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시온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시온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귀환에 대한 종말론적 믿음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칼뱅주의적 천년왕국설의 영향으로, 성경 해석을 통해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귀환을 예언으로 해석하는 경건주의, 복음주의 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영국과 미국에서 정치적 지지를 얻었으며, 1917년 밸푸어 선언을 통해 공식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스라엘 건국 이후, 특히 미국 복음주의 교회를 중심으로 기독교 시온주의가 확산되었으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지지하는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성경 해석의 차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교단과 학자들은 기독교 시온주의가 성경을 잘못 해석하고 중동 평화를 저해한다고 비판하며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시온주의 - 유대교-기독교의 이해와 협력을 위한 센터
유대교-기독교의 이해와 협력을 위한 센터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대교와 기독교 간 관계 개선을 목표로 설립되어 성경 연구, 신학적 탐구, 행사 개최, 팔레스타인 기독교 아랍인 지원 등을 통해 이해 증진과 협력을 도모하며, 이스라엘 지지 활동 및 사회 운동에도 참여하고 일부 논란과 비판도 존재하는 단체이다. - 기독교 시온주의 - 할렐의 날
- 유대 민족주의 - 열심당
열심당은 1세기경 로마 제국에 저항한 유대교 분파로, 무장 투쟁과 과격한 테러 행위로 로마에 저항하며 유대 사회 내부에서도 비판받고 유대교 종파 간 갈등을 심화시켜 예루살렘 함락과 성전 파괴에 영향을 미쳤다. - 유대 민족주의 - 노동 시온주의
노동 시온주의는 19세기 말 유대 노동 운동과 반볼셰비즘의 결합으로 시작되어 유대 국가 건설, 유대인 노동력 우선시, 히브리어 사용 등을 강조하며 이스라엘 건국 이후 주류를 이루었으나 쇠퇴하여 현재는 이스라엘 평화 진영과 연관되어 있다. - 기독교 종말론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기독교 종말론 - 천년왕국
천년왕국은 종교와 신념 체계에서 미래의 이상적인 시대를 의미하며, 기독교의 천년설, 유대교 경전, 이슬람의 마흐디 등 다양한 종교와 사상에 나타나 사회 운동과 유토피아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왜곡된 사례도 있다.
기독교 시온주의 | |
---|---|
개요 | |
유형 | 기독교 내의 정치 이념 |
지지 기반 | 일부 기독교인 |
목표 | 유대인의 이스라엘 땅으로의 귀환을 지지하고 장려함 |
관련 주제 | 시오니즘, 기독교 |
역사적 배경 | |
기원 | 17세기 청교도 |
주요 발전 시기 | 19세기, 20세기 |
신학적 기반 | |
성경 해석 | 구약성경의 예언을 문자적으로 해석, 특히 이스라엘의 회복과 관련된 예언 |
종말론적 관점 | 예수의 재림을 위한 조건으로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강조 |
언약 신학 | 하나님이 유대인과 맺은 언약의 영속성을 믿음 |
주요 특징 | |
이스라엘 국가 지지 | 이스라엘의 안전과 번영을 지지하며, 반유대주의에 반대함 |
유대인 귀환 운동 | 알리야를 장려하고 지원하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정착을 도움 |
정치적 활동 |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정책을 옹호하고, 관련 정치인과 협력함 |
재정적 지원 | 이스라엘 관련 프로젝트와 유대인 공동체를 위한 기부 활동 |
논란 및 비판 | |
팔레스타인 문제 |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에서 이스라엘 편향적인 시각을 가진다는 비판 존재 |
신학적 문제 | 대체신학과의 충돌, 성경 해석의 다양성 문제 |
정치적 문제 | 국제 정치적 긴장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윌리엄 유진 블랙스톤, 존 넬슨 다비, 사이러스 스코필드 |
관련 단체 | |
주요 단체 | 국제 기독교 대사관 예루살렘, 미국-이스라엘 공공정책위원회 |
영향 | |
정치적 영향력 |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대외 정책에 영향력 행사 |
종교적 영향력 | 일부 기독교 교단과 신자들에게 큰 영향 |
사회적 영향력 | 이스라엘 관련 사회 운동과 자선 활동에 기여 |
2. 역사적 배경
기독교 시온주의는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특히 청교도들 사이에서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귀환에 대한 종말론적 믿음이 확산되면서 시작되었다.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을 포함한 초기 개신교 지도자들은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귀환에 대한 특별한 종말론적 견해를 언급하지 않았다.[14] 루터는 가톨릭 교회와 결별한 후 유대인들이 자신의 기독교로 개종하기를 바랐지만, 나중에는 유대인을 가혹하게 비난했다.[10][14] 루터교와 칼뱅주의는 기독교회를 "영적 이스라엘"로 여겼으며, 예수 그리스도 이후, 하나님과의 언약은 오직 신실한 기독교인에게만 적용된다고 보았다.(후대에 이것은 대체 신학이라고 불렸다).[10][14]
그러나 개신교가 "오직 성경"을 강조하고 유럽 전역에 성경을 자국어로 보급하면서, 일부 급진 개신교도들은 가톨릭 전통이나 주류 개신교 지도자들의 견해와는 다른 방식으로 성경을 해석하게 되었다.[14][11] 이와 함께, 더 급진적인 개신교도들 사이에서는 성인 숭배를 우상 숭배로 보고 성경 족장과 구약성서 예언자에 더 집중하는 히브리즘화 경향이 나타났다.[12]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 국가를 건설할 것이라는 기대는 1580년대 청교도주의와 관련된 집단에서 처음 나타났다.[7][13][14]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6세 시대에 칼뱅주의 성향의 섭정들이 통치하면서, 마르틴 부처와 페터 마르터 베르미글리 같은 대륙 개신교도들이 케임브리지와 옥스퍼드에서 가르칠 수 있게 되었다.[14] 이들은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들이 종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성경 주석을 제시했다.[14][15]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혁명 정부는 영국에 맞서 유대인의 지지를 얻기 위한 작전을 펼쳤다.[32]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이집트-시리아 원정에서 보나파르트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모든 유대인에게 그의 깃발 아래 모여 고대 예루살렘을 재건할 것"을 요청했다.[32]
19세기 초, 존 애덤스를 포함한 미국의 여러 지도자들은 유대인의 이스라엘 독립 국가 건설을 지지했다.[13][20] 19세기 말, 윌리엄 유진 블랙스톤은 블랙스톤 기념관을 통해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재정착을 위한 로비 활동을 펼쳤다.
