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글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글락은 성경에 등장하는 지명으로, 다윗이 블레셋 망명 기간 동안 근거지로 삼았던 곳이다. 시글락의 정확한 위치는 여러 곳이 제안되었으며, 19세기 말에는 엘루사(할루자)와 키르벳 주헤일리카가 유력하게 거론되었다. 이후 텔 할리프/텔 엘-쿠웨일리페, 텔 에스-샤리아, 텔 자이트, 키르벳 아-라'이 등이 시글락의 위치로 제시되었다. 시글락은 다윗이 아말렉 족속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전리품을 분배하며 세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게브 사막 - 네게브땃쥐
    네게브땃쥐는 땃쥐과에 속하며 이스라엘에서 발견되는 흰이땃쥐속의 포유류이다.
  • 유다 왕국 - 예루살렘 공방전 (기원전 597년)
    기원전 597년, 느부갓네살 2세가 유다 왕국을 침공하여 예루살렘을 함락시킨 예루살렘 공방전은 여호야김의 친이집트 정책에 대한 반발로, 여호야김 왕의 사망과 여호야긴 왕의 옹립, 그리고 많은 유대인들의 바빌론 유수를 야기했다.
  • 유다 왕국 - 베데스다못
    베데스다 못은 예루살렘에 위치한 고대 저수지로, 빗물 저장, 종교적·의학적 기능 수행, 교회 및 학교 건축 등 다양한 역사적, 종교적 의미를 지닌 유적지이다.
  • 블레셋 - 가자
    가자는 기원전 15세기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2007년부터 하마스 통치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지속되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최대 도시이다.
  • 블레셋 - 아슈켈론
    아슈켈론은 고대 불레셋의 항구 도시로, 십자군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맘루크 술탄에 의해 파괴된 후 국립공원으로 관리되고, 이스라엘 횡단 파이프라인의 종착역이자 경제적 시설을 갖춘 도시이다.
시글락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지리적 위치유다 왕국 남부
관련 역사블레셋
다윗
성경 정보
위치네게브 지역
관련 성경 구절사무엘상 27:5-6
중요 사건다윗블레셋 사람들에게 망명했을 때 거주한 곳
역사적 중요성
다윗의 피난처다윗이 사울 왕을 피해 블레셋으로 망명했을 때 가드 왕 아기스에게 받은 성읍
왕국 할당다윗이 시글락을 유다 지파에 영구히 할당함
현대적 해석
위치 비정위치가 정확히 비정되지는 않았음
유적지 추정텔 할리프
텔 세바
텔 에스 시라

2. 지명 식별

시글락의 위치로 최소 14곳이 제안되었다.[13] 19세기 말에는 할루자(와디 아슬루지, 브엘세바 남쪽)와 키르벳 주헤일리카(브엘세바 북서쪽, 가자 시의 남동쪽)가 가능한 위치로 제안되었다. 콘더와 키치너는 키르벳 주헤일리카를 "지글락"이 "자할리쿠"의 변형이며, 여기에서 "주헤일리카"가 유래되었다는 근거로 이 지역을 시글락으로 특정했다.[2]

2. 1. 초기 제안

19세기 말, 할루자(와디 아슬루지, 브엘세바 남쪽)[2]와 키르벳 주헤일리카(브엘세바 북서쪽, 가자 시의 남동쪽)[3][4]가 시글락의 가능한 위치로 제안되었다. 콘더와 키치너는 키르벳 주헤일리카를 "지글락"이 "자할리쿠"의 변형이며, 여기에서 "주헤일리카"가 유래되었다는 근거로 이 지역을 시글락으로 특정했다.[2]

