.[189]
- '''제33 대대''' (소령 리차드 니코야기제). 1년 간의 배치 기간을 마치고 2016년 7월 귀국.[189]
- '''제34 대대''' (소령 실뱅 키니기). 2015년 10월 배치(제28 대대 교체?) 및 2017년 2월 귀국.[190]
- '''제35 대대'''. 2015년 11월 배치, 제29 대대 교체?
- '''제36 대대'''. 2015년 11월 배치, 제30 대대 교체?
- '''제37 대대''' (소령 아돌프 카구루카). 2016년 5월 배치, 제31 대대 교체? 2017년 6월 귀국.[191]
- '''제38 대대''', 850명. 2016년 7월 배치, 제32 대대 교체[192][193]
- '''제39 대대''', 850명. 2016년 7월 배치, 제33 대대 교체[192][193]
제40, 41, 42 대대는 2016년 11월에 배치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되었다. 이러한 연기는 부룬디가 AMISOM 지원에 대한 유럽 연합의 지급 지연에 대해 실망했기 때문이거나, 유럽 연합이 지급을 부룬디 정부가 아닌 부룬디 군인에게 직접 지급할 것을 제안했기 때문일 수 있으며, 또는 부룬디 대통령이 3선에 출마하면서 부룬디 내의 국내 정치적 긴장이 발생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었다.[194][195][196] 2017년 1월까지 부룬디 정부는 소말리아에서 병력을 완전히 철수하겠다고 위협했는데, 이는 이들이 단순히 용병이 아니라 국민 파견대이며, 군인들이 제3자로부터 직접 지급을 받는다는 것은 용병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97] 이후 유럽 연합의 지급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부룬디 파견군은 소말리아의 AMISOM에 남을 것이라고 발표되었다.[198]
- '''제40 대대''' (소령 레오니다스 은싱기랑카보, 소령 라디슬라스 싱기랑카보로도 표기됨). 2017년 2월 배치, 제34 대대 교체,[199] 및 2018년 3월 철수.[200]
- '''제41 대대''' (소령 제논 니티신지라).[200]
- '''제42 대대'''
- '''제43 대대''' (소령 샤르티에 니안드위). 2017년 6월 배치, 제37 대대 교체.[201]
- '''제44 대대'''
- '''제45 대대''' (중령 필베르 하퉁기마나). 2017년 8월 소말리아에 도착, 제39 대대 교체, 조하르에 배치될 예정.[202]
- '''제55 대대'''. 2019년 11월 배치되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연장 이후 2021년 5월에 임무를 종료했다.[203]
- '''제56 대대''' 2019년 11월 배치되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연장 이후 2021년 5월에 임무를 종료했다.[203]
5. 3. 3. 에티오피아 파견대
wikitable
5. 3. 4. 케냐 파견대

'''파견대/제2구역 사령관'''
5. 3. 5. 지부티 파견대
wikitable번호 | 사령관 | 취임 | 퇴임 | 비고 |
---|---|---|---|---|
1 | 오스만 두바드 대령[216][217] | 2011년 12월[218] | 오스만 두바드 대령은 2016년 1월까지 파견군 사령관으로 재임했다.[211] | |
2 | 하산 자마 파라 대령 | 2016년 7월[219] | ||
3 | 압둘라히 무세 오마르 대령 | 2022년 2월[215] |
5. 3. 6. 시에라리온 파견대
마마디 모하메드 케이타 대령[220]은 2013년 4월부터 2013년 7월 4일까지,[221] 탐바 R. 알리우 준장[222]은 2013년 7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지휘관을 맡았다.850명 규모의 레오배트 1 (아부바카르 콘테 중령)은[223] 2013년 4월에 배치되어 케냐 지휘 하에 제2구역에서 복무하다가 이후 자체 지휘 하에 키스마유 구역에서 복무했다.[224][225] 레오배트 1은 2015년 1월에 소말리아를 떠나 귀국했다.[226]
레오배트 2 (조지 마무드 방구라 중령[227])는 2014년 초 레오배트 1을 교체할 예정이었다.[228] 그러나 지연으로 인해 2014년 1월에야 1단계 훈련을 완료했으며, 2단계 및 3단계 훈련은 각각 3개월 더 진행될 예정이었다.[229] 2014년 8월에 첫 번째 파견대를 교체할 계획이었지만,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2014년 10월, 두 번째 파견대가 4개월 동안 격리되어 에볼라 바이러스에 "무해함"이 확인되었지만,[230] 시에라리온 국방참모장은 파견대가 소말리아로 가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231]
2018년 4월, 무스타파 솔로몬 캄베가 지휘하는 160명의 시에라리온 경찰로 구성된 기동 경찰 부대가 AMISOM에 배치되었다.[232]
5. 4. 민간 인력
소말리아 AU사절단(AMISOM)의 민간 인력은 모가디슈의 안보 상황으로 인해 2008년부터 케냐 나이로비에서 운영되어 왔다.[233] 현재 약 81명의 인원이 근무하고 있다.2011년 초부터 AMISOM과 TFG는 알-샤바브에 대한 일련의 공세 이후 모가디슈의 여러 전략적 요충지를 장악했다. 수도에 대한 통제력이 확대되면서 AMISOM은 2011년 5월 16일 민간 인력과 경찰관을 모가디슈로 이동시켰다. 여기에는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의장 특별 대표(SRCC) 부바카 가우수 디아라 대사와 부대표(SRCC) 와풀라 와무니니 의원이 포함된다.[233]
병력에 대한 주요 물류 지원은 UN 사무국의 현장 임무인 AMISOM 유엔 지원 사무소(UNSOA)에서 제공했다. 민간 부문은 현장에서 마하마트 살레 아나디프 대사가 대표하는 소말리아 주재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의장 특별 대표(SRCC)가 감독했으며, 정치, 민간, 인도주의, 젠더 및 공공 정보 부서를 감독했다. 에피파니 카부셰메예-엔타와나 대사가 민간 참모장이었다. 행정 책임자 티모시 키구티는 행정 인력, 재정 및 예산, 물류 및 조달을 포함한 임무의 지원 부서를 이끌었다.
6. 파견 부대 훈련
미국은 소말리아로 향하는 파견 부대에 광범위한 훈련을 제공해 왔다.
2012년 상반기에 특수 목적 해병 항공 지상 태스크 포스 12(SPMAGTF-12)의 해병대 수색대는 우간다 인민 방위군의 군인들을 훈련시켰다.[234] 2012년 북부 봄(3월~5월)에 SPMAGTF-12의 해병대도 부룬디 군인들을 훈련시켰다. 4월과 5월에는 텍사스 육군 주 방위군 제3기병대대, 제124기병연대의 일원들이 부룬디 무두부구에서 BNDF와 별도의 훈련 임무에 참여했다. SPMAGTF-12는 또한 소말리아 임무에 참여하는 또 다른 국가인 지부티에 훈련 교관들을 파견하여 그곳의 육군 부대와 함께 일하도록 했다.
미군은 2012년 늦게 소말리아에 배치하기 위한 준비로 시에라리온 공화국군의 훈련을 지원했다. 2012년 6월, 미국 육군 아프리카 사령관인 데이비드 R. 호그 소장은 케냐와 협력하여 시에라리온군의 미래에 대해 고무적인 발언을 했다.[235] 2012년 6월 현재, RSLAF 군대는 아직 배치되지 않았다. 시에라리온 국방부 장관은 2012년 6월 23일, 이 대대가 '2012년 9월 중'에 아프리카 뿔 지역으로 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236]
AMISOM에 대한 상당한 양의 지원이 민간 기업에서 제공되었다. 워싱턴 대사관 거리에 본사를 둔 Bancroft Global Development는 약 40명의 남아프리카 및 유럽 출신 훈련 교관을 고용하여 AMISOM의 우간다 및 부룬디 군대와 함께 일하고 있다.[237] Bancroft의 이사인 마이클 스톡은 ''The EastAfrican''과의 인터뷰에서 이 멘토들이 모가디슈와 소말리아 남부 및 중부에 있는 AMISOM 부대에 배치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지휘관들에게 "...외국인 전투원들이 동아프리카 외부에서 가져와 알 샤바브에게 가르치는 전술을 예측하고 격파하는 방법에 대해 코칭한다."라고 전했다. 뱅크로프트는 "미국 정부로부터 직접 자금을 지원받지 않고 대신 AMISOM으로부터 지급받았으며, 미국 국무부는 이러한 지출에 대해 상환했다."[238] 연합 통신은 뱅크로프트가 2008년부터 소말리아에서의 업무에 대해 1,250만 달러를 지급받았다고 보도했다.
소말리아의 한 안보 분석가는 모가디슈에서 운영되는 세 개의 주요 민간 경비 회사/민간 군사 회사를 열거했다.[239] 소말리아 수도에서 물류 지원을 제공하는 DynCorp,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및 AMISOM 인력에게 훈련을 제공하고 지역 사회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Bancroft International, 그리고 퍼시픽 아키텍츠 & 엔지니어스.
6. 1. 미국의 훈련 지원
미국은 소말리아로 향하는 파견 부대에 광범위한 훈련을 제공해 왔다.==== 우간다, 부룬디 군대 훈련 ====
2012년 상반기에 특수 목적 해병 항공 지상 태스크 포스 12(SPMAGTF-12)의 해병대 수색대는 우간다 인민 방위군의 군인들을 훈련시켰다.[234] 2012년 북부 봄(3월~5월)에 SPMAGTF-12의 해병대도 부룬디 군인들을 훈련시켰다. 4월과 5월에는 텍사스 육군 주 방위군 제3기병대대, 제124기병연대의 일원들이 부룬디 무두부구에서 BNDF와 별도의 훈련 임무에 참여했다. SPMAGTF-12는 또한 소말리아 임무에 참여하는 또 다른 국가인 지부티에 훈련 교관들을 파견하여 그곳의 육군 부대와 함께 일하도록 했다.
