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쇠박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박새는 박새과에 속하는 작은 새이다. 칼 린네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으며, 'Poecile' 속으로 분류된다. 쇠박새는 유라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10개의 아종이 존재한다. 몸길이는 약 11.5~12cm이며, 검은색 머리와 흰색 뺨을 가지고 있다. 쇠박새는 곤충, 씨앗, 견과류 등을 먹으며, 씨앗을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쇠박새는 일부일처제를 따르며, 나무 구멍이나 인공 둥지에서 번식한다. 한국에서는 4~7월에 걸쳐 연 2회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시아의 새 - 파랑새
    파랑새는 한국 문화에서 동방울새를 지칭하며, 수컷은 검은 갈색 머리와 푸른색을 띤 갈색 윗등을 가지고, 곤충류를 먹으며 숲 속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종이다.
  • 동아시아의 새 - 개개비사촌
    개개비사촌은 몸길이 약 10~12cm의 작은 새이며, 갈색 깃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고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곤충이나 거미를 먹고 살며, 수컷이 거미줄로 둥지를 짓는 습성을 보이고, 대한민국 기후변화 지표종이자 IUCN 관심 필요 종이다.
  • 몽골의 새 - 멧새
    멧새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수컷은 적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색이 옅으며, 건조하고 개방된 서식지에서 덤불 속이나 땅에 둥지를 짓고 잡식성으로 생활하며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몽골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유럽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유럽의 새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쇠박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쇠박새
쇠박새
학명Poecile palustris
명명자린네, 1758년
이전 학명Parus palustris 린네, 1758년
보전 상태LC
몸길이12 cm
몸무게12 g
분포
쇠박새 분포도
쇠박새의 분포 지역 (초록색: 서식)
생태
서식지삼림
먹이곤충, 씨앗
기타
영어 이름Marsh Tit
혼동 가능성큰부리까마귀

2. 분류 및 계통

쇠박새는 1758년 칼 린네의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Parus palustris''라는 이명으로 처음 기술되었다.[3] 현재는 1829년 요한 야코프 카우프가 설정한 ''Poecile'' 에 속한다.[4] 속명 ''Poecile''은 "얼룩덜룩한"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poikolos''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종명 ''palustris''는 "늪지의"를 의미하는 라틴어이다.[5][11]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쇠박새는 검은머리박새, 가지박새 등이 포함된 유라시아의 '전형적인 박새'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7]

쇠박새는 10개의 아종으로 나뉜다.[8] (각 아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아종' 섹션 참조)

2. 1. 아종

쇠박새의 아종은 10종으로 인식된다.[25]

아종명학명분포 지역특징
P. p. dresseri(Stejneger, 1886)잉글랜드 중부 및 남부, 웨일스, 프랑스 서부 (스코틀랜드 남동부에서도 소수 발견)palustris보다 약간 작고, 윗부분은 갈색/올리브색, 아랫부분은 더 지저분함. 옅은 갈색 셋째 날개 깃털 가장자리는 검은머리박새와 혼동 가능성.
P. p. palustris(Linnaeus, 1758)스칸디나비아 남부에서 북부 이베리아 반도, 동쪽으로는 폴란드 중부, 서쪽으로는 발칸 반도와 그리스에 이르는 북부 및 중부 유럽
P. p. italicus(Tschusi & Hellmayr, 1900)프랑스 알프스, 이탈리아 및 시칠리아dresseri와 유사하지만, 윗부분은 더 붉고 아랫부분은 더 옅음.
P. p. stagnatilis(Brehm, CL, 1855)동유럽에서 남부 우랄 산맥과 터키 북서부
P. p. kabardensis(Buturlin, 1929)코카서스 산맥 및 터키 북동부
P. p. brevirostrisTaczanowski, 1872시베리아 중남부 및 동남부, 몽골 북부, 중국 북동부 및 북한
P. p. ernsti(Yamashina, 1933)사할린 섬
P. p. hensoni(Stejneger, 1892)쿠릴 열도 남부 및 홋카이도, 일본
P. p. jeholicus(Kleinschmidt, O & Weigold, 1922)중국 북동부 및 북한
P. p. hellmayriBianchi, 1903중국 동부 및 대한민국


3. 형태

원종은 검은색 머리덮개와 목덜미를 가지고 있으며 가까이서 보면 푸른 광택이 보인다. 부리 아래의 검은색 '턱받이'는 상당히 작고, 뺨은 흰색이며 귓깃에서 칙칙한 갈색으로 변한다. 등, 꼬리 및 날개는 회갈색이며, 셋째깃털 가장자리가 약간 더 옅다.[10]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옆구리와 아래꼬리덮개에 가장 강한 황갈색 또는 갈색 색조를 띤다. 부리는 검은색이고 다리는 짙은 회색이다. 어린 새는 성체와 매우 유사하지만, 머리덮개와 턱받이가 더 칙칙하고, 등 부분이 더 회색이며, 아랫부분이 더 옅다. 어린 새는 9월까지 성체 깃털로 털갈이를 한다.[10]

