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지부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지부티는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한 국가로,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아 1977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9세기부터 이슬람의 영향이 시작되었고, 1862년 프랑스가 지배하면서 프랑스령 소말릴란드로 불리다 1977년 독립하여 지부티 공화국이 되었다.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대통령이 장기 집권하고 있다. 지부티는 아덴만과 홍해를 잇는 바브엘만데브 해협에 위치하여 전략적 요충지이며,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의 군사 기지가 주둔하고 있다. 경제는 서비스업이 중심이며, 에티오피아와의 무역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주요 민족은 소말리족의 이사족과 아파르족이며, 소말리어, 아파르어, 프랑스어, 아랍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부티 - 지부티 내전
    1991년 10월 아파르족의 정치적 참여 확대를 요구하는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UD)의 반란으로 시작된 지부티 내전은 민족 갈등, 주변국 정세 불안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발하여 프랑스의 중재, FRUD 내부 분열, 정부군 공세, 국제 사회 개입 등을 거치며 1994년과 2001년 평화 협정 체결로 종식되었으나, 다당제 민주주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갈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한국과의 협력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 지부티 - 2011년 지부티 시위
    2011년 지부티 시위는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대통령의 장기 집권과 3선 연임을 가능하게 한 헌법 개정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었으나 정부의 강경 진압과 야당 지도자 구금으로 무산되었고, 대통령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 소말리어권 -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는 아프리카의 뿔 북서부에 위치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로, 1991년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독자적인 정부와 군대를 운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말리아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소말리어권 - 소말리주
    소말리주는 에티오피아의 주로, 소말리족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대소말리아 통합을 희망하기도 하지만, 가뭄과 소말리아 정세 불안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목축업이 주요 산업이다.
  • 아덴만 -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은 아프리카 대륙 북동부의 반도로, 건조한 기후와 고산지대가 특징이며, 인류의 발상지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등의 국가들이 위치해 다양한 문화와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덴만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지부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지부티 지도
지부티의 위치
아프리카의 지부티 위치
아프리카 지도에서 지부티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지부티 공화국
현지 이름


일반 명칭지부티
지부티 국기
국기
지부티 국장
국장
국가 표어



국가지부티
수도지부티
최대 도시지부티
정치와 정부
정치 체제대통령제 단일 공화국 세습 독재
대통령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총리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입법부국민의회
역사
건국오보크 영토: 1862년 5월 12일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1883년 5월 20일
아파르와 이사족의 프랑스령: 1967년 7월 5일
독립프랑스로부터 1977년 6월 27일
유엔 가입1977년 9월 20일
현재 헌법 제정1992년 9월 4일
인구
인구 (2024년 추정)1,066,809명
인구 밀도46.0명/km²
민족 구성소말리인: 60%
아파르인: 35%
아랍인: 5%
종교이슬람교: 94% (국교)
기독교: 6%
언어
공용어아랍어
프랑스어
국가 언어소말리어
아파르어
지리
면적23,200km²
수역 비율0.09%
경제
GDP (PPP)71억 9300만 달러 (2023년)
1인당 GDP (PPP)6,985 달러 (2023년)
명목 GDP38억 7300만 달러 (2023년)
1인당 명목 GDP3,761 달러 (2023년)
지니 계수41.6 (2017년)
인간 개발 지수0.509 (2021년)
통화지부티 프랑
통화 코드DJF
기타 정보
시간대EAT
UTC 오프셋+3
차량 통행 방향우측 통행
국제 전화 코드+253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dj

2. 역사

지부티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최초의 아프로아시아어족 사용 인구는 이 시기에 나일 계곡(Nile Valley)[22] 또는 근동(Near East)[23]에서 이 지역에 도착했다. 다른 학자들은 아프로아시아어족이 아프리카의 뿔(Horn of Africa)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한다.[24]

아사 코마(Asa Koma)에서 발견된 기하학적 디자인의 토기


지부티의 선사 시대 암벽화와 무덤


약 300만 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다듬은 돌들이 아베 호(Lake Abbe)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고바드 평원에서는 멸종된 코끼리 ''팔레올록소돈 레키(Palaeoloxodon recki)''의 유해가 발견되었는데, 근처에서 발견된 현무암 도구를 사용하여 도살된 흔적이 보였다. 이 유해는 기원전 14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아슐리안(Acheulean) 유적지(기원전 80만 년~40만 년 전)는 다메르조그(Damerdjog)와 로야다(Loyada) 사이의 곰부르타에서 발굴되었다. 고바드에서는 기원전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턱뼈가 발견되었다. 악마의 섬(Devil's Island)에서는 6,000년 전의 조개껍질을 열 때 사용된 도구들이 발견되었다. 구베(Goubet) 아래 지역에서는 원형 돌 구조물과 채색된 토기 조각들도 발견되었다.

기원전 2천년 중반 이전의 토기가 고바드 평원의 아사 코마(Asa Koma)에서 발견되었다. 이 유적지의 토기는 남아라비아(Southern Arabia) 마알레이바(Ma'layba)의 사비르 문화 단계 1 도자기와 유사하다.[25] 아사 코마에서는 긴 뿔이 달린 혹 없는 소의 뼈도 발견되었는데, 약 3,500년 전에 가축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26] 도라(Dorra)와 발호(Balho)에서는 영양과 기린으로 보이는 암벽화도 발견된다.[27] 기원전 4천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한도가(Handoga)에서는 초기 유목 목축민들이 가축과 함께 사용했던 흑요석 미소석기와 무문 토기가 발견되었다.[28]

와크리타(Wakrita) 유적지는 지부티 고바드의 지각 함몰 지역에 있는 와디(wadi)에 위치한 작은 신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2005년 발굴에서는 풍부한 토기가 발견되었으며, 동물 유해는 아베 호 근처의 신석기 시대 정착지에서 어업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지만, 소 사육과 염소 사육의 증거도 보여준다.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유적지는 기원전 2천년대 초에 해당하며, 아사 코마(Asa Koma)와 범위가 유사하다.

기원전 4000년까지 이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에 가까운 기후의 혜택을 받았다. 고바드의 호수, 아살 호와 아베 호는 더 크고 실제 수역과 유사했다. 따라서 인간은 채집, 어업, 사냥으로 생활했다. 이 지역은 고양잇과, 들소, 코끼리(elephant), 코뿔소(rhino) 등 매우 풍부한 동물상을 이루었다. 기원전 3천년대와 2천년대에는 소수의 유목민들이 호수 주변에 정착하여 어업과 소 사육을 했다. 기원전 1500년경에는 기후가 이미 변하기 시작하여 담수원이 더욱 부족해졌다. 조각은 낙타(건조 지대 동물)를 보여주는데, 일부는 무장한 전사가 타고 있다. 정착민들은 유목 생활로 돌아갔다.

하셉수트 푼트 부조. 푼트식 복장을 한 세 명의 남자가 선물을 들고 있는 모습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남아있는 고대 이집트의 푼트 원정은 제5왕조(기원전 25세기)의 파라오 사후레에 의해 조직되었다. 하지만 푼트산 금은 제4왕조의 파라오 쿠푸 시대부터 이미 이집트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29]

이후 제6왕조, 제11왕조, 제12왕조, 그리고 제18왕조에서 푼트로 향하는 더 많은 원정이 있었다. 제18왕조의 하셉수트는 홍해 함대를 건설하여 아카바 만의 입구와 푼트까지 남쪽으로 이어지는 무역을 용이하게 했다. 하셉수트는 푼트로 항해한 가장 유명한 고대 이집트 원정을 직접 이끌었다. 무역상들은 금, 상아, 흑단, 유향, 향기로운 수지, 동물 가죽, 살아있는 동물, 화장품, 향기로운 나무, 그리고 계피를 가지고 돌아왔다.[33][34] 에티오피아 북부, 소말릴란드, 에리트레아, 수단의 홍해 연안과 함께 지부티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푼트'(또는 '타 네제루'(Ta Netjeru), 즉 "신들의 땅")로 알고 있던 지역의 가장 가능성 있는 위치로 여겨진다. 푼트인들은 제5왕조 파라오 사후레와 제18왕조 여왕 하셉수트 통치 시대에 고대 이집트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37] 데이르 엘 바하리 사원 벽화에 따르면, 당시 푼트 땅은 파라후 왕과 아티 여왕이 통치했다.[38]

2. 1. 이슬람의 도래와 중세 시대

이슬람의 영향은 기원후 825년부터 시작되었는데, 당시에는 이디오피아 동부에서 온 아파르족소말리아에서 온 이사스족만이 이 지역에 살고 있었다. 16세기까지 아랍 무역상들이 이 지역을 지배했으나, 1862년 프랑스가 도착하면서 오보크타주라 술탄의 권력이 약해졌다. 프랑스는 바브엘만데브 해협 반대편 아덴을 지배하던 영국과의 균형을 유지하며 술탄들과 정착 교섭을 벌여 만 탈러에 소유지를 구입했다.