19세기 영국의 종교 개혁가들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는 것을 지지하는 글을 발표했다. 샤프츠베리 경의 주도로 영국은 1838년 예루살렘에 영사관을 설립했다.[61]
윌리엄 헤클러 (1845–1931)는 독일계 영국 성직자로, 빈 주재 영국 대사관의 채플린이었다. 그는 테오도어 헤르츨의 절친한 친구였으며,[64] 현대 기독교 시온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2. 1. 칼뱅주의적 천년왕국설의 기원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을 포함한 초기 개신교 지도자들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한 특별한 종말론적 견해를 언급하지 않았다.[14] 루터는 가톨릭 교회와 결별한 후 유대인들이 자신의 기독교로 개종하기를 바랐지만, 나중에는 유대인을 가혹하게 비난했다.[10][14] 루터교와 칼뱅주의는 기독교회를 "영적 이스라엘"로 여겼으며, 예수 그리스도 이후, 하나님과의 언약은 오직 신실한 기독교인에게만 적용된다고 보았다.(후대에 이것은 대체 신학이라고 불렸다).[10][14]그러나 개신교가 "오직 성경"을 강조하고 유럽 전역에 성경을 자국어로 보급하면서, 일부 급진 개신교도들은 가톨릭 전통이나 주류 개신교 지도자들의 견해와는 다른 방식으로 성경을 해석하게 되었다.[14][11] 이와 함께, 더 급진적인 개신교도들 사이에서는 성인 숭배를 우상 숭배로 보고 성경 족장과 구약성서 예언자에 더 집중하는 히브리즘화 경향이 나타났다.[12]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 국가를 건설할 것이라는 기대는 1580년대 청교도주의와 관련된 집단에서 처음 나타났다.[7][13][14]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6세 시대에 칼뱅주의 성향의 섭정들이 통치하면서, 마르틴 부처와 페터 마르터 베르미글리 같은 대륙 개신교도들이 케임브리지와 옥스퍼드에서 가르칠 수 있게 되었다.[14] 이들은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인들이 종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성경 주석을 제시했다.[14][15]
많은 영국 청교도와 저지대 스코틀랜드 장로교는 ''대역 성경''과 ''감독 성경''을 "로마주의"로 여겼다. 이들은 1560년대 제네바에서 칼빈의 후계자 테오도르 베자 아래에서 시간을 보내며, 유대인들이 종말에 기독교로 개종하여 팔레스타인에 다시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각주가 포함된 ''제네바 성경''을 개발했다.[14] 이 견해는 프랜시스 케트, 에드먼드 버니, 토마스 드랙스, 토마스 브라이트만, 조셉 메데, 윌리엄 퍼킨스, 리처드 시브스, 토마스 굿윈, 윌리엄 스트롱, 윌리엄 브리지, 헨리 핀치, 존 오웬, 자일스 플레처 등의 영국 청교도들과, 조지 길레스피, 로버트 베일리, 새뮤얼 러더퍼드 등의 스코틀랜드 장로교도들, 그리고 올리거 폴리, 아이작 보시우스, 휴고 그로티우스, 게르하르트 보시우스, 데이비드 블론델 등의 대륙 개신교도들에게 채택되었다.[16][14]
잉글랜드 내전으로 청교도들은 의회파와 신 모범군을 이끌었다. 올리버 크롬웰의 지도 아래 잉글랜드의 찰스 1세를 처형하고 1649년에서 1660년 사이에 잉글랜드 연방을 설립했다.[20] 친유대주의 밀레니엄주의는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존 듀리, 존 새들러, 휴 피터와 같은 크롬웰의 측근 고문들은 네덜란드에 기반을 둔 유대인인 므나세 벤 이스라엘과 접촉하여 유대인의 잉글랜드 재정착을 옹호했다.[20] 크롬웰의 비서인 새들러는 ''왕국의 권리''(1649)에서 영국인들이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지파 중 하나이며, 유대인과 동족이라고 주장하여 영국 이스라엘주의를 시작했다. 제레미아 버로스, 피터 벌클리, 존 페니케, 존 코튼과 같은 청교도들은 유대인들이 잉글랜드로 재입국하는 것을 팔레스타인 귀환의 전 단계로 보았다.[17][18] 암스테르담에서 시간을 보낸 요한나와 에베네저 카트라이트는 1649년 1월 토마스 페어팩스의 전쟁 평의회에 유대인 재입국을 위한 청원을 발부했다.[19] 그 청원은 "잉글랜드 국민과 네덜란드의 주민들이 이스라엘의 아들딸들을 배로 조상인 아브라함, 이삭, 야곱에게 영원한 상속으로 약속된 땅으로 수송하는 첫 번째이자 가장 신속한 자가 될 것"을 희망했다.[20] 잉글랜드에서의 유대인 관용은 1655년부터 1656년까지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복고 이후에도 철회되지 않았다.
2. 2. 경건주의, 복음주의, 영국의 외교 정책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혁명 정부는 영국에 맞서 유대인의 지지를 얻기 위한 작전을 펼쳤다.[32] 프랑스 혁명 전쟁 중 이집트-시리아 원정에서 보나파르트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모든 유대인에게 그의 깃발 아래 모여 고대 예루살렘을 재건할 것"을 요청했다.[32] 보나파르트는 세속적이었지만, 이 아이디어는 실용적인 정치적 시오니즘의 초기 사례였다.
