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토아 반대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토아 반대파는 19세기 학자 가스통 부아지에가 제시한 개념으로,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스토아 학파가 황제의 권력 남용에 반대하며 논리적인 철학적 통치를 옹호했다는 시각을 담고 있다. 네로 황제 시기부터 베스파시아누스, 도미티아누스 황제 시기까지 이어진 스토아 학파의 반대는 원로원 의원들의 재판과 철학자들의 추방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스토아 학파가 정치 이론보다는 국가 운영에 대한 열망을 주로 표현했으며, 반대파로 언급된 인물들이 자신들의 권력 회복을 원했던 원로원 계층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 개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스토아 학파는 도덕적인 행위를 강조하며 정치 참여를 옹호했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에게 영향을 미치는 등 후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철학 - 신국론
    신국론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 이후 기독교를 옹호하고 기독교인들을 위로하기 위해 쓴 22권의 책으로, 세속 도시와 신의 도시 간의 갈등을 제시하며 신의 도시의 승리를 주장하고 로마의 종교와 철학을 비판하며 두 나라의 관계와 종말론을 논하는 역사철학적 저서이다.
  • 로마 철학 -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는 에피쿠로스 철학을 바탕으로 자연, 우주, 인간의 삶과 죽음을 탐구하며, 원자론, 유물론, 자연 법칙에 따른 세계관을 제시하고, 미신과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 마음의 평정을 추구하는 철학 서사시이다.
  • 스토아 학파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스토아 학파 - 관용론
    세네카의 《관용론》은 네로 황제의 통치 안정 및 정당화를 위해 쓰여진 정치적 저술로, 훌륭한 통치자와 폭군의 차이를 제시하며 통치자와 피통치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역사적 사례와 스토아 철학을 통해 관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르네상스 이후 재평가되어 현대 정치 지도자들에게도 교훈을 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스토아 반대파
개요
유형고대 로마의 철학적 운동
주요 인물파에투스 트라세아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
마르쿠스 안나이우스 루카누스
가이우스 무소니우스 루푸스
활동 시기1세기 로마 제국
특징특정 황제의 전제적 통치에 대한 도덕적, 철학적 반대
배경
철학적 기반스토아 학파 철학
정치적 상황1세기 로마 제국의 황제들의 권위주의적 통치
주요 인물
파에투스 트라세아원로원 의원이자 스토아 철학자로, 네로 황제에 의해 반역죄로 처형됨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원로원 의원으로,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에 의해 추방되고 처형됨
마르쿠스 안나이우스 루카누스시인이자 네로 황제의 친구였으나, 후에 반역 혐의로 자살을 강요받음
가이우스 무소니우스 루푸스스토아 철학자로, 여러 황제에 의해 추방되었으나 그의 가르침은 지속됨
특징
도덕적 저항스토아 철학의 원칙에 따라 부당한 권력에 대한 저항
시민적 의무 강조공공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고, 정의를 수호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김
죽음에 대한 초연함스토아 철학에 따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도덕적 신념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감수함
영향
후대 철학자후대의 스토아 철학자들과 정치 사상가들에게 영감을 줌
정치적 저항 운동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짐

2. 개념

'스토아 반대파'라는 개념은 19세기 가스통 부아지에의 연구에서 비롯되었다.[24][2] 그는 1세기 때의 황제들에 대한 반대가 대부분 권력의 독단적 사용을 반대하고 논리 정연한 철학적 통치를 선호했던 스토아 학파들이 주도했다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24][2] 이 반대는 네로 시기 때 시작되었고, 플라비우스 황제들 시기, 그 중에서도 특히 베스파시아누스도미티아누스 시기에도 이어져 스토아주의자 원로원 의원들의 재판과 로마에서 철학자들의 축출을 유발하였다.[25][3] 이 개념은 어떻게 스토아의 교리들이 이 시기 내내 정치적으로 신용받지 못 한지를 보여주는 문헌적 증거들을 끄집어낸 학자들에 의해 20세기에 더해지고 확장되었다.[25][3]

최근 들어 이 논리 정연한 스토아 반대파에 대한 생각이 비판을 받고 있다.[26][4] 이 비판에서는 남아있는 스토아 문서들에서는 잘 운영되는 국가에 대한 열망을 넘어 정치 이론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거의 전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26][4] 스토아 반대파에서 언급된 여러 인물들은 제국 당국에 취약한 원로원 계층들이었고, 자신들의 권력과 특권의 회복을 바라던 자들이었다.[24][2] 많은 사람들이 의심의 여지 없이 박해받았으나 여기에는 스토아 철학에 대한 고수를 위해 그랬다는 증거가 거의 없다.[25][3] 이러한 관점들에 반대하여 스토아 학파들은 유일선인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 (미덕)을 강조했고 반면에 어떤 형태의 도덕적으로 개탄스러운 행동은 유일악으로 여겨진다는 점이 언급된다.[27][5] 스토아 교리는 정치 생활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선호했고,[28][6] 부분적으로는 이 기간 반체제자들을 지지하는 행동을 했다는 것이다.[26][4]