9세기 초, 현지 소말리아인 부족들이 질레를 중심으로 아달을 건설했다. 질레는 전 세계 상인들을 불러들여 도시의 부를 더했으며, 히즈라 직후 이슬람을 받아들인 세계 최초의 도시 중 하나였다. 질레의 마스지드 알 키블라타인은 7세기에 지어진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이다.[43][44][39][45] 9세기 후반, 아랍계 무슬림 학자이자 여행가인 알야쿠비는 아달 왕국이 작지만 부유한 왕국이었으며 질레가 그 왕국의 본거지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46][47]

1288년 마흐주미 왕조 붕괴 후, '알리 바지유'가 아달과 모라에서 원정을 이끌었고, 아달과 모라의 영주들을 죽이고 승리하여 아달과 모라를 자신의 왕국에 합병했다.[48][49] 1295년 마르코 폴로는 아달을 아비시니아와 끊임없이 갈등을 겪는 국가로 언급했다.[50] 14세기 아랍 역사가 알 우마리에 따르면, 아달은 비쿨자르, 셰와, 크웰고라, 시미, 잠메, 라부와 함께 이파트 술탄국의 창립 지역 중 하나였다.[51]

중세 시대에 아달은 에티오피아 제국 동쪽의 무슬림 주민이 거주하는 저지대 지역을 가리켰다. 현대 지부티-에티오피아 국경의 아와시 강 북쪽에서 아베 호까지, 그리고 해안의 소말리아에 있는 셰와와 질레 사이의 영토를 포함한다.[52] 아달 내 지역에는 후바트, 기다야, 하르가야가 포함되었다.[53] 때때로 하디야 술탄국도 포함되었다.[54]

학자들은 왈라시마 왕조를 이파트 술탄국의 창시자로 여긴다.[57][58] 1320년 기독교 군주와 무슬림 이파트 지도자들 사이에 갈등이 시작되었는데, 이 갈등은 이집트의 알 나시르 무함마드에 의해 촉발되었다.[62] 사브르 아드딘의 반란은 독립 달성이 아닌 무슬림 에티오피아의 황제가 되려는 시도였다.

1376년, 사아드 아드딘 압둘 무함마드(사아드 아드딘 2세)가 형을 계승하여 권력을 잡았고, 아비시니아 기독교 군대를 계속 공격했다.[67] 15세기 초, 에티오피아 황제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이파트를 침략했다. 1403년 이파트 군대는 하라르 고원에서 패배했고, 사아드 아드딘 술탄은 질레로 도망쳤고 에티오피아 병사들이 그를 추격했다.[67][69][70]

1415년, 사아드 아드딘 2세의 장남 사브르 아드딘 3세는 아라비아 망명에서 아달로 돌아와 아버지의 왕위를 회복했다.[76] 그는 예멘에서 하라르 고원으로 돌아온 후 "아달의 왕"이라고 선포하고 새로운 수도를 다카르에 세웠다.[77] 에티오피아 황제 테오드로스 1세는 사아드 아드딘의 상속인들이 아프리카 뿔로 돌아온 후 아달 술탄국에 의해 곧 죽임을 당했다.[78][79][80] 사브르 아드딘 3세는 자연사했고, 동생 만수르 아드딘이 그를 계승했다. 아달은 이후 이파트 술탄국이 통치했던 모든 영토[82][83]와 바브엘만데브에서 가르다후이 곶까지 동쪽으로 뻗어 있는 땅까지 통치했다.[84][85]

이맘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는 중세 아달 술탄국의 군 지도자였다. 1529년부터 1543년까지 푸투 알 하바시 원정을 시작, 기독교 아비시니아의 4분의 3을 무슬림 제국 통제하에 두었다.[91] 아달 술탄국의 붕괴로 아우사, 타주라, 라하이토 같은 여러 잔존 국가가 형성되었다.[100]

2. 2. 프랑스 식민 통치 (1862년 ~ 1977년)

1862년을 기점으로 오복(Obock)과 타주라(Tadjoura) 술탄의 권력이 약해졌는데, 이는 프랑스가 바브 알만답 해협 반대편의 아덴(Aden)을 지배하던 영국과의 균형을 유지하며 술탄들과 정착 교섭을 벌여 만 탈러에 소유지를 구입했기 때문이다.[114] 1888년 프랑스는 타주라 만 남부 연안에 지부티 시를 건설하기 시작했고, 대부분 소말리인 정착이 이루어져 프랑스령 소말릴란드가 형태를 갖추었다. 지부티는 에티오피아 상업의 중계점이 되었고, 프랑스가 건설한 지부티-아디스아바바 철도가 완성되어 현재까지 전략적, 상업적으로 에티오피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21][122]

1896년부터 프랑스령 소말리아 해안(Côte française des Somalis)으로 불리다가 1967년 프랑스령 아파르족·이사족 자치령(Territoire français des Afars et des Issas)으로 변경되었다. 1977년 국민투표를 거쳐 지부티라는 국명으로 독립했다.

1859년페르디낭 드 레셉스의 수에즈 운하 회사에 의한 수에즈 운하 건설이 시작되면서, 유럽으로 가는 단축로로서 홍해의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그 입구를 막는 타주라만 지역에 프랑스가 진출했다. 같은 해 프랑스 제2제정 시대의 프랑스는 타주라만 입구의 오보크 항을 조차했고, 1862년에는 다나킬족으로부터 오보크 항을 매입했다. 1881년에 프랑스는 오보크에 프랑스-에티오피아 통상회사를 설립했다.[114] 1884년에 영국이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건설하고, 1889년에는 우찰리 조약에 의해 에티오피아 제국이 이탈리아 왕국에 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를 할양함으로써, 프랑스의 세력권은 타주라만 주변의 좁은 지역으로 한정되었다.

1908년 식민지 시대의 아프리카 북동부. 녹색으로 표시된 프랑스령 소말리랜드가 현재의 지부티이다.


에티오피아 제국의 황제 메넬리크 2세는 이탈리아와의 분리 및 군사력 증강을 위해 프랑스에 접근을 시도하여 1894년 지부티에서 에티오피아의 하랄까지의 철도 부설권을 프랑스 기업에 제공하였다. 1896년에는 프랑스령 소말리랜드가 성립되었고, 같은 해 오보크에서 타주라만 남쪽에 위치한 지부티로 수도가 이전되었다.[223]

1947년 당시 프랑스령 소말리의 총인구는 96,100명이었고, 그중 24,500명이 아파르족이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아프리카의 해"라 불리는 1960년 무렵을 기점으로 아프리카 여러 국가의 독립이 진행되었지만, 프랑스령 소말리에서는 독립을 지지하는 소말리계 이사족과 프랑스령에 남기를 원하는 에티오피아계 아파르족의 대립으로 인해 독립 문제는 진전되지 않고 프랑스의 해외주로 남아 있었다.

1967년에는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가 실시되었고, 프랑스령으로 남는 것을 선택한 후 프랑스령 아파르 이사로 개칭되었다.

2. 3. 지부티 공화국 (1977년 ~ 현재)

1977년 5월 8일, 아파르-이사의 프랑스령(French Territory of the Afars and the Issas)에서 세 번째 독립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이전 국민투표는 1958년과 1967년에 실시되었으며, 독립을 거부하였다.[133][128] 이 국민투표는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지지하였다.[134] 유권자의 압도적인 98.8%가 프랑스로부터의 분리를 지지했으며, 공식적으로 지부티의 독립을 알렸다.[127] 1958년 국민투표에서 찬성표를 얻기 위해 활동했던 이사 부족 출신의 소말리아 정치인 하산 굴레드 아프티돈(Hassan Gouled Aptidon)이 초대 대통령(1977~1999)이 되었다.[125]

아흐메드 디니 아흐메드(Ahmed Dini Ahmed)가 1977년 6월 27일 지부티 독립 선언을 발표하는 모습


지부티는 건국 첫해에 아프리카 통일 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현재 아프리카 연합(African Union)), 아랍 연맹(Arab League), 그리고 국제 연합(United Nations)에 가입했다. 1986년에는 신생 공화국으로서 정부간 개발 기구(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ment) 지역 개발 기구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오가덴 전쟁(Ogaden War) 기간 동안, 영향력 있는 이사 부족 정치인들은 지부티의 국경이 홍해에서 디레다와(Dire Dawa)까지 확장되는 대지부티 또는 "이사 랜드"를 구상하였으나,[135] 소말리아군이 에티오피아에서 패퇴하면서 그 꿈은 좌절되었다.[135]

1990년대 초, 정부 대표성을 둘러싼 긴장은 지부티의 집권당인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People's Rally for Progress)(PRP)와 야당인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ont for the Restoration of Unity and Democracy)(FRUD) 간의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이 교착 상태는 2000년 권력 분점 합의로 종식되었다.[4]

초대 대통령 하산 굴레드 아프티돈(Hassan Gouled Aptidon)은 수상에 반드시 아파르(Afar)족을 임명했지만, 여당인 진보인민연합의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여 다수파인 이사족의 우위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민족 갈등은 해소되지 않았다. 1991년에는 북부에서 아파르족의 통일민주회복전선(FRUD)이 봉기하여 내전이 발발했다.[224] 굴레드 대통령은 탈부족 정책을 내세우면서 다당제와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했지만, 야당 각 당이 보이콧을 실시했기 때문에 진보인민연합의 의석 독점은 변하지 않았다. 야당의 비난 속에서 굴레드는 1993년에 4선되었고, 1994년에는 통일민주회복전선 온건파와 정부의 평화가 실현되어 양당 연립 정부가 발족했다.[225]

그 후, 굴레드 대통령의 후계자인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Ismaïl Omar Guelleh)가 1999년에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2001년에는 통일민주회복전선 강경파와의 평화도 성립되어 내전이 종결되었다.[226] 겔레는 안정된 장기 집권을 구축했고, 2005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유일한 후보로 100%의 지지로 재선되었다. 강권적인 정치 수법도 사용하고 있어, 서구일본중국으로부터 군사적인 보호를 받지만 인권 단체 등으로부터 독재자로 비난받고 있다.[227]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겔레는 4선되었다.[252]

2021년 4월, 1977년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이후 두 번째 지부티 대통령(President of Djibouti)인 이스마엘 겔레가 다섯 번째 임기로 재선되었다.[136]

국경을 둘러싸고 이웃 나라 에리트레아와 대립하고 있으며, 1990년에는 두 차례의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 휴전이 성립되었지만, 국경선을 둘러싼 긴장은 계속되었다. 2008년 6월 10일에는 양군 간에 전투가 발생했다. 지부티 정부는 에리트레아가 다시 국경선에 군대를 증강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국제 사회의 개입을 요구했다.