==== 시에라리온 군대 훈련 ====
미군은 2012년 늦게 소말리아에 배치하기 위한 준비로 시에라리온 공화국군의 훈련을 지원했다. 2012년 6월, 미국 육군 아프리카 사령관인 데이비드 R. 호그 소장은 케냐와 협력하여 시에라리온군의 미래에 대해 고무적인 발언을 했다.[235] 2012년 6월 현재, RSLAF 군대는 아직 배치되지 않았다. 시에라리온 국방부 장관은 2012년 6월 23일, 이 대대가 '2012년 9월 중'에 아프리카 뿔 지역으로 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236]
==== 민간 기업 지원 ====
AMISOM에 대한 상당한 양의 지원이 민간 기업에서 제공되었다. 워싱턴 대사관 거리에 본사를 둔 Bancroft Global Development는 약 40명의 남아프리카 및 유럽 출신 훈련 교관을 고용하여 AMISOM의 우간다 및 부룬디 군대와 함께 일하고 있다.[237] Bancroft의 이사인 마이클 스톡은 ''The EastAfrican''과의 인터뷰에서 이 멘토들이 모가디슈와 소말리아 남부 및 중부에 있는 AMISOM 부대에 배치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지휘관들에게 "...외국인 전투원들이 동아프리카 외부에서 가져와 알 샤바브에게 가르치는 전술을 예측하고 격파하는 방법에 대해 코칭한다."라고 전했다. 뱅크로프트는 "미국 정부로부터 직접 자금을 지원받지 않고 대신 AMISOM으로부터 지급받았으며, 국무부는 이러한 지출에 대해 상환했다."[238] 연합 통신은 뱅크로프트가 2008년부터 소말리아에서의 업무에 대해 1,250만 달러를 지급받았다고 보도했다.
소말리아의 한 안보 분석가는 모가디슈에서 운영되는 세 개의 주요 민간 경비 회사/민간 군사 회사를 열거했다.[239] 소말리아 수도에서 물류 지원을 제공하는 DynCorp, TFG 및 AMISOM 인력에게 훈련을 제공하고 지역 사회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Bancroft International, 그리고 퍼시픽 아키텍츠 & 엔지니어스.
6. 1. 1. 우간다, 부룬디 군대 훈련
요약(summary)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 있습니다. 따라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 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6. 1. 2. 시에라리온 군대 훈련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6. 2. 민간 군사 기업의 역할
워싱턴 대사관 거리에 본사를 둔 Bancroft Global Development는 약 40명의 남아프리카 및 유럽 출신 훈련 교관을 고용하여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미션(AMISOM)의 우간다 및 부룬디 군대와 함께 일하고 있다.[237] Bancroft의 이사인 마이클 스톡은 ''The EastAfrican''과의 인터뷰에서 이 멘토들이 모가디슈와 소말리아 남부 및 중부에 있는 AMISOM 부대에 배치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지휘관들에게 "...외국인 전투원들이 동아프리카 외부에서 가져와 알 샤바브에게 가르치는 전술을 예측하고 격파하는 방법에 대해 코칭한다." 뱅크로프트는 "미국 정부로부터 직접 자금을 지원받지 않고 대신 AMISOM으로부터 지급받았으며, 미국 국무부는 이러한 지출에 대해 상환했다."[238] 연합 통신은 뱅크로프트가 2008년부터 소말리아에서의 업무에 대해 1,250만 달러를 지급받았다고 보도했다.소말리아의 한 안보 분석가는 모가디슈에서 운영되는 세 개의 주요 민간 경비 회사/민간 군사 회사를 열거했다.[239] 소말리아 수도에서 물류 지원을 제공하는 DynCorp,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및 AMISOM 인력에게 훈련을 제공하고 지역 사회 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Bancroft International, 그리고 퍼시픽 아키텍츠 & 엔지니어스.
6. 2. 1. 뱅크로프트 글로벌 디벨롭먼트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뱅크로프트 글로벌 디벨롭먼트'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6. 2. 2. 다인코프, 퍼시픽 아키텍츠 & 엔지니어스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드리겠습니다.)7. 전개 현황
7. 1. 병력 규모
소말리아 AU 사절단(AMISOM)의 병력 규모는 다음과 같다.국가 | 무장 병력 (현재) | 사상자 | ||
---|---|---|---|---|
병력 | 경찰 | 사망 | 실종 또는 포로 | |
우간다 인민 방위군 | 6,223 | 201[240] | 110[241]-2,700+[242] | |
부룬디 국방군 | 5,432[243] | 95+[241] | 4명 실종,[244] 1명 포로[245] | |
에티오피아 국방군 | 4,395[246] | 2+ (추정)[247] | ||
케냐 국방군 | 3,664[206] | 48[248] | 36–118[249][250] | |
지부티 군 | 960[251] | 8+[252][253][254] | ||
시에라리온 공화국 군대 | 0 (이전 850)* [302] | 47[255] | 1[302] | |
나이지리아 경찰청 | 200[256] | |||
가나 경찰청 | 56[257] | |||
합계 | 20,674 | 550+ | 1,108[241]-3,000+[258] | 5 |
시에라리온은 에볼라 발병으로 인해 병력을 철수했으며, 에티오피아가 병력을 대체하기로 제안했다.[259] AMISOM 전체 인원은 약 22,126명이다.[92] 에티오피아는 2014년 1월 AMISOM에 합류하기 전 약 8,000명의 병력을 소말리아에 배치했으며, 일부는 AMISOM과 별도로 작전을 수행한다.[69][260] 케냐도 AMISOM에 편입되기 전에 독자적으로 병력을 배치했었다. 카메룬, 말리, 세네갈, 잠비아는 총 4명의 인원을 AMISOM에 투입했으나, 보안 요원인지 민간인인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58][261] 부룬디, 감비아, 짐바브웨에서 온 소수의 경찰관들도 AMISOM에 투입되었다.[92]
7. 2. 주요 사건 및 사상자
- 2009년 2월 22일 - 모가디슈에서 부룬디군 기지에 대한 이중 자살 공격으로 부룬디군 11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당했다.[241]
- 2009년 7월 23일~29일 - 렙토스피라증이 모가디슈의 부룬디 및 우간다 군사 캠프를 강타하여 부룬디군 3명과 우간다군 2명이 사망했다. 다른 부룬디군 18명이 격리되었다. 약 50명의 부룬디군과 17명의 우간다군이 케냐 나이로비로 의료 치료를 위해 후송되었다.[262][263]
- 2009년 9월 17일 - 모가디슈의 아프리카 연합군 본부에 대한 이슬람 반군의 자살 공격으로 군인 17명이 사망하고 29명이 부상당했다. 최소 4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사망자 중 12명은 부룬디군, 5명은 우간다군이었다. 사망자 중에는 부룬디 출신 AMISOM 부사령관 주베날 니용구루자 소장이 있었다. 또한, 부상자 중에는 우간다 출신 AMISOM 사령관 나단 무기샤 장군도 있었다.[264]
- 2011년 2월 23일~3월 4일 - 모가디슈 공세 중 알 샤바브 전사들과의 교전으로 AU군 53~82명이 사망했으며, AMISOM 군 190명이 부상당했다.[265] 또한, 부룬디군 병사 1명이 무장 세력에 생포되었다.[245] 이는 당시 AMISOM이 배치된 이후 가장 큰 손실이었다. 사망자 중 43명은 부룬디군, 10명은 우간다군으로 확인되었다.[265] 또한, 부상자 중 110명이 부룬디군이었다. 전투에서 사망한 43명 외에도 부룬디군 4명이 실종되었다고 발표되었다.[244]
- 2011년 3월 5일 - 부룬디 군인 1명이 알샤바브 무장세력의 차량 폭탄의 통제된 폭발로 부상을 입었다.[266] AMISOM 병력이 소말리아 정부에 충성하는 병력의 도움을 받아 반군이 장악한 불로 하워 마을을 탈환했다.[267]
- 2011년 5월 12일 - 6월 11일 - 12명의 AU 군인(우간다인 7명 포함)이 사망하고 13명 이상이 부상했다.
- 2011년 7월 29일 - 모가디슈에서 발생한 충돌로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당했다. AMISOM 전차도 파괴되었다.[268][269][270]
- 2011년 8월 1일 - 모가디슈의 AMISOM 기지에 대한 자살 공격으로 최소 2명의 AMISOM 군인이 사망하고 다른 군인들이 부상을 입었다.[271]
- 2011년 10월 10일 - 모가디슈 북동부 작전에서 AMISOM 군인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 이전 파스타 공장과 중요한 교차로인 Ex Control Bal'ad는 그 후 정부군 손에 들어갔다.[272]
- 2011년 10월 20일 - 모가디슈 데이니레 전투 이후 알샤바브에 의해 최소 70명의 부룬디 군인이 살해되었고, 시신이 촬영되어 행진되었다.[273][274] 알 수 없는 수의 군인이 부상을 입었다. 또한 전투에서 AU 장갑차 1대가 파괴되었다.[275][276]
- 2011년 10월 23일 - 자살 폭탄 테러범이 모가디슈의 AU 평화유지군 호송대 근처에서 자폭하여 AU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77]
- 2011년 10월 29일 - 알샤바브 무장세력이 AMISOM 구역을 공격하여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AU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78]
- 2011년 12월 25일 - 모가디슈에서 급조 폭발물에 의해 부룬디 군인 1명이 사망하고 다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79]
- 2012년 1월 14일 - 우간다 군인 1명이 모가디슈에서 소말리아 군인에게 살해되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280]
- 2012년 1월 20일 - 모가디슈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군사 작전에서 AU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81]