3. 역사

3. 1. 선구자

기원전 1세기 당시 스토아주의 원로원 의원 소 카토기원전 49년–45년 내전율리우스 카이사르를 반대하였다.[27][5] 탑수스 전투에서 패한 뒤, 카토는 카이사르의 통치에 인생을 바치기보다는 자살을 하는 걸 택했다.[28][6] 카토는 전체 통치를 반대하는 상징으로서 그를 여기는 주요 스토아주의자들에 의해 칭송받았을 것이다.[28][6] 세네카한테 있어 그는 공식적인 스토아 철학의 롤모델로, 그의 순교는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연상시켰다.[28][6] 유사하게 그는 루카누스의 '내전기'에서 일관된 영웅적 인물들 중 한 명으로 등장하였다.[27][5]

3. 2. 네로 시대

네로 시기에 스토아 반대파에 대한 박해가 처음 시작되었다. 황제의 먼 친척이었던 루벨리우스 플라우투스는 잠재적 경쟁자로 여겨져 60년에 소아시아로 추방되었고, 스토아 철학자 무소니우스 루푸스가 그와 동행했다.[29] 2년 뒤, 티겔리누스는 플라우투스가 스토아 철학자들의 오만함을 품고 모의를 꾸민다고 네로를 겁주었다.[30] 무소니우스의 조언에 따라 플라우투스는 죽음을 택했고, 로마에서 온 백부장이 그를 암살했다.[29]

65년에는 피소 암살 모의가 에파프로디투스에 의해 네로에게 보고되면서 세네카와 루카누스가 자결형을 선고받았다.[31] 플라우투스 사후 로마로 돌아온 무소니우스 루푸스는 철학 스승이라는 명성 때문에 다시 추방당해 기아로스섬에서 제자들과 함께 토양을 연구했다.[29]

66년경, 트라세아 파이투스는 반역 혐의로 재판을 받고 사형에 처해졌다.[25] 타키투스에 따르면, 네로의 적대감은 코수티아누스 카피토가 부추겼는데, 그는 트라세아가 전제 정치에 반대하는 스토아 주의자라고 비난했다.[25] 트라세아의 친구 아룰레누스 루스티쿠스호민관으로서 거부권을 행사하려 했으나, 트라세아는 그를 막았다.[32] 트라세아의 사위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와 친구 파코니우스 아그리피누스도 같은 시기에 재판을 받고 추방당했다.[25]

바레아 소라누스 역시 65년 또는 66년에 재판을 받았다. 그는 루벨리우스 플라우투스와의 친분, 그리고 반란 선동 혐의로 기소되었다.[26] 그의 딸 세르빌리아도 마법사와 상담한 혐의로 기소되어 함께 사형을 선고받고 자결했다.[26]

푸블리우스 에그나티우스 켈레르는 스토아 교사였으나, 바레아 소라누스에게 거짓 혐의를 씌웠다. 그는 나중에 무소니우스 루푸스에게 고발당했다.[34]

3. 3. 베스파시아누스 시대

베스파시아누스 재위 동안에 철학 학파들, 그 중에서도 특히 스토아 학파 철학자들은 정치적 위협으로 여겨졌다.[35][13] 베스파시아누스의 첫 행보들 중 하나는 71년 또는 72년에 로마시에서 철학자들의 출입을 금한 것이었다.[35][13] 무소니우스 루푸스는 그가 워낙 존경받았기에 처음에는 잔류하는 게 허가되었으나, 나중에는 마찬가지로 대략 서기 75년경[29][7]에 추방되었다.[35][13] 무소니우스는 시리아로 갔다가, 베스파시아누스가 죽은 서기 79년 후에야 로마로 돌아왔다.[29][7]

베스파시아누스는 자비로운 통치자로 자기 자신을 나타내고 싶어했으나, 그는 전제 권력을 반대하고 제정 및 세습을 비난하며 원로원 권력에 대한 열렬한 지지자였던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의 반대에 부딪쳤다.[36][14] 헬비디우스는 결국에 베스파시아누스에게 처형당하였다.[36][14] 에픽테토스는 그가 원로원에 출석하지 말라는 베스파시아누스의 명령을 거부한 것에 대해 프리스쿠스를 찬미하였다.[37][15]