최근에 제안된 시글락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학자제안 위치비고
알브레히트 알트(1883–1956)텔 할리프/텔 엘-쿠웨일리페 (라하브 키부츠 바로 옆, 브엘세바에서 북동쪽으로 약 16.09km)이 식별 때문에 한동안 라하브는 공식적으로 체크레그로 불렸다.[6]
모셰 가르시엘, 바트-셰바 가르시엘(2020년 6월)텔 에스-샤리아(아랍어) 또는 텔 세라(히브리어)텔과 와디의 이름이 모두 아랍어로 "법"을 의미하므로, 이 지역에서 일어난 전리품을 전사들과 남겨진 사람들에게 나누는 다윗의 법(사무엘상 30:22–26)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제안.[8]
텔 자이트[9]
예세프 가르핀켈(2019년 발굴)셰펠라에 있는 키르벳 아-라'이 (현대 키르야트 가트 근처)아렌 메이어와 이스라엘 핀켈스타인에 의해 성경적 지리학과 이름의 연속성 부족을 이유로 주로 반박,[12] 카일 켈머는 2023년에 이 식별을 지지.[13]


2. 2. 최근 제안

알브레히트 알트(1883–1956)는 브엘세바에서 북동쪽으로 약 16.09km 떨어진 라하브 키부츠 바로 옆 텔 할리프/텔 엘-쿠웨일리페를 제안했다.[5][7] 이 때문에 한동안 라하브는 공식적으로 체크레그로 불렸다.[6]

텔 에스-샤리아(아랍어) 또는 텔 세라(히브리어).[5][7] 2020년 6월, 모셰 가르시엘과 바트-셰바 가르시엘은 텔과 와디의 이름이 모두 아랍어로 "법"을 의미하므로, 이곳에서 일어난 전리품을 전사들과 남겨진 사람들에게 나누는 다윗의 법(사무엘상 30:22–26)을 기념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8]

텔 자이트[9]

2019년에 예세프 가르핀켈이 셰펠라에 있는 키르벳 아-라'이(현대 키르야트 가트 근처)를 발굴하여 제안했으며[10][11], 아렌 메이어와 이스라엘 핀켈스타인은 성경적 지리학과 이름의 연속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반박했다.[12] 카일 켈머는 2023년에 이 식별을 지지했다.[13]

3. 성경 속의 시글락

다윗블레셋 망명기를 끝내고 돌아온 뒤, 시글락 지역을 약탈한 아말렉족들을 무찌른 전투에 대한 내용이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이 전투에서 승리하여 그 지역 원로들의 지지를 얻고 시글락과 이스라엘 남부 지역에 근거지를 확보했다.[2]

사무엘기 상 30장에는 다윗이 블레셋의 왕 아기스에게 시글락을 받았으며, 이곳을 기지로 삼아 게술 족속, 기르스 족속, 아말렉 족속을 공격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다윗은 겉으로는 블레셋의 봉신 역할을 하면서, 실제로는 아기스의 감시를 피해 이들을 공격했다.[14]

사울의 탄압을 피해 블레셋 왕 아기스에게 망명했던 다윗은, 블레셋 사람들이 다윗의 부대를 이스라엘 공격에서 제외하자 600명의 부하와 함께 시글락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말렉족이 이미 시글락과 네겝을 약탈하고 불을 지른 뒤, 다윗의 아내 아히노암과 아비가일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을 잡아간 뒤였다.[17]

다윗은 아히멜렉의 아들 에브야타르에게 에폿을 가져오게 한 뒤 하나님께 기도하여 전략을 세웠다. 아말렉족을 추격하던 중 버려진 이집트 아이를 만나 정보를 얻고, 브솔 개울에 지친 군사 200명을 남겨둔 채 400명만 데리고 추격을 계속했다. 다윗은 평야에서 잔치를 벌이던 아말렉족을 공격해 대승을 거두고, 두 아내와 모든 사람들, 전리품을 되찾았다.[17] 다윗은 브솔 개울에 남았던 사람들도 맞아들이고, 모든 사람들에게 전리품을 똑같이 나누어 주었다. 이는 전리품 분배에 대한 중요한 결정으로, 이후 이스라엘의 관습에 영향을 주었다.[16]

3. 1. 블레셋의 기지

창세기(창세기)는 ''카슬루힘''을 필리스티아인의 기원으로 언급한다. 성경 학자들은 이를 인물이라기보다는 이름씨로 간주하며, 이 이름이 ''할루사''의 변형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시글락이 할루자와 동일시되면서, 시글락이 필리스티아인들이 나머지 영토를 점령한 원래의 기지였음을 시사한다.[2] 시글락이 이후 게르족의 수도가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2]