- 2012년 3월 2일 - 마슬라 시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우간다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82]
- 2012년 3월 29일 - 모가디슈의 데이닐 구역에서 전투가 벌어져 부룬디 군인 4명이 부상을 입었다.[283]
- 2012년 5월 31일 - 8월 5일 케냐 군인들이 미도 점령 후 실종되었다. 수색 및 구조 작전이 벌어졌다. 다른 군인 3명이 부상을 입었다.[284] 이틀 후 군인 3명이 생존한 채 발견되었지만, 나머지 두 군인의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다.[285] 며칠 후, 반군이 게시한 비디오에서 그들의 시신이 공개되었다.[286]
- 2012년 9월 19일 - 키스마요 항구에서 서쪽으로 50킬로미터 떨어진 로어 주바 지역의 자나 압달라 마을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AMISOM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87]
- 2012년 10월 24일 - 바이도아로 진격하던 중 폭탄 공격으로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했다.[288]
- 2012년 10월 29일 - 10월 3일 - 모가디슈의 AMISOM 기지에 대한 두 명의 자살 폭탄 공격으로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289]
- 2012년 11월 19일 -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AU) 평화 유지군 소속 케냐 군인 최소 2명이 인접 소말리아의 반군과 싸우는 케냐 보안군 기지인 가리사에서 사망했다고 케냐 군 대변인이 월요일에 밝혔다.[290]
- 2014년 3월 11일 - AMISOM과 소말리아 군대가 바라위와 코리울레이 해안 마을 인근 지역으로 진격하면서 최소 2명의 AMISOM 평화유지군이 부상을 입었다.[291]
- 2014년 3월 18일 - 불로-버데 마을에서 발생한 호텔 공격으로 최소 3명의 지부티 군인이 사망했다.[253]
- 2014년 4월 5일 - 와브소 마을을 해방하기 위한 AMISOM-소말리아 합동 침공 중, 알 샤바브 전사들은 AMISOM의 에티오피아 군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하며, AMISOM 패치, 에티오피아 문자, 헬멧, 다양한 무기를 착용한 두 구의 신원 미상의 시신 위에서 포즈를 취하는 전사들의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게시했다.[247]
- 2014년 5월 24일 - 소말리아 의회에 대한 13명의 알 샤바브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3명의 우간다 평화유지군이 소말리아 군인 4명과 경찰관 1명과 함께 사망했다. 또한 4명의 우간다인들이 부상을 입었지만 안정적인 상태였다. 공격은 의회 건물 입구로 돌진한 차량 폭탄으로 시작되었으며, 공격자 11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2명이 자살 폭탄을 터뜨리면서 끝났다.[292]
- 2014년 5월 26일: 켄자 군인 2명이 라스 캄보니 지역 인근의 라무 마을 근처에서 알 샤바브로 의심되는 무장세력의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 케냐 관리들은 다른 케냐 군인들이 부상을 입었으며 무장세력 한 명이 사망했다고 확인했다. 그들은 또한 매복 공격 후 도주한 공격자들을 추격하고 있다고 밝혔다.[293]
- 2014년 6월 13일: 불로 버데 마을 근처에서 폭탄이 터져 AMISOM과 소말리아 군인 6명이 부상을 입었다. 최소 3명의 사상자는 지부티 출신이었으며 공격 후 치료를 위해 모가디슈로 공수되었다.[294]
- 2014년 6월 26일: 알 샤바브 무장세력은 3월에 정부 통제하에 들어간 이후 무장세력에 포위되어 도로 접근이 차단된 불로-버데 마을에 공격을 가했다. 목격자들은 공격이 30분 동안 지속되었으며, 무장세력이 호텔 단지에 설치된 군사 기지를 습격하면서 시작되었고, 소말리아 국군(SNA)과 AMISOM의 연합군에 의해 격퇴되었다고 말했다. 알 샤바브는 책임을 주장하고 6명의 군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했으며, AU 사령관 이브라힘 알리는 지부티 평화유지군 2명, 민간인 1명, 무장세력 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254]
- 2014년 8월 25일: 에티오피아 AMISOM 군대가 소말리아 정부군의 지원을 받아 인도양 작전의 일환으로 알 샤바브로부터 티예글로우를 점령했다. [296]
- 2014년 9월 6일: 소말리아 정부군은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을 받아 갈구두드 지방의 엘 가라스를 알 샤바브로부터 탈환했다. 소말리아 군 대변인 모하메드 카리에 로블에 따르면, 이 마을은 반군 단체의 주요 기지였으며, 공격을 시작하고 물품을 저장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299]
- 2014년 9월 12일: 우간다와 케냐 AMISOM 군대는 알 샤바브가 바라우를 떠난 후 두 개의 기지를 설립한 로어 주바의 라그타 베르타에서 보안 작전을 수행했다. 무장 단체는 습격 과정에서 외국 반군을 포함하여 상당한 사상자를 냈으며, 다수의 전사들도 부상을 입었다. 공격으로 알 샤바브 은신처 시설이 파괴되었다.[300]
- 2014년 9월 13일: 소말리아 정부군과 AMISOM 군대는 알 샤바브로부터 불로바르테 지역의 아보레이, 모코코리, 야소만, 무세-젤 마을을 점령했다. 무장세력은 저항하지 않았다.[301] 또한 소말리아 정부군과 AMISOM 군대는 갈구두드 지방 엘 부르 지역의 아보토-바레이, 셀-실, 카라알레, 카와다 마을을 알 샤바브로부터 점령했다.[301]
- 2014년 12월 26일: 소말리아 군복을 입은 8명의 알 샤바브 무장세력이 모가디슈 국제공항 인근의 AMISOM 기지에 공격을 가했다. 이 기지에는 유엔 사무실과 여러 대사관도 있다. 모든 무장세력이 사망했으며, AMISOM 평화유지군 5명과 외국 계약자 1명이 사망했다.[303]
- 2015년 3월 21일: 소말리아 국군과 AMISOM 병력이 부로 부르데 지역에서 알 샤바브의 봉쇄를 제거하기 위해 보안 작전을 시작했다. [307]
- 2015년 4월 19일: 알 샤바브 반군이 소말리아 남부 델비오 지역에서 케냐 AMISOM 군대를 공격했다. [308] 알 샤바브는 또한 레고와 발레도글 사이에서 주둔하고 있는 AMISOM 군대를 공격했다. AMISOM 폴 누구나 대령에 따르면, 이어진 교전에서 군인 3명이 사망했다. [309]
- 2015년 6월 26일: 알 샤바브의 기지 공격으로 최소 50명의 부룬디 군인(70명 이상 사망했을 가능성 있음)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공격은 모가디슈 수도 인근 레고에서 발생했다. [310]
- 2015년 9월 1일: 수도에서 남동쪽으로 90 km (55 마일) 떨어진 자날레 기지가 알 샤바브 무장세력에 의해 점령된 후 20~50명의 AMISOM 평화유지군이 사망했다.[311]
- 2016년 1월 15일, 엘 아데(El Adde)의 케냐 회사 기지가 ''알 샤바브''에 의해 함락되었다. 레오나드 마잉기(Leonard Maingi) 일병을 포함한 여러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고, 그는 2017년 8월 테러 단체에 의해 살해되었다. [314][315][316]
- 2016년 3월 19일, 하부 주바(Lower Juba)에서 테러리스트의 매복 공격으로 케냐 군인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당했다. 교전 중 ''알 샤바브'' 전투원 2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17]
- 2016년 6월 ''알 샤바브'' 전투원은 AMISOM 기지를 공격했다.[320]
- 2017년 1월 27일, 로어 주바 지역의 쿨비요우 마을 근처에 있는 케냐 기지가 알-샤바브의 공격을 받았다. [325][326][327]
- 2018년 4월 2일, 알-샤바브가 Qoryoley, Buulo Mareer, Golweyn에 있는 우간다 기지 3곳에 대해 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초기 보고에 따르면 알-샤바브 36명이 사망했고,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342]
- 2021년 12월 11일, 알-샤바브는 부라네와 중부 샤벨레 지역의 마하데이 마을 인근에서 부룬디 군인 4명이 사망한 AU 평화유지군에 대한 IED 공격의 배후를 자처했다.[369]
7. 2. 1. 주요 사건
- 2009년 2월 22일 - 모가디슈에서 부룬디군 기지에 대한 이중 자살 공격으로 부룬디군 11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당했다.
- 2009년 7월 23일~29일 - 렙토스피라증이 모가디슈의 부룬디 및 우간다 군사 캠프를 강타하여 부룬디군 3명과 우간다군 2명이 사망했다. 다른 부룬디군 18명이 격리되었다. 약 50명의 부룬디군과 17명의 우간다군이 케냐 나이로비로 의료 치료를 위해 후송되었다.[262][263]
- 2009년 9월 17일 - 모가디슈의 아프리카 연합군 본부에 대한 이슬람 반군의 자살 공격으로 군인 17명이 사망하고 29명이 부상당했다. 최소 4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사망자 중 12명은 부룬디군, 5명은 우간다군이었다. 사망자 중에는 부룬디 출신 AMISOM 부사령관 주베날 니용구루자 소장이 있었다. 또한, 부상자 중에는 우간다 출신 AMISOM 사령관 나단 무기샤 장군도 있었다.[264]
- 2011년 2월 23일~3월 4일 - 모가디슈 공세 중 알 샤바브 전사들과의 교전으로 AU군 53~82명이 사망했으며, AMISOM 군 190명이 부상당했다.[265] 또한, 부룬디군 병사 1명이 무장 세력에 생포되었다.[245] 이는 당시 AMISOM이 배치된 이후 가장 큰 손실이었다. 사망자 중 43명은 부룬디군, 10명은 우간다군으로 확인되었다.[265] 또한, 부상자 중 110명이 부룬디군이었다. 전투에서 사망한 43명 외에도 부룬디군 4명이 실종되었다고 발표되었다.[244]
- 2011년 3월 5일 - 부룬디 군인 1명이 알샤바브 무장세력의 차량 폭탄의 통제된 폭발로 부상을 입었다.[266] AMISOM 병력이 소말리아 정부에 충성하는 병력의 도움을 받아 반군이 장악한 불로 하워 마을을 탈환했다.[267]
- 2011년 5월 12일 - 6월 11일 - 12명의 AU 군인(우간다인 7명 포함)이 사망하고 13명 이상이 부상했다.