3. 정치

지부티는 단일 대통령제 공화국으로, 행정부의 권력은 대통령에게 있으며, 내각에 대해 우위를 점하고, 입법부의 권력은 정부와 국민의회에 있다.

지부티 대통령,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Ismaïl Omar Guelleh)


대통령인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Ismaïl Omar Guelleh)는 지부티 정치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국가 원수이자 최고 사령관이다. 대통령은 임명한 총리(현재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Abdoulkader Kamil Mohamed))의 지원을 받아 행정 권력을 행사한다. 각료회의(내각)는 대통령의 감독을 받고 그에게 책임을 진다.

사법부는 1심 법원, 고등항소법원, 대법원으로 구성된다. 법 체계는 프랑스 민법과 소말리아 및 아파르 사람들의 관습법(''Xeer'')이 혼합된 형태이다.[137][138]

국민의회(이전에는 ''하원'')는 국가의 입법부이며[137][138], 5년마다 선출되는 6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139] 단원제이지만, 헌법은 상원 설립을 규정하고 있다.[137][138] 마지막 선거는 2018년 2월 23일에 실시되었다. 지부티는 우세 정당 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People's Rally for Progress)(RPP)가 1979년 창당 이후 입법부와 행정부를 장악하고 있다(해당 정당은 대통령 다수당 연합(Union for a Presidential Majority)의 일원으로서 절대 다수의 의석을 차지하며 통치한다). 야당에게도 (제한적인) 자유가 허용되지만, 주요 야당인 국가 구원을 위한 연합(Union for National Salvation)은 정부의 언론 장악과 야당 후보 탄압을 이유로 2005년과 2008년 선거를 보이콧했다.[139]

정부는 소말리아 이사 디르 씨족이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가다부르시(Gadabuursi) 디르 씨족을 포함한 다른 소말리아 씨족의 지지를 받고 있다. 이 나라는 1990년대 말 10년간 지속된 내전을 거쳐 2000년 정부와 통일과 민주주의 복원을 위한 전선(Front for the Restoration of Unity and Democracy)(FRUD)이 평화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종식되었다. FRUD의 두 명이 내각에 합류했고,[4] 1999년 대통령 선거부터 FRUD는 RPP를 지지하며 선거 운동을 벌였다.

겔레 대통령은 1999년 하산 굴레드 압티돈(Hassan Gouled Aptidon)의 뒤를 이어 취임했다.[140] 겔레는 2005년 4월 8일 단독 후보 선거에서 6년 임기의 두 번째 선거에서 취임 선서를 했다. 그는 78.9%의 투표율로 10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140] 2011년 초, 지부티 국민들은 장기 집권 정부에 반대하는 일련의 시위에 참여했는데, 이는 더 큰 아랍의 봄 시위와 관련이 있었다. 겔레는 그해 말 재선되어 75%의 투표율로 80.63%의 득표율을 기록했다.[141] 야당은 겔레의 재선을 허용하는 헌법 개정에 반대하며 투표를 보이콧했지만,[141] 아프리카 연합의 국제 관찰자들은 일반적으로 이 선거를 자유롭고 공정하다고 평가했다.[142][143]

2013년 3월 31일, 겔레는 장기 집권 총리였던 딜레이타 모하메드 딜레이타(Dilleita Mohamed Dilleita)를 대통령 다수당 연합(UMP)의 전 대표인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Abdoulkader Kamil Mohamed)로 교체했다.[144] 2014년 12월, 집권 여당인 대통령 다수당 연합은 또한 국가 구원을 위한 연합 연합과 기본 합의에 서명했는데, 이는 야당 의원들이 의회에 진입하고 국가 선거 기관을 개혁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145]

지부티의 초대 대통령에는 이사(Issa)족 출신인 하산 굴레드 아프티돈(Hassan Gouled Aptidon)이 취임했다. 굴레드 대통령은 수상에는 반드시 아파르(Afar)족을 임명했지만, 여당인 진보인민연합의 일당 독재 체제를 굳건하게 하여 다수파인 이사족의 우위가 지속되었기 때문에 민족 갈등은 해소되지 않았고, 1991년에는 북부에서 아파르족의 통일민주회복전선(FRUD)이 봉기하여 지부티 내전이 발발했다. 이 내전은 주로 아파르족이 많은 북부에서 벌어졌지만, 경제의 요충지인 지부티 항구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224] 굴레드 대통령은 탈부족 정책을 내세우면서 다당제와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했지만, 야당 각 당이 보이콧을 실시했기 때문에 진보인민연합의 의석 독점은 변하지 않았다. 야당의 비난 속에서 굴레드는 1993년에 4선되었고, 1994년에는 통일민주회복전선 온건파와 정부의 평화가 실현되어 양당 연립 정부가 발족했다.[225]

그 후, 굴레드 대통령의 후계자인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Ismaïl Omar Guelleh)가 1999년에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통일민주회복전선 강경파와의 평화도 2001년에 성립되어 내전이 종결되었다.[226] 겔레 자신은 안정된 장기 집권을 구축했고, 2005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유일한 후보로 100%의 지지로 재선되었으며, 강권적인 정치 수법도 사용하고 있어, 서구일본중국으로부터 군사적인 보호를 받지만 인권 단체 등으로부터 독재자로 비난받고 있다.[227] 2016년 대통령 선거에서 겔레는 4선되었다.[252]

국경을 둘러싸고 이웃 나라 에리트레아와 대립하고 있으며, 1990년에는 두 차례의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 휴전이 성립되었지만, 국경선을 둘러싼 긴장은 계속되었다. 2008년 6월 10일, 지부티-에리트레아 국경 분쟁에서 다시 양군 간에 전투가 발생했다. 지부티 정부는 에리트레아가 다시 국경선에 군대를 증강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국제 사회의 개입을 요구했다.

지부티는 공화제, 대통령제를 채택한 헌법 국가이다. 현행 헌법1992년9월 4일에 제정되었다.

국가원수대통령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과거에는 임기가 6년으로 3선이 금지되었으나, 2010년에 대통령 임기를 5년으로 단축하는 대신 재선 제한이 폐지되었다. 총리각료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의회는 단원제이며, 의석 수는 65석이다. 의원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

지부티는 1992년 신헌법 제정 이후 다당제를 도입했으나, 2013년 선거까지는 진보인민연합 (RPP)을 중심으로 한 여당 연합이 모든 의석을 독점하여 사실상의 일당 지배가 계속되었다. 2013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여야 대결이 성사되어, 진보인민연합을 중심으로 통일민주회복전선 (FRUD) 및 국민민주당 (PND) 등을 포함한 대통령 다수 연합이 55석을 획득하고, 민주공화동맹 (ARD) 및 민주개혁개발운동 (MRDD) 등을 중심으로 한 야당 연합인 국민해방연합이 9석을 획득했다. 2018년 선거에서는 대통령 다수 연합이 57석, 야당 연합이 7석을 획득했다.[228]

최고 사법 기관은 대법원이다.

4. 행정 구역

지부티는 6개의 행정 지역으로 나뉘며, 지부티 시는 그 중 하나이다. 이들 지역은 다시 20개의 구역으로 세분화된다.

지부티 지역
지역면적 (km2)인구
2009년 인구 조사
인구
2024년 인구 조사[157]
중심지
알리사비에2200km286,94976,414알리사비에
아르타1800km242,38048,922아르타
디킬7200km288,94866,196디킬
지부티200km2475,322776,966지부티 시
오보크4700km237,85637,666오보크
타주라7100km286,70450,645타주라



지부티 지역 지도

5. 지리

지부티는 아프리카 대륙의 북동부 아프리카의 뿔 지대에 있으며 아덴만과 함께 홍해로 흘러간다. 지부티는 314km의 해안선을 지니며 북쪽은 에리트리아, 남동쪽은 소말리아, 남서쪽은 에티오피아와 국경을 접한다.

지부티는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하며, 아덴 만과 바브엘만데브 해협에 자리 잡고 있어 홍해 남쪽 입구에 있다. 북위 11°~14°, 동경 41°~44° 사이에 위치하며, 동아프리카 지구대의 최북단에 있다. 아프리카 판과 소말리아 판 사이의 지구대가 아라비아 판과 만나는 지점이 바로 지부티이며, 지질학적으로 세 판이 만나는 지점을 형성한다.[158] 이 지점에서의 지각 활동으로 인해 아프리카에서 가장 낮은 지점인 아살 호가 생겼으며, 지구상 육지에서 두 번째로 낮은 분지(요르단과 이스라엘 국경의 분지 다음)가 형성되었다.

이 나라의 해안선 길이는 314km이며, 지형은 주로 고원, 평원, 고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지부티의 총 면적은 23200km2이다. 국경선의 길이는 575km이며, 이 중 에리트레아와의 국경은 125km, 에티오피아와의 국경은 390km, 소말릴란드와의 국경은 60km이다.[4] 지부티는 아라비아 판에 위치한 국가 중 가장 남쪽에 있다.[159]

지부티에는 봉우리가 1000m가 넘는 산맥이 8개 있다.[160] 무사 알리 산맥은 지부티에서 가장 높은 산맥으로 여겨지며,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와의 국경에 있는 가장 높은 봉우리는 2028m의 고도를 가지고 있다.[160] 그랑 바라 사막은 아르타, 알리 사비에, 디킬 지역의 지부티 남부 지역을 덮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은 약 518.16m 이하의 비교적 낮은 고도에 위치한다.

극단적인 지리적 지점은 다음과 같다.


