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계량 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수 계량 함수는 주어진 값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세는 함수로, 정수론에서 소수의 분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8세기 말 가우스와 르장드르는 소수 계량 함수 π(x)가 x/ln(x)에 근접한다고 추측했으며, 1896년 소수 정리가 증명되었다. 이 함수는 리만 가설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리만 가설이 참일 경우 소수의 분포에 대한 오차 범위를 더욱 좁힐 수 있다. 소수 계량 함수는 폰 망골트 명시적 공식과 같은 다양한 공식을 통해 표현되며,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르장드르의 방법, 메이즐의 방법 등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라마누잔, 뒤사르, 액슬러 등에 의해 다양한 부등식이 제시되어 소수 계량 함수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리만의 소수 거듭제곱 계량 함수, 체비쇼프 함수 등과 같은 다른 소수 계량 함수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석적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해석적 수론 - 리만 제타 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복소수 s의 함수로, 실수부가 1보다 큰 영역에서 무한급수로 정의되고 s ≠ 1인 모든 복소수에서 유리형 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하며 함수 방정식과 오일러 곱 공식을 만족하고, 영점 분포는 소수 분포와 관련이 있으며, 비자명 영점이 임계선 상에 있다는 리만 가설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다.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 소수 계량 함수 | |
|---|---|
| 일반 정보 | |
| 함수 종류 | 수론적 함수 |
| 기호 | π(x) |
| 정의 | π(x)는 x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 |
| 정의역 | 실수 |
| 공역 | 자연수 |
| 발견자 |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
| 상세 정보 | |
| 성질 | π(1) = 0 π(10) = 4 (2, 3, 5, 7) |
| 점근적 성질 | 소수 정리에 의해 x가 무한대로 갈 때 π(x) ~ x / ln(x) |
| 리만 함수와의 관계 | 리만 제타 함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짐 |
| 활용 | 소수의 분포를 연구하고,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 관련 항목 | |
| 관련 항목 | 소수 소수 정리 리만 제타 함수 수론 |
2. 역사
정수론에서 소수 개수의 증가 속도는 매우 중요한 관심사였다. 18세기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소수열의 역수의 합이 발산한다는 것을 보였다.(소수의 무한성 증명 참조)[46] 제곱수의 역수의 합은 수렴하므로, 이것은 π(''x'')가 보다 빠르게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1808년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는 다음과 같은 등식을 제시했다.[46]
:
여기서 는 뫼비우스 함수, 는 가우스 기호이며, 합은 이하의 모든 소수의 곱 ''P''의 모든 양의 약수 ''d''를 포함한다. 이 식으로부터,
:
이 유도된다.[46]
18세기 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는 소수 계량 함수 π(''x'')가 에 점근적으로 근사될 수 있다는 것, 즉
:
이 성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1850년 경 파프누티 체비쇼프는 이 등식의 좌변이 만약 극한을 가진다면, 그것은 1이어야 함을 보였다.[46]
이후 이 예측은 오랫동안 증명되지 않았지만, 1896년에 자크 아다마르와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 샤를장 드 라 발레푸생|Charles-Jean de La Vallée Poussin프랑스어)이 독립적으로 증명하였으며, 현재는 '''소수 정리'''라고 불린다. 그들의 증명은 1859년 베른하르트 리만이 도입한 리만 제타 함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오랫동안 해석학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는 소수 정리를 증명할 수 없다고 믿었지만,[46] 1948년 경 아틀레 셀베르그와 에르되시 팔은 복소해석을 사용하지 않는 소수 정리의 증명을 (거의 독립적으로) 발견했다.[47] 이러한 증명에서는 수론적 함수의 초등적 평가만을 사용했다.
2. 1. 리만 가설과의 관계
리만은 1859년 제타 함수의 영점을 사용하여 π(''x'')를 나타내는 다음 식을 발견했다.[46]:
여기서 는,
:
로 정의되며, 합의 ρ는 제타 함수의 모든 영점을 통과한다.