- 2011년 7월 29일 - 모가디슈에서 발생한 충돌로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당했다. AMISOM 전차도 파괴되었다.[268][269][270]
- 2011년 8월 1일 - 모가디슈의 AMISOM 기지에 대한 자살 공격으로 최소 2명의 AMISOM 군인이 사망하고 다른 군인들이 부상을 입었다.[271]
- 2011년 10월 10일 - 모가디슈 북동부 작전에서 AMISOM 군인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 이전 파스타 공장과 중요한 교차로인 Ex Control Bal'ad는 그 후 정부군 손에 들어갔다.[272]
- 2011년 10월 20일 - 모가디슈 데이니레 전투 이후 알샤바브에 의해 최소 70명의 부룬디 군인이 살해되었고, 시신이 촬영되어 행진되었다.[273][274] 알 수 없는 수의 군인이 부상을 입었다. 또한 전투에서 AU 장갑차 1대가 파괴되었다.[275][276]
- 2011년 10월 23일 - 자살 폭탄 테러범이 모가디슈의 AU 평화유지군 호송대 근처에서 자폭하여 AU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77]
- 2011년 10월 29일 - 알샤바브 무장세력이 AMISOM 구역을 공격하여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AU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78]
- 2011년 12월 25일 - 모가디슈에서 급조 폭발물에 의해 부룬디 군인 1명이 사망하고 다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79]
- 2012년 1월 14일 - 우간다 군인 1명이 모가디슈에서 소말리아 군인에게 살해되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280]
- 2012년 1월 20일 - 모가디슈의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군사 작전에서 AU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81]
- 2012년 3월 2일 - 마슬라 시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우간다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82]
- 2012년 3월 29일 - 모가디슈의 데이닐 구역에서 전투가 벌어져 부룬디 군인 4명이 부상을 입었다.[283]
- 2012년 5월 31일 - 8월 5일 케냐 군인들이 미도 점령 후 실종되었다. 수색 및 구조 작전이 벌어졌다. 다른 군인 3명이 부상을 입었다.[284] 이틀 후 군인 3명이 생존한 채 발견되었지만, 나머지 두 군인의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다.[285] 며칠 후, 반군이 게시한 비디오에서 그들의 시신이 공개되었다.[286]
- 2012년 9월 19일 - 키스마요 항구에서 서쪽으로 50킬로미터 떨어진 로어 주바 지역의 자나 압달라 마을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AMISOM 군인 2명이 부상을 입었다.[287]
- 2012년 10월 24일 - 바이도아로 진격하던 중 폭탄 공격으로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했다.[288]
- 2012년 10월 29일 - 10월 3일 - 모가디슈의 AMISOM 기지에 대한 두 명의 자살 폭탄 공격으로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289]
- 2012년 11월 19일 -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AU) 평화 유지군 소속 케냐 군인 최소 2명이 인접 소말리아의 반군과 싸우는 케냐 보안군 기지인 가리사에서 사망했다고 케냐 군 대변인이 월요일에 밝혔다.[290]
- 2014년 3월 11일 - AMISOM과 소말리아 군대가 바라위와 코리울레이 해안 마을 인근 지역으로 진격하면서 최소 2명의 AMISOM 평화유지군이 부상을 입었다.[291]
- 2014년 3월 18일 - 불로-버데 마을에서 발생한 호텔 공격으로 최소 3명의 지부티 군인이 사망했다.[253]
- 2014년 4월 5일 - 와브소 마을을 해방하기 위한 AMISOM-소말리아 합동 침공 중, 알 샤바브 전사들은 AMISOM의 에티오피아 군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하며, AMISOM 패치, 에티오피아 문자, 헬멧, 다양한 무기를 착용한 두 구의 신원 미상의 시신 위에서 포즈를 취하는 전사들의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게시했다.[247]
- 2014년 5월 24일 - 소말리아 의회에 대한 13명의 알 샤바브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3명의 우간다 평화유지군이 소말리아 군인 4명과 경찰관 1명과 함께 사망했다. 또한 4명의 우간다인들이 부상을 입었지만 안정적인 상태였다. 공격은 의회 건물 입구로 돌진한 차량 폭탄으로 시작되었으며, 공격자 11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2명이 자살 폭탄을 터뜨리면서 끝났다.[292]
- 2014년 5월 26일: 켄자 군인 2명이 라스 캄보니 지역 인근의 라무 마을 근처에서 알 샤바브로 의심되는 무장세력의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 케냐 관리들은 다른 케냐 군인들이 부상을 입었으며 무장세력 한 명이 사망했다고 확인했다. 그들은 또한 매복 공격 후 도주한 공격자들을 추격하고 있다고 밝혔다.[293]
- 2014년 6월 13일: 불로 버데 마을 근처에서 폭탄이 터져 AMISOM과 소말리아 군인 6명이 부상을 입었다. 최소 3명의 사상자는 지부티 출신이었으며 공격 후 치료를 위해 모가디슈로 공수되었다.[294]
- 2014년 6월 26일: 알 샤바브 무장세력은 3월에 정부 통제하에 들어간 이후 무장세력에 포위되어 도로 접근이 차단된 불로-버데 마을에 공격을 가했다. 목격자들은 공격이 30분 동안 지속되었으며, 무장세력이 호텔 단지에 설치된 군사 기지를 습격하면서 시작되었고, 소말리아 국군(SNA)과 AMISOM의 연합군에 의해 격퇴되었다고 말했다. 알 샤바브는 책임을 주장하고 6명의 군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했으며, AU 사령관 이브라힘 알리는 지부티 평화유지군 2명, 민간인 1명, 무장세력 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254]
- 2014년 8월 25일: 에티오피아 AMISOM 군대가 소말리아 정부군의 지원을 받아 인도양 작전의 일환으로 알 샤바브로부터 티예글로우를 점령했다. [296]
- 2014년 9월 6일: 소말리아 정부군은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을 받아 갈구두드 지방의 엘 가라스를 알 샤바브로부터 탈환했다. 소말리아 군 대변인 모하메드 카리에 로블에 따르면, 이 마을은 반군 단체의 주요 기지였으며, 공격을 시작하고 물품을 저장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299]
- 2014년 9월 12일: 우간다와 케냐 AMISOM 군대는 알 샤바브가 바라우를 떠난 후 두 개의 기지를 설립한 로어 주바의 라그타 베르타에서 보안 작전을 수행했다. 무장 단체는 습격 과정에서 외국 반군을 포함하여 상당한 사상자를 냈으며, 다수의 전사들도 부상을 입었다. 공격으로 알 샤바브 은신처 시설이 파괴되었다.[300]
- 2014년 9월 13일: 소말리아 정부군과 AMISOM 군대는 알 샤바브로부터 불로바르테 지역의 아보레이, 모코코리, 야소만, 무세-젤 마을을 점령했다. 무장세력은 저항하지 않았다.[301] 또한 소말리아 정부군과 AMISOM 군대는 갈구두드 지방 엘 부르 지역의 아보토-바레이, 셀-실, 카라알레, 카와다 마을을 알 샤바브로부터 점령했다.[301]
- 2014년 12월 26일: 소말리아 군복을 입은 8명의 알 샤바브 무장세력이 모가디슈 국제공항 인근의 AMISOM 기지에 공격을 가했다. 이 기지에는 유엔 사무실과 여러 대사관도 있다. 모든 무장세력이 사망했으며, AMISOM 평화유지군 5명과 외국 계약자 1명이 사망했다.[303]
- 2015년 3월 21일: 소말리아 국군과 AMISOM 병력이 부로 부르데 지역에서 알 샤바브의 봉쇄를 제거하기 위해 보안 작전을 시작했다. [307]
- 2015년 4월 19일: 알 샤바브 반군이 소말리아 남부 델비오 지역에서 케냐 AMISOM 군대를 공격했다. [308] 알 샤바브는 또한 레고와 발레도글 사이에서 주둔하고 있는 AMISOM 군대를 공격했다. AMISOM 폴 누구나 대령에 따르면, 이어진 교전에서 군인 3명이 사망했다. [309]
- 2015년 6월 26일: 알 샤바브의 기지 공격으로 최소 50명의 부룬디 군인(70명 이상 사망했을 가능성 있음)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공격은 모가디슈 수도 인근 레고에서 발생했다. [310]
- 2015년 9월 1일: 수도에서 남동쪽으로 90 km (55 마일) 떨어진 자날레 기지가 알 샤바브 무장세력에 의해 점령된 후 20~50명의 AMISOM 평화유지군이 사망했다.[311]
- 2016년 1월 15일, 엘 아데(El Adde)의 케냐 회사 기지가 ''알 샤바브''에 의해 함락되었다. 레오나드 마잉기(Leonard Maingi) 일병을 포함한 여러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고, 그는 2017년 8월 테러 단체에 의해 살해되었다. [314][315][316]
- 2016년 3월 19일, 하부 주바(Lower Juba)에서 테러리스트의 매복 공격으로 케냐 군인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당했다. 교전 중 ''알 샤바브'' 전투원 21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17]
- 2016년 6월 ''알 샤바브'' 전투원은 AMISOM 기지를 공격했다.[320]
- 2017년 1월 27일, 로어 주바 지역의 쿨비요우 마을 근처에 있는 케냐 기지가 알-샤바브의 공격을 받았다. [325][326][327]
- 2018년 4월 2일, 알-샤바브가 Qoryoley, Buulo Mareer, Golweyn에 있는 우간다 기지 3곳에 대해 조직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초기 보고에 따르면 알-샤바브 36명이 사망했고, 우간다 군인 4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342]
- 2021년 12월 11일, 알-샤바브는 부라네와 중부 샤벨레 지역의 마하데이 마을 인근에서 부룬디 군인 4명이 사망한 AU 평화유지군에 대한 IED 공격의 배후를 자처했다.[369]
7. 2. 2. 성범죄 보고
휴먼 라이츠 워치의 조사 결과, 여성 성 착취 증거가 발견되었다. 서방의 지원을 받는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군(AU)은 12세 소녀를 포함한 여성들을 집단 성폭행하고 식량 원조를 성관계와 교환했다고 휴먼 라이츠 워치가 밝혔다. 조사 결과, 아픈 아기를 위해 의약품을 구하려는 여성들이 AU 군사 기지의 안전을 믿고 있다가 성 착취를 당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2014년 9월 8일 발표한 71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서 사례들을 기록했으며, 아프리카 연합, 유엔, 소말리아 연방 정부 및 AMISOM 기부국인 유엔, 유럽 연합, 영국 정부, 미국 연방 정부에 권고안을 제시했다. 아프리카 연합은 휴먼 라이츠 워치의 주장을 고립된 사건으로 일축했다.8. AMISOM 이후 (2022)
2022년 3월, 14년간 지속된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 사절단(AMISOM) 임무가 종료되었고, 소말리아 주도의 작전인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 과도기 임무(ATMIS)로 대체되었다.[370]
8. 1.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 과도기 임무 (ATMIS)로의 전환
2022년 3월, 14년간 지속된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 사절단(AMISOM) 임무가 종료되었고, 소말리아 주도의 작전인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 과도기 임무(ATMIS)로 대체되었다.[370]참조
[1]
웹사이트
HOW TO END THE CIVIL WAR IN SOMALIA: NEGOTIATE WITH AL-SHABAAB
https://warontherock[...]
2019-05-13
[2]
간행물
Rejecting African Solutions to African Problems: The African Union and the Islamic Courts Union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21-04-03
[3]
간행물
Military Diplomacy Strategies Applied by AMISOM in Restoration of Peace and Security in the Horn of Africa
https://ajernet.net/[...]
2021-04-27
[4]
웹사이트
Exclusive: At Least 3,500 AU Soldiers Killed in Somalia Since 2007
https://www.voanews.[...]
2023-04-11
[5]
뉴스
69th meeting of the peace and Security Council
http://www.apanews.n[...]
Agence de Presse Africaine
2007-01-22
[6]
UN document
[7]
UN document
[8]
UN document
[9]
웹사이트
First AU peacekeepers arrive in Mogadishu
https://reliefweb.in[...]
2007-03-06
[10]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Join AU Force in Somalia
https://www.voanews.[...]
2014-01-22
[11]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Reauthorizes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for Three Months,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614 (2021)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12]
웹사이트
Somalia: Uncertain future as AMISOM transitions to ATMIS
https://www.theafric[...]
2022-04-01
[13]
웹사이트
Somalia: Don't Cross the Mogadishu Line
https://archive.glob[...]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5-02-09
[14]
IRIN
IGAD to deploy peacekeepers despite opposition by faction leaders
http://www.newsfroma[...]
2006-09-18
[15]
뉴스
Somali 'jihad' on foreign troops
http://news.bbc.co.u[...]
2005-03-25
[16]
Security Council Report
Security Council Report: July 2006: Somalia
http://www.securityc[...]
[17]
웹사이트
Humanitarian – Thomson Reuters Foundation News
http://www.alertnet.[...]
[18]
웹사이트
Sam Kutesa: We call on the Security Council to lift the arms embargo to enable deployment of IGASOM and AU Forces.
https://www.un.org/w[...]