  • 북쪽: 라스 두메라와 에리트레아와의 국경이 오보크 지역에서 홍해로 들어가는 지점
  • 동쪽: 라스 비르 북쪽의 홍해 연안 지역
  • 남쪽: 아스 엘라 마을 서쪽의 에티오피아와의 국경 지점
  • 서쪽: 에티오피아 마을인 아팜보 동쪽에 있는 에티오피아와의 국경 지점


지부티 대부분은 에티오피아 건조 초원 및 관목지 생태 지역에 속한다. 예외적으로 홍해 연안을 따라 동쪽에 띠 모양으로 뻗어 있는 지역은 에리트레아 연안 사막에 속한다.[161]

지부티의 쾨펜 기후 분류 지도


지부티의 기후는 세계 평균보다 훨씬 더 따뜻하며 계절 변화가 훨씬 적다. 고지대를 제외하고 일평균 최고 기온은 32°C에서 41°C 범위이다. 예를 들어 지부티시의 경우 4월 평균 오후 최고 기온은 28°C에서 34°C이다. 하지만 1535m에서 1600m 고도에 있는 아이롤라프의 경우 여름 최고 기온은 30°C, 겨울 최저 기온은 9°C이다.[162] 500m에서 800m 고도의 고지에서는 6월부터 8월까지 가장 더운 달에 해안 지역과 비슷하거나 더 서늘하다. 12월과 1월은 가장 서늘한 달이며 평균 최저 기온은 15°C까지 떨어진다. 지부티는 열대 반건조 기후(BSh) 또는 열대 사막 기후(BWh)이지만, 가장 높은 고도에서는 기온이 훨씬 온화하다.[162]

지부티의 기후는 북동부 해안 지역의 건조한 기후에서 중부, 북부, 서부, 남부 지역의 반건조 기후까지 다양하다. 동부 해안의 연간 강우량은 약 12.70cm 미만이며, 중부 고지대의 강수량은 약 약 20.32cm에서 약 40.64cm이다. 내륙 지역은 해안 지역보다 훨씬 덜 습윤하다.

지부티의 10개 도시 평균 일일 기온
위치7월 (°C)7월 (°F)1월 (°C)1월 (°F)
지부티시41/31107/8828/2183/70
알리사비에36/2596/7726/1579/60
타주라41/31107/8829/2284/72
디킬38/27100/8127/1780/63
오복41/30105/8728/2284/72
아르타36/2597/7825/1578/60
란다34/2394/7323/1374/56
홀홀38/28101/8126/1779/62
알리 아데38/27100/8226/1680/61
아이롤라프31/1888/6622/971/49


6. 경제

지부티의 경제는 서비스 부문에 크게 집중되어 있다. 상업 활동은 자유 무역 정책과 홍해 통과 지점으로서의 전략적 위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강우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채소와 과일이 주요 생산 작물이며, 다른 식량은 수입에 의존한다. 2013년 GDP(구매력 평가)는 25억달러로 추산되었으며, 연평균 실질 성장률은 5%였다. 1인당 소득은 약 2,874달러(PPP)이다. 서비스 부문은 GDP의 약 79.7%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산업 부문 17.3%, 농업 부문 3%가 따랐다.[4]

지부티 항구의 컨테이너 터미널은 국가 무역의 대부분을 처리한다. 항만 활동의 약 70%는 주요 해상 관문으로 이 항구에 의존하는 이웃 국가인 에티오피아의 수입 및 수출로 구성된다.[167] 2018년 기준 에티오피아의 수송 화물의 95%가 지부티 항구를 통해 처리되었다.[168] 이 항구는 국제 연료 공급 센터이자 환적 허브 역할도 한다.[4] 2012년, 지부티 정부는 DP 월드와 협력하여 도랄레 컨테이너 터미널[169] 건설을 시작했으며, 이는 국가 수송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세 번째 주요 항구이다.[4] 3.96억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연간 150만 TEU(20피트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169]

지부티는 2011년 3월 유로머니 국가 위험 순위에서 세계에서 177번째로 안전한 투자 목적지로 평가되었다.[170] 외국인 직접 투자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부티 당국은 여러 비영리 단체와 함께 국가의 상업적 잠재력을 부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러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정부는 또한 고금리와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에 대한 세금 부담 완화 및 소비세 면제 허용 등 새로운 민간 부문 정책을 도입했다.[169]

또한, 다양한 부문에 대한 투자를 통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약 60%로 추산되는 도시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특히 통신 인프라 구축과 소규모 사업 지원을 통한 가처분 소득 증가에 자금이 투입되었다.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GDP의 약 15%를 차지하는 어업 및 농산물 가공 부문도 2008년 이후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169]

소규모 산업 부문을 확장하기 위해, 2018년 완공을 목표로 OPEC, 세계은행지구환경기금의 지원을 받아 56메가와트 규모의 지열 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다. 이 시설은 반복되는 전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에티오피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며, 디젤 발전으로 인한 값비싼 석유 수입을 줄임으로써 GDP를 강화하고 부채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169]

지부티 기업인 솔트 인베스트먼트(SIS)는 지부티의 아살 호 지역에 풍부한 소금을 산업화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시작했다. 연간 400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가진 이 담수화 프로젝트는 수출 수입을 증가시키고,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더 많은 담수를 제공했다.[4][169] 2012년, 지부티 정부는 중국항만공정총공사(China Harbor Engineering Company Ltd)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광석 터미널을 건설했다. 6400만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지부티가 동남아시아 시장에 연간 5000톤의 소금을 추가로 수출할 수 있도록 했다.[171]

지부티의 국내총생산은 1985년 에서 2015년 로 연평균 6% 이상 성장했다.


지부티의 국내총생산은 1985년 3.41억달러에서 2015년 15억달러로 연평균 6% 이상 성장했다. 지부티 프랑은 지부티의 통화이다. 이는 지부티의 통화 당국인 지부티 중앙은행에서 발행한다. 지부티 프랑은 미국 달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정적이며 인플레이션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국가에 대한 투자에 대한 관심 증가에 기여했다.[169][172][173]

지부티에는 10개의 일반 은행과 이슬람 은행이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은 최근 몇 년 안에 설립되었으며, 소말리아의 송금 회사인 다하브쉴과 스위스 금융 투자의 자회사인 BDCD를 포함한다. 은행 시스템은 이전에 인도-수에즈 은행과 상업 및 산업 은행(BCIMR)이라는 두 기관이 독점하고 있었다.[172]

1859년페르디낭 드 레셉스의 수에즈 운하 회사에 의한 수에즈 운하 건설이 시작되면서, 유럽으로 가는 단축로로서 홍해의 중요성이 증대되었고, 그 입구를 扼하는 타주라만 지역에 프랑스가 진출했다.

아살호 근처를 지나는 낙타 행렬. 호수에서 채취하는 소금은 고대부터 귀중한 자원이었다.


IMF 추계에 따르면, 2013년 지부티의 GDP는 14.5억달러이다. 1인당 GDP는 1,593달러로 세계 평균의 약 15%에 그치지만, 인접한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가 500달러대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통화인 지부티 프랑미국 달러와 완전 고정환율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외화 규제가 존재하지 않고 환전이 자유로운 것은 지부티 경제의 강점 중 하나이다.[229]

1986년의 수입액은 1.9억달러, 수출액은 2000만달러로 수입액이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다.[230]

지부티는 지부티 항의 무역과 지부티-에티오피아 철도 수익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중계 무역 국가이다. 지부티 항은 에티오피아 해상 무역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과거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 영토였던 시대에는 에티오피아 국내의 아사브 항이 무역항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지부티의 중요성은 다소 감소했지만, 그럼에도 1991년 시점에서 에티오피아 수출의 50%, 수입의 25%는 지부티를 경유했다. 더욱이 1998년에 발발한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국경 분쟁으로 양국 국교가 단절되면서 지부티 항의 중요성은 다시 높아졌다. 에티오피아 무역 이외에도 홍해 입구에 위치한 요충지이기 때문에 항만 서비스 수요가 크다. 오랫동안 자유항으로 기능해 왔으며, 2006년 이후로는 걸프 지역 국가들과 중국으로부터 많은 투자가 유입되었다.[229] 2010년대에 들어 중국의 경제적 진출이 두드러지면서, 2016년에는 노후화가 진행되었던 지부티-에티오피아 철도가 전철화되어 아디스아바바-지부티 철도로 개통되었고,[231] 2018년에는 아프리카 최대의 자유무역지구가 일부 완성되었다.[232]

1차 산업 종사자는 많지만, 자연환경의 척박함 등의 요인으로 농업은 미발달이며 식량 자급률은 매우 낮다. 농업 인구는 약 12만 명으로 국민의 25% 정도를 차지하지만, 경작 가능한 면적은 국토의 0.5%에 해당하는 100,060헥타르 정도이며, 식량 자급률도 약 3%에 불과하다. 광업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아살 호 등의 염호와 타주라만에서 생산되는 소금과 소량의 석회석이 존재할 뿐이다. 2013년도 수출은 1.2억달러, 수입은 5.6억달러이며, 무역 상대국으로는 수출은 에티오피아가 가장 크게 총 수출의 35%를 차지하고, 프랑스가 20%를 차지한다. 수입은 프랑스가 30%를 차지하고, 아랍에미리트가 18%를 차지한다.[226]

7. 외교 관계

지부티는 중립주의를 지향하며 비동맹 외교를 기조로 한다. 프랑스와의 군사 및 경제 조약을 통해 안보와 경제적 원조를 제공받고 있다. 아랍 연맹, 아프리카 연합, 개발에 관한 정부간 기구(IGAD)의 회원국이며, 아랍 및 동아시아 국가, 특히 일본·중국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튀르키예와의 관계도 강화했다.