리만 가설은 π(''x'')에 대한 추정 오차에 대해 훨씬 더 엄격한 경계를 의미하며, 따라서 소수의 보다 규칙적인 분포를 의미한다. 리만 가설과 다음 식이 옳다는 것은 동치이다.[41]
:
여기서 는 란다우 표기법이다.
리만 가설이 참일 경우, 다음 식이 성립한다.[48]
:
3. 명시적 공식
폰 망골트(von Mangoldt)는 다음 공식을 증명하였다.[51]
:
여기서
- 는 리만 제타 함수의 임계구역(critical strip)에 있는 영점들이다.
::
- 합 는 절대수렴하지 않는다. 이 경우 합은 의 순으로 계산하여 수렴하게 만든다.
- 위 공식은 ''x''가 특정한 정수가 아니면서 1보다 큰 실수인 경우에 유효하다. 만약 가 특정한 정수 (소수 및 소수의 자연수 거듭제곱)인 경우, 해당 점에서의 좌변의 좌극한과 우극한의 평균값이 우변과 같게 된다.
두 번째 체비쇼프 함수 에 대한 표현은 다음과 같다.[23]
:
여기서
:
여기서 는 임계 띠에 있는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이며, 의 실수 부분은 0과 1 사이이다. 이 공식은 1보다 큰 값에 유효하다. 근의 합은 조건부 수렴하며, 허수 부분의 절댓값이 증가하는 순서로 취해야 한다.
4. π(x), x/ln x, 및 li(x)의 수치적 계산 결과
| x | π(x) | π(x) − x / ln x | li(x) − π(x) | x / π(x) |
|---|---|---|---|---|
| 10 | 4 | −0.3 | 2.2 | 2.500 |
| 102 | 25 | 3.3 | 5.1 | 4.000 |
| 103 | 168 | 23 | 10 | 5.952 |
| 104 | 1 229 | 143 | 17 | 8.137 |
| 105 | 9 592 | 906 | 38 | 10.425 |
| 106 | 78 498 | 6 116 | 130 | 12.740 |
| 107 | 664 579 | 44 158 | 339 | 15.047 |
| 108 | 5 761 455 | 332 774 | 754 | 17.357 |
| 109 | 50 847 534 | 2 592 592 | 1 701 | 19.667 |
| 1010 | 455 052 511 | 20 758 029 | 3 104 | 21.975 |
| 1011 | 4 118 054 813 | 169 923 159 | 11 588 | 24.283 |
| 1012 | 37 607 912 018 | 1 416 705 193 | 38 263 | 26.590 |
| 1013 | 346 065 536 839 | 11 992 858 452 | 108 971 | 28.896 |
| 1014 | 3 204 941 750 802 | 102 838 308 636 | 314 890 | 31.202 |
| 1015 | 29 844 570 422 669 | 891 604 962 452 | 1 052 619 | 33.507 |
| 1016 | 279 238 341 033 925 | 7 804 289 844 393 | 3 214 632 | 35.812 |
| 1017 | 2 623 557 157 654 233 | 68 883 734 693 281 | 7 956 589 | 38.116 |
| 1018 | 24 739 954 287 740 860 | 612 483 070 893 536 | 21 949 555 | 40.420 |
| 1019 | 234 057 667 276 344 607 | 5 481 624 169 369 960 | 99 877 775 | 42.725 |
| 1020 | 2 220 819 602 560 918 840 | 49 347 193 044 659 701 | 222 744 644 | 45.028 |
| 1021 | 21 127 269 486 018 731 928 | 446 579 871 578 168 707 | 597 394 254 | 47.332 |
| 1022 | 201 467 286 689 315 906 290 | 4 060 704 006 019 620 994 | 1 932 355 208 | 49.636 |
| 1023 | 1 925 320 391 606 803 968 923 | 37 083 513 766 578 631 309 | 7 250 186 216 | 51.939 |
위 표는 소수 계량 함수 π(''x'')와 두 근사 함수 ''x'' / ln ''x'', li(''x'')의 값을 10의 거듭제곱에서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x가 증가함에 따라 π(x)는 ''x'' / ln ''x''와 li(''x'')에 점근적으로 가까워진다.