쇠박새의 무게는 12g이고, 길이는 11.5cm에서 12cm(부리에서 꼬리까지)이며, 날개 길이는 19cm이다. 날개 길이는 60mm에서 70mm이다. 유럽에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쇠박새는 11년 11개월을 살았다.[11]

다른 박새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울음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전형적인 것은 흥분했을 때 내는 "피추" 소리이며, 종종 "피추-비-비-비"로 이어지는데, 명확하게 들리지 않으면 검은머리박새의 소리와 비슷하게 들릴 수 있다.[10] 그러나 다른 많은 박새와 달리 쇠박새는 잘 정의된 노래와 넓은 노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개별 새는 다섯 개 이상의 노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서로 바꿔가며 사용한다. 더 흔한 노래에는 전형적인 박새류의 맑은 "십-십-십-십-십", 더 유동적인 "투-투-투-투-투"와 때로는 달콤한 "티유-티유-티유-티유-티유"가 있다. 이 종에 대한 옛 스태퍼드셔 이름인 'Saw Whetter'는 새의 꾸짖는 소리를 나타낸다.[12]

광택 나는 머리덮개, 더 작은 턱받이 및 균일한 날개에 주목하여 검은머리박새와 구별한다.


쇠박새와 검은머리박새는 외형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렵다. 특히 영국에서 발견되는 종(각각 ''P. p. dresseri'' 및 ''P. m. kleinschmidti'')을 구분하기는 더욱 어렵다. 고리를 위해 잡았을 때, 쇠박새 부리의 옅은 '절삭면'이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이다.[13] 그렇지 않으면, 두 종을 구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리를 듣는 것이다. 깃털 특징으로는 옅은 날개판(검은머리박새의 둘째깃털의 옅은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됨)의 부재, 쇠박새의 더 광택 나는 검은색 머리덮개 및 더 작은 검은색 '턱받이'[14]가 있지만, 이 중 어느 것도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13] 예를 들어, 어린 쇠박새는 옅은 날개판을 보일 수 있다.[15] 쇠박새는 검은머리박새보다 눈에 띄게 작고 짧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표식이 선명하고 깔끔하며 머리가 새의 나머지 부분과 균형을 이룬다 (검은머리박새는 '목이 굵은' 인상을 준다).[10]

1897년까지 영국에서 검은머리박새가 쇠박새와 구별되는 종으로 식별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식별의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두 명의 독일 조류학자, 에른스트 하르테르와 오토 클라인슈미트는 대영 박물관에서 쇠박새의 가죽을 연구하던 중 잘못 표시된 검은머리박새 두 마리를 발견했다(그 후 런던 북부 핀칠리의 Coalfall Wood에서 검은머리박새 표본 두 개가 수집되었고, 그 종은 1900년에 영국 목록에 추가되었다).[16] 전장은 약 12cm이며, 쇠유리새와 비슷하지만 머리 부분의 검은색이 짙고, 부리가 약간 굵다. 암수 동색이다.

4. 분포 및 서식지

쇠박새는 전 세계적으로 약 10000000km2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 개체수는 유럽에서만 610만 마리에서 1,200만 마리에 달한다. 이 종은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개체 수 감소에 대한 몇 가지 증거가 있다.[17] 예를 들어, 1970년대에서 2007년 사이에 쇠박새 개체수는 영국에서 50% 이상 감소했으며, 그 결과 영국 합동 자연 보존 위원회에서 작성한 종의 적색 목록에 등재되었다.[18] 연구에 따르면 원인은 연간 낮은 생존율일 수 있지만, 둥지 실패율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다른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 사슴의 먹이 활동의 영향으로 숲 구조와 식물 종의 다양성이 감소한 것이 이 새의 개체 수 감소의 원인임을 보여주었다.[19]

RSPB/BTO 반복 삼림 조류 조사가 진행된 157개의 삼림 데이터를 통해 2003~2004년 쇠박새의 개체수가 지면 위 2~4미터 높이에 있는 관목층의 식생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80년대의 데이터는 동일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관목 덮개가 가장 많은 숲에서 2003~2004년까지 쇠박새 개체수가 증가했다. 연구 결과는 예를 들어 사슴의 과도한 방목으로 인한 관목층 손상이 쇠박새에게 숲의 적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0]

쇠박새는 온대 유럽과 북부 아시아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이다. 스페인 북부에서 스코틀랜드 남동부까지, 동쪽으로는 러시아 서부까지 분포하며, 서아시아에는 광범위한 분포 공백이 있고, 동아시아에서는 알타이 산맥에서 동쪽으로 일본 북부, 중국 북부 및 서부에 걸쳐 분포한다.