18세기에는 조지 왕조 시대를 구축하려는 과정에서 고전 세계의 문화와 철학에 영감을 얻어 그리스 애호주의를 채택하고, 히브리어 구약성경 기반의 종말론적 환상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1730년대부터 종교적 지하 운동이 성장하여 복음주의 개신교가 탄생했다. 독일에서는 필리프 슈페너의 경건주의가 나타났는데, 이는 루터교에 대한 신비적 해석으로, "유대인의 개종과 교황권의 몰락이 교회의 승리의 서곡"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니콜라우스 친젠도르프는 이 이론을 모라비아 교회로 확산시켰고, 존과 찰스 웨슬리는 감리교의 초기 지도자로, 찰스 웨슬리는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귀환을 장려하는 찬송가를 작사했다.[20][30]
19세기 초, 영국의 찰스 시메온과 같은 초기 회복주의자들은 후천년설을 따랐다.[61] 그러나 제임스 프레르, 제임스 핼데인 스튜어트, 에드워드 어빙의 부상과 함께 1820년대에 유대인의 이스라엘 회복을 옹호하는 전천년설로 변화가 일어났다.[61][39] 오스만 제국의 종말이 다가오면서 회복주의에 대한 옹호가 증가했고, 존 넬슨 다비는 세대주의라는 신학적 틀을 창시했다.
오스만 제국의 붕괴는 수에즈 운하를 통한 영국의 인도 노선과 여러 국가의 경제적 이익을 위협했다. 1831년 오스만 제국은 시리아 지역(팔레스타인 포함)에서 이집트에 의해 축출되었고, 제1차 투르크-이집트 전쟁이 발발했다. 영국의 개입으로 레반트는 잠시 동안 정부 없이 남겨졌다. 오스만 제국의 약세는 서방 국가들이 성지에서의 유대 국가의 가능성을 고려하게 했고, 찰스 헨리 처칠과 같은 영국의 중요한 인물들이 그러한 계획을 옹호했다.[48][49] 크림 전쟁(1854)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1853년 7월, 유대인 기독교 선교회의 회장인 앤서니 애슐리-쿠퍼, 샤프츠베리 백작 7세는 애버딘 총리에게 지역을 안정화하는 수단으로 유대인의 회복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다.[61][50][51]
2. 3. 미국에서의 발전
19세기 초, 존 애덤스를 포함한 미국의 여러 지도자들은 유대인의 이스라엘 독립 국가 건설을 지지했다.[13][20]19세기 말, 윌리엄 유진 블랙스톤은 블랙스톤 기념관을 통해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재정착을 위한 로비 활동을 펼쳤다.
2. 4. 영국에서의 발전
19세기 영국의 종교 개혁가들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는 것을 지지하는 글을 발표했다. 이러한 생각은 청교도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이 항상 유대인에게 우호적인 것은 아니었다. 다양한 개신교 신념[61][59], 혹은 고전 교육을 받은 영국 엘리트들 사이의 친유대주의 경향[60]이 이러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샤프츠베리 경의 주도로 영국은 1838년 예루살렘에 영사관을 설립했다. 이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최초의 외교적 임명이었다.[61]
1839년 스코틀랜드 교회는 앤드루 보나, 로버트 머레이 맥체인 등을 팔레스타인 유대인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파견했다.[62] 이들의 보고서는 널리 출판되었으며, 유대인 공동체를 찾아 그들이 그리스도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지, 그리고 성경에 예언된 대로 이스라엘로 돌아갈 준비가 되어 있는지 문의했다.
윌리엄 헤클러 (1845–1931)는 독일계 영국 성직자로, 빈 주재 영국 대사관의 채플린이었다. 그는 테오도어 헤르츨의 절친한 친구였으며,[64] 현대 기독교 시온주의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헤르츨의 사망 25주년을 기념했을 때, 영어 기념 서적의 편집자들은 윌리엄 헤클러가 "헤르츨의 최초이자 가장 꾸준하고 끈기 있는 추종자"임이 입증될 것이라고 언급했다.[65]
3. 제1차 세계 대전과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사이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수십 년 전, 시온주의를 지지한 가장 두드러지고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미국의 기독교인들은 자유주의적이고 주류 개신교도들이었는데, 이들의 시온주의 지지는 종종 성경 해석과 무관했다.[68] 이들은 팔레스타인을 유럽에서 박해받는 유대인들을 위한 안전한 피난처로 여겼으며, 종종 그들의 시온주의 지지가 기독교-유대교 화해를 위한 더 광범위한 노력의 일부라고 믿었다. 1930년에 설립된 기독교 친시온주의 단체인 팔레스타인 옹호 연맹은 "유대인과 비유대인 간의 선의와 존경심"을 증진할 것을 요구했으며, 또한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한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 조건에 영국 정부가 따를 것을 요구했다.[69]
3. 1. 미국에서
홀로코스트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미국의 유대인 시온주의자들은 미국 팔레스타인 위원회와 팔레스타인 기독교 협의회라는 비유대인 시온주의 단체 설립에 협력했다. 이 두 단체는 나중에 미국 기독교 팔레스타인 위원회(ACPC)로 통합되었다. 자유주의적이고 주류 개신교도들이 주를 이루었던 ACPC는 팔레스타인에 유대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미국의 주요 기독교 로비 단체가 되었다.[70] 1948년 이스라엘 건국 후, ACPC는 로비 활동을 계속했다. 예를 들어, 1948년 전쟁에서 이스라엘과 트란스요르단으로 분할된 예루살렘 시를 국제화하려는 유엔의 노력에 반대하는 활동을 조정했다.이 시기에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이 보수적인 미국 개신교도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다. 많은 세대주의자들은 시온주의 운동을 성경 예언의 적어도 부분적인 성취로 보거나 유대인에 대한 하나님의 언약적 약속의 현대적 성취로 보았다. 1930년대에 남침례교 선교사였으며, 유대교에서 개종한 야곱 가르텐하우스는 "시온주의는 누구가 좋아하든 싫어하든 승리할 것이다... 그것을 반대하는 것은 하나님의 계획을 반대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71] 그러나 대부분, 이러한 믿음은 이 시대에 이 운동을 위한 정치적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한 가지 예외는 텍사스주 포트워스와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설교단을 오가며 활동했던 기독교 근본주의 침례교도 J. 프랭크 노리스였다.[72] 노리스는 ACPC처럼 로비 활동을 조직하지는 않았지만, 시온주의 대의를 지지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의무라고 추종자들에게 설교했으며, 1947년과 1948년에는 트루먼 대통령에게 팔레스타인에 대한 시온주의 주장을 지지하는 편지를 썼다. 노리스는 또한 ACPC와 느슨하게 협력하여, 때때로 그의 정기간행물인 《근본주의자》에 그들의 자료를 게재했다.[73]
4. 이스라엘 건국 이후
1948년 이스라엘 건국, 특히 1967년 6일 전쟁 이후,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이스라엘의 가장 두드러진 지지 세력으로 부상했다.[75] 이들은 빌리 그레이엄과 같은 인물들이 이끄는 "새로운" 복음주의의 부상과 함께, 유대인 및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발전시키며 기독교 시온주의 운동을 이끌었다.[76][77]
할 린지와 같은 시대주의 복음주의 작가들은 저술 활동을 통해 기독교 시온주의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린지는 ''지구 최후의 날''에서 יְחֶזְקֵאל|에스겔he 39장 6–8절과 זְכַרְיָה|스가랴he 13장 8–9절을 인용하며, 유대인들이 "러시아"의 침략을 격퇴하고 기독교로 개종할 것이며, 그들 중 3분의 1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예언했다.[78]
제리 폴웰과 팻 로버트슨과 같은 기독교 우파 인사들은 정치적 보수주의와 기독교 시온주의를 결합한 대표적인 예이다. 폴웰은 1981년에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것은 하나님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창세기|창세기한국어 27장 29절을 인용하여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자가 복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80]
이스라엘 정부는 기독교 시온주의를 공식적으로 장려하여, 1980년 국제 기독교 대사관 예루살렘 설립을 허용했다. 이 대사관은 구 소련에서 이스라엘로의 유대인 이민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모금했으며, 서안 지구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는 시온주의 단체를 지원했다.