5. π(x) 계산 알고리즘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하여 $x$ 이하의 소수를 생성한 다음 그 수를 세는 것은 $\pi(x)$를 찾는 간단한 방법이다.
르장드르는 포함-배제 원리를 사용하여 $\pi(x)$를 찾는 더 정교한 방법을 제시했다. 주어진 $x$에 대해, $p_1, p_2, \dots, p_n$이 서로 다른 소수라면, $p_i$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x$ 이하의 정수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6. 부등식
Pierre Dusart|피에르 뒤사르영어가 2010년에 제시한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32]
:
뒤사르는 최근 다음 부등식을 증명했다.[33]
:
이 부등식은 각각 와 에 대해 성립한다.
번째 소수 에 대한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
왼쪽 부등식은 에 대해 성립하며, 오른쪽 부등식은 에 대해 성립한다.
2010년에 뒤사르는 다음 부등식을 증명했다.[6]
:
이 부등식은 각각 와 에 대해 성립한다.
피에르 데저트는 2010년에 다음 6개의 부등식을 제시했다.[50]
\frac{x}{\ln x} (1+\frac{1}{\ln x}) <\pi (x) (단, ''x'' ≥ 599)\pi (x)<\frac{x}{\ln x} (1+\frac{1.2762}{\ln x}) (단, ''x'' ≥ 1)\frac{x}{\ln x-1} <\pi (x) (단, ''x'' ≥ 5393)\pi (x)<\frac{x}{\ln x-1.1} (단, ''x'' ≥ 60184)\frac{x}{\ln x} (1+\frac{1}{\ln x}+\frac{2}{\ln^2 x}) <\pi (x) (단, ''x'' ≥ 88783)\pi (x)<\frac{x}{\ln x} (1+\frac{1}{\ln x}+\frac{2.334}{\ln^2 x}) (단, ''x'' ≥ 2953652287)
7. 기타 소수 계량 함수
리만의 소수 거듭제곱 계량 함수는 보통 $\Pi_0(x)$ 또는 $J_0(x)$로 표기한다. 이 함수는 소수 거듭제곱 $p^n$에서 $\frac{1}{n}$의 점프를 가지며, $\pi(x)$의 불연속점에서 양쪽 값의 중간 값을 취한다. 이러한 세부 사항은 함수가 역 멜린 변환으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공식적으로, $\Pi_0(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여기서 각 합의 변수 $p$는 지정된 한계 내의 모든 소수를 나타낸다.
또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여기서 $\Lambda$는 폰 망골트 함수이고
:
뫼비우스 반전 공식은 다음을 제공한다.
:
여기서 $\mu(n)$는 뫼비우스 함수이다.
리만 제타 함수의 로그와 폰 망골트 함수 $\Lambda$ 사이의 관계를 알고, 페론 공식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체비쇼프 함수는 소수 또는 소수 거듭제곱 $p^n$에 $\log p$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
\vartheta(x) &= \sum_{p\le x} \log p \\
\psi(x)&=\sum_{p^n \le x} \log p = \sum_{n=1}^\infty \vartheta \left( x^{1/n} \right) = \sum_{n \le x}\Lambda(n) .
\end{align}
$x \ge 2$에 대해,[22]
:
이고
:
참조
[1]
서적
Algorithmic Number Theory
MIT Press
[2]
웹사이트
Prime Counting Function
https://mathworld.wo[...]
[3]
웹사이트
How many primes are there?
http://primes.utm.ed[...]
Chris K. Caldwell
2008-12-02
[4]
서적
History of the Theory of Numbers, Vol. I: Divisibility and Primality
Dover Publications
[5]
서적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
Springer
[6]
서적
The Distribution of Prime Numb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간행물
Vinogradov's Integral and Bounds for the Riemann Zeta Function
https://faculty.math[...]
2002-11
[8]
간행물
Nonnegative trigonometric polynomials and a zero-free region for the Riemann zeta-function
[9]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Riemann's Explicit Formula for Rational and Gaussian Primes in Sage
http://ism.uqam.ca/~[...]
2017
[10]
간행물
Some calculations related to Riemann's prime number formula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1]
웹사이트
Tables of values of π(x) and of π2(x)
https://sweet.ua.pt/[...]