3. 2. 부족 할당

여호수아기에 나오는 이스라엘 지파별 도시 목록에서, 시글락은 유다 지파에 속한 도시이자 시므온 지파에 속한 도시로 나타난다. 성서 비평 학자들은 이 목록들이 원래 독립적인 행정 문서였으며, 반드시 같은 시기에 작성된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변화하는 지파 경계를 반영한다고 믿고 있다.[3]

3. 3. 다윗과 블레셋의 시글락

다윗블레셋 망명기를 끝내고 돌아온 뒤, 시글락 지역을 약탈한 아말렉족들을 무찌르고 승리하여 그 지역 원로들의 지지를 얻고 시글락과 이스라엘 남부 지역에 근거지를 확보했다.

당시 다윗사울의 탄압을 피해 블레셋의 왕 아기스에게 잠시 피했다. 그러나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 공격에 자신의 부대를 제외시키고 배척하자, 600명의 부하들을 이끌고 자신의 근거지이자 블레셋의 한 성읍이었던 시글락으로 갔다. 하지만 이미 아말렉족들이 시글락과 네겝을 약탈하고 불을 지른 뒤, 다윗의 아내 이스르엘 여자 아히노암과 카르멜 사람 나발의 아내 아비가일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을 잡아간 뒤였다.

이에 당황한 다윗은 아히멜렉의 아들 에브야타르에게 에폿을 가져오게 한 뒤 하나님께 기도하여 전략을 세웠다. 그리고 아말렉족들을 추격하던 도중 아말렉족들이 버리고 간 이집트 아이를 만나 정보와 은신처를 알아낸 뒤, 아말렉족들을 조금씩 뒤따라 잡기 시작했다.

사무엘기 상 30장은 다윗 시대에 시글락이 블레셋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이후 블레셋 왕 아기스가 다윗에게 넘겨주었다고 주장한다. 당시 다윗은 겉으로는 블레셋의 봉신 역할을 하고 있었다. 다윗은 "나라의 여러 고을 중 한 곳"을 요청했고, 시글락을 받았다. 그는 그곳을 기지로 삼아 아기스의 감시를 피해 게술 족속, 기르스 족속, 아말렉 족속을 공격했다.[14] 다윗은 아기스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자신이 사울의 남부 유다 왕국과 예라므엘 족속의 땅을 공격했다고 말했다.

성서 비평 학자들은 이 도시가 아마도 블레셋 영토의 동쪽 가장자리에 있었으며, 다윗이 왕이 되었을 때 유다에 병합되는 것이 자연스러웠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6] 문헌학자들은 여호수아기의 편찬을 늦은 시기, 아마도 신명기 학파에 의한 것으로 보기 때문에, 여호수아기에 나오는 부족 할당은 이 병합 이전이 아니라 이후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6]

3. 4. 다윗과 아말렉

사울의 탄압을 피해 블레셋아기스에게 망명했던 다윗은, 블레셋 사람들이 다윗의 부대를 이스라엘 공격에서 제외하자 600명의 부하와 함께 블레셋의 성읍 시글락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말렉족이 이미 시글락과 네겝을 약탈하고 불을 지른 뒤, 다윗의 아내 아히노암과 아비가일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을 잡아간 뒤였다.[17]

다윗은 아히멜렉의 아들 에브야타르에게 에폿을 가져오게 한 뒤 하나님께 기도하여 전략을 세웠다. 아말렉족을 추격하던 중 버려진 이집트 아이를 만나 정보를 얻고, 브솔 개울에 지친 군사 200명을 남겨둔 채 400명만 데리고 추격을 계속했다. 다윗은 평야에서 잔치를 벌이던 아말렉족을 공격해 대승을 거두고, 두 아내와 모든 사람들, 전리품을 되찾았다.[17]

다윗은 브솔 개울에 남았던 사람들도 맞아들이고, 모든 사람들에게 전리품을 똑같이 나누어 주었다. 이는 전리품 분배에 대한 중요한 결정으로, 이후 이스라엘의 관습에 영향을 주었다.[16]

사무엘기 상 30장에 따르면, 다윗이 이스라엘 왕국을 공격하기 위해 블레셋 군대와 함께 진을 치고 있는 동안, 아말렉 족속이 시글락을 습격하여 마을을 불태우고 사람들을 포로로 잡았다.[17] 다윗은 하나님의 응답에 따라 아말렉 족속을 추격하여 모든 것을 되찾았다.