이 종은 정착성이 강하며, 서식지 대부분에서 번식 후 짧은 거리를 이동하지만, 북유럽에서는 겨울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개체도 있다. 그러나 쇠박새는 다른 멧새과 구성원들이 하는 것과 같은 가끔씩의 대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쇠박새는 일년 내내 번식 영역에 머문다. 이는 먹이를 저장하는 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의 고리 부착 데이터 분석 결과, 고리를 부착한 새가 회수된 108건 중 85%는 새가 처음 잡힌 곳에서 5km 이내였으며, 2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회수된 경우는 1%에 불과했다.[21] 어린 새들은 혼합된 무리를 이루어 돌아다니며, 어른 새들도 무리가 지나갈 때 합류하지만, 자신의 영역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10]

쇠박새는 주로 저지대 지역에서 번식하지만, 최대 1,300m 고도까지 서식할 수 있다. 이들은 습하고 넓은 잎의 숲, 종종 참나무 또는 너도밤나무를 선호하지만, 습한 오리나무 숲, 강가 나무, 공원, 정원 또는 과수원에도 서식할 수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셔의 몽크스 우드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쇠박새는 캐노피 아래에 관목층이 있는 성숙한 나무를 필요로 하지만, 어린 나무가 많은 숲은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영국에서 진행된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겨울과 먹이를 찾을 때 쇠박새는 파랑새보다 숲의 하층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숲 캐노피와 하층의 낮은 곳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10개의 번식 영역의 나무와 관목도 비교했다. 나무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달랐지만, 관목의 특성은 그렇지 않아, 관목이 새에게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옥스퍼드셔의 와이탐 우드에서는 쇠박새가 울창한 캐노피는 있지만 관목 덮개가 빈약한 숲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20]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 텃새로 서식한다.

5. 생태

쇠박새는 겨울철에 다른 박새류와 혼성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쇠박새 단독으로 무리를 이루는 경우는 드물다. 덤불과 나뭇가지에서 민첩하게 움직이며, 종종 한쪽 다리에 매달려 거꾸로 매달리기도 한다. 평지에서 산지에 걸쳐 낙엽 활엽수림에 서식한다. 주로 곤충거미를 포식하지만, 겨울철에는 나무 열매나 씨앗 등도 먹는다. 사람에 대해 비교적 경계심이 적어, 손바닥에 먹이를 올려두면 먹으러 오는 개체도 있다.

5. 1. 먹이

쇠박새는 주로 봄과 여름에는 거미곤충을 먹고, 가을과 겨울에는 엉겅퀴를 포함한 씨앗, 견과류, 열매를 먹는다. 가능하다면 너도밤나무 열매를 가장 선호하는 먹이로 삼는다. 쇠박새는 다른 곳에서 먹기 전에 식물에서 씨앗과 열매를 따는 경우가 많다.[10]

쇠박새는 많은 양의 씨앗을 저장한다. 노르웨이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서 2시간 15분 동안 쇠박새를 관찰한 결과, 시간당 43개의 씨앗을 먹고 83개의 씨앗을 저장했다. 스웨덴에서는 9월부터 2월 말 사이에 먹이를 저장하는 행동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며, 이 행동의 절정은 9월에서 10월 사이에 나타난다. 씨앗을 숨기는 장소로는 땅 위와 땅 속, 낙엽, 나무 그루터기, 나무의 이끼와 지의류 아래 등이 있다. 숨겨진 씨앗은 다른 쇠박새나 다른 종에 의해 도난당하기 쉬우므로, 쇠박새는 숨길 장소를 결정하기 전에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날아가는 경우가 많다. 가장 오래된 것을 먼저 회수하는 경향이 있으며, 무작위로 찾거나 체계적으로 확인하기보다는 그 위치를 기억한다.[10] 쇠박새의 해마박새보다 31% 더 크다. 박새의 전체 크기가 더 크고 전뇌도 더 큼에도 불구하고, 이 뇌 부분의 상대적인 부피는 먹이를 저장하는 새에게 더 크다.[24]

겨울철에는 나무 열매나 씨앗 등도 먹는다.