팀 라헤이와 제리 B. 젠킨스가 쓴 소설 시리즈인 ''레프트 비하인드''는 2000년경 기독교 시온주의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였다.[83]
4. 1. 미국에서
이스라엘-미국 관계도 참조이스라엘 건국 이후, 특히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미국의 주요 기독교인들은 미국 개신교의 복음주의 분파에서 나왔다.[75] 미국 복음주의는 빌리 그레이엄과 같은 인물들이 이끄는 "새로운" 복음주의가 개신교에서 부상하면서 이스라엘 탄생을 전후하여 큰 변화를 겪었다.[75] 현대의 "기독교 시온주의"라는 용어와 가장 일반적으로 연관된 운동은 바로 이 새로운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76]
많은 새로운 복음주의자들은 시대주의를 따르거나, 적어도 유대인들이 하나님과 특별한 언약 관계를 유지한다는 시대주의적 이해에서 영감을 받은 신념을 따랐다. 그러나 기독교 시온주의를 운동으로 발전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 복음주의 지도자들이 미국 및 이스라엘 유대인들과 관계를 맺기 시작했고, 유대인 단체 및 이스라엘 정부 자체와 제도적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는 사실이었다.[77] 이러한 관계 구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미국 복음주의자들의 열정적인 무리였으며, 특히 미국 성지 연구소의 설립자 G. 더글러스 영이 그러했다. 영은 자신의 연구소를 통해 미국 기독교인들에게 유대인과 유대 국가를 지원하는 것이 성경적 의무라고 설득하려 했다. 그는 또한 유대인 단체와 미국 복음주의자들과 관계를 맺으려는 이스라엘 정부 기관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77]
이러한 활동에는 미국 시대주의 복음주의 작가 할 린지의 인기 있는 저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이스라엘을 시대주의적 기독교 종말론 서사에 맞추려고 했다. 예를 들어, ''지구 최후의 날''에서 린지는 יְחֶזְקֵאל|에스겔he 39장 6–8절에 따라 유대인들이 기적적인 구원을 깨닫고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에 "러시아"의 침략을 격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리고 זְכַרְיָה|스가랴he 13장 8–9절에 따르면, 개종한 유대인들 중 3분의 1이 살아남을 것이다.[78]
정치적 보수주의와 기독교 시온주의를 결합한 개신교 지도자들의 예로는 1980년대와 1990년대 기독교 우파의 주요 인물인 제리 폴웰과 팻 로버트슨이 있다. 1981년 폴웰은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것은 하나님에 반대하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와 성경이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대하는 방식에 따라 국가를 대하신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80]
4. 2. 이스라엘에서
이스라엘 건국 이후 수십 년 동안, 특히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기독교 지지자들은 주로 미국 개신교의 복음주의 분파에서 나왔다.[75] "기독교 시온주의"라는 용어와 가장 일반적으로 연관된 운동은 이들 새로운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76]많은 신 복음주의자들은 시대주의, 또는 적어도 그에 영향을 받은 신념, 특히 유대인들이 하나님과 특별한 언약 관계를 유지한다는 시대주의적 이해를 따랐다. 그러나 기독교 시온주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 복음주의 지도자들이 미국 및 이스라엘 유대인들과 관계를 맺고, 유대인 단체 및 이스라엘 정부와 제도적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 구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미국의 복음주의자들이었으며, 특히 미국 성지 연구소 설립자 G. 더글러스 영이 그러했다. 영은 자신의 연구소를 통해 미국 기독교인들에게 유대인과 유대 국가를 지원하는 것이 성경적 의무라고 설득하려 했다. 그는 또한 유대인 단체와 미국 복음주의자들의 관계를 맺으려는 이스라엘 정부 기관의 중재자 역할을 했다.[77]
1980년대와 1990년대 기독교 우파의 주요 인물인 제리 폴웰과 팻 로버트슨은 정치적 보수주의와 기독교 시온주의를 결합한 개신교 지도자들의 예이다. 1981년 폴웰은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것은 하나님에 반대하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와 성경이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대하는 방식에 따라 국가를 대하신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80]
이스라엘 정부는 기독교 시온주의를 공식적으로 장려하여, 1980년 국제 기독교 대사관 예루살렘 설립을 허용했다. 이 대사관은 구 소련에서 이스라엘로의 유대인 이민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을 모금했으며, 서안 지구에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는 시온주의 단체를 지원했다.
