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청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청도는 황해에 위치한 섬으로, 대한민국 서해5도 중 하나이며, 행정적으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속한다. 옛 이름은 소암도이며,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섬 남쪽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해안은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청도는 저변성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소청층으로 명명되었다. 소청층은 예동층원, 휘록암, 분바위층원으로 구성되며, 분바위층원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산출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내에서는 국내 최초로 박테리아 화석이 보고되었으며,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8호이다. 인천항 연안부두에서 소청도까지 쾌속선이 운항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소청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한글 | 소청도 |
한자 | 小靑島 |
로마자 표기 | Socheongdo |
면적 | 2.91 km²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 | 인천광역시 |
군 | 옹진군 |
면 | 대청면 |
리 | 소청리 |
인구 통계 | |
인구 | 266명 |
인구 기준 년도 | 2015년 말 |
2. 지리
황해에 위치하며 한국의 서해5도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 중 하나이다. 행정적으로는 대청도와 함께 인천광역시옹진군 대청면에 속한다.
소청도는 한국에서는 드물게 저변성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2021년 소청도 지질도폭에서 소청층으로 명명되었다. 소청층은 예동층원, 휘록암, 분바위층원으로 나뉜다. 사암과 셰일에서는 사층리, 연흔, 건열 등의 퇴적 구조가 나타나며, 김정률 외(1999)는 소청도 지층에서 후기 원생대의 빗방울 자국(우흔)을 발견하였다.[4] 소청도에는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가 있으며, 이는 천연기념물 제508호이다.[5]
옛 이름은 소암도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섬 남쪽의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이루어진 해안은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어 있다.
3. 지질
3. 1. 소청층
소청도는 한국에서는 드물게 저변성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2021년 소청도 지질도폭에서 소청층으로 명명되었다. 사암과 셰일에서는 사층리, 연흔, 건열 등의 퇴적 구조가 나타나며, 김정률 외(1999)는 소청도 지층에서 후기 원생대의 빗방울 자국(우흔)을 발견하였다.[4] 소청도에는 지질유산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가 있다.[5]
3. 1. 1. 예동층원
소청도는 한국에서는 드물게 저변성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소청도의 퇴적암은 소청도 지질도폭(2021)에서 소청층으로 명명되었다. 사암과 셰일에서는 사층리와 연흔, 건열 등의 퇴적 구조들이 나타나기도 하며, 김정률 외(1999)는 소청도 지층에서 후기 원생대의 빗방울 자국(우흔)을 발견하였다.[4] 소청도에는 지질유산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가 있다.[5]
예동층원은 소청도 남동부를 제외한 전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회색, 녹색, 자색의 세립~중립질사암, 회색의 실트암과 암녹색~흑색 또는 자색의 셰일로 구성되며 사암, 실트암, 셰일의 호층대이다. 층준에 따라 자색의 셰일/사암 및 석회암이 수 미터 두께로 나타난다. SHRIMP 저어콘 U-Pb 분석결과 예동층원의 최고 퇴적 시기는 약 900 Ma이다.[3]
3. 1. 2. 휘록암
소청도 전 지역에서는 예동층원 퇴적암에 평행하게 긴 띠 형태로 북동 60° 방향으로 관입한 수십 센티미터~수백 미터 폭의 휘록암(輝綠岩)이 빈번하게 출현한다. 대부분의 노두에서 휘록암 암상과 퇴적암의 접촉면은 뚜렷하다. 노화동 남쪽과 북동쪽에서는 오각형 혹은 육각형 모양의 주상절리가 나타난다. 휘록암의 U-Pb 연대측정 결과 206Pb/238U 가중평균연령은 888±5 Ma 으로 신원생대 초기에 해당한다.[3]
3. 1. 3. 분바위층원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소청도는 한국에서는 드물게 저변성 퇴적암으로 구성되며, 소청도의 퇴적암은 소청도 지질도폭(2021)에서 소청층으로 명명되었다. 사암과 셰일에서는 사층리, 연흔, 건열 등의 퇴적 구조들이 나타나기도 하며, 김정률 외(1999)는 소청도 지층에서 후기 원생대의 빗방울 자국(우흔)을 발견하였다.[4] 소청도에는 지질유산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가 있다.[5]
분바위층원은 예동층원 상위의 지층으로 소청도 남동부에 분포하며, 지층의 하한은 수십 센티미터 두께의 사암, 실트암, 셰일이 소멸하고 수 미터 두께의 석회암이 우세하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층준이다. 분바위층원은 대부분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박층의 셰일을 포함한다. 분바위층원의 석회암은 주로 밝은 백색 내지 회백색을 띠며 예동층원의 주향과 평행하게 동북동 방향으로 발달한다. 분바위층원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산출되어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어 있다.[3]