5. 2. 번식

쇠박새는 일부일처제를 따르며, 종종 평생 짝을 맺는다. 한 쌍은 6년 동안 함께 지낸 기록도 있다. 유럽에서는 검은머리박새와 잡종이 두 번 기록되었다.[10]

둥지는 주로 나무 구멍 안에 만들지만, 벽이나 땅 속, 인공 둥지를 사용하기도 한다.[21] 오래된 검은머리박새 둥지를 사용하거나 넓혀서 쓰기도 한다. 쇠박새는 스스로 둥지 구멍을 파는 경우는 드물지만, 구멍을 넓히고 나무 조각을 옮겨 떨어뜨리기도 한다. 둥지 구멍은 땅에서 몇 cm 밖에 안되는 낮은 곳에 있을 수도 있고, 10m 높이에 있을 수도 있다. 구멍 안에는 이끼로 둥지를 만들고 털이나 깃털로 안을 채운다. 축축한 구멍에는 20cm의 이끼를 사용하지만, 건조한 구멍에는 훨씬 적게 사용한다.[10]

비스바덴 박물관 소장


4월 말이나 5월에 5~9개의 흰색 바탕에 붉은 반점이 있는 알을 낳는다. 알의 크기는 16x이고 무게는 각 1.2g이며, 껍질이 6%를 차지한다. 암컷이 14~16일 동안 알을 품는다. 둥지가 완성되기 전에 포란이 시작되므로, 새끼는 약 이틀에 걸쳐 부화한다. 암컷은 둥지에 바싹 붙어 앉아 방해를 받으면 "쉬익" 소리를 낸다. 수컷은 새끼에게 먹이를 주고 돌보는 것을 돕는데, 부화 후 처음 4일 동안은 거의 모든 먹이를 수컷이 가져온다. 조류의 솜털 새끼는 18~21일 후에 이소한다.[11] 새끼들은 부모로부터 일주일 동안 먹이를 공급받고, 그 후 1~7일 후에 독립한다. 가족은 새끼들이 처음 날아오른 후 11~15일 동안 함께 머문다.[10] 영국에서는 극히 드물지만, 두 번째 번식이 기록된 적이 있다. 대부분은 보충 둥지이다.

폴란드의 비아워비에자 숲에서 쇠박새를 연구한 결과, 번식에 실패한 둥지는 다시 사용될 가능성이 낮았다. 사용 가능한 둥지 구멍의 35.5%가 다음 해에 다시 사용되었다.[23] 잉글랜드, 글로스터셔, 보턴 우즈에서 실시한 연구에서는 쇠박새가 인공 둥지를 연속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20%에 불과했다.[21]

한국에서는 4~7월에 걸쳐 연 2회 번식한다. 수목의 구멍이나 딱따구리의 헌 둥지, 또는 새집에 이끼나 짐승의 털 등을 사용해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5~8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일수는 13~17일이며, 암컷만이 포란한다.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암수가 함께 하며, 새끼는 부화 후 16~21일 만에 둥지를 떠나지만, 둥지를 떠난 후 일주일 정도는 어미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다.

참조

[1] 간행물 "''Poecile palustris''" 2021-11-11
[2]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Marsh Tit https://www.iucnredl[...] 2020-04-22
[3]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biodiversity[...] Holmiae:Laurentii Salvii
[4] 서적 Skizzirte Entwickelungs-Geschichte und natürliches System der europäischen Thierwelt https://biodiversity[...] Carl Wilhelm Leske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6] 논문 Phylogeny of titmice (Paridae): II. Species relationships based on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b'' gene 2005
[7]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2: Picathartes to Tits and Chickadees Lynx Edicions 2007
[8] 웹사이트 Waxwings and allies, tits, penduline tit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05-31
[9] 웹사이트 The SOC: Scottish Bird Report http://www.the-soc.o[...]
[10] 서적 BWPi: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n interactive DVD-ROM BirdGuides Ltd. and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Marsh Tit http://blx1.bto.org/[...]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09-01-18
[12] 서적 All The Birds Of The Air Book Club Association 1979
[13] 논문 Separation of Marsh Tit "Poecile palustris" from Willow Tit "Poecile montana" using a bill criterion http://blx1.bto.org/[...] 2008
[14] 서적 Collins Bird Guide HarperCollins 1999
[15] 서적 Birds of Europe Helm 1996
[16]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 Windus 2005
[17] 웹사이트 Species factsheet: Parus palustris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9-01-18
[18] 웹사이트 Conservation Listings http://www.jncc.gov.[...]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2009-01-18
[19] 웹사이트 Marsh Tit http://www.bto.org/b[...]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09-01-18
[20] 논문 Habitat selection by Marsh Tits "Poecile palustris" in the UK http://nora.nerc.ac.[...] 2007
[21] 서적 The Migration Atlas: movements of the birds of Britain and Ireland T. & A.D. Poyser 2002
[22] 논문 Marsh Tit "Poecile palustris" territories in a British broad-leaved wood 2006
[23] 논문 Nest-site re-use: Marsh Tit "Poecile palustris" decisions in a primeval forest 2006
[24] 서적 The Hippocampus Book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5] 웹인용 Waxwings and allies, tits, penduline tit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