팀 라헤이와 제리 B. 젠킨스가 쓴 소설 시리즈인 ''레프트 비하인드''는 2000년경 기독교 시온주의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높였다.[83]
5. 교리적 근거로 여겨지는 성경 구절
기독교 시온주의자들은 창세기에 기록된 아브라함 언약을 근거로 유대인이 이스라엘 땅에 대한 영원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 이러한 주장은 기독교의 모든 교파 및 사상에서 동일하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공동번역성서의 창세기 15장 18-21절에는 하느님이 아브람과 계약을 맺고 이집트 강에서 유프라테스 강까지의 땅을 주겠다고 말하는 내용이 있다.[1]
>그 날에 주께서 아브람과 계약을 맺으시고 말씀하셨다. '내가 네 자손에게 이 땅을 주겠다. 이집트 강에서 큰 강 유프라테스까지, 카인족, 케나즈족, 카드모니족, 헷족, 브리스족, 르바임족, 아모리족, 가나안족, 기르가스족, 여부스족의 땅을 주겠다.'
새번역성경의 창세기 26장 4절에는 하느님이 아브라함의 자손을 하늘의 별처럼 많게 하고, 그 자손으로 말미암아 세상의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것이라는 내용이 있다.[1]
>내가 네 자손을 하늘의 별처럼 많게 하고, 네 자손에게 이 모든 나라를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세상의 모든 민족이 복을 받으리라.
새번역성경의 창세기 48장 4절에는 하느님이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이스라엘 땅에 대한 영원한 소유권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1]
>내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게 많은 자손을 주어 네가 번성하게 하고 너를 여러 백성의 무리가 되게 하며, 이 땅을 네 후손에게 주어 영원한 소유가 되게 하리라' 하셨다.
6. 일본에서의 기독교 시온주의
하나님이 나카타 주지 감독에게 주셨다고 하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위해 기도하라"는 비전에 따라 기독교 성협단의 모리 고로 등은 이스라엘 재건 전인 1931년부터 이스라엘의 회복을 위해 계속 기도해 왔다. 그의 딸 야나카 사카에는 1948년 이스라엘 공화국 성취 소식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예수의 이름을 찬양했다.[115][116]
7. 시온주의 노래
시편 137편 "우리가 바빌론의 강 가에 앉아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네"[117]과 예루살렘의 황금, 이스라엘 국가 하티크바는 시온주의 노래이다. 이 노래들은 기독교 시온주의자들의 성회에서 불린다.
8. 기독교 시온주의 활동
루벤 드론은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알리야)을 통해 이스라엘 땅이 축복받는다고 가르친다.[118] 톰 헤스는 미국을 현대의 바빌론으로 보고, 미국에 거주하는 유대인에게 미국을 탈출하여 이스라엘로 귀환하도록 호소한다.[119] 구스타프 쉴러는 이스라엘로의 유대인 귀환 운동인 '탈출 작전'을 전개하고 있다.[120]
9. 비판적 견해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에게 하느님의 도시는 이스라엘로의 유대인 이주와 진행 중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로마 약탈 (410년)을 예언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에서 인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동방 정교회나 전통적인 가톨릭교회[84]는 어떠한 정치적 형태의 시온주의도 고려하지 않았다. 동방 정교회는 약속의 땅은 팔레스타인이 아니라 하느님의 왕국이라고 주장했으며,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4세는 예루살렘의 돌이 아닌 사람들을 염려한다고 강조했다.[85] 세상의 왕국도 아니고, 지상의 예루살렘도 추구하지 않으며,[4][5][6] 초점은 천상의 예루살렘[86], 즉 삼위일체 하느님의 왕국에 맞춰져 있다.[87] 유대인 정착촌(정착 반대자들에 의한 "점령지")의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반환"과 예루살렘의 분할 통치에 반대하는 입장도 있다.
기독교 시온주의는 팔레스타인 평화의 장애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스라엘과 미국 정계에서는 유력한 압력 단체이자 표밭 중 하나이다. 이스라엘의 리쿠드당이나 샤스 등 우파・종교 정당의 주장과 친화성이 강하며,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유대-기독교라는 기독교의 가치관과의 연결을 강조해왔다. 기독교 우파의 지지를 받은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유대인을 선민이라고 발언했을 때는 아랍인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121]
기독교 재건주의의 토미이 켄은 이스라엘에 관한 올바른 이해는 청교도 신학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122] 이스라엘의 회복을 주장한 토마스 아퀴나스, 장 칼뱅, 아이언 H. 머레이, 윌리엄 퍼킨스, J. 판 덴 베르크, 빌렘 반게메렌, 판 덴 베르크, 조나단 에드워즈, 찰스 호지, 찰스 스펄전, C.E.B. 크랜필드, 조지 E. 래드, 칼 라너, 위르겐 몰트만, 헤르만 리다보스, 존 머레이, 밀라드 에릭슨, 웨인 그루뎀을 소개하고 있다.[123]
9. 1. 일반적인 비판
예루살렘 선언 (기독교 시온주의)에 따르면, 많은 기독교인들은 기독교 시온주의가 성경을 잘못 해석하고 있으며, 중동 평화를 저해한다고 비판한다.[84][85][121]대부분의 기독교인들에게 하느님의 도시는 이스라엘로의 유대인 이주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는 관련이 없으며, 로마 약탈 (410년)을 예언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에서 인용된다. 동방 정교회나 전통적인 가톨릭교회는 어떠한 정치적 형태의 시온주의도 고려하지 않았다. 동방 정교회는 팔레스타인이 아닌 하느님의 왕국이 약속의 땅이라고 주장하며,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4세는 예루살렘의 돌이 아닌 사람들을 염려한다고 강조했다.[85] 초점은 천상의 예루살렘, 즉 삼위일체 하느님의 왕국에 맞춰져 있다.[86][87]
유대인 정착촌(정착 반대자들에 의한 "점령지")의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반환"과 예루살렘의 분할 통치에 반대하는 입장도 있다.
