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경주는 고대 중국의 지리서인 《수경》과 이에 대한 주석을 묶은 책이다. 《수경》은 하천과 운하 등 수로 체계를 간략하게 기술한 책으로, 저자는 불분명하나 곽박, 상흠 등으로 추정된다. 북위 시대 역도원이 《수경》에 상세한 주석을 붙여 《수경주》가 완성되었으며, 고대 수로와 지역 특색을 자세히 기록하고 역사, 문화, 민속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백과사전적인 성격을 지닌다. 10세기 무렵 일부 내용이 유실되었으나, 명나라와 청나라 학자들에 의해 복원되었으며, 주모위의 《수경주소》가 가장 상세한 고증본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지리지 - 대당서역기
대당서역기는 당나라 승려 현장이 인도를 여행하고 돌아와 기록한 기행문으로,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의 여러 국가들의 지리, 문화, 종교, 풍습 등을 기록하여 역사학, 고고학, 불교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기도 하였다. - 중국의 지리지 - 산해경
《산해경》은 중국의 고대 지리서이자 신화집으로, 저자와 성립 시기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산과 바다의 풍물을 기록하고 지리 정보와 상상의 생물을 묘사하며, 고대 중국의 지리, 생태, 신화 등을 보여준다. - 중국 고전 전적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중국 고전 전적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수경주 | |
---|---|
개요 | |
제목 (한자) | 水經注 |
제목 (간체) | 水经注 |
로마자 표기 | Shuijingzhu |
한국어 번역 | 물길 주석 |
정보 | |
저자 | 리다오위안 |
쓰여진 시기 | 북위 시대 |
주제 | 중국의 수로와 지리 |
중요성 | |
의의 | 고대 중국 지리에 대한 귀중한 정보 제공, 역사적, 지리적 연구 가치 높음 |
특징 | 상세한 수로 설명, 지리적 특징 묘사, 역사적 사건 기록 |
2. 《수경》
《수경》은 전한 시대 상흠(桑欽)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지리서이다. 그러나 《수서 경적지》(隋書經籍志)에는 작자 미상이라고 하였고,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진(晉)나라 학자 곽박이 저자라고 하였다. 《통전》에는 지명 명칭을 고증한 결과 후한 순제 이후에 등장한 서적이라고 하였다. 청나라 말기 학자 양수경(楊守敬)은 《수경》이 삼국 시대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2. 1. 내용
《수경》은 주로 고대 중국의 수로 체계, 즉 하천과 운하 등을 간결하게 기술한 지리서이다. 주석이 없는 원본 《수경》은 전한 시대 상흠(桑欽)이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수서 경적지》(隋書經籍志)에는 작자 미상이라고 하였고,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진(晉)나라 학자 곽박이 저자라고 하였다. 《통전》에는 지명 명칭을 고증한 결과 후한 순제 이후에 등장한 서적이라고 하였다. 청나라 말기 학자 양수경(楊守敬)은 《수경》이 삼국 시대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하였다.3. 《수경주》
《수경주》는 북위 시대의 학자 역도원이 《수경》에 상세한 주석을 붙인 책으로, 원본 《수경》의 내용을 훨씬 더 풍부하고 다채롭게 확장했다. 고대 중국의 수로와 지역 특색을 본문과 주석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10세기 무렵 일부 내용이 유실되고 본문과 주석이 뒤섞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학자들이 복원에 힘썼는데, 그중 명나라 주모위가 1615년 복원한 《수경주소》(水經注疏)가 가장 상세한 고증본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조망, 대진 등이 문장을 추가한 《수경주》가 나왔다.
3. 1. 성립 배경
역도원은 《수경》이 간결하여 보완하고자 했으며, 당시까지 축적된 지리 정보를 통합하여 보다 상세하고 포괄적인 지리서를 편찬하고자 했다. 《수경주》는 북위 시대에 역도원에 의해 편집되었으며, 《수경》 원본보다 40배 방대해졌다.3. 2. 내용 및 특징
《수경주》는 고대 중국의 수로와 지역 특색을 주석 형식으로 기술한 책이다. 북위 시대 역도원이 편집했으며, 《수경》보다 40배나 방대하다. 10세기 무렵 일부 내용이 유실되고 본문과 주석이 뒤섞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학자들이 복원에 힘썼는데, 그중 명나라 주모위(朱謀瑋)의 1615년 복원판 《수경주소》(水經注疏)가 가장 상세하다. 이를 바탕으로 전조망, 대진 등이 문장을 추가한 《수경주》가 나왔다.3. 3. 구성
