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코필드 관주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코필드 관주성경은 성경 본문 옆에 해설과 상호 참조 시스템을 도입하여 독자들이 성경의 주제를 쉽게 파악하도록 돕는 성경으로, 1909년 초판이 발행되었다. 이 성경은 간격 이론을 옹호하고 시대주의를 장려하여 기독교 근본주의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독교 시온주의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1917년판은 퍼블릭 도메인에 있으며, 1967년에는 개정판이 출판되었다. 스코필드 관주성경은 한국 보수교회에 세대주의적 근본주의 신학 사상을 전파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코필드 관주성경
스코필드 관주성경
1917년 스코필드 성경 표지, 1941년에 선물로 증정됨.
1917년 스코필드 성경의 표지 (1941년에 선물로 증정됨)
다른 이름KJV 스코필드 스터디 바이블
언어한국어
구약 출판해당 없음
신약 출판해당 없음
성경 전체 출판1909년
위키소스스코필드 관주성경 주석
외경해당 없음
저자사이러스 I. 스코필드 (편집자)
원본킹 제임스 버전
본문 기반해당 없음
번역 유형해당 없음
읽기 수준해당 없음
개정1917년
출판사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저작권해당 없음
인쇄 부수해당 없음
종교적 제휴세대주의
웹사이트스코필드 성경 웹사이트
창세기 1:1-3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흑암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요한복음 3: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2. 특징 및 유산

스코필드 관주성경, 1115페이지. 이 페이지에는 요한복음 1:17에 대한 스코필드의 주석이 포함되어 있다.


스코필드 관주성경은 여러 혁신적인 특징을 도입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성경 본문 옆에 직접 해설을 인쇄한 것인데, 이는 제네바 성경(1560년) 이후 영어 성경에서는 처음 있는 시도였다.[2] 또한, 관련된 성경 구절들을 서로 연결하여 독자가 성경 전체에 걸쳐 특정 주제를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돕는 상호 참조 시스템("체인 참조", chain reference)을 포함했다. 1917년판에서는 성경의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정리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이 성경을 통해 많은 기독교인들은 제임스 어셔 대주교가 계산한 창조 연대인 기원전 4004년을 처음 접했으며, 스코필드는 주석에서 "간격 이론"을 옹호하여 기독교 근본주의자들 사이에서 창조의 본질과 연대기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3]

스코필드 관주성경의 초판(1909년)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에 출판되었다. 이 전쟁은 당시 팽배했던 문화적 낙관주의를 무너뜨렸고,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유대인을 위한 국가 건설이 팔레스타인에서 이루어지자, 스코필드의 전천년설적 해석은 마치 예언처럼 받아들여졌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시대주의적 계획을 완전히 입증된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4] 스코필드 관주성경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까지 2백만 부 이상 판매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5]

스코필드 관주성경은 세대주의 신학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세대주의는 창조부터 최종 심판까지 하나님이 인류를 다루는 방식을 7개의 뚜렷한 시대로 구분하고, 이를 성경 해석의 틀로 삼는 신학이다.[6] 스코필드의 주석은 미국의 많은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세대주의를 받아들이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요한계시록에 대한 그의 해석은 할 린지, 에드가 C. 위즈넌트, 팀 라헤이와 같은 후대의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다양한 종말론적 시간표와 심판 시나리오를 구체화하는 기초가 되었다.[7] 이러한 성공으로 인해 20세기 미국 근본주의는 종말론적 예측에 더욱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

신학자 김영한에 따르면, 한국 보수 교회 역시 스코필드 관주성경을 통해 들어온 세대주의근본주의(dispensational fundamentalism)의 영향을 받았다. 세대주의적 근본주의는 19세기 말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근본주의 운동의 한 흐름이다. 비록 시작은 기독교 교리를 수호하려는 목적이었으나, 성경 해석에 있어 지나친 문자주의를 고수하고 구원의 방법을 시대별로 다르게 설명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5]

또한 ''스코필드 성경''은 기독교 시온주의 운동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스코필드는 반유대주의를 명백한 죄로 규정했으며, 창세기 12장 3절("너를 축복하는 자에게 내가 복을 주고")을 인용하며 "이스라엘을 거스르는 목소리나 손을 드는 사람이나 국가는 하나님의 진노를 자초한다"고 주장하여 유대 민족과 이스라엘 국가에 대한 지지를 강조했다.[8]

2. 1. 이후 판본

1917년 스코필드 관주성경의 주석


1917년에 출판된 스코필드 관주성경의 주석은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며, 이 1917년판은 영국아일랜드에서 "꾸준히 가장 많이 판매되는 스코필드 성경"으로 알려져 있다.[9]

1967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스코필드의 기존 신학적 해석 중 일부를 완화하고 KJV 본문을 일부 현대화한 개정판을 출판했다.[10] 최근의 KJV 스코필드 스터디 성경판은 1967년 개정 시 변경된 내용을 본문 옆 여백으로 옮겨 표기하기도 한다.[11]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옥스퍼드 스코필드 스터디 성경''이라는 이름으로 계속해서 발행하고 있으며, 이는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예를 들어, 제네바 성경 협회가 발행한 프랑스어판은 루이 세공드 번역의 개정판을 바탕으로 인쇄되었으며, 프랑스어 사용 위원회가 추가한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12]

21세기에 들어서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는 6개의 추가적인 영어 번역본에 스코필드 주석을 적용하여 출판했다.[13]

3. 스코필드 관주성경과 한국교회

신학자 김영한에 따르면, 스코필드 관주성경(Scofield Reference Bible)은 한국 보수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신학 사상 중 하나인 세대주의근본주의(dispensational fundamentalism)를 전파하는 주요 통로였다. 이 세대주의적 근본주의는 19세기 말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근본주의 운동에서 파생된 흐름이다. 본래 기독교의 정체성을 수호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으나, 성경을 지나치게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구원의 방법을 세대별로 구분하는 등의 주장으로 인해 신학적 논란을 낳기도 했다.[15] 이러한 배경 속에서 스코필드 관주성경의 영향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보다 균형 잡힌 성경 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The Roots of Fundamentalism: British and American Millenarianism, 1800-193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2] 서적 Bible: The Story of the King James Version, 1611-2011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 문서 Mangum & Sweetnam, 97
[4] 문서 Mangum & Sweetnam, 179
[5] 문서 Gaebelein, 11
[6] 문서 Magnum & Sweetnam, 188-195
[7] 문서 Mangum & Sweetnam, 218
[8] 웹사이트 The Scofield Bible—The Book That Made Zionists of America’s Evangelical Christians https://www.wrmea.or[...] Washington Report on Middle East Affairs 2024-12-10
[9] 문서 Mangum & Sweetnam, 201
[10] 서적 Bible: The Story of the King James Version, 1611-2011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1] 서적 The Scofield Study Bible III, KJV: How to use this study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2-10
[12] 문서 Mangum & Sweetnam, 202-03
[13] 문서 Campbell, Bible, 248
[14] 서적 The Roots of Fundamentalism: British and American Millenarianism, 1800-193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15] 뉴스 김영한 칼럼, 나사렛 예수의 역사성과 진실(68) http://www.christian[...] 크리스천투데이 2013-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