기독교 시온주의는 팔레스타인 평화의 장애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스라엘과 미국 정계에서는 유력한 압력 단체이자 표밭 중 하나이다. 이스라엘의 리쿠드당이나 샤스 등 우파・종교 정당의 주장과 친화성이 강하며, 미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Judeo-Christian|유대-기독교영어라는 기독교의 가치관과의 연결을 강조해왔다. 기독교 우파의 지지를 받은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유대인을 선민이라고 발언했을 때는 아랍인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121]
기독교 재건주의의 토미이 켄은 이스라엘에 관한 올바른 이해는 청교도 신학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122] 이스라엘의 회복을 주장한 여러 신학자들을 소개한다.[123]
9. 2. 가톨릭 교회의 비판
가톨릭 교회는 세대주의적 종말론을 지지하지 않으며, 팔레스타인 성지에 대한 유대인의 통치에 반대해 왔다. 교황 비오 10세는 테오도어 헤르츨에게 가톨릭 교회가 시온주의를 신학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고 밝혔다.[121]9. 3. 개신교 내의 비판
미국 교회 협의회, 미국 개혁 교회,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 등 많은 개신교 교단들이 기독교 시온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존 스토트 등 저명한 개신교 신학자들은 기독교 시온주의가 성경적으로 저주받을 일이라고 비판한다.[121]10. 성경 해석
일부 기독교 시온주의자들은 성경의 예언을 미래에 반드시 일어날 사건들을 묘사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이러한 사건들은 주로 야곱의 후손을 의미하는 이스라엘 또는 유대교의 충실한 추종자를 의미하는 유다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들은 성지에 유대 국가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성경의 족장 아브라함에게 조각 언약에서 약속된 땅의 중심 부분이라고 해석한다. 이러한 요구는 때때로 현대 이스라엘 국가에 의해 충족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국 출신의 기독교 시온주의자인 데이비드 포슨은 저서 ''기독교 시온주의 옹호''에서 유대인의 성지 귀환은 성경 예언의 성취이며, 기독교인은 신학적 근거에 따라 유대 국가의 존재를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그러나 그 행동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또한 이스라엘에 대해 언급된 예언은 ("대체 신학"에서와 같이) 교회가 아닌 이스라엘에 특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유사한 견해를 가진 주로 미국의 운동이라고 말하는 시대주의를 비판한다. 포슨은 기독교 시온주의를 거부하는 복음주의 기독교인인 스티븐 사이저의 저술에 의해 이 책을 쓰도록 자극받았다.[2]
11. 인구 통계
수천만 명의 미국인이 종교적인 이유로 이스라엘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복음주의 교회에 속해 있으며,[107][108] 미국 외에도 수천만 명의 기독교인이 기독교 시온주의자로 자처한다.[109]
가장 큰 시온주의 단체는 존 헤이지가 이끄는 이스라엘을 위한 기독교인 연합(Christians United for Israel)으로, 1,0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110][111][112]
12. 여론
2017년 미국 라이프웨이(LifeWay) 여론 조사에 따르면,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의 80%가 1948년 이스라엘 건국이 그리스도의 재림을 가져올 성경 예언의 성취라고 믿었으며, 50% 이상이 예언 성취에 중요하기 때문에 이스라엘을 지지한다고 믿었다.[113]
2003년 퓨 리서치(Pew Research) 설문 조사에서는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의 60% 이상과 흑인의 약 50%가 이스라엘의 존재가 성경 예언을 이룬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약 55%가 이스라엘 지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경을 꼽았는데, 이는 교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사람의 11배에 달한다.[113]
참조
[1]
간행물
The New Christian Right's relations with Israel and with the American Jews: the mid-1970s onward
Centre pour l'Édition Électronique Ouverte
2012-12
[2]
문서
Christian Perspectives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2008-11
[3]
문서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f Jewish Studies
World Union of Jewish Studies
1993
[4]
서적
Non-Jewish Zionism: Its Roots in Western History
https://www.palestin[...]
Zed Books
2019-07-01
[4]
서적
Clash of Modernities: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Jew, Turk, and Arab and the Islamist Challenge
Routledge
[5]
서적
Israel: A History
https://books.google[...]
Brandeis University Press
2014
[6]
서적
The Question of Palestine: British-Jewish-Arab Relations, 1914–1918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7]
서적
Christian Zionism Examined, Second Edition: A Review of Ideas on Israel, the Church, and the Kingdom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0-01-15
[8]
웹사이트
Power, Faith, and Fantasy by Michael B. Oren
http://www.commentar[...]
2007-01
[9]
서적
Evangelicals and Israel: The Story of American Christian Zion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Faithful Teaching: Lutherans and Catholics in Dialogue XII
Fortress Press
2023-12-05
[11]
웹사이트
Promised Land: A Critical Investigation of Evangelical Christian Zionism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1800
https://core.ac.uk/d[...]
Stephen Sizer
2018-03-20
[12]
웹사이트
Revisiting Puritan Names in England, 1550–1600
https://community.du[...]
Durham University
2018-03-20
[13]
서적
the Puritan Hope
Banner of Truth
1971-06
[14]
웹사이트
Lovers of Zion: A History of Christian Zionism
https://digitalcommo[...]
Liberty University
2018-03-20
[15]
문서
Clément Marot and Religion
2010
[16]
서적
Letters of Samuel Rutherford
https://archive.org/[...]
Banner of Truth
1973-06
[17]
문서
Complete Works
[18]
문서
2014
[19]
문서
2013
[20]
웹사이트
Christian Zionist Hall of Fame
https://www.israelan[...]
Israel Answers
2018-03-20
[2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hristian Zionism: The roots of the movement
https://uk.icej.org/[...]
ICEJ
2020-10-24
[22]
문서
Millenarianism and Messianism in Early Modern European Culture Volume IV: Continental Millenarians: Protestants, Catholics, Heretics
2013
[23]
문서
Jewish Christians and Christian Jews: From the Renaissance to the Enlightenment
2013
[24]
서적
Spinoza
Olympus, Amstel Publishers
2007
[25]
웹사이트
The Jews iof Rhode Island
https://www.brandeis[...]
Ellen Smith
2018-03-20
[26]
간행물
America and Zionism: Statement to The Anglo-American Committee of Inquiry
https://www.jstor.or[...]