[19]
뉴스
U.N. approves troops for Somalia
https://www.latimes.[...]
2006-12-07
[20]
간행물
Rejecting African Solutions to African Problems: The African Union and the Islamic Courts Union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21-04-03
[21]
웹사이트
AMISOM background
https://amisom-au.or[...]
AMISOM
[22]
서적
Peacekeeping and the African Union: Building Negative Pe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27
[23]
간행물
Fragmented Peacekeeping: The African Union in Somalia
http://www.tandfonli[...]
2016-01-02
[24]
간행물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US Warlordism & AU Shame
https://www.jstor.or[...]
2007
[25]
문서
(AU, PSC/PR/2(LXIX), 19 January 2007.)
[26]
웹사이트
The situation in Somalia (2019)
http://unscr.com/en/[...]
2019-05-31
[27]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Reauthorizes Deployment of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Unanimously Adopting Resolution 2520 (2020)
https://www.un.org/p[...]
United Nations
2020-05-29
[28]
IGAD
Communique
http://www.igad.org/[...]
2006-12-21
[29]
UN document
[30]
Security Council Report
Security Council Report: December 2006: Somalia
http://www.securityc[...]
[31]
Shabelle Media Network
Controversy in Ugandan government over sending troops to Somalia
https://archive.toda[...]
[32]
Shabelle Media Networks
Uganda in quandary of sending peacekeepers to Somalia
https://archive.toda[...]
[33]
Shabelle Media Network
Ugandan troops ready to deploy to Somalia within days
https://archive.toda[...]
[34]
뉴스
Five killed in Mogadishu attacks
http://news.bbc.co.u[...]
2007-01-26
[35]
뉴스
US gives Somalia Sh6.4 billion
http://www.timesnews[...]
Kenya Times
2007-01-17
[36]
뉴스
AU wants UN role in Somalia
http://tvnz.co.nz/vi[...]
Reuters
2007-01-20
[37]
뉴스
Malawi to send peacekeepers to Somalia
http://www.reliefweb[...]
IRIN
2007-01-22
[38]
뉴스
Nigeria to send peacekeeping battalion to Somalia
http://today.reuters[...]
Reuters
2007-01-24
[39]
뉴스
Burundi joins Somalia peace force
http://news.bbc.co.u[...]
BBC
2007-02-01
[40]
뉴스
Burundi troops ready to join Somalia peacekeepers
http://www.alertnet.[...]
Reuters
2007-03-27
[41]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press statement on somalia SC/8947 AFR/1495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07-02-09
[42]
뉴스
Tanzania offers to train Somali troops, not deploy
http://www.shabelle.[...]
Shabelle Media Networks
2007-02-05
[43]
뉴스
Diplomats stress need for all-inclusive talks on the future of Somalia
https://www.usatoday[...]
2007-02-09
[44]
뉴스
Peacekeeping protests in Somalia
http://news.bbc.co.u[...]
BBC
2007-02-09
[45]
웹사이트
Off to Somalia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07-02-09
[46]
웹사이트
Ugandan Troops Set to Arrive in Somalia as Part of AU Force
http://shabelle.net/[...]
Shabelle Media Network
2007-02-16
[47]
웹사이트
Violence out of control, say Mogadishu residents
https://www.thenewhu[...]
2007-02-19
[48]
뉴스
Burundi delays Somali deployment
http://news.bbc.co.u[...]
2007-08-07
[49]
뉴스
BBC NEWS – Africa – Burundi troops join AU in Somalia
http://news.bbc.co.u[...]
[50]
웹사이트
France 24
http://www.france24.[...]
[51]
웹사이트
AFP: Burundi completes Somalia deployment
http://afp.google.co[...]
[52]
간행물
Outbreak of Beriberi among African Union Troops in Mogadishu, Somalia
2011-12-21
[53]
뉴스
Somalia: AU Ministers Agree to 'Take On' Al Shabaab
http://allafrica.com[...]
2010-07-26
[54]
뉴스
Africa: United Nations Blocks Change of Amisom Mandate
http://allafrica.com[...]
2010-07-28
[55]
뉴스
AU nations to boost Somalia force
http://english.aljaz[...]
2010-07-23
[56]
뉴스
Nairobi
PANA
2010-09-17
[57]
뉴스
New York
PANA
2010-12-23
[58]
뉴스
Burundi sends 1,000 extra AU troops to Somalia
https://af.reuters.c[...]
2011-03-12
[59]
뉴스
reported in ARB-PSC 1–31 March 2011, p.18776C.
AFP
2011-03-14
[60]
뉴스
UN council approves increase in AU Somalia force
https://af.reuters.c[...]
2012-02-22
[61]
뉴스
Somali's al Shabaab crumbling: AU
http://www.timeslive[...]
2012-02-23
[62]
뉴스
U.S. steps up training for African force in Somalia
https://www.chicagot[...]
2012-05-01
[63]
웹사이트
Standard Digital News – Kenya : Home, Breaking News, Latest, Business, Jobs, Football, Travel, Tourism, Elections, National, Kenya, Nairobi, County, East Africa, Media
http://www.standardm[...]
[64]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http://www.mfa.go.ke[...]
2011-11-30
[65]
웹사이트
Kenya agrees to join AMISOM
http://www.chinadail[...]
[66]
웹사이트
Nairobi
2012-03-19
[67]
웹사이트
Somali government welcomes Ethiopia AMISOM integration
http://dalsanradio.c[...]
[68]
웹사이트
Is Ethiopia on al-Shabab's hit list?
http://www.aljazeera[...]
[69]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Ethiopia Decides to Join Amisom Force in Somalia
http://allafrica.com[...]
[70]
웹사이트
Somali war expertise and superior combat kits to boost anti-terror campaign
http://hiiraan.com/n[...]
[71]
웹사이트
Somalis balk at plans for Ethiopian troops
http://www.aljazeera[...]
2014-12-26
[72]
뉴스
U.S. Military Advisers Deployed to Somalia: First Time Since Blackhawk Down
https://abcnews.go.c[...]
2014-01-10
[73]
웹인용
Kenya gets Sh2.5bn for KDF in Somalia
https://www.business[...]
Business Daily Africa
2022-05-22
[74]
웹사이트
Appointment of Francisco Madeira as the new Special Representative of the African Union for Somalia and head of the AU mission in Somalia-African Union - Peace and Security Department
https://www.peaceau.[...]
2024-04-19
[75]
뉴스
New Vision (Kampala)
2007-01-20
[76]
서적
Black Hawks Rising: The Story of AMISOM's Successful War against Somali Insurgents 200702014
Helion & Co Ltd, England
2016
[77]
웹사이트
Uganda: UPDF shuffles Somalia command
http://hiiraan.com/n[...]
2014-12-26
[78]
웹사이트
3,000 African Union Troops Arrive in Mogadishu
http://somaliareport[...]
SomaliaReport
2013-01-15
[7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xogta.com[...]
2011-07-02
[80]
웹사이트
Lieutenant General Andrew Gutti takes command of AU forces in Somalia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05-02
[81]
웹사이트
AMISOM Press Release: Lieutenant General Andrew Gutti takes command of AU forces in Somalia
http://www.allgedo.c[...]
Allgedo.com
2013-01-15
[82]
간행물
AMISOM Review
2013-08/12
[83]
뉴스
Force Commander Completes Tour of Duty in Somalia
AMISOM News
2015-12-23
[84]
뉴스
AMISOM Acting Force Commander Concludes Tour of Kismayo, Dobley and Bilis Qoqani in Sector 2
AMISOM News
2016-04-02
[85]
웹사이트
AMISOM's new Force Commander formally assumes office
https://amisom-au.or[...]
2016-07-19
[86]
웹사이트
The AU Mission in Somalia has a new Force Commander
https://amisom-au.or[...]
2018-01-31
[87]
웹사이트
New Force Commander takes over at the helm of AMISOM military
https://amisom-au.or[...]
2019-01-31
[88]
웹사이트
AU Mission in Somalia has a new Force Commander
https://amisom-au.or[...]
2020-08-02
[89]
웹사이트
Outgoing AMISOM Force Commander and his deputy feted for distinguished service
https://amisom-au.or[...]
2021-12-18
[90]
문서
Oloya 2016
[91]
뉴스
Kibaki Promotes 13 Military Officers, Sends Home Two
The Star (Nairobi)
2012-04-10
[9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amisom-au.org[...]
2014-12-26
[93]
간행물
AMISOM Review
2013-08/12
[94]
간행물
AMISOM Review
2015-05/08
[95]
웹사이트
AMISOM Deputy Force Commander receives grand send off in Somalia after tour of duty
https://amisom-au.or[...]
2024-04-19
[96]
문서
AMISOM twitter account
[97]
간행물
Amisom and National Army Offensive against Al-Shabab
Government of Ethiopia (Addis Ababa) press release
2015-07-20
[98]
웹사이트
AMISOM Deputy Force Commander completes tour of duty in Somalia
https://amisom-au.or[...]
2024-04-19
[99]
뉴스
Uganda Battle Group XXIII Awarded African Union Medals For Distinguished Contribution Towards Peace in Somalia
Ministry of Defence and Veterans' Affairs Uganda website
2018-12-11
[100]
웹사이트
AU Deputy Special Representative visits injured soldiers at AMISOM hospital
https://amisom-au.or[...]
2024-04-19
[101]
간행물
AMISON Review
2018-01/03
[102]
웹사이트
AU Awards Medals to Ugandans Troops in Somalia
https://updf.go.ug/A[...]
2020-09-26
[103]
웹사이트
AMISOM's New Deputy Force Commander assumes office
https://amisom-au.or[...]
2019-02-24
[104]
뉴스
New AMISOM Deputy Force Commander meets AMISOM Uganda commanders
AMISOM News
2021-01-15
[105]
웹사이트
AMISOM hands over Afgoye military base to Somali National Army
https://amisom-au.or[...]
2021-03-26
[106]
서적
Oloya 2016
[107]
간행물
AMISOM Bulletin 28
2011-06-15
[108]
웹사이트
Ugandan troops receive grand sendoff after tour of duty in Somalia
https://amisom-au.or[...]
2017-12-01
[109]
웹사이트
AMISOM honors Burundian President Pierre Nkurunziza
https://amisom-au.or[...]
2020-06-12
[110]
웹사이트
AMISOM Burundian troops, Battle Groups 55 and 56 end their tour of duty in Somalia
https://amisom-au.or[...]
2021-05-08
[111]
뉴스
Museveni Names Somalia Command
New Vision
2007-01-20
[112]
웹사이트
Spokesperson
http://www.amisom.so[...]
Amisom.somaligov.net
2012-09-23
[113]
웹사이트
New spokesman takes over AMISOM information office
http://shabelle.net/[...]
