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카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카누스는 로마 시대의 시인으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철학적, 수사학적 교육을 받고 네로 황제 치세에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황제의 총애를 받아 퀘스토르 직에 임명되었으며, 서사시 《파르살리아》를 발표했으나, 네로와의 갈등으로 인해 반역죄로 고발되어 자살했다. 그의 작품으로는 《파르살리아》가 현존하며, 《피소 찬가》는 그의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9년 출생 - 티투스
    티투스는 플라비우스 왕조의 로마 황제였으며, 베수비오 화산 폭발과 로마 대화재 등의 재난에 대처하고 콜로세움 건설을 마무리했으며,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 65년 사망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는 히스파니아 출신의 로마 제국 정치가이자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서, 네로 황제의 고문으로 활동했으나 피소 음모에 연루되어 자결했으며, 윤리적 에세이, 서간집, 비극 등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
  • 65년 사망 - 포파이아 사비나
    포파이아 사비나는 폼페이 출신으로 뛰어난 미모와 정치적 야망을 가진 로마 황후였으며, 네로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클라우디아 옥타비아를 제거하고 황후 자리에 올랐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유대교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고, 임신 중 사망 원인에 대한 여러 주장이 존재하며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강제로 자살한 사람 -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고대 아테네의 철학자로 서양 철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 중 한 명이며, 문답법을 통해 진리를 추구하고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경구를 중시하다 아테네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죄목으로 사형을 받고 철학적 순교로 여겨지는 죽음을 맞이했다.
  • 강제로 자살한 사람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루카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루카누스
본명마르쿠스 안나에우스 루카누스
로마자 표기Marcus Annaeus Lucanus
출생일39년 11월 3일
출생지히스파니아 바에티카, 코르도바
사망일65년 4월 30일 (25세)
사망 원인강제 자살
국적로마
직업시인
배우자폴라 아르겐타리아
어머니아킬리아
가문안나에아 가문
가계
조부대 세네카
삼촌소 세네카
활동 시기
시대고대 로마 백은 시대

2. 생애

루카누스의 생애는 주로 수에토니우스, 바카, 타키투스, 스타티우스 등의 고대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다. 그는 로마 제국 초기, 네로 황제 시대에 활동했던 유명한 시인이다.

코르두바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할아버지인 대 세네카와 삼촌인 소 세네카의 영향을 받으며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다. 젊은 나이에 네로 황제의 총애를 받아 퀘스토르, 아우구르 등 요직에 임명되었고, 시인으로서도 명성을 얻었다. 그의 대표작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의 로마 내전을 다룬 서사시 ''파르살리아''이다.

그러나 점차 네로 황제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결국 서기 65년 피소 음모에 가담했다가 발각되어 25세의 젊은 나이에 자살을 강요당하며 생을 마감했다. 그의 생애와 작품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2. 1. 출생과 가문

루카누스의 생애는 수에토니우스, 바카, 그리고 익명의 작가가 쓴 세 개의 고대 기록과 마르티알리스, 카시우스 디오, 타키투스의 ''연대기'', 스타티우스의 ''실바에'' 등에 언급된 내용을 통해 재구성할 수 있다.

루카누스는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던 코르두바(현재 스페인 코르도바)에서 이탈리아 중부 출신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르쿠스 안나에우스 멜라였고, 할아버지는 유명한 수사학자 대 세네카였다. 그는 철학자이자 정치가인 삼촌 소 세네카의 보살핌 아래 로마에서 성장했다.

그는 아테네에서 안나에우스 코르누투스(Annaeus Cornutus)에게 수사학을 배웠으며[1], 삼촌 소 세네카로부터 철학과 스토아주의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아내는 폴라 아르겐타리아(Polla Argentaria)였으며, 그녀가 루카누스의 서사시 ''파르살리아'' 집필을 도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

2. 2. 교육

루카누스는 대 세네카의 손자로, 로마에서 삼촌인 소 세네카의 보살핌과 개인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 그는 삼촌에게서 철학과 스토아주의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아테네로 유학하여 안나에우스 코르누투스(Annaeus Cornutus)에게서 수사학을 공부했다.[1]

2. 3. 네로와의 관계 및 최후

루카누스의 ''파르살리아'' 프랑스어판 판화 표지, 1657


루카누스는 네로 황제 치하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황제의 가까운 친구 중 한 명이 되었다. 그 덕분에 법정 연령보다 일찍 퀘스토르 직책에 임명되는 보상을 받았다. 서기 60년에는 네로니아 축제에서 즉흥적으로 지은 ''오르페우스''와 ''네로 찬가''(Laudes Neronisla)로 상을 받았고, 네로 황제는 그를 아우구르로 임명하며 다시 한번 보상했다. 이 시기에 루카누스는 그의 대표적인 서사시인 ''파르살리아''(Pharsaliala, 사본에는 ''내전에 관하여''(De Bello Civilila)로 표기)의 첫 세 권을 발표했다. 이 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사이의 로마 내전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어느 시점에서 네로와 루카누스 사이에 불화가 생겼다. 이 불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설명이 전해진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네로가 루카누스의 재능을 질투하여 그의 시 출판을 금지했다고 한다.[3][9] 반면 수에토니우스는 네로가 루카누스에게 흥미를 잃고 공개 낭독회 도중 자리를 떠나는 등 무시하자, 이에 분개한 루카누스가 네로를 모욕하는 시를 썼다고 기록했다.[4][10] 두 기록 모두 불화의 원인을 비교적 사소하게 다루고 있다.

