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개개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개개비는 참새목 휘파람새과에 속하는 철새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13.5cm이며, 등쪽은 담갈색, 배쪽은 흰 깃털로 덮여 있다. 눈 위에 흰 눈썹무늬가 있고, 부리에서 눈을 지나 뒷머리까지 검은색 눈선이 있다. 쇠개개비는 초원, 갈대밭, 수풀 등에서 서식하며 곤충류, 절지동물을 먹고, 난생을 한다. 여름에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동남아시아로 이동한다. 한국에서는 여름 철새로,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어 보호가 필요하며,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개비속 - 동양개개비
동양개개비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짙은 갈색 머리와 흰 배를 가진 참새목 새로, 곤충 등을 먹고 컵 모양 둥지에 알을 낳으며, 과거 쇠개개비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고 습지 등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낸다. - 개개비속 - 큰부리개개비
큰부리개개비는 짙은 갈색 윗면, 붉은 갈색 허리, 흰색 아랫면을 가진 몸길이 16~18cm의 조류로, 굵고 짧은 부리가 특징이며 습지나 강가에 서식하고 곤충류를 먹으며, 러시아와 중국 동북부에서 번식 후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고, 과거 개개비속에서 넓적부리개개비속으로 재분류되어 개개비과 내에서 개개비족을 형성한다. - 1860년 기재된 새 - 카구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에 서식하며 옅은 회색 깃털과 붉은 다리, 비강 각질 돌기를 가진 두루미목의 유일한 현생 조류로, 숲과 관목지에서 곤충 등을 잡아먹고 일부일처제로 짝을 지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1860년 기재된 새 - 휘파람새
휘파람새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번식하고 월동하는 17cm 크기의 작은 새로, 붉은 기가 도는 회갈색 깃털과 굵은 눈썹 선을 가지며 곤충류를 먹고 "지짓", "비빗"거리는 소리를 낸다. - 로버트 스윈호가 명명한 분류군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로버트 스윈호가 명명한 분류군 - 검은머리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는 여름에는 검은 머리, 겨울에는 흰색 바탕에 어두운 무늬를 가진 29~32cm 크기의 갈매기과 조류로, 짧고 검은 부리와 붉은 다리가 특징이며, 서식지 훼손으로 인해 IUCN 취약종, 한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쇠개개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crocephalus bistrigiceps |
명명자 | R. Swinhoe, 1860 |
이명 | Salicaria maackii Schrenck, 1860 |
한국어 이름 | 쇠개개비 |
일본어 이름 | 코요시키리 (コヨシキリ) |
영어 이름 | Black-browed reed-warbler |
보전 상태 | LC (관심 필요) |
분포 | |
![]() |
2. 분포
쇠개개비는 인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타이,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네팔,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몽골, 라오스, 러시아 동부 등에 분포한다. 여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일본, 한반도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동남아시아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쇠개개비의 몸길이는 약 13.5cm이다. 등쪽은 담갈색, 배쪽은 흰 깃털로 덮여 있다. 눈 위에 희고 명료한 미반(눈썹무늬)이 있으며, 미반 위쪽에 검은 줄무늬가 있다. 부리 기부에서 눈을 지나 뒷머리까지 이어지는 검은색 안선(눈선)이 있다.
쇠개개비는 초원, 갈대밭, 수풀 등에서 서식한다.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며, 곤충류, 절지동물 등을 주로 먹는다. 풀 위를 배회하면서 먹이를 사냥한다.
쇠개개비는 인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타이,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일본, 네팔,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몽골, 라오스, 러시아 동부 등에 분포한다. 하계에는 중화 인민 공화국 북동부, 일본, 한반도에서 번식하고, 동계에는 동남아시아로 이동한다.
[1]
간행물
Acrocephalus bistrigiceps
2017
3. 형태
4. 생태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번식기에는 영역을 형성한다. 갈대 등 키가 큰 식물의 줄기 사이에 마른 풀 등을 엮어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한국에서는 6-8월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13-14일이며,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
5. 한국에서의 쇠개개비
쇠개개비는 한국에서 흔히 관찰되는 여름 철새 중 하나이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아니지만,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어 보호가 필요하다. 쇠개개비는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쇠개개비의 서식지 보호는 생물 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참조
[2]
웹사이트
Bushtits, leaf warblers & reed warblers
http://www.worldbird[...]
2017-07-18
[3]
뉴스
Group announces first Philippine sighting of bird species
http://www.gmanews.t[...]
GMA News.TV
2008-05-05
[4]
웹사이트
掲載鳥類リスト
http://ornithology.j[...]
日本鳥学会
2019-05-13
[5]
서적
新訂 日本の鳥550 山野の鳥
文一総合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