2011-04-17
[114]
웹사이트
New Amisom commander promoted to Major General
http://www.hiiraan.c[...]
Hiiraan.com
2013-01-15
[115]
웹사이트
Top Al-Shabaab commander killed in major SNA and AMISOM offensive
https://amisom-au.or[...]
2016-04-02
[116]
UN
2012-02-22
[117]
뉴스
UN unveils new look Amisom as Kenya joins up
East African
2012-02-12
[118]
UN
2013-11-12
[119]
뉴스
Ethiopian troops formally join AMISOM peacekeepers in Somalia
AMISOM
2014-01-23
[120]
뉴스
Ethiopian National Defense Forces Contingent Deploys in Kismayo
AMISOM
2016-01-18
[121]
웹사이트
EU delegation visits AMISOM and SNA troops in Jubbaland
https://amisom-au.or[...]
2017-01-26
[122]
서적
Oloya 2016
[123]
서적
Oloya 2016
[124]
뉴스
Col. Tumusiime Katsigazi now becomes the commander of the Uganda Contingent, taking over from Col. Jack Bakusumba.
New Vision
2009-09-05
[125]
뉴스
Col. Tumusiime Katsigazi now becomes the commander of the Uganda Contingent, taking over from Col. Jack Bakusumba.
New Vision
2009-09-05
[126]
간행물
AMISOM Bulletin
2010-08
[127]
간행물
AMISOM Bulletin
2012-11
[128]
웹사이트
allAfrica.com: Uganda: Brig. Dick Olum New UPDF Boss in Somalia
http://allafrica.com[...]
2014-12-26
[129]
뉴스
UPDF sends 2700 troops to Somalia, names new Commander
The Monitor
2014-10-28
[130]
웹사이트
Somali President affirms electoral process a milestone, at a meeting with Uganda army chief
https://amisom-au.or[...]
2017-01-03
[131]
웹사이트
Uganda says army's salary arrears ‘ready’
https://www.alleasta[...]
2016-11-26
[132]
뉴스
Brig Lokech Returns to Somalia As UPDF Contingent Commander
The Monitor
2017-12-20
[133]
웹사이트
UPDF contingent in Somalia gets new commander
https://amisom-au.or[...]
2018-12-21
[134]
웹사이트
AMISOM Ugandan troops mark 'Tarehe Sita'
https://amisom-au.or[...]
2020-02-07
[135]
웹사이트
New AMISOM Deputy Force Commander meets AMISOM Uganda commanders
https://amisom-au.or[...]
2021-01-15
[136]
웹사이트
Uganda contingent in Somalia gets new commander
https://amisom-au.or[...]
2021-12-18
[137]
뉴스
Second UPDF troops ready to deploy
The Monitor
2007-10-01
[138]
뉴스
Uganda sends fresh troops to country
New Vision
2008-11-24
[139]
뉴스
UPDF changes Somalia troops
New Vision
2009-09-05
[140]
뉴스
Bodies of Fallen Soldiers Brought Home
The Monitor
2011-06-07
[141]
뉴스
More UPDF troops go to Somalia
The Monitor (Kampala)
2011-01-26
[142]
뉴스
The Monitor (Kampala)
2011-01-26
[143]
서적
2016
[144]
서적
2016
[145]
서적
2016
[146]
웹사이트
How Shortage of Equipment, Poor Operation Flaws Cost Amison 19 Soldiers
http://allafrica.com[...]
2024-07-30
[147]
뉴스
Captured UPDF Soldier Pleads for Rescue from Al-Shabaab
The Monitor (Kampala)
2016-09-28
[148]
웹사이트
New Report Slams UPDF Commanders in Somalia
http://allafrica.com[...]
2024-07-30
[149]
웹사이트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7-30
[150]
웹사이트
New Ugandan Battle Group arrives in Somalia
https://amisom-au.or[...]
2024-07-30
[151]
웹사이트
Uganda Army’s Battle Group 19 departs Somalia after serving a year under the AU Mission
https://amisom-au.or[...]
2024-07-30
[152]
웹사이트
New battle group from Uganda deploys in Somalia
https://amisom-au.or[...]
2024-07-30
[153]
웹사이트
Invest Wisely, Gen Muhoozi tells Battle Group 20
http://portal.defenc[...]
2024-07-30
[154]
웹사이트
Ugandan troops feted by AMISOM for distinguished service
https://amisom-au.or[...]
2024-07-30
[155]
뉴스
UPDF Soldiers Given Medals in Somalia
The Monitor (Kampala)
2017-04-06
[156]
뉴스
AMISOM Explores Sea, Air Options to Deliver Supplies
Dalsan Radio (Mogadishu)
2018-05-29
[157]
웹사이트
Uganda Army’s Battle Group 19 departs Somalia after serving a year under the AU Mission
https://amisom-au.or[...]
2024-07-30
[158]
뉴스
Somalia Not Ready for Amisom Handover, UPDF
Dalsan Radio (Mogadishu)
2018-05-07
[159]
웹사이트
UPDF Troops Welcomed from Equatorial Guinea and Somalia
http://portal.defenc[...]
2024-07-30
[160]
웹사이트
Gen Muhoozi Stresses Discipline As Battle Group 23 is Flagged Off to Somalia
https://softpower.ug[...]
2024-07-30
[161]
간행물
AMISOM Review
2018-04-01/2018-06-30
[162]
웹사이트
Uganda peacekeepers arrive in Somalia
https://www.newvisio[...]
2024-07-30
[163]
뉴스
UPDF battle group feted for role in peacekeeping in Somalia
AMISOM News
2019-07-18
[164]
웹사이트
UPDF TROOPS WELCOMED FROM SOMALIA - The Mighty UPDF
https://www.updf.go.[...]
2024-07-30
[165]
웹사이트
Ministry of Defence and Veterans' Affairs Uganda
2018-12
[166]
웹사이트
AMISOM Uganda Commander impressed by troop morale
https://amisom-au.or[...]
2024-07-30
[167]
웹사이트
UGANDA BATTLE GROUP TWENTY-EIGHT ASSUMES OPERATIONS IN SOMALIA - The Mighty UPDF
https://www.updf.go.[...]
2024-07-30
[168]
웹사이트
Deputy Chief of Defence Forces Flags off UGABAG XXVIII and UNGU VI - The Mighty UPDF
https://www.updf.go.[...]
2024-07-30
[169]
뉴스
AMISOM Hands Over Afgoye Military Base to Somai National Army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021-03-25
[170]
뉴스
Uganda Resumes Rotation of Peacekeeping Troops to Somalia
Dalsan Radio (Mogadishu)
2020-09-12
[171]
웹사이트
Battle Group XXXI and Military Training Team Complete Post Mission Ideological Training
http://www.defence.g[...]
UPDF website
2022-01-15
[172]
뉴스
Ugandan troops awarded AU medals for contribution to peace and stability in Somalia
https://amisom-au.or[...]
AMISON News
2021-04-18
[173]
뉴스
CDF Mbadi Warns Somalia Bound Troops Against Recklessness
The Monitor (Kampala)
2021-08-29
[174]
웹사이트
AMISOM Facebook Page
https://www.facebook[...]
2014-01-18
[175]
간행물
AMISOM Review
2011-11
[176]
간행물
AMISOM Review, issue 12, August to October 2013
[177]
뉴스
AMISOM News 5 July 2015, 'AMISOM Force Commander visits troops in Jereredo'
[178]
뉴스
AMISOM News 23 June 2016, 'AMISOM Commends Senior Officers For Exemplary Work In Somalia'
[179]
웹사이트
A new Commander for the AMISOM Burundian Contingent deployed - AMISOM
http://amisom-au.org[...]
2016-07-19
[180]
기타
AMISOM twitter 30 July 2018
[181]
웹사이트
'AMISOM commander visits Burundi troops to assess progress in operations
https://www.updf.go.[...]
UPDF website
2019-09-15
[182]
뉴스
'AMISOM Deputy Force Commander on familiarisation visit to Burundi contingent headquarters'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021-01-18
[183]
뉴스
'Outgoing AMISOM Burundi Contingent Commander Talks About Achievements'
Dalsan Radio (Mogadishu)
2021-12-17
[184]
보고서
The Role of the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AMISOM – Peacekeeping Success or Peacekeeping in Regress?
Swedish Defence Research Agency (FOI)
2013-06
[185]
웹사이트
United States Africa Command
http://www.africom.m[...]
2017-07-13
[186]
웹사이트
Peacekeeping Contributor Profile: Burundi
http://www.providing[...]
2015-06-26
[187]
문서
Oloya 2016, p. 168.
[188]
간행물
AMISOM Review issue 16, May to August 2015, p. 3.
[189]
뉴스
'Burundian battalions conclude successful yearlong tour of duty in Somalia'
http://amisom-au.org[...]
AMISOM News
2016-07-20
[190]
뉴스
'New Burundi battle group arrives in Somalia'
http://amisom-au.org[...]
AMISOM News
2017-02-14
[191]
뉴스
'New Burundian Battalion arrives in Somalia'
http://amisom-au.org[...]
AMISOM News
2017-06-05
[192]
뉴스
'Burundi Deploys Two Fresh Battalions for Somalia Peacekeeping Mission'
http://intelligenceb[...]
Strategic Intelligence Service
2016
[193]
뉴스
'Burundi sends two battalions for Somalia peacekeeping mission'
http://goobjoog.com/[...]
Goobjoog News
2016-06-25
[194]
웹사이트
AMISOM Burundi contingent rotation deferred
http://www.iwacu-bur[...]
2017-07-13
[195]
웹사이트
Burundi: AMISOM Unknowns
http://allafrica.com[...]
2016-11-08
[196]
뉴스
'Amisom Troop Contributing Nations Reject New EU Payment Procedure'
Daily Nation (Nairobi)
2016-11-13
[197]
웹사이트
Burundi soon withdrawing its troops from Somalia…
http://www.iwacu-bur[...]
2017-07-13
[198]
뉴스
'Burundi Troops to Remain in Somalia, Payments Resume'
East African (Nairobi)
2017-01-21
[199]
웹사이트
New Burundi battle group arrives in Somalia – AMISOM
http://amisom-au.org[...]
2017-02-14
[200]
간행물
AMISOM Magazine no. 23, 26 June 2018.
[201]
웹사이트
New Burundian Battalion arrives in Somalia – AMISOM
http://amisom-au.org[...]
2017-06-05
[202]
뉴스
'New Burundi battle group arrives in Somalia'
http://amisom-au.org[...]
AMISOM News
2017-08-21
[203]
뉴스
AMISOM BURUNDIAN TROOPS, BATTLE GROUPS 55 AND 56 END THEIR TOUR OF DUTY IN SOMALIA
http://amisom-au.org[...]