Stephen S. Wise
2018-03-20
[27]
뉴스
The first Christian Zionist? Secret writings by Isaac Newton reveal his views on the Jewish return to Israel
https://www.ynetnews[...]
Ynet News
2018-03-20
[28]
웹사이트
Sir Isaac's Jewish writings enter the 21st century
https://www.timesofi[...]
Times of Israel
2018-03-20
[29]
서적
Spinoza and the Sciences
Boston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2018-03-20
[30]
웹사이트
A Wesley 'Zionist' Hymn? Charles Wesley's hymn, published in 1762 and included by John Wesley in his 1780 hymn-book, A Collection of Hymns for the use of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http://www.wesley-fe[...]
The Wesley Fellowship
2010-07-01
[31]
웹사이트
Expositi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Deuteronomy 30 verse 5, by John Gill
http://www.sacred-te[...]
2014-07-01
[32]
뉴스
This day in history: Napoleon in the Holy Land
https://www.jpost.co[...]
2016-02-25
[33]
뉴스
New exhibition shows letter advising Jewish state in Israel
https://www.ynetnews[...]
2017-03-03
[34]
뉴스
The perils of religious mysticism
https://archive.iris[...]
2002-12-29
[35]
웹사이트
The Rabbi from Hebron and the President of Yale
http://hebron.org.il[...]
2020-09-20
[36]
서적
Jonathan Edwards, Works, Apocalyptic Writings
[37]
웹사이트
Of missionary zeal and its consequences
https://www.nytimes.[...]
2007-01-26
[38]
웹사이트
American 'Manifest Destiny' Heads to the Holy Land in 1847
http://www.israelnat[...]
2015-08-14
[39]
서적
Roots of Fundamentalism: British and American Millenarianism 1800–193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8-01
[4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illenni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Palestinian Evangelicals and Christian Zionism
https://www.palestin[...]
Institute of Jerusalem Studies
2019-06-20
[42]
서적
Living in the Shadow of the Second Coming: American Premillennialism, 1875–1982
Univ of Chicago Press
1987-04
[43]
간행물
Sermon preached in June 1864 for the British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among the Jews
http://www.ccel.org/[...]
1864
[44]
간행물
The Jew
The Quarterly Journal of Prophecy
1870-07
[45]
문서
Sermon preached 17th November 1839, after returning from a "Mission of Inquiry into the State of the Jewish People"
1839-11-17
[46]
문서
Sermon preached June 1864 to London Society for promoting Christianity among the Jews
1864-06
[47]
문서
Sermon on 'Jesus Christ Immutable', Metropolitan Tabernacle Pulpit
http://www.ccel.org/[...]
1869
[48]
서적
The Question of Palestine: British-Jewish-Arab Relations, 1914–1918
Transaction Publishers
1992
[49]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Palmerston, 1830–1841: Britain, the liberal movement and the Eastern question
G. Bell
1951
[50]
문서
British Projects for the Restoration of Jews to Palestine
https://archive.org/[...]
American Jewish Historical Society
1918
[51]
서적
Millennial Expectations and Jewish Liberties: A Study of the Efforts to Convert the Jews in Britain, Up to the Mid Nineteenth Century
Brill Archive
[52]
뉴스
WEDGWOOD FAVORS JEWISH HOME LAND; Sees in Palestine Restoration Plan the Final Solution of the Eastern Problem. COMES HERE TO ADVOCATE IT Hopes Ambassadors from the New State Will Be in Every National Capital of the World
New York Times
1918-02-04
[53]
간행물
Persecution of the Jews, The Living Age
Littell, Son & Company
1883
[54]
서적
Allies for Armageddon: The Rise of Christian Zionism
Yale University Press
2007
[55]
서적
Churchill's Promised Land: Zionism and Statecraft
Yale University Press
2007
[56]
서적
American Consuls in the Holy Land, 1832–1914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57]
문서
Valley of vision: or, The dry bones of Israel revived: an attempted proof, from Ezekiel, chap. xxxvii, 1–14, of the restoration and conversion of the Jews
https://books.google[...]
1844
[58]
서적
On Behalf of Israel; American Fundamentalist Attitudes toward Jews, Judaism, and Zionism, 1865–1945
Carlson Publishing
1991
[59]
웹사이트
The Untold Story. The Role of Christian Zionists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day Israel
http://www.leaderu.c[...]
Leadership U
2002-07-13
[60]
웹사이트
Rethinking Sir Moses Montefiore: Religion, Nationhood, and International Philanthropy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www.historyco[...]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2005-06
[61]
서적
The Origins of Christian Zionism: Lord Shaftesbury And Evangelical Support For A Jewish Hom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1-02
[62]
서적
A Narrative of a Mission of Inquiry to the Jews from the Church of Scotland in 1839
1842
[63]
웹사이트
M'Cheyne's friends
http://web.ukonline.[...]
[64]
웹사이트
Reverend William H. Hechler—The Christian minister who legitimized Theodor Herzl
http://jewishmag.com[...]
2010-07
[65]
서적
The politics of Christian Zionism, 1891-1948
https://www.worldcat[...]
F. Cass
1998
[66]
간행물
Why did Lord Balfour back the Balfour Declaration?
https://scienceopen.[...]
2021-09-17
[67]
서적
The origins of Christian Zionism: Lord Shaftesbury and evangelical support for a Jewish homeland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sessment
2010
[68]
서적
The fervent embrace : liberal Protestants, evangelicals, and Israel
NYU Press
2012
[69]
서적
The politics of Christian Zionism, 1891–1948
F. Cass
1998
[70]
간행물
The American Christian Palestine Committee, the Holocaust, and Mainstream Protestant Zionism, 1938–1948
https://academic.oup[...]
2010-10-01
[71]
논문
Jacob Gartenhaus: The Southern Baptists' Jew
http://jsreligion.or[...]
2017
[72]
서적
God's rascal : J. Frank Norris & the beginnings of Southern fundamentalism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5-01-13
[73]
서적
Between Dixie and Zion : Southern Baptists and Palestine before Israel
University of Alabama Press
[74]
뉴스
Northern Ireland's Protestants and Catholics Adopt Israeli, Palestinian Flags as Symbols
https://www.haaretz.[...]