하지만 다른 문헌들은 이들 사이에 더 심각한 갈등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문법학자 바카와 시인 스타티우스의 기록은 루카누스가 네로를 비판하는 시를 썼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바카는 루카누스의 작품 중 ''도시의 화재에 관하여''(De Incendio Urbisla)라는 제목의 시가 있었다고 언급했고,[5][11] 스타티우스는 루카누스에게 바치는 송시에서 그가 "사악한 폭군(네로)의 말할 수 없는 불꽃이 레무스의 언덕(로마)을 배회했다"고 묘사했다고 전한다.[6][12] 실제로 ''파르살리아''의 후반부 내용은 반(反)제국주의적이고 공화정을 옹호하는 성향을 강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네로 황제와 제정에 대한 비판이 시 출판 금지의 진짜 이유였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루카누스는 서기 65년에 네로 황제에 대항한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의 피소 음모에 가담했다. 그러나 음모는 발각되었고, 루카누스는 반역죄로 고발당했다. 그는 사면을 받기 위해 자신의 어머니 아킬리아를 포함한 다른 공모자들을 밀고했으나,[7] 결국 정맥을 끊어 자살하도록 강요당했다. 이때 그의 나이는 25세였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루카누스는 피를 흘리며 죽어가면서 "자신이 쓴 시 구절, 즉 비슷한 방식으로 죽어가는 부상당한 병사를 묘사한 부분을 떠올리고 그 구절들을 그대로 읊었다. 그것이 그의 마지막 말이었다."[7][13][14] 일각에서는 그의 죽음이 자살이 아니라 네로의 명령에 따른 처형이었다는 해석도 있다.[8]

루카누스의 아버지는 이 사건에 연루되어 재산 몰수를 당하고 추방되었지만, 그의 어머니는 살아남았다. 그의 아내 폴라 아르겐타리아(Polla Argentaria)는 루카누스 사후에도 살아남았고, 스타티우스도미티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에 루카누스의 생일을 기리며 그녀에게 시(''실바에'', ii.7, ''루카누스 생일 시'')를 헌정했다.[15]

2. 4. 아내

루카누스의 아내는 폴라 아르겐타리아(Pola Argentaria)였다. 그녀는 루카누스가 서사시 ''파르살리아''를 쓰는 것을 도왔다고 전해진다.[2] 루카누스가 죽은 후, 시인 스타티우스도미티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에 루카누스의 생일을 맞아 그의 과부인 폴라 아르겐타리아에게 시(''실바에'', ii.7, ''루카누스 생일 시'')를 헌정했다.

3. 작품

바카스타티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루카누스의 작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현존하는 작품: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사이의 내전을 다룬 서사시 ''파르살리아''(Pharsalia|파르살리아la) 또는 ''내전기''(De Bello Civili|데 벨로 키빌리la)가 유일하게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 위작 논란이 있는 작품: 피소 가문을 찬미하는 내용의 ''피소 찬가''(Laus Pisonis|라우스 피소니스la)는 루카누스의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다른 작가의 작품이라는 견해도 있다.
  • 소실된 작품: ''카타크토니온''(Catachthonion|카타크토니온la), ''일리콘''(Iliacon|일리콘la), ''네로 찬가''(Laudes Neronis|라우데스 네로니스la), ''도시 화재에 대하여''(De Incendio Urbis|데 인켄디오 우르비스la) 등 다수의 작품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도시 화재에 대하여''는 64년 로마 대화재를 다루면서 네로 황제가 방화범이라고 비난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3. 1. 《파르살리아》 (Pharsalia)

''파르살리아'', 1740


루카누스의 현존하는 작품으로, ''파르살리아''(Pharsaliala) 또는 ''내전기''(De Bello Civilila)라고도 불린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간의 전쟁을 다룬 서사시이다.

3. 2. 소실된 작품

바카와 스타티우스에 따르면, 루카누스의 소실된 작품은 다음과 같다.

  • Catachthonion|카타크토니온lat
  • Iliacon|일리콘lat - 트로이 전설을 다룬 작품.
  • Epigrammata|에피그램마타lat
  • Adlocutio ad Pollam|아드록쿠티오 아드 폴람lat
  • Silvae|실바에lat
  • Saturnalia|사투르날리아lat
  • Medea|메데이아lat
  • Salticae Fabulae|살티카에 파불라에lat
  • Laudes Neronis|네로 찬가lat - 네로 황제를 찬미하는 내용.
  • Orpheus|오르페우스lat
  • Prosa oratio in Octavium Sagittam|옥타비움 사기타에 대한 산문 연설lat
  • Epistulae ex Campania|캄파니아에서 온 서한lat
  • De Incendio Urbis|도시 화재에 대하여lat - 64년 로마 대화재를 다룬 작품으로, 네로가 방화했다는 비난을 담았을 가능성이 있다.

3. 3. 위작

''피소 찬가''(Laus Pisonisla)는 피소 가문에 대한 찬사이다. 이 작품은 루카누스에게 자주 귀속되지만,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The Life of Lucan https://penelope.uch[...]
[2] 서적 Female Biography, vol 3 https://babel.hathit[...] Philadelphia: Printed for Byrch and Small 2017-10-14
[3] 서적 Annals
[4] 서적 The Life of Lucan https://penelope.uch[...]
[5] 서적 Life of Lucan
[6] 서적 Silvae
[7] 서적 Annals
[8] 학술지 Tacitus and the Death of Lucan 1987-04-01
[9] 서적 年代記
[10] 서적 Lives of the Poets
[11] 서적 Life of Lucanus
[12] 서적 Silvae
[13] 문서 ファルサリア(内乱)の第4巻516-7
[14] 서적 年代記
[15] 서적 Silv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