AMISOM News
2021-05-08
[204]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formally join AMISOM peacekeepers in Somalia
http://amisom-au.org[...]
2014-01-23
[205]
보도자료
"AMISOM Dismantles Terrorist Ambush Point Dobley"
AMISOM press release
2013-02-07
[206]
웹사이트
Kenya – KDFKenya – KDFKenya – KDF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07]
뉴스
"KDF Army Commander Visits, Lauds Troops in Kismayo"
AMISOM News
2015-08-28
[208]
뉴스
'Good communication network enabled KDF call for backup'
http://mobile.nation[...]
Daily Nation mobile (Nairobi)
[209]
뉴스
'AMISOM Sector II command hands over to new contingent'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020-02-12
[210]
뉴스
'Kenyan troops in Somalia welcome new commander'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11]
뉴스
Djiboutian contingent commended for their diligence as they complete tour of duty
AMISOM News
2016-01-23
[212]
뉴스
AMISOM honors outgoing Sector Four Commander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020-02-16
[213]
뉴스
AMISOM Deputy Force Commander meets Djibouti, Ethiopian troops in Beletweyne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021-02-10
[214]
뉴스
Ethiopian Troops Awarded AU Medals for Contributing to Peace and Stability in Somalia
https://amisom-au.or[...]
AMISON News
2021-06-05
[215]
뉴스
Djiboutian troops under AMISOM receive AU service medals
https://amisom-au.or[...]
AMISOM News
2022-03-04
[216]
웹사이트
Djibouti
http://amisom-au.org[...]
2014-12-26
[217]
간행물
AMISOM Force Commander Tours Hiraan Region
AMISOM press release
2012-11-25
[218]
간행물
Djiboutian troops join AMISOM
AMISOM press release
2011-12-20
[219]
뉴스
AMISOM Djiboutian Contingent Celebrate Eid al-fitr in Beletweyne
AMISOM News
2016-07-08
[220]
간행물
AMISOM welcomes more peacekeepers from Sierra Leone'
AMISOM press release
2013-06-01
[221]
뉴스
Sierra Leone Contingent Commander Withdrawn
http://www.sierraexp[...]
Sierra Express Media
2016-07-22
[222]
뉴스
Sierra Leone Military Chief projects image of the force in Somalia
http://www.sierraexp[...]
Sierra Express Media
2016-07-22
[223]
뉴스
Sierra Leone sends 850 soldiers to Somalia
Sierra Express Media
2013-03-28
[224]
뉴스
Sierra Leone records biggest achievement in Somalia
http://www.sierraexp[...]
Sierra Express Media
2016-07-22
[225]
뉴스
Sierra Leonean Chief of Defense visits Somalia
http://www.sierraexp[...]
Sierra Express Media
2016-07-22
[226]
뉴스
Sierra Leone contingent return home
Amison News
2015-01-15
[227]
뉴스
Sierra Leone News: AMISON Troops Organize Parade Competition for Ebola Victims
http://news.sl/drweb[...]
Awareness Times (Freetown)
2016-07-22
[228]
뉴스
Salone to Send More Troops to Somalia
Concord Times (Freetown)
2013-09-11
[229]
뉴스
RSLAF Enters Second Phase of Somalia Deployment Preparation
Concord Times (Freetown)
2014-01-16
[230]
뉴스
New Sierra Leone Amisom Battalion Cleared of Ebola, Ambassador to Ethiopia Says
Sabahi (Washington, DC)
2014-10-10
[231]
뉴스
RSLAF Chief of Defence Staff orders dispersal of Leobatt 2 Troops
http://www.sierraexp[...]
Sierra Express Media
2016-07-22
[232]
뉴스
Sierra Leone deploys 160 police officers to Somalia
AMISOM News
2018-04-18
[233]
웹사이트
AMISOM civilian staff relocate to Somalia
https://web.archive.[...]
[234]
뉴스
The Election Year Outsourcing No One's Talking About: The U.S. Fighting Proxy Wars Around the Globe
http://www.alternet.[...]
TomDespatch.com/Alternet.org
2012-08-13
[235]
뉴스
Sierra Leone troops complete AMISOM deployment training
http://www.dvidshub.[...]
[236]
뉴스
Sierra Leone Defence Minister denies reports of killings in Somalia
http://www.hiiraan.c[...]
Awareness Times
2012-06-23
[237]
뉴스
Somalia: How 'Quiet Americans' Helped Defeat Al Shabaab
Garoweonline.com
2011-08-22
[238]
웹사이트
How 'Quiet Americans' helped defeat Al Shabaab
https://www.theeasta[...]
2023-09-21
[239]
뉴스
SA's guns-for-hire in Somalia – what happens now?
2012-07-26
[240]
웹사이트
Uganda – PoliceUganda – PoliceUganda – Police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41]
웹사이트
Special Report: How Many Fatalities Has the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Suffered?
http://theglobalobse[...]
2016-05-02
[242]
웹사이트
2,700 Ugandan troops dead in Somalia: official
http://www.timeslive[...]
2014-12-26
[243]
웹사이트
Burundi
http://amisom-au.org[...]
2014-12-26
[244]
웹사이트
43 Burundian soldiers killed in Somalia
http://www.news24.co[...]
2014-12-26
[245]
문서
SOMALIA: The only Burundian soldier 'POW' held by Al Shabab in critical health
http://www.raxanreeb[...]
[246]
웹사이트
Ethiopia – ENDFEthiopia – ENDFEthiopia – Ciidamada Difaaca Qaranka Ethiopia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47]
뉴스
Al Shabaab says they killed Ethiopian soldiers near Wabho town
http://dalsanradio.c[...]
Dalsan Radio
2014-04-13
[248]
웹사이트
Kenya – PoliceKenya – PoliceKenya – Police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49]
웹사이트
2 700 Ugandans dead in Somalia – claim
http://www.news24.co[...]
2014-12-26
[250]
뉴스
La prise de Kysmaayo par les armées kényanes et somaliennes
http://sd-2.archive-[...]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2012-10
[251]
웹사이트
AMISOM – Djibouti
http://amisom-au.org[...]
2019-01-12
[252]
웹사이트
Somalie: Fusillade au sein du contingent militaire djiboutien
http://www.alwihdain[...]
2014-12-26
[253]
뉴스
Somalia's al-Shabab attacks army hotel in Bulo-burde
https://www.bbc.com/[...]
BBC News
[254]
뉴스
Somalia's al-Shabab kill AU soldiers in Bulo-burde
https://www.bbc.com/[...]
BBC
[255]
웹사이트
Sierra Leone – PoliceSierra Leone – PoliceSierra Leone – Police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56]
웹사이트
Nigeria – PoliceNigeria – PoliceNigeria – Police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57]
웹사이트
Ghana – PoliceGhana – PoliceGhana – Police – AMISOM
http://amisom-au.org[...]
2014-12-26
[258]
뉴스
Up to 3,000 African peacekeepers killed in Somalia since 2007: U.N
https://www.reuters.[...]
2013-05-09
[259]
웹사이트
Ethiopia says ready to boost Somalia troops after SLeone exit
https://news.yahoo.c[...]
2014-12-22
[260]
뉴스
Somalia unrest: Baidoa raid 'leaves eight dead'
https://www.bbc.com/[...]
2015-03-12
[261]
웹사이트
Opération-AMISOM
http://www.operation[...]
[262]
웹사이트
Uganda: UPDF in Somalia Hit By Strange Disease
http://www.allafrica[...]
2009-07-30
[263]
웹사이트
Thomson Reuters Foundation
http://www.alertnet.[...]
2015-02-27
[264]
뉴스
Suicide blasts hit Somalia base
http://news.bbc.co.u[...]
2009-09-17
[265]
뉴스
Somalia's al-Shabab 'holds 18 Burundian bodies'
https://www.bbc.co.u[...]
2011-03-04
[266]
웹사이트
'Affordable News, Weather and Content for Websites, Apps and Digital Signage | FeedSyndicate'
http://www.allheadli[...]
Allheadlinenews.com
2013-09-27
[267]
뉴스
Somalia: Government captures Al-Shabab militia bases
https://www.bbc.co.u[...]
BBC.co.uk
2011-03-05
[268]
문서
http://www.allheadli[...]
[269]
웹사이트
AFP: Three African troops 'killed in Mogadishu fighting'
https://www.google.c[...]
2011-07-29
[270]
웹사이트
AU Force Presses Offensive to Ease Somali Food Aid
http://shabelle.net/[...]
2011-08-02
[271]
문서
http://www.allheadli[...]
[272]
웹사이트
TFG / AMISOM secure remaining al shabaab strongholds in Mogadishu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1-10-10
[273]
웹사이트
African Union Force Makes Strides Inside Somalia
https://www.nytimes.[...]
2011-11-25
[274]
웹사이트
Al-Shabaab killed more than 150(Update) AMISOM soldiers in recent battle in Mogadishu
https://www.youtube.[...]
[275]
웹사이트
Le contrà´le de Deynile est crucial pour la sécurité de Mogadiscio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11-28
[276]
웹사이트
Somalie: Des militaires burundais tués
http://www.afriqueje[...]
2011-10-23
[277]
문서
https://www.google.c[...]
[278]
웹사이트
SOMALIE. Un Américain auteur d'un attentat-suicide – Le Nouvel Observateur
http://tempsreel.nou[...]
Tempsreel.nouvelobs.com
2011-10-30
[279]
웹사이트
Shabelle Media Network | | Shabakada Warbaahinta Shabelle |
http://www.shabelle.[...]
Shabelle.net
[280]
문서
http://www.raxanreeb[...]
[281]
웹사이트
AMISOM forces launch a military offensive to consolidate security in Mogadishu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01-20
[282]
웹사이트
Les Forces de l'AMISOM capturent Maslah et élargissent la Défense de Mogadiscio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03-02
[283]
웹사이트
Les Forces de l'AMISOM capturent le district de Daynille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03-30
[284]
웹사이트
Les forces de l'AMISOM capturent la ville de Miido, 36 Al-Shabaab tués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09
[285]
웹사이트
Kenya finds 3 missing soldiers in Somalia
http://english.sina.[...]
2014-12-26
[286]
웹사이트
Somalia: KDF Soldiers Almost Ready for Major Offensive
http://allafrica.com[...]
2012-09-04
[287]
웹사이트
L'AMISOM récupère une ville se trouvant à 50 km de Kismayo – AMISOM
http://amisom-au.org[...]
Amisom-au.org
2012-09-20
[288]
웹사이트
Uganda: UPDF Loses 4 Men in Baidoa, Somalia
http://allafrica.com[...]
2012-10-26
[289]
웹사이트
Uganda: UPDF Suffers Heavy Losses in Somalia
http://allafrica.com[...]