대한민국과는 1977년 12월 7일 수교하여 남한 단독 수교국이었다가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외교 관계를 맺어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주(駐)에티오피아 대사가, 지부티는 주(駐)일본 대사가 겸임하고 있다. 2007년 기준 대한민국의 대(對) 지부티 수출액은 1900만달러이며, 수입액은 거의 없다. 한국은 1991년부터 2007년까지 171.70000000000002만달러를 지원했다. 2006년에는 X-ray 장비 및 의전 차량, 긴급 구호 물자를 지원했고, 2007년에는 식수 개발 장비 물자를 지원했다.[259] 1988년 서울 올림픽 마라톤에서 지부티의 후세인 아메드 살레 선수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지부티는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연합, 유엔, 비동맹 운동, 이슬람 협력 기구, 아랍 연맹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1992년부터 소규모 국가 포럼 (FOSS)의 회원국이다.[146]

이웃 나라 에리트레아와 국경 분쟁을 겪고 있으며, 1990년에는 두 차례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 2008년 6월 10일, 양국 군대 간 전투가 다시 발생했다.

일본과는 일본-지부티 주둔군 지위협정을 체결했지만, 자위대의 과실범이 무죄[253]가 되는 등 일본에 유리하고, 자위대 기지 내에 지부티 정부가 관여할 수 없는 등 불평등 조약이라는 비판[254]을 받기도 한다. 2021년 10월 기준 일본인 체류자 수는 44명[252], 2021년 12월 기준 지부티인 체류자 수는 11명[252]이다.

8. 군사

지부티군은 육군, 해군, 공군, 그리고 국가 헌병대(GN)로 구성된다. 2011년 기준으로 군 복무 가능 인구는 16세에서 49세 사이의 남성 170,386명과 여성 221,411명이었다.[4] 지부티는 2011년 기준 연간 3600만달러 이상을 군사비로 지출했다.[4] 독립 이후 지부티는 프랑스 장교가 지휘하는 두 개의 연대를 보유했다. 2000년대 초반, 지부티는 소규모이면서 기동성이 뛰어난 부대로 군대를 재편성하여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지부티 군대가 참전한 최초의 전쟁은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지부티 정부와 통일과 민주주의 복원 전선(FRUD) 사이의 지부티 내전이었다. 이 전쟁은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지속되었지만, 정부군이 반군이 장악한 대부분의 지역을 점령하면서 FRUD의 온건파가 정부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면서 대부분의 적대 행위는 종식되었다.

바브엘만데브 해협에 위치한 지부티의 전략적 요충지는 외국 군사 기지에 매력적인 장소가 되었다. 캠프 레모니에는 2002년 9월 미국 중부사령부에 임대되었고, 임대 계약은 2014년에 20년 더 연장되었다.[152] 이탈리아 국립 지원 군사 기지 또한 지부티에 있다.[153] 이 나라는 또한 유일한 해외 일본군 기지와 중국 지원 기지를 주둔하고 있다.[155]

외국 군사 기지 주둔은 지부티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미국은 캠프 레모니에 임대료로 연간 6300만달러를 지불하고,[155] 프랑스와 일본은 각각 연간 약 3000만달러를 지불하며,[154] 중국은 연간 2000만달러를 지불한다.[155]

9. 인구

지부티는 다민족 국가로, 2024년 5월 20일 실시된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066,809명이다.[157] 20세기 후반에 현지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1955년 약 69,589명에서 2015년 약 869,099명으로 증가했다.

지부티에서 가장 큰 두 민족은 소말리아인(60%)과 아파르인(35%)이다.[4] 소말리아 씨족 구성 요소는 주로 이사 씨족으로 구성되며, 그 뒤를 가다부르시와 이삭의 하바르 아왈 아씨족이 잇는다.[189] 지부티 인구의 나머지 5%는 주로 예멘 아랍인, 에티오피아인유럽인(프랑스인이탈리아인)으로 구성된다. 현지 주민의 약 76%가 도시 거주자이며, 나머지는 유목민이다.

주요 민족은 소말리아계 이사족이 60%, 에티오피아계 아파르족이 35%이며, 프랑스인, 아랍인, 이탈리아인, 아파르족 이외의 에티오피아 민족 등 기타가 5%를 차지한다.[255] 이사족은 지부티시를 비롯한 남부 지역에, 아파르족은 타주라시를 비롯한 북부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223] 이사족과 아파르족의 대립으로 1990년대에 내전이 발생했다.

역사적 인구[188]
연도인구
195062,001
195569,589
196083,636
1965114,963
1970159,659
1977277,750
1980358,960
1985425,613
1990590,398
1995630,388
2000717,584
2005784,256
2010850,146
2015869,099
2018884,017
20241,066,809



10. 언어

지부티의 언어는 다국어를 사용하는 환경이다.[4] 현지 주민 대다수는 소말리계 이사족이 소말리어를 (60%), 아파르족아파르어를 (35%) 사용한다. 이 언어들은 각각의 모어이며, 모두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한다. 북부 소말리아어는 지부티와 이웃 소말릴란드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언이며, 소말리아에서 주로 사용되는 베나디리 소말리아어와는 다르다.[193]

프랑스어아랍어공용어이다.[194] 아랍어는 종교적으로 중요하며,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가 사용된다. 구어체로는 약 59,000명의 현지 주민이 타이지-아데니 아랍어 방언(지부티 아랍어)을 사용한다. 프랑스어는 법정 국가 언어로, 식민지 시대의 유산으로 교육의 주요 언어이다. 약 17,000명의 지부티인이 프랑스어를 모어로 사용한다.

이민자 언어로는 오만 아랍어(38,900명 사용), 암하라어(1,400명 사용), 그리스어(1,000명 사용)가 있다.[195]

11. 종교

지부티 인구의 대다수는 무슬림이다. 이슬람교를 믿는 인구는 전체 인구(약 891,000명, )의 약 98%에 달한다.[196] 기준으로 인구의 94%가 무슬림이었고, 나머지 6%는 기독교 신자였다.[4]

이슬람교는 매우 이른 시기에 이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박해받던 무슬림들이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권유에 따라 홍해를 건너 아프리카의 뿔로 피난처를 찾았기 때문이다. 1900년대 초 식민지 시대 초기에 프랑스 소말릴란드의 소수 가톨릭 선교부의 학교와 고아원 출신 100~300명 정도를 제외하고는 기독교인이 거의 없었다. 지부티 헌법은 이슬람교를 유일한 국교로 명시하면서도 모든 종교를 가진 시민들의 평등(제1조)과 종교 실천의 자유(제11조)를 보장한다.[137][138] 대부분의 현지 무슬림들은 샤피이 학파를 따르는 수니파 이슬람을 신봉한다. 무종파 무슬림들은 주로 다양한 학파의 수피즘 계열에 속한다.[197]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 2008년판에 따르면, 지부티 무슬림들은 다른 종교로 개종하거나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과 결혼할 법적 권리가 있지만, 개종자들은 가족과 씨족 또는 사회 전체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경험할 수 있으며 종종 이슬람으로 돌아가라는 압력을 받는다.[198]

지부티 교구는 소규모 현지 가톨릭교 신자들을 담당하고 있으며, 2006년에는 약 7,000명으로 추산되었다.[199]

12. 문화

지부티 요리소말리아 요리, 예멘 요리, 프랑스 요리가 혼합된 것으로, 남아시아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현지 음식은 샤프란에서 계피에 이르는 다양한 중동 향신료를 사용하여 조리된다.

사모사


지부티의 복장은 덥고 건조한 기후를 반영한다. 남성들은 허리에 두르는 전통적인 사롱과 같은 의복인 마카위스|macawiisaa를 착용한다. 유목민들은 무릎까지 내려오는 흰색 면 로브인 '토브'(tobe)를 착용하며, 로마 토가와 유사하게 끝 부분을 어깨 위로 던진다.

여성들은 긴 베일 드레스인 '디락'(dirac)을 착용하며, 기혼 여성들은 '샤시'(shash)라고 불리는 머리 스카프를 쓰고 '가르바사르'(garbasaar)라는 로 상체를 가린다. 미혼 여성이나 젊은 여성은 항상 머리를 가리지는 않는다. 축제에는 베르베르족의 마그레브 부족 여성들이 착용하는 것과 유사한 특별한 보석과 머리 장식을 착용하기도 한다.[214]

지부티의 예술은 주로 노래를 통해 구전으로 전승된다. 지역 건물에서는 이슬람, 오스만,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회반죽 작업, 정교한 모티프, 서예 등을 볼 수 있다.

타주라 지역 우에아의 전통 목각 항아리


소말리아는 전통 소말리아 민속 전승을 중심으로 풍부한 음악 유산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소말리아 노래는 펜타토닉(Pentatonic scale) 음계를 사용한다. 소말리아 노래는 작사가, 작곡가, 가수 간의 협업으로 만들어진다. 발워(Balwo)는 지부티에서 인기 있는 사랑을 주제로 한 소말리아 음악 스타일이다.[215]

전통 아파르 음악은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민속 음악과 유사하며, 아랍 음악의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아파르 구전 문학은 결혼식, 전쟁, 칭찬, 자랑을 위한 노래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216]

지부티는 오랜 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잘 발달된 소말리아어 운문 형식에는 가바이(gabay), 지프토(jiifto), 게라르(geeraar) 등이 있다. 가바이(gabay)(서사시)는 가장 복잡하며, 젊은 시인이 이를 지을 수 있을 때 시적 경지에 이른 것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암송자 및 낭송자 그룹(hafidayaal)이 이 예술 형식을 전파했다. 시는 바로로디크(baroorodiiq)(비가), 아만(amaan)(찬사) 등 여러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217] 아파르족은 기니리(ginnili)라는 전사 시인이자 점쟁이에 익숙하며, 풍부한 구전 전통의 민담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또한 광범위한 전투 노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218]

지부티는 이슬람 문학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가장 저명한 역사적 작품 중 하나는 시합 알-딘(Shihāb al-Dīn)이 쓴 중세 시대의 『푸투 알-하바시(Futuh Al-Habash)』로, 16세기 아달 술탄국(Adal Sultanate)의 아비시니아 정복(Ethiopian-Adal War)을 기록하고 있다.[219]

전통적인 모자를 쓴 소말리아인 남성.