Tomás Oliveira e Silva
2024-03-31
[12]
웹사이트
A table of values of π(x)
http://numbers.compu[...]
Xavier Gourdon, Pascal Sebah, Patrick Demichel
2008-09-14
[13]
웹사이트
Conditional Calculation of π(1024)
https://t5k.org/note[...]
Chris K. Caldwell
2024-03-30
[14]
간행물
Computing π(x) Analytically
2015-05
[15]
웹사이트
Analytic Computation of the prime-counting Function
http://www.math.uni-[...]
J. Buethe
2014-05-27
[16]
Thesis
The combinatorial algorithm for computing π(x)
http://dalspace.libr[...]
Dalhousie University
2015-08-19
[17]
웹사이트
New confirmed π(1027) prime counting function record
http://www.mersennef[...]
2015-09-06
[18]
웹사이트
New prime counting function record, pi(10^28)
https://www.mersenne[...]
2020-08-30
[19]
웹사이트
New prime counting function record: PrimePi(10^29)
https://www.mersenne[...]
2022-03-04
[20]
간행물
On the exact number of primes less than a given limit
https://projecteucli[...]
2017-02-01
[21]
간행물
Computing π(x): The Meissel, Lehmer, Lagarias, Miller, Odlyzko method
https://www.ams.org/[...]
1996-01
[22]
서적
Introduction to Analytic Number Theory
Springer
[23]
서적
The Theory of Functions,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Riemann Prime Counting Function
https://mathworld.wo[...]
[25]
서적
Prime Numbers and Computer Methods for Factorization
Birkhäuser
[26]
웹사이트
Gram Series
https://mathworld.wo[...]
[27]
웹사이트
Solution of a Problem Posed by Jörg Waldvogel
http://www-m3.ma.tum[...]
[28]
문서
Montgomery showed that (assuming the Riemann hypothesis) at least two thirds of all zeros are simple.
[29]
웹사이트
The encoding of the prime distribution by the zeta zeros
http://www.secamloca[...]
Matthew Watkins
2008-09-14
[30]
웹사이트
Ramanujan's Notebooks, Part IV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31]
간행물
Approximate formulas for some functions of prime numbers
https://projecteucli[...]
[32]
간행물
Estimates of Some Functions Over Primes without R.H.
2010-02-02
[33]
간행물
Explicit estimates of some functions over primes
2018-01
[34]
간행물
The kth prime is greater than k(ln k + ln ln k − 1) for k ≥ 2
https://www.ams.org/[...]
1999-01
[35]
간행물
Explicit bounds for some functions of prime numbers
1941-01
[36]
논문
Approximate formulas for some functions of prime numbers
1962-03
[37]
논문
New estimates for the ''n''th prime number
https://cs.uwaterloo[...]
2019
[38]
웹사이트
Bounds for ''n''-th prime
https://math.stackex[...]
2015-12-31
[39]
논문
New Estimates for Some Functions Defined Over Primes
https://math.colgate[...]
2018
[40]
논문
Effective Estimates for Some Functions Defined over Primes
https://math.colgate[...]
2024
[41]
논문
Sharper bounds for the Chebyshev functions ''θ''(''x'') and ''ψ''(''x''). II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76
[42]
서적
Algorithmic Number Theory
MIT Press
[43]
MathWorld
Prime Counting Function
[44]
웹사이트
How many primes are there?
http://primes.utm.ed[...]
Chris K. Caldwell
2008-12-02
[45]
서적
History of the Theory of Numbers, Vol. I: Divisibility and Primality
Dover Publications
[46]
서적
素数の世界
共立出版
[47]
서적
A Classical Introduction to Modern Number Theory
Springer
[48]
논문
Sharper bounds for the Chebyshev functions ''θ''(''x'') and ''ψ''(''x''). II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76
[49]
논문
Approximate formulas for some functions of prime numbers
1962
[50]
웹사이트
"ESTIMATES OF SOME FUNCTIONS OVER PRIMES WITHOUT R.H."
https://arxiv.org/PS[...]
arxiv.org
2014-04-22
[51]
서적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