3. 4. 도미티아누스 시대

서기 93년, 도미티아누스 황제를 모욕한 혐의로 7명이 재판에 회부되었다. 이 중 아룰레누스 루스티쿠스, 헤렌니우스 세네키오,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 (선대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들) 등 세 명이 사형에 처해졌다.[38][16] 아룰레누스 루스티쿠스는 보좌 집정관으로 임명된 지 1년 만에 트라세아를 칭송하는 송덕문을 썼다는 이유로 처형당했다.[40][18] 에픽테토스에 따르면, 루스티쿠스는 황제의 서신을 받기 전까지 강의를 진행할 정도로 품위있는 인물이였다고 한다.[39][17]

프리스쿠스의 미망인이자 트라세아의 딸인 판니아는 헤렌니우스 세네키오에게 남편의 일기 필사본을 사용하여 송덕문을 써달라고 부탁했고, 이로 인해 세네키오는 처형되고 판니아는 추방되었다.[40][18] 소 헬비디우스는 도미티아누스와 도미티아의 결혼을 풍자한 파리스와 오이노네에 관한 희극을 써서 사형을 선고받았다.[40][18]

도미티아누스는 철학자들의 반대를 의심하여 88/9년에 철학자들을 추방했고, 93/4년에 다시 한번 로마시와 이탈리아 전역에서 철학자들을 몰아냈다.[41][42][19][20] 이때 추방당한 철학자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그리스 니코폴리스로 이주하여 성공적인 학파를 세운 에픽테투스이다.[42][20] 에픽테투스는 스토아 철학 제자들에게 파코니우스 아그리피누스와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를 도덕적 모범으로 삼을 것을 권하였다.[43][21]

4. 후대 영향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어린 시절부터 스토아 철학 교육을 받았다.[44][22] 그는 아룰레누스 루스티쿠스의 직계 후손인 유니우스 루스티쿠스를 포함한 여러 스토아 철학자들을 가정 교사로 두었다.[44] '명상록'에서 마르쿠스는 네로를 독재자로 언급하고, 트라세아 및 헬비디우스 프리스쿠스를 포함하여 스토아 철학의 공화주의적 정치 사상을 소개해준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에게 감사함을 표했다.[44][22]

마르쿠스가 언급한 디오는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은 수사학자이자 무소니우스 루푸스의 제자였던 디오 크리소스토모스일 것으로 추정된다.[44][22] 그는 서기 82년에 도미티아누스 황제에게 로마에서 추방당했으나, 네르바와 사이가 좋은 친우였기에 네르바가 황제에 오르자 로마로 복귀했다.[44][22] 또한 그는 무소니우스 루푸스의 친구였던 스토아 철학자 티레의 에우프라테스와도 친분이 있었다.[44]

참조

[1] 문서 Musonius Rufus and Education in the Good Life
[2] 서적 Literature and politics in the age of Nero Cornell University Press
[3] 서적 Nero: The End of a Dynasty Psychology Press
[4] 서적 Republicanism During the Early Roman Empire A&C Black
[5]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6] 서적 Seneca: De Clementia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Musonius Rufus and Education in the Good Lif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8] 서적 Seneca: De Otio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Lucan: Spectacle and Engagement Clarendon Press
[10] 서적 Dying Every Day: Seneca at the Court of Nero Vintage Books
[11] 문서 Discourses
[12] 문서 Discourses
[13]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14]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15] 문서 Discourses
[16] 서적 The Emperor Domitian Routledge
[17] 서적 On being a busybody
[18]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19] 서적 The Emperor Domitian Routledge
[20] 서적 Ancient Rome: An Anthology of Sources Hackett
[21] 문서 Discourses
[22] 문서 Meditations
[23] 문서 Musonius Rufus and Education in the Good Life
[24] 서적 Literature and politics in the age of Nero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5] 서적 Nero: The End of a Dynasty Psychology Press
[26] 서적 Republicanism During the Early Roman Empire A&C Black
[27]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28] 서적 Seneca: De Clementia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Musonius Rufus and Education in the Good Lif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0] 서적 Seneca: De Otio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Lucan: Spectacle and Engagement Clarendon Press
[32] 서적 Dying Every Day: Seneca at the Court of Nero Vintage Books
[33] 문서 Discourses
[34] 문서 Discourses
[35]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36]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37] 문서 Discourses
[38] 서적 The Emperor Domitian Routledge
[39] 서적 On being a busybody
[40] 서적 Flavian Rome: Culture, Image, Text Brill
[41] 서적 The Emperor Domitian Routledge
[42] 서적 Ancient Rome: An Anthology of Sources Hackett
[43] 문서 Discourses
[44] 서적 명상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