《수경주》는 '경(經)'이라고 불리는 《수경》의 본문과 '주(注)'라고 불리는 역도원의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 40권으로 구성되었으나, 10세기 전후 일부 내용이 유실되어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지 않는다.[1] 경문과 주석이 본래 별개였으나, 후에 혼잡해졌다.[2]명나라와 청나라 학자들이 조사하고 교합한 결과, 여러 종류의 복원이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가장 상세한 고증을 더한 것은 명나라 주모위(朱謀瑋)가 1615년에 저술한 《수경주소》(水經注疏)이다.[1] 이를 토대로 전조망(1705년 ~ 1755년)과 대진(1723년 ~ 1777년) 등이 텍스트를 복원했다.[2]
3. 4. 판본
전한 시대 상흠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원본 《수경》은 《수서 경적지》에는 작자 미상으로,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진(晉)나라 학자 곽박이 저자로 기록되어 있다. 《통전》에서는 지명 명칭 고증 결과 후한 순제 이후에 등장한 서적이라고 하였고, 청나라 말기 학자 양수경은 《수경》이 삼국 시대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하였다.북위 시대 역도원이 편집한 《수경주》는 원본 《수경》보다 40배나 방대해졌으나, 10세기 무렵 일부 내용이 유실되고 본문과 주석이 뒤섞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명나라와 청나라 학자들은 《수경주》 복원을 위해 노력했는데, 그중 가장 상세한 고증본은 1615년 명나라 주모위(朱謀㙔)가 복원한 《수경주소》(水經注疏)이다. 《수경주소》를 바탕으로 전조망과 대진 등이 문장을 추가한 《수경주》가 나왔다.[1]
청나라 말기 왕선겸의 『합교수경주』(合校水經注)와 양수경, 웅회정의 『수경주소요산』(水經注疏要刪)도 중요한 판본으로 꼽힌다.[1]
4. 《수경》 및 《수경주》의 가치와 영향
《수경》은 전한 시대 상흠이 지었다고 전해지나, 《수서 경적지》에는 작자 미상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진나라 학자 곽박이 저자로 기록되어 있다. 《통전》에서는 지명 고증 결과 후한 순제 이후에 등장한 서적이라고 하였다. 청나라 말기 학자 양수경은 《수경》이 삼국 시대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1]
5. 《수경주》 목록
- 권1 하수(河水)
- 권2 하수
- 권3 하수
- 권4 하수
- 권5 하수
- 권6 분수(汾水), 궤수(澮水), 속수(涑水), 문수(文水), 원공수(原公水), 동과수(洞過水), 진수(晋水), 담수(湛水)
- 권7 제수(済水)
- 권8 제수
- 권9 청수(清水), 침수(沁水), 기수(淇水), 탕수(蕩水), 환수(洹水)
- 권10 탁장수(濁漳水), 청장수(清漳水)
- 권11 역수(易水), 구수(滱水)
- 권12 성수(聖水), 거마수(巨馬水)
- 권13 연수(㶟水)
- 권14 습여수(濕余水), 고하(沽河), 포구수(鮑丘水), 유수(濡水), 대료수(大遼水), 소료수(小遼水), 패수(浿水)
- 권15 낙수(洛水), 이수(伊水), 전수(瀍水), 간수(澗水)
- 권16 곡수(穀水), 감수(甘水), 칠수(漆水), 찬수(滻水), 저수(沮水)
- 권17 위수(渭水)
- 권18 위수
- 권19 위수
- 권20 양수(漾水), 단수(丹水)
- 권21 여수(汝水)
- 권22 영수(潁水), 유수(洧水), 예수(潩水), 증수(潧水), 거수(渠水, 사수(沙水))
- 권23 음구수(陰溝水), 반수(汳水), 획수(獲水)
- 권24 휴수(睢水), 호자하(瓠子河), 문수(汶水)
- 권25 사수(泗水), 이수(沂水), 주수(洙水)
- 권26 술수(沭水), 거양수(巨洋水), 자수(淄水), 문수(汶水), 위수(濰水), 교수(膠水)
- 권27 면수(沔水)
- 권28 면수
- 권29 면수, 잠수(潛水), 단수(湍水), 균수(均水), 분수(粉水), 백수(白水), 비수(比水)
- 권30 회수(淮水)
- 권31 지수(滍水), 육수(淯水), 휵수(㶏水), 궐수(灈水), 친수(瀙水), 무수(潕水), 윤수(溳水)
- 권32 료수(漻水), 기수(蘄水), 결수(決水), 비수(沘水), 설수(泄水), 비수(肥水), 시수(施水), 저수(沮水), 장수(漳水), 하수(夏水), 강수(羌水), 부수(涪水), 재동수(梓潼水), 잠수(涔水)
- 권33 강수(江水)
- 권34 강수
- 권35 강수
- 권36 청의수(青衣水), 환수(桓水), 약수(若水), 말수(沫水), 연강수(延江水), 존수(存水), 온수(溫水)
- 권37 엄수(淹水), 엽유하(葉楡河), 이수(夷水), 유수(油水), 예수, 원수(沅水), 은수(泿水)
- 권38 자수(資水), 련수(漣水), 상수(湘水), 여수(灕水), 진수(溱水)
- 권39 굉수(洭水), 심수(深水), 종수(鍾水), 뢰수, 미수(洣水), 록수(漉水), 류수(瀏水), 쾌수(㵋水), 감수(贛水), 여강수(廬江水)
- 권40 점점강수(漸江水), 근강수(斤江水)
참조
[1]
서적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ixth Century B.C.E. to Seventeenth Century, Volume 1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9-20
[2]
서적
Biography of Li Daoyuan
https://books.google[...]
DeepLogic
[3]
뉴스
Commentary on the Waterways Classic – Geographer's ideas flow like a fresh spring
https://archive.shin[...]
2012-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