김정률과 김태숙(1999)은 이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북한 상원계 신원생대 지층에 나타나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대비시켜 신원생대 퇴적층으로 보고하였고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으로 기재하였으며,[6] 이성주 외(2003) 역시 스트로마톨라이트 내에서 한국 최초로 발견된 박테리아 화석의 산출시기를 바탕으로 신원생대에 퇴적된 지층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스트로마톨라이트에서는 심하게 변형된 유기물질과 함께 22개체의 박테리아 화석이 발견되었고, 이 중 분류 가능한 화석은 3속 4종(''Siphonophycus inornatum영어'', ''Siphonophycus robustum영어'', ''Obruchevella영어'' sp., ''Sphaerophycus영어'' sp.) 으로, 모든 화석은 원시 남조세균으로 해석되었다. ''Obruchevella영어'' sp. 화석은 전 세계적으로 후기 원생대(Neoproterozoic)에 산출된다.[7]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청도에 있는 선캄브리아기 스트로마톨라이트 지질유산이며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8호이다.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내에서는 국내 최초로 박테리아 화석이 보고되어 국내에서는 가장 오래된 화석(원생대 후기; 약 6억 내지 10억년 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발달한 석회암은 일제강점기에서부터 수십년 전까지 건축재료용으로 많이 채석되어 남아 있는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그 모양도 아름다워 무단채취의 위험성이 높아 지정·보존가치가 높다. 또한, 분바위라고 부르고 있는 백색의 결정질 석회암(대리암)이 해식작용으로 노출되어 있어 주변 해안의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8]
4. 천연기념물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청도에 있는 선캄브리아기 스트로마톨라이트 지질유산이며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508호이다.[8]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내에서는 국내 최초로 박테리아 화석이 보고되어 국내에서는 가장 오래된 화석(원생대 후기; 약 6억 내지 10억년 전)으로 평가받고 있다.[8]
분바위층원은 대부분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부분적으로 박층의 셰일을 포함한다. 분바위층원의 석회암은 주로 밝은 백색 내지 회백색을 띄며 예동층원의 주향과 평행하게 동북동 방향으로 발달한다. 분바위층원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산출되어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어 있다.[3]
김정률과 김태숙(1999)은 이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북한 상원계 신원생대 지층에 나타나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대비시켜 신원생대 퇴적층으로 보고하였고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으로 기재하였으며,[6] 이성주 외(2003) 역시 스트로마톨라이트 내에서 한국 최초로 발견된 박테리아 화석의 산출시기를 바탕으로 신원생대에 퇴적된 지층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스트로마톨라이트에서는 심하게 변형된 유기물질과 함께 22개체의 박테리아 화석이 발견되었고, 이 중 분류 가능한 화석은 3속 4종(''Siphonophycus inornatum'', ''Siphonophycus robustum'', ''Obruchevella'' sp., ''Sphaerophycus'' sp.) 으로, 모든 화석은 원시 남조세균으로 해석되었다. ''Obruchevella'' sp. 화석은 전 세계적으로 후기 원생대(Neoproterozoic)에 산출된다.[7]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발달한 석회암은 일제강점기에서부터 수십년 전까지 건축재료용으로 많이 채석되어 남아 있는 양이 적을 뿐만아니라, 그 모양도 아름다워 무단채취의 위험성이 높아 지정·보존가치가 높다. 또한, 분바위라고 부르고 있는 백색의 결정질 석회암(대리암)이 해식작용으로 노출되어 있어 주변 해안의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8] 섬 남쪽의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이루어진 해안은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어 있다.
5. 교통
인천 연안부두에서 하루 2번 쾌속선이 운항되며, 소요 시간은 3시간 30분 정도이다.
참조
[1]
백과사전
소청도 (小靑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2
[2]
웹아카이브
Selected records from Socheong Island, South Korea
http://www.orientalb[...]
[3]
통계자료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5-01
[4]
저널
Raindrop imprints from the Late Proterozoic Sangwon System of the Socheong Island of Ongjin-gun, Incheon, Korea
https://data.kigam.r[...]
1999
[5]
웹인용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1
[6]
저널
인천시 옹진군 소청도에 분포한 선캄브리아이언의 지층에서 산출된 스트로마톨라이트와 그의 지질학적 중요성 (Occurrence and Geological Significance of Stromatolites from the Precambrian Strata in the Socheong Island , Incheon , Korea)
https://kiss.kstudy.[...]
1999-02
[7]
저널
Bacterial microfossils from Precambrian sedimentary rocks, Socheong Island, Korea (한국 소청도의 선캠브리아 지층에 나타나는 박테리아 화석)
https://www.dbpia.co[...]
2003-06
[8]
고시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의 지정 및 지형도면 등의 고시
문화재청
2009-11-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태경전자, 최전방 서해 5도에서 드론 의무물자 배송 무인기 비행 시험 성공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무산되나?…북한 이의 신청
인천 소청도 해상서 불법 조업 중국 어선 1척 나포…15척 퇴거
인천 소청도 천연기념물 분바위 훼손, 4개월째 조사 못 해
소청도 해상서 7.5m 밍크고래 그물에 걸려 죽은 채 발견
고무보트 20시간 타고 밀입국 시도…중국인 남녀 체포
“못받은 임금 받으려”…중국인 2명 고무보트 타고 밀입국 ‘체포’
고무보트 20시간 타고 밀입국 시도…중국인 남녀 체포
육지까지 5시간30분…소청도 뇌출혈 환자, 골든타임 놓쳐 숨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