지부티 요리소말리아 요리, 아파르족 요리, 예멘 요리, 프랑스 요리가 혼합된 형태이며, 인도 요리의 영향도 받았다. 현지 요리는 사프란부터 계피까지 다양한 중동 향신료를 사용하여 조리한다. 예멘식 생선구이는 현지 별미이다. 매운 요리는 '파파'(매운 소고기 수프)부터 yetakelt wet|예타켈트 웨트so(매운 혼합 야채 스튜)까지 다양하다. Xalwo|할워so("할로")는 축제 기간에 먹는 인기 있는 과자이다. 할바는 설탕, 옥수수 전분, 카다멈 가루, 육두구 가루 및 기(Ghee)로 만들어지며, 땅콩을 추가하기도 한다.[220] 식사 후에는 집에 ( cuunsi|쿤시so) 또는 유향(lubaan|루반so)을 피운다.

소말리아계 이사족과 에티오피아계 아파르족 등 각 민족은 독자적인 문화와 관습이 있다. 카트를 씹는 습관이 있다. 도시의 레스토랑에서는 바게트가 제공된다. 식량 자급률이 낮기 때문에 농산물과 청과물의 대부분을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에서 수입하고 있다.

지부티의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서력 기원을 기준으로 하는 공휴일
날짜이름현지어 표기비고
1월 1일신정
5월 1일메이데이Fête du Travail
6월 27일독립기념일Fête de l'Indépendance



히즈라력을 기준으로 하는 공휴일
날짜이름현지어 표기비고
무하람 1일히즈라력 신년
라비우 알 아왈 12일무함마드 탄생제
라자브 27일무함마드 승천제
샤왈 1일단식이 끝난 축제
줄 히즈자 10일희생제



관공서는 이러한 공휴일 외에 매주 금요일이 휴일이다.[258]

13. 교육

지부티 정부는 교육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2009년 기준으로 연간 예산의 20.5%를 교육에 투자했다.[211]

글로벌 펄스 교육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지부티 여성들 (2010)


초기 지부티의 교육 시스템은 제한된 학생 수만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엘리트주의적이었으며,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교육 방식을 따랐다.[211]

1990년대 후반, 지부티 정부는 국가 교육 전략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기 위해 행정관리, 교사, 학부모, 국회의원, NGO 등과 광범위하게 협력했다. 이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이후 정부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교육 부문 현대화를 위한 포괄적인 개혁 계획을 수립했다. 2000년 8월에는 교육 계획법을 통과시키고 향후 5년간의 중기 개발 계획을 세웠다. 그 결과, 의무 교육이 도입되었고 초등학교 5년, 중학교 4년으로 구성된 기초 교육 제도가 개편되었다. 고등학교에 진학하려면 기초 교육 증명서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이 법은 중등 수준의 직업 교육을 도입하고 국내에 대학 시설을 설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11]

이러한 노력으로 교육 부문 전반에 걸쳐 큰 발전이 있었다.[211] 특히 학교 등록률, 출석률, 유지율이 모두 꾸준히 증가했지만,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2004년부터 2005년, 그리고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초등학교 여학생 순등록률은 18.6%, 남학생은 8.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학교 순등록률은 여학생 72.4%, 남학생 52.2% 증가했다. 고등학교 순등록률 증가율은 여학생 49.8%, 남학생 56.1%였다.[212]

지부티 정부는 새로운 교실을 짓고 교과서를 공급하는 등 교육 시설과 자료를 개발하고 개선하는 데 힘을 쏟았다. 고등 교육에서는 자격을 갖춘 강사를 양성하고 학교 밖 청소년의 직업 훈련을 장려하는 데 집중했다.[211] 2012년 기준 지부티의 문해율은 70%로 추산되었다.[213]

지부티의 대표적인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지부티 대학교가 있다.

14. 보건

지부티시에 있는 ISSS 의과대학 입구


출생 시 기대수명은 남성과 여성 모두 약 64.7세이다.[4] 여성 1명당 자녀는 2.35명이다.[202] 10만 명당 의사는 약 18명 있다.[202]

2010년 지부티의 모성 사망률(출생 10만 명당)은 300명으로, 2008년 461.6명, 1990년 606.5명과 비교된다.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출생 1,000명당)은 95명이며, 신생아 사망률은 5세 미만 아동 사망률의 37%를 차지한다. 출생 1,000명당 조산사 수는 6명이며, 임산부의 평생 사망 위험은 93명 중 1명이다.[203]

지부티 여성 및 소녀의 약 93.1%가 여성 성기 절제술(FGM, '여성 할례'라고도 함)을 받았다.[204] 이는 주로 북동 아프리카와 근동 일부 지역에서 유행하는 결혼 전 관습이다.[205][206] 1994년에 법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지역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 여전히 널리 행해지고 있다.[207] 지역사회 여성들이 장려하고 시행하는 FGM은 주로 문란함을 막고 폭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207][208] 지부티 남성 인구의 약 94%도 남성 할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이슬람교 준수와 일치한다. 아프리카의 뿔에서 주요 마즈하브인 샤피이 학파는 남성과 여성의 할례를 요구한다.[209][210]