Haaretz
2018-03-20
[75]
서적
Covenant Brother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6]
서적
Covenant Brother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7]
논문
A "Practical Outlet" to Premillennial Faith: G. Douglas Young and the Evolution of Christian Zionist Activism in Israel
https://www.cambridg[...]
2015
[78]
서적
The Late Great Planet Earth
https://books.google[...]
Zondervan
1970
[79]
웹사이트
Sermon: The Final Generation
https://www.gty.org/[...]
2011-04-03
[80]
서적
Fundamentalist Phenomenon
https://archive.org/[...]
Baker Publishing Group
[81]
서적
Strangers in the land: Blacks, Jews, post-Holocaust Ame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82]
웹사이트
christianactionforisrael.org
http://christianacti[...]
[83]
논문
The Armageddon Lobby: Dispensationalist Christian Zionism and the Shaping of US Policy Towards Israel-Palestine.
2006
[84]
문서
Catholic Zionists are a marginal [[post-World War II]] phenomenon: [[Alan Keyes]] (USA), [[Menahem Macina]] (France), [[Roy Schoeman]] (USA).
[85]
book review
Zionism and the Quest for Justice in the Holy Land
https://www.mepc.org[...]
Middle East Policy Council
2019-06-06
[86]
문서
Cf.{{space|thin}}[[Book of Revelation|Revelation]] {{bibleverse-nb|Revelation|3:12|KJV}}.
[87]
간행물
The Way of a Pilgrim and a Pilgrim Continues His Way
Shambhala Publications
[88]
웹사이트
THEODOR HERZL: Audience with Pope Pius X (1904)
https://www.ccjr.us/[...]
Council of Centers on Jewish-Christian Relations
2018-03-20
[89]
웹사이트
The Vatican, American Catholics and the Struggle for Palestine, 1917-1958: A Study of Cold War Roman Catholic Transnationalism
https://ir.lib.uwo.c[...]
Western University
2018-03-20
[90]
웹사이트
Why Israel Matters: The Biblical Roots of Catholic Zionism
https://www.hprweb.c[...]
Homiletic & Pastoral Review
2024-07-26
[91]
웹사이트
Catholic Zionism
https://www.firstthi[...]
First Things
2020-01-01
[92]
문서
Cf.{{space|thin}}[[Isaiah]] {{bibleverse-nb|Isaiah|37:33–38|KJV}}.
[93]
웹사이트
Anxious for Armageddon: A Call to Partnership for Middle Eastern and Western Christians
https://archive.org/[...]
Herald Press
[94]
웹사이트
Response to Christian Zionism
https://web.archive.[...]
2013-11-04
[95]
웹사이트
Position on Christian Zionism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13-11-01
[96]
논문
Introduction
https://mccintersect[...]
Mennonite Central Committee
2005-07
[97]
웹사이트
Presbyterian Church group: Zionism is the problem
http://www.timesofis[...]
2023-10-23
[98]
웹사이트
Resources on the Middle East
https://www.globalmi[...]
Global Ministries: a common missional witness of the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and the [[United Church of Christ]]
2019-06-06
[99]
웹사이트
With God On Our Side
https://alexchediak.[...]
[100]
서적
Narrative of a Mission of inquiry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1845
[101]
뉴스
Church of Scotland: Jews do not have a right to the land of Israel A new church report challenging Jewish historic claims and criticizing Zionism has drawn anger and harsh condemnation from the local Jewish community.
http://www.haaretz.c[...]
Haaretz
2014-06-29
[102]
웹사이트
Church of Scotland Thinks Twice, Grants Israel the Right to Exist
http://www.jewishpre[...]
The Jewish Press
2013-05-12
[103]
웹사이트
Support work for peace in divided region, Synod urged
http://www.churchtim[...]
2012-07-13
[104]
웹사이트
Board of Deputies statement on the Synod EAPPI vote
http://www.thejc.com[...]
2012-07-12
[105]
논문
40 ways to end the occupation
http://www.ngo-monit[...]
[106]
서적
Islam in the Eyes of the West: Images and Realities in an Age of Terro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7]
뉴스
Video: The Christian Right and the Shaping of American Policies in Israel/Palestine
https://rpl.hds.harv[...]
Harvard Divinity School
2021-10-26
[108]
뉴스
A sizeable US demographic, many Evangelicals are sending money and manpower to Israel
https://www.timesofi[...]
2023-11-12
[109]
뉴스
Israel's Current Crisis Exposes Christian Zionism's Contradictory Ideals
https://newlinesmag.[...]
2023-07-27
[110]
뉴스
Onward, Christian Zionists
http://www.weeklysta[...]
2010-08-02
[111]
뉴스
How CUFI has awakened the 'sleeping giant' of Christian Zionism
https://www.jns.org/[...]
2022-09-05
[112]
뉴스
He was the head of Christians United for Israel. Now he's running as a Jewish candidate for Congress
https://forward.com/[...]
2022-09-05
[113]
뉴스
Half of evangelicals support Israel because they believe it is important for fulfilling end-times prophecy
https://www.washingt[...]
2020-02-15
[114]
서적
輝くエルサレムを見よ-選ばれた民への神の真実-
カナン出版
[115]
웹사이트
神戸市:KOBEの本棚 第22号
http://www.city.kobe[...]
[116]
웹사이트
聖書に約束されたイスラエル
http://www.harvestti[...]
[117]
문서
新改訳聖書
[118]
서적
新しいひとりの人
ハーベスト・タイム・ミニストリーズ
[119]
서적
我が民を去らせよ
ハーベスト・タイム
[120]
서적
出エジプト作戦
マルコーシュ・パブリケーション社
[121]
뉴스
Bush hails Israel's "chosen people" as Arabs lament
Reuters
2008-05-15
[122]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に関する2つの極端を捨てよう
https://web.archive.[...]
[123]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の回復を支持した著名な神学者たち
http://www.millnm.ne[...]
[124]
간행물
Christian Perspectives on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25]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 World Congress of Jewish Studies
World Union of Jewish Stud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