2011-10-31
[290]
웹사이트
At least 2 Kenyan soldiers killed in Garissa gun attack
http://www.defencewe[...]
DefenceWeb
2012-11-20
[291]
웹인용
Somalia: Federal Govt, AMISOM troops clash with Al Shabaab
http://www.garoweonl[...]
2014-03-11
[292]
웹사이트
KEYDMEDIA
http://www.keydmedia[...]
2014-12-26
[293]
웹사이트
KEYDMEDIA
http://www.keydmedia[...]
2014-12-26
[294]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Roadside Bomb Injures 6 Somali, Amisom Soldiers in Bulo Burde
http://allafrica.com[...]
2014-12-26
[295]
뉴스
SOMALIA: President says Godane is dead, now is the chance for the members of al-Shabaab to embrace peace
http://www.raxanreeb[...]
2014-09-05
[296]
뉴스
Somalia forces and AMISOM liberate Tiyeeglow town in Bakool region from al-shabaab
http://www.garoweonl[...]
2014-08-25
[297]
뉴스
AMISOM forces accused of sex abuse
http://www.newvision[...]
2014-09-09
[298]
뉴스
Somalia: African Union strongly rejects Human Rights Watch allegations on sexual abuse
http://www.garoweonl[...]
2014-09-09
[299]
뉴스
Somalia: Federal Govt, Ethiopian forces seize Al Shabaab-held village
http://www.garoweonl[...]
2014-09-06
[300]
뉴스
Somalia: AMISOM successfully carried out operation on two Al-Shabaab camps
http://www.garoweonl[...]
2014-09-13
[301]
뉴스
SOMALIA: Government forces and AU troops move Al-Shabab from villages in Gal-gudud and Hiran regions
http://www.raxanreeb[...]
2014-09-13
[302]
문서
President Hassan: AMISOM troops from Sierra Leone had no political agenda in Somalia
[303]
웹사이트
Death Toll in Somalia Base Attack Rises
http://www.voanews.c[...]
2014-12-26
[304]
웹사이트
African Union troops in Somalia accused of gang-rapes
https://www.theguard[...]
2014-09-08
[305]
웹사이트
The Power These Men Have Over U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4-09-08
[306]
웹사이트
THE AFRICAN UNION STRONGLY REJECTS THE CONCLUSIONS CONTAINED IN THE REPORT OF THE HUMAN RIGHTS WATCH ON ALLEGATIONS ON SEXUAL EXPLOITATION AND ABUSE BY AMISOM
https://amisom-au.or[...]
AMISOM
2014-09-08
[307]
뉴스
SNA and AMISOM Moves on Bulo Burde to Break Alshabab Siege
http://goobjoog.com/[...]
2015-03-21
[308]
뉴스
Three KDF soldiers killed, 8 wounded by al Shabaab in Delbio, Somalia
http://goobjoog.com/[...]
2015-04-19
[309]
뉴스
AMISOM Gives Details Of Two Separate Ambush Attacks on Its Troops
http://goobjoog.com/[...]
2015-04-20
[310]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Burundi Army Spokesman Confirms Troops Killed in Al-Shabaab Raid
http://allafrica.com[...]
2015-07-17
[311]
뉴스
Somalia attack: Al-Shabab attacks African Union Janale base
https://www.bbc.com/[...]
2015-09
[312]
웹사이트
Al-Shabab claims 'scores' killed in attack on AU troops
http://www.aljazeera[...]
2016-05-02
[313]
웹사이트
19 AU Soldiers Killed in Somali Al-Shabab Attack
http://www.voanews.c[...]
2015-09
[314]
간행물
Bodies of Kenyan soldiers dragged through Somali streets after an al-Shabaab attack on base
https://www.telegrap[...]
2016-01-15
[315]
간행물
How Al-Shabaab Raided Kenyan Military Camp
The East African
2016-01-18
[316]
뉴스
UN Releases Number of Soldiers Killed in El Ade Attack
http://allafrica.com[...]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6-11-07
[317]
뉴스
KDF Soldiers Kill 21 Al-Shabaab Militants in Somalia
Daily Nation (Nairobi)
2016-03-20
[318]
웹사이트
Abdullahi Da'ud, key al-Shabaab leader, killed by U.S. airstrike in Somalia
https://www.washingt[...]
2022-04-01
[319]
웹사이트
Two major al-Shabaab leaders killed in US airstrike and raid by Somali forces
https://www.theguard[...]
2016-06-01
[320]
웹사이트
Al-Shabaab militants storm Somalia base used by Ethiopian troops
https://www.theguard[...]
2016-06-09
[321]
뉴스
KDF Soldier Killed on Duty in Somalia Buried in Meru
Daily Nation (Nairobi)
2016
[322]
뉴스
Al-Shabaab Executes Captured Ugandan Soldier
The Monitor (Kampala)
2017-01-18
[323]
뉴스
Who Shall Account For Those Who Die While Fighting For Our Right to Live?
The Monitor (Kampala)
2017-02-01
[324]
뉴스
Shabaab claims coordinated suicide bombings in Mogadishu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7-10-28
[325]
뉴스
Kenyan Soldiers Fight Back After Raid by Shabaab
Daily Nation (Nairobi)
2017-01-28
[326]
간행물
AL-SHABAAB HAS REPORTEDLY OVERRUN ANOTHER KDF MILITARY BASE IN SOMALIA
https://www.africand[...]
African Defence Review
2017-01-27
[327]
뉴스
Good communication network enabled KDF call for backup
http://mobile.nation[...]
Daily Nation mobile (Nairobi)
2017-01-29
[328]
뉴스
KDF Kills 57 Al-Shabaab Near Afmadow, Somalia
Daily Nation (Nairobi)
2017-03-02
[329]
뉴스
Kenyan forces kill 31 al Shabaab militants in Somalia – statement
Reuters
2017-03-27
[330]
뉴스
New Army Commander Escapes Mogadishu Blast
East African (Nairobi)
2017-04-09
[331]
뉴스
KDF Soldiers Kill 15 Shabaab Terrorists in Dawn Attack
Daily Nation (Nairobi)
2017-04-10
[332]
뉴스
AU Probes Death of Soldier by Colleague in Somalia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7-04-20
[333]
뉴스
UPDF probes Somalia ambush, 12 killed
http://www.newvision[...]
New Vision (Kampala)
2017-07-31
[334]
뉴스
Alshabab Executes Captured Soldier
Dalsan Radio (Mogadishu)
2017-08-05
[335]
뉴스
Senior General Gunned Down in Mogadishu
Voice of America
2017-09-25
[336]
뉴스
30 Killed in Shabaab Attack on Somali Military Base – General
Voice of America
2017-10-02
[337]
뉴스
Two Civilians, AU Soldier Die in Ambush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17-10-25
[338]
뉴스
Militants Who Killed 23 At Mogadishu Hotel Used Intelligence Service ID Cards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7-10-30
[339]
뉴스
Death Toll Mounts After Mogadishu Palace Attack
Deutsche Welle (Bonn)
2018-02-24
[340]
뉴스
Uganda Blames Somalia for Deadly Mogadishu Shoot-Out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8-02-26
[341]
뉴스
Al-Shabaab Blamed in AU Ambush, Suspected in Attack on Somali Forces
Voice of America (Washington, DC)
2018-03-05
[342]
웹사이트
AMISOM troops successfully repulse al Shabaab terrorists following simultaneous attacks on three AU bases in the Lower Shabelle region
http://amisom-au.org[...]
2018-04-02
[343]
뉴스
US continues to disrupt Shabaab's attack campaign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4-13
[344]
뉴스
Al-Shabaab Launches Attack on AU Peacekeepers' Base Near Mogadishu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8-04-24
[345]
뉴스
Al-Shabaab Militants Ambush UPDF Convoy in Southern Somalia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8-04-25
[346]
뉴스
Soldiers Killed in a Landmine Explosion in Southern Somalia
Shabelle Media Network (Mogadishu)
2018-05-10
[347]
뉴스
SNA Soldiers Killed in Lower Shabelle IED Blast
Radio Dalsan (Mogadishu)
2018-05-10
[348]
뉴스
Thirteen militants, 4 Civilians Killed in Market Blast, Fighting
Voice of America (Washington, DC)
2018-05-14
[349]
뉴스
US strikes Shabaab again outside Mogadishu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6-02
[350]
뉴스
US kills 27 Shabaab terrorists in rare northern Somalia strike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6-05
[351]
뉴스
US Airstrike Kills 27 Terrorist Fighters in N. Somalia
Voice of America
2018-06-05
[352]
뉴스
Alshabaab and Govt Troops in Deadly Clash over El-Wak
Dalsan Radio
2018-06-08
[353]
뉴스
Gunmen Kill Somali Soldier in Afgoye Outside Mogadishu
Shabelle Media Network
2018-06-09
[354]
간행물
New Details Emerge in Attack That Killed U.S. Soldier
Voice of America
2018-06-11
[355]
뉴스
Jubbaland and U.S. Troops Vacate Town Outside Kismayo After Attacks
Shabelle Media Network
2018-06-10
[356]
문서
Maruf 2018
[357]
뉴스
Govt Condemns Mortar Attack in Mogadishu That Left 5 Dead
Shabelle Media Network
2018-07-02
[358]
간행물
Shabaab targets presidential palace with suicide assault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7-16
[359]
뉴스
Al-Shabaab Carries Out Attack in Baidoa, Kills At Least 3 Soldiers
Shabelle Media network
2018-07-14
[360]
간행물
Army – 87 Militants Killed as Attack Repulsed
Voice of America
2018-07-25
[361]
간행물
Shabaab releases photos from inside joint US–Somali–Kenyan base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7-24
[362]
간행물
U.S. military on track to match record 2017 for airstrikes in Somalia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8-29
[363]
간행물
Shabaab launches another attack on US and partner forces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09-24
[364]
뉴스
U.S. Airstrike Kills 9 Al-Shabaab Militants
Voice of America
2018-10-03
[365]
간행물
Al-Shabaab Attacks EU Convoy in Mogadishu, Two Killed
Voice of America
2018-10-03
[366]
간행물
Two Blasts in Somali Town Kill at Least 15
Voice of America
2018-10-14
[367]
간행물
Shabaab attacks Somali force in southern Somalia
https://www.longwarj[...]
The Long War Journal
2018-10-15
[368]
웹사이트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AMISOM) Reauthorisation
https://www.security[...]
Security Council Report
2020-05-28
[369]
웹사이트
Al-Shabaab kills 4 African Union peacekeepers in Somalia
https://www.aa.com.t[...]
2021-12-11
[370]
웹사이트
AU starts second phase of discussion over new mission in Somalia
https://www.garoweon[...]
2020-06-30
[371]
뉴스
AU peacekeepers mired in Somalia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