남성의 평균수명은 45.4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48.45세로 전반적으로 낮지만, 중남부 아프리카에서는 평균적인 수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20 https://www.eiu.com/[...] 2021-12-17
[2] 뉴스 The world's enduring dictators https://www.cbsnews.[...] CBS News 2011-05-16
[3] 논문 All in the Family: North Korea and the Fate of Hereditary Autocratic Regimes 2020-03-03
[4] 웹사이트 Djibouti https://www.cia.gov/[...] CIA 2013-02-05
[5] 간행물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de Djibouti, INSTAD 2024
[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Djibouti)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7] 웹사이트 Gini Index coefficient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2021-08-12
[8]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1/2022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2-09-08
[9] 웹사이트 De Facto States Unbound – PONARS Eurasia https://www.ponarseu[...] 2022-04-08
[10]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counter secession: preventing the recognition of contested states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1] 백과사전 Somalia: History of French Somaliland
[12] 백과사전
[13] 웹사이트 Today in Djibouti History http://www.historyor[...] Historyorb.com
[1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15] 간행물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de Djibouti, INSTAD 2024
[16] 서적 Dictionnaire afar-français: Djibouti, Erythrée, Ethiopie https://books.google[...] KARTHALA Editions 2012
[17] 서적 Somali Grammar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1-08-23
[18] 웹사이트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Names (3 ed.)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5-22
[19] 웹사이트 How Djibouti Got Its Unique Name https://theculturetr[...] 2018-03-02
[20] 웹사이트 Countries Of The World That Are Named After Legendary Figures https://www.worldatl[...] 2018-08-07
[21] 서적 Beyond Babylon: Art, Trade, and Diplomacy in the Second Millennium B.C.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8
[22] 논문 Early Pastoral Nomadism and the Settlement of Lower Mesopotamia 1990
[23] 논문 Farmers and Their Languages: The First Expansions 2003
[24] 서적 Archaeology, Language, and the African Past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6
[25] 서적 Afrikas Hor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26] 서적 Forgotten Africa: An Introduction to Its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27] 서적 Journal of African Archaeology, Volumes 1–2 https://books.google[...] Africa Manga Verlag 2003
[28] 서적 The Archaeolog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9] 서적 (unspecified) 1906-1907
[30] 서적 (unspecified) 1906-1907
[31] 서적 Hatchepsut: The Female Pharaoh Penguin Books 1996
[32] 논문 Amenemhat IV at Wadi Gawasis http://www.refdoc.fr[...] 2010
[33] 서적 Premodern Trad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34] 서적 The Naga race https://books.google[...] Firma KLM 1994
[35] 서적 Prehistory and Proto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unspecified) 1990
[36] 서적 Egypt, Trunk of the Tree, Volume 2 Algora Publishing
[37] 서적 Hatchepsut: The Female Pharaoh Penguin Books
[38] 논문 Ancient Records of Egypt: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ersian Conquest, collected, edited, and translated, with Commenta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6-01-01
[3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malia Scarecrow Press
[40]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2020-05-12
[4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4-11
[42] 서적 Africa A to Z: Continental and Country Profiles: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Africa Institute of South Africa 2013-12-07
[43] 서적 Somaliland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6-12-21
[44] 웹사이트 Image: The Travels of Al-Yaqubi https://image.prntsc[...] 2018-11-28
[45]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Wiley
[46]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25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oration 2020-08-25
[47]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2016-12-21
[48] 서적 Islam Yesterday and Today
[49] 서적 Muslim Societies in Africa: A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06-05
[50] 서적 Adal https://en.sewasew.c[...] Encyclopedia Aethiopica
[51] 서적 The Glorious victories of Amda Seyon, king of Ethiopia https://catalogue.nl[...] Clarendon Press
[5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4-11
[53] 서적 Islamic History and Culture in Southern Ethiopia https://books.google[...] Lit
[54] 서적 Hadiyya https://referencewor[...] BRILL
[55] 서적 Historic Mosques in Sub-Saharan Africa: From Timbuktu to Zanzibar
[56] 서적 L'Islam en Éthiopie des origines au XVIe siècle
[57] Thesis Food Security And Peasants' Survival Strategy: A Study Of A Village In Northern Shewa, Ethiopia https://tspace.libra[...] University of Toronto 1998
[58] 서적 History of Harar https://everythingha[...]
[59] 서적 Localising Salafism: Religious Change Among Oromo Muslims in Bale, Ethiopia https://books.google[...] BRILL 2011-09-30
[60]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1] 서적 Church and State
[62]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63]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64] 서적 Islam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Geoffrey Cumberlege for the University Press
[65] 서적 The Ethiopian Royal Chronicle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66] 서적 Borderlands
[67] 서적 The Ethiopian Borderlands: Essays in Regional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68]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논문 The Genealogy of the later Walashma' Sultans of Adal and Harar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7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c. 500 B.C. to A.D. 10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Steiner
[72]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Steiner
[73] 서적 Islam in Ethiopia Geoffrey Cumberlege for the University Press
[74] 서적 Ethiopian Borderlands
[75]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Nubia and Abyssinia Anthropological Publications
[76]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https://zelalemkibr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2023-03-22
[77] 학술지 The Genealogy of the later Walashma' Sultans of Adal and Harar https://www.jstor.or[...] Harrassowitz Verlag 2021-03-12
[78] 서적 Tewodros https://books.google[...] Encyclopedia Aethiopica 2023-03-18
[79] 학술지 Le sultan walasmaʿ Saʿd al-Dīn et ses fils https://www.cairn.in[...] Cairn Info 2020
[80] 학술지 Royal Names in Medieval Ethiopia and their Symbolism https://brill.com/vi[...] BRILL 2022-07-22
[81]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2015-10-14
[82] 서적 Somaliland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6-04-25
[83] 서적 Nation Shapes: The Story Behind the World's Borders: The Story behind the World's Border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0-15
[84]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1526
[85] 서적 Ethiopia in broader perspective: papers of the XIII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thiopian Studies Kyoto 12–17 December 1997 https://books.google[...] Shokado Book Sellers 2020-05-12
[86]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20-05-12
[87]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2020-05-12
[88] 학술지 Some remarks on the origins of the Aksumite Stelae https://web.archive.[...] 1987
[89] 웹사이트 Tiya - Prehistoric site https://whc.unesco.o[...] UNESCO 2014-12-24
[90] 서적 Ethiopia in broader perspective: papers of the XIII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thiopian Studies Kyoto 12–17 December 1997 https://books.google[...] Shokado Book Sellers 2014-12-23
[91] 서적 The History of Ethiopia Greenwood Press
[9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93] 서적 The Encyclodedia of Christianity, Vol. 5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9
[94] 서적 Revolutionary Ethiopia: From Empire to People's Republic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88
[95] 서적 The Portuguese expedition in Abyssnia
[96] 웹사이트 20 Famous Historical and Biblical Figures from Africa https://answersafric[...] 2021-05-28
[97] 서적
[98] 서적 Fortunes of Africa: A 5,000 Year History of Wealth, Greed and Endeavour
[99] 서적 The Oromo of Ethiopia: A History (1570–1860) Red Sea Press
[100]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01] 서적 Travels to Discover the Source of the Nile, in the Years 1768, 1769, 1770, 1771, 1772, & 1773. By James Bruce of Kinnaird, Esq. F.R.S. ... To which is Prefixed, a Life of the Author. Vol. 1. -7: 3 https://books.google[...] 1804
[102] 서적 Travels to Discover the Source of the Nile, in the Years 1768, 1769, 1770, 1771, 1772, & 1773. By James Bruce of Kinnaird, Esq. F.R.S. ... To which is Prefixed, a Life of the Author. Vol. 1. -7: 3 https://books.google[...] 1804
[103] 서적 Travels to Discover the Source of the Nile, in the Years 1768, 1769, 1770, 1771, 1772, & 1773. By James Bruce of Kinnaird, Esq. F.R.S. ... To which is Prefixed, a Life of the Author. Vol. 1. -7: 3 https://books.google[...] 1804
[104] 서적 The Highlands of Aethiopia: In Three Volumes https://books.google[...]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844
[105] 서적 The Transactions of the Bombay Geographical Society https://books.google[...] 1849
[106] 서적 The Nile in Darkness https://books.google[...] M. Russell 1998
[107] 서적 Abou-Bakr Ibrahim, pacha de Zeyla, marchand d'esclaves: commerce et diplomatie dans le golfe de Tadjoura, 1840-1885 https://books.google[...] Harmattan 2003
[108]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Longmans
[109]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https://books.google[...] Praeger 1968
[110] 기타
[111] 서적 Abou-Bakr Ibrahim. Pacha de Zeyla - Marchand D'esclaves: Commerce Et Diplomatie Dans Le Golfe de Tadjoura (1840-1885) - Deuxieme Edition Revue Et Augmentee https://books.google[...] Editions L'Harmattan 2018
[112] 서적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Or, An Explanation of Harar https://books.google[...] Longman, Brown, Green, and Longmans 1856
[113] 웹사이트 FRENCH SOMALI COAST 1708 – 1946 FRENCH SOMALI COAST | Awdalpress.com https://web.archive.[...] 2013-04-19
[114] 학술지 Histoire Africaine https://www.persee.f[...] 2020-05-17
[115] 웹사이트 Tracer des frontières à Djibouti https://djibouti.fro[...] 2022-07-28
[116] 서적 Le Regime de Protectorats Institut Colonial Internationale
[117] 서적 Trace des frontiere a Djibouti Khartala
[118] 백과사전
[119] 서적 Africa year book and who's who Africa Journal Ltd. 1977
[120]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Africa Taylor & Francis 2001
[121] 백과사전
[122] 백과사전
[123] 백과사전
[124] 서적 Background Notes, Djibouti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Public Affairs, Office of Public Communication 1993
[125] 서적 After Independence: Making and Protecting the Nation in Postcolonial and Postcommunist Stat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126] 서적 Africa Research Bulletin, Volume 3 https://books.google[...] Blackwell 2014-12-18
[127] 잡지 Newsweek Newsweek 1973
[128] 기타 Northeast Africa series American Universities Field Staff 1968
[129] 서적 The Indian Ocean: its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importance Praeger 1972
[130] 뉴스 French Envoy in Somalia Held by Anti-Paris Group https://www.nytimes.[...] 2020-05-20
[131] 서적 African Politics Matinus Nijhoff 1981