이 이야기는 사무엘기의 ''군주주의적 자료''로 여겨진다. ''공화주의적 자료''에는 나발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다윗이 군대를 이끌고 복수하는 점, 아비가일을 아내로 얻는 점 등 시글락 이야기와 유사한 점이 많다.[18]

시글락 전투의 결과, 아말렉 족속에게 잡혀갔던 사람들이 풀려나고, 다윗은 전리품을 네겝 내의 여러 공동체 지도자들에게 보냈다.[16]

4. 다윗의 승리와 전리품 분배

다윗은 부하 600명을 이끌고 브소르 개울에 처지고 지친 군사 200명을 남겨두고 400명만 데리고 계속 쫓았다. 그리고 평야에서 많은 전리품을 얻고 잔치를 벌이며 흥청거리던 아말렉족들을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다. 아말렉족들은 거의 전멸당했고 다윗은 아말렉족에게 빼앗긴 두 아내와 모든 사람들, 전리품 등 잃어버린 것 하나 없이 모두 되찾았다.

브소르 개울에 머물게 했던 사람들도 맞아들이고 전리품들을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주었다.

시글락 전투는 다윗 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다윗은 전투에서 승리한 뒤 베텔, 라못 네겝, 야티르, 아로에르, 시프못, 에스트모아, 라칼, 여라흐므엘족의 성읍들, 카인족의 성읍들, 호르마, 보르 아산, 아탁, 헤브론과 다윗의 부하들을 이끌던 원로들에게도 전리품을 나누어 주어 지지를 얻게 했다.

또한 기브아 사람 스마아의 아들 아히에제르와 요아스, 아즈마웻의 아들 여지엘과 펠렛, 브라카, 아나톳 사람 예후, 30인 부대의 용사 기브온 사람 이스마야, 이르므야, 야하지엘, 요하난, 그데라 사람 요자팟, 엘우자이, 여리못, 브알야, 스마르야, 하룹 사람 스파트야, 코라인 엘카나, 이씨야, 아자르엘, 요에제르, 야솝암, 그도르 출신 여호람의 아들 요엘라와 즈바드야 등 많은 용사들이 다윗을 따르게 되었다.

참조

[1] 성경 1 Samuel 27:5-6
[2] 문서 Encyclopaedia Biblica
[3] 백과사전 Ziklag http://www.jewishenc[...]
[4] 웹사이트 Ziklag http://www.ccel.org/[...] Easton's Bible Dictionary
[5] 서적 The Book of Joshua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5-05-01
[6] 웹사이트 Kibbutz Lahav ofiicial website https://www.lhv.co.i[...]
[7] 서적 Sharia, Tell esh- https://books.google[...] Continuum
[8] 웹사이트 Biblical site of Ziklag finally identified? https://www.jpost.co[...] 2020-07-21
[9] 웹사이트 The Zeita Excavations - project overview http://www.zeitah.ne[...]
[10] 웹사이트 Une ancienne cité philistine découverte en Israël http://www.lefigaro.[...] 2019-07-10
[11] 웹사이트 En Israël, des archéologues affirment avoir découvert la ville biblique de Ziklag https://www.geo.fr/h[...] 2019-07-09
[12] 뉴스 As archaeologists say they've found King David's city of refuge, a debate begins https://www.timesofi[...] 2019-07-08
[13] 학술지 Biblical Ziklag: the Case for Khirbet er-Ra'i
[14] 성경 1 Samuel 27:8
[15] 웹사이트 Ellicott's Commentary for Modern Readers on 1 Samuel 27 http://biblehub.com/[...]
[16]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https://archive.org/[...] T. Nelson
[17] 간행물 Where is David's Ziklag? http://members.bib-a[...] Biblical Archaeology Review 1993-05
[18] 백과사전 Books of Samuel http://www.jewishe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