[132] 웹사이트 Légion-Étrangère http://2rep.legion-e[...] Légion-Étrangère 2017-05-03
[13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2005
[134] 서적 Elections in Africa: A data handbook 1999
[135] 학술지 The 'Esayi Dream: A Footnote to the Ogaden War https://www.jstor.or[...] 1991
[136] 뉴스 Djibouti President Guelleh wins election with 98%, provisional results https://www.africane[...] 2022-10-12
[137] 웹사이트 Djibouti's Constitution of 1992 with Amendments through 2010 https://www.constitu[...] Constitute 2016-07-19
[138]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e Djibouti https://web.archive.[...] Agence Djiboutienne d'Information 2013-03-30
[139] 웹사이트 Djibouti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2-01-17
[140] 웹사이트 DJIBOUTI: Guelleh sworn in for second presidential term http://www.irinnews.[...] IRIN Africa 2013-03-20
[141] 뉴스 Djibouti validates presidential election http://www.middle-ea[...] 2011-04-13
[142] 뉴스 Sudan: President Al-Bashir Congratulates Djibouti President On His Re-Election http://allafrica.com[...] 2011-04-20
[143]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observer missions of the Djibouti presidential elections held on April 08, 2011 http://igad.int/inde[...] Intergovernmental Authority on Development 2011-04-10
[144] 웹사이트 M. Abdoulkader Kamil Mohamed, grand commis de l'Etat et nouveau Premier ministre djiboutien http://www.adjib.dj/[...] Adjib
[145] 뉴스 Djibouti government reaches deal to bring opposition into parliament http://goobjoog.com/[...] 2014-12-30
[146] 서적 50 Years of Singapore and the United Nations World Scientific 2024-03-28
[147] 웹아카이브 The Rise and Fall of the Somalia Airforce: A Diary Reflection http://somavires.org[...]
[148] 뉴스 Somalia: UN Envoy Says Inauguration of New Parliament in Somalia 'Historic Moment' http://allafrica.com[...] 2012-08-21
[149] 뉴스 Presidential inauguration ushers in new era for Somalia http://sabahionline.[...] 2012-09-17
[150] 서적 Handbook of Africa's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3
[151] 서적 France, Soldiers, and Africa Brassey's
[152] 뉴스 Djibouti Is Hot https://www.bloomber[...]
[153] 웹사이트 Djibouti, Foreign Military Bases on the Horn of Africa; Who is there? What are they up to? http://defaakto.com/[...] 2019-01-02
[154] 웹사이트 Djibouti: Changing Influence in the Horn's Strategic Hub https://www.chathamh[...] 2013-04-01
[155] 뉴스 U.S. Wary of Its New Neighbor in Djibouti: A Chinese Naval Base https://www.nytimes.[...] 2017-02-25
[156] 웹사이트 Country Report on Human Rights Practices 2019 – Djibouti https://www.ecoi.net[...] 2020-03-11
[157] 간행물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de Djibouti, INSTAD.
[158] 논문 Propagation of rifting along the Arabia-Somalia plate boundary: The gulfs of Aden and Tadjoura
[159] 서적 1985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othermal Energy, Volume 9, Part 1 1985
[160] 웹아카이브 Highest Mountains in Djibouti http://www.geonames.[...]
[161] WWF생태지역
[162] 웹사이트 Weatherbase : Djibouti http://www.weatherba[...]
[163] 웹사이트 Le Pèlerin du Day http://www.wfp.org/s[...] World Food Programme
[164] 웹사이트 Djibouti http://lntreasures.c[...] Living National Treasures
[165] 서적 The IUCN Sahel studies 1989 https://books.google[...] IUCN
[166] 서적 Biodiversity in Sub-Saharan Africa and its Islands: Conservation, Management and Sustainable Use https://archive.org/[...] IUCN
[167] 뉴스 Ethiopia signs Djibouti railway deal with China https://www.reuters.[...] 2011-12-17
[168] 서적 Port Development and Competition in East and Southern Africa: Prospects and challenges http://documents.wor[...] World Bank Group
[169] 웹사이트 Current Development Projects and Future Opportunities in Djibouti http://www.aaeafrica[...] Association of African Entrepreneurs 2011-09-23
[170] 웹사이트 Euromoney Country Risk http://www.euromoney[...] Euromoney Institutional Investor PLC
[171] 뉴스 Djibouti, China Sign 64 mln USD Agreement to Facilitate Salt Export http://english.cri.c[...] 2012-11-20
[172] 뉴스 Djibouti banking boom attracts foreign investors http://www.businessd[...] 2010-03-23
[173] 웹아카이브 Le système informel de transferts de fonds et le mécanisme automatique du Currency Board : complémentarité ou antagonisme ? Le cas des transferts des hawalas à Djibouti http://www.univ-orle[...]
[174] 웹사이트 Bridge of the Horns, Cities of Light: Will They Ever Actually Be Built? http://basementgeogr[...] WordPress 2011-06-27
[175] 웹사이트 Phase I of Yemen and Djibouti Causeway delayed http://steelguru.com[...] Steelguru.com 2010-06-22
[176] 웹사이트 Africa News: The China Merchants in Djibouti: from the maritime to the digital silk roads (by Thierry Pairault) https://web.archive.[...] 2021-01-20
[177] 서적 Afrika's Silk Road 2007
[178]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2018
[179] 간행물 The role of Africa in the New Maritime Silk Road 2016-07-12
[180] 서적 Djibouti and Small State Agency in the Maritime Silk Roa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undations 2020
[181]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https://web.archive.[...] CIA 2016-11-23
[182] 웹사이트 Movie theaters in Djibouti, Djibouti http://cinematreasur[...] Cinema Treasures 2016-11-24
[183] 웹사이트 Djibouti media guide https://www.bbc.com/[...] 2023-03-03
[184] 웹사이트 African Nation of Djibouti banks on Chinese tourists http://www.scmp.com/[...] 2017-04-17
[185] 웹사이트 Ethiosport launch of the train to Djibouti http://www.ethiospor[...] 2018-01-01
[186] 웹사이트 Things to do in Djibouti https://www.onceinal[...] 2018-03-14
[187] 뉴스 Diversification key to expansion of Djibouti's energy sector https://oxfordbusine[...] 2016-03-16
[188] 웹사이트 Djibouti Population https://www.google.c[...] World Bank 2015-10-26
[189] 웹사이트 Refworld Somalia: Information on the Issa and the Issaq https://www.refworld[...] 2021-10-10
[190] 서적 Africa on a Shoestring Lonely Planet 2004
[191] 간행물 French Somaliland https://web.archive.[...] 1967
[192] 웹사이트 Religious Identity Among Muslims | Pew Research Center https://www.pewforum[...] Pewforum.org 2012-08-09
[193] 웹사이트 The Afro-Asiatic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Reference List http://rogerblench.i[...] 2006
[194] 백과사전 Djibouti: Language https://www.britanni[...] 2019-08-22
[195] 웹사이트 Djibouti – Languag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6-09-06
[196] 웹사이트 Islamic World https://www.nationso[...] 2022-03-20
[197] 웹사이트 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 https://web.archive.[...]
[198]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of Canada, "Djibouti: Situation and treatment of Christians, including instances of discrimination or violence; effectiveness of recourse available in cases of mistreatment; problems that a Muslim can face if he or she converts to Christianity or marries a Christian (2000–2009)", 5 August 2009 http://www.unhcr.org[...] Unhcr.org 2009-08-05
[199] 웹사이트 Diocese of Djibouti http://www.catholic-[...] Catholic-hierarchy.org 2013-02-28
[200] 웹사이트 Djibouti: Region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2021-12-08
[201] 인구조사 2024 Census 2024
[202] 뉴스 Republic of Djibouti: Humanitarian Country Profile http://www.irinnews.[...] 2007-02
[203]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Midwifery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1-08-01
[204] 웹사이트 Prevalence of FGM https://web.archive.[...] Who.int 2010-12-09
[205] 간행물 Female genital mutilation, fertility control, women's roles, and the patrilineage in modern Sudan: a functional analysis 1975
[206] 서적 Women in Muslim societies: diversity within unity Lynne Rienner Publishers 1998
[207] 뉴스 DJIBOUTI: Women fight mutilation http://www.irinnews.[...] 2005-07-12
[208] 서적 Studies in human sexuality: a selected guide Libraries Unlimited 1995
[209] 웹사이트 Male Circumcision and AIDS: The Macroeconomic Impact of a Health Crisis http://www.cid.harva[...] 2011-04-27
[210] 서적 Bible and Qurʼān: Essays in Scriptural Intertextuality Brill Publishers 2004
[211] 웹사이트 ICT in Education in Djibouti http://www.infodev.o[...] World Bank 2007
[212] 웹사이트 Djibouti Assistance to Education Evaluation http://eastafrica.us[...] USAID 2009-04
[213] 서적 Compact Atla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nguin 2016-02-20
[214] 웹사이트 Image of Djibouti women in head-dresses http://www.discoverf[...] discoverfrance.net 2007-05-31
[215]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Greenwood Press 2001
[216] 웹사이트 Djibouti – Culture Overview http://expedition.be[...] 2005-09-28
[217]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Greenwood Press 2001
[218] 서적 Lonely Planet Ethiopia and Eritrea Lonely Planet 2006
[219] 서적 The conquest of Abyssinia: 16th century https://books.google[...] Tsehai Publishers & Distributors 2015-06-20
[220] 서적 Somali Cuisine AuthorHouse 2007
[221]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0-26
[222]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2021-10-26
[223] 서적 ベラン世界地理大系 朝倉書店 2019-06-10
[224] 서적 ビジュアル データ・アトラス 絵で読む最新世界情勢 同朋舎出版 1995-04-26
[225]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226]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6-01-10
[227] 뉴스 The world's enduring dictators CBS News 2011-05-16
[228] 웹사이트 DJIBOUTI (Assemblée nationale) http://archive.ipu.o[...] 2019-10-06
[229] 웹사이트 ジブチについて http://djiboutiembas[...] 駐日ジブチ共和国大使館 2019-10-06
[230] 서적 国際情報大事典 PASPO 学習研究社 1992-07-07
[231] 웹사이트 エチオピアにアフリカ初の電気鉄道が開通、中国が出資・建設 https://www.afpbb.co[...] 2019-10-07
[232] 웹사이트 ジブチに「アフリカ最大」の自由貿易区が一部完成、翻る中国国旗 https://www.afpbb.co[...] 2019-10-07
[233] 서적 ベラン世界地理体系 朝倉書店 2019-06-10
[234] 웹사이트 米国が危機感、アフリカの小国に中国が軍事基地設置 https://jbpress.isme[...] 2019-10-07
[235] 간행물 World Watching 110 紅海地域のロジスティクス拠点を目指すジブチ港 https://www.phaj.or.[...] 2019-10-07
[236] 웹사이트 現代式の多目的港の開業 http://djiboutiembas[...] 駐日ジブチ共和国大使館 2019-10-07
[237] 간행물 アフリカの角における港湾選択と政治状況 http://www.jpmac.or.[...] 2019-10-07
[238] 일반
[239] 뉴스 中国基地 世界にらむ/東アフリカ・ジブチ http://www.asahi.com[...] 2017-08-15
[240] 뉴스 【核心】海賊激減なのに拡張 ジブチの自衛隊「海外基地」 http://www.tokyo-np.[...] 2017-02-09
[241] 뉴스 中国、セーシェルでの海軍プレゼンスを検討 http://jp.wsj.com/pu[...] 2018-08-21
[242] 뉴스 中国海軍、インド洋に足場 セーシェルと協力 https://www.nikkei.c[...] 2018-08-21
[243] 뉴스 Port de Djibouti: China’s First Permanent Naval Base in the Indian Ocean https://idsa.in/issu[...] 2018-07-24
[244] 웹사이트 China’s Military Support Facility in Djibouti: The Economic and Security Dimensions of China’s First Overseas Base http://www.dtic.mil/[...] 2018-07-24
[245] 뉴스 China Officially Sets Up Its First Overseas Base in Djibouti http://thediplomat.c[...] 2017-07-12
[246] 뉴스 中国、初の国外軍事拠点/ジブチ、PKOなど後方支援 http://www.asahi.com[...] 2017-08-02
[247] 뉴스 中国基地 世界にらむ/東アフリカ・ジブチ http://www.asahi.com[...] 2017-08-15
[248] 뉴스 変化する中国の国防戦略<上> 財政支援通じてアフリカに進出 https://www.cnn.co.j[...] 2018-08-29
[249] 뉴스 人民解放軍、ジブチに拠点 隠された思惑に気付かず中国の“浸入”を許す四国の1・3倍程度の小国 https://www.sankei.c[...] 2019-01-07
[250] 뉴스 ジブチで陸自幹部2人異例の拘束 https://jp.reuters.c[...] 2023-02-25
[251] 뉴스 アフリカの自衛隊拠点恒久化海賊対策、対中、独立への試み? https://sputniknews.[...] 2019-02-23
[252] 웹사이트 ジブチ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024-11-24
[253] 웹사이트 「言論の府」体現 自衛隊派遣の「法の空白」でかみ合った議論 問題提起の山尾氏の思惑は… https://mainichi.jp/[...] 2022-03-08
[254] 웹사이트 自衛隊派遣支える「地位協定」 ジブチの法令適用されず https://www.nikkei.c[...] 2021-11-12
[255] 웹사이트 Djibouti https://www.cia.gov/[...] CIA 2013-07-03
[256] 웹사이트 国連開発計画・人間開発報告書2009年版 http://hdrstats.undp[...] 2009-11-14
[257] 웹사이트 諸外国・地域の学校情報 ジブチ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10-07
[258] PDF JICA基本情報 http://www.jica.go.j[...] 2009-06-28
[259] 웹인용 지부티 약황 http://countryinfo.m[...] 2009-07-11
[260] 일반
[261]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