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91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편 91편은 고난과 역경 속에서 하나님의 보호를 받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시편이다. 이 시편은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유대교에서는 숭배 의식에서 낭송되고, 기독교에서는 성무일도와 예배에서 사용된다. 시편 91편은 개인의 고통 속에서 위안과 희망을 주며,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에게 안전과 축복이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대중문화에서도 군인들의 기도문으로 사용되거나, 음악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편 91편 | |
|---|---|
| 성경 정보 | |
| 이름 | 시편 91편 |
| 부제 | 가장 높으신 분의 은밀한 곳에 거하는 자 |
| 종류 | 보호 시편 |
| 다른 이름 | 시편 90편 Qui habitat |
| 원어 | 히브리어 (원어) |
| 작성 시기 | 알 수 없음 |
| 발표 시기 | 알 수 없음 |
![]() | |
2. 내용
시편 91편은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보호와 구원을 노래한다. 이 시편은 어떠한 위험과 재앙 속에서도 하나님이 피난처와 요새가 되어 주신다는 확신을 보여준다.
1절은 지존자의 은밀한 곳에 거하며 전능자의 그늘 아래 사는 자의 복된 상태를 묘사하고, 2절에서는 여호와를 피난처, 요새, 의뢰하는 하나님이라고 고백한다. 3절은 하나님께서 새 사냥꾼의 올무와 심한 전염병에서 건져주실 것을, 4절은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깃으로 덮고 날개 아래 피하게 하는 모습으로 비유하며, 하나님의 진실하심이 방패가 된다고 말한다.
5절과 6절은 밤의 공포, 낮의 화살, 어두울 때 퍼지는 전염병, 밝을 때 닥쳐오는 재앙 등 모든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것을 약속한다. 7절에서는 천 명, 만 명이 쓰러져도 재앙이 가까이 오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8절은 악인들이 받는 보응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9절은 여호와를 피난처로 삼고 지존자를 거처로 삼는 자에게 화와 재앙이 미치지 못할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11절과 12절은 하나님께서 천사들을 보내 모든 길에서 지키시고 발이 돌에 부딪히지 않게 하실 것을 약속한다. 13절은 사자와 독사를 밟고 뱀을 누르는 권세를 주실 것을 묘사한다.
14절부터 16절은 하나님께서 직접 말씀하시는 형식으로, 당신을 사랑하고 이름을 아는 자를 건지고 높이며, 간구에 응답하고 환난에서 함께하며 영화롭게 하고 장수와 구원을 주실 것을 약속한다.
2. 1. 히브리어 원문과 번역
다음 표는 히브리어 원문과 JPS 1917 번역(현재는 퍼블릭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영어 번역을 보여준다.[3][4] 한국어 번역은 가톨릭 번역과 개신교 번역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절 | 히브리어 본문 | 영어 번역 (JPS 1917) | 한국어 번역 |
|---|---|---|---|
| 1 | O thou that dwellest in the covert of the Most High, And abidest in the shadow of the Almighty; | 지극히 높으신 분의 은밀한 곳에 거하는 자, 전능자의 그늘 아래 머무는 자, | |
| 2 | I will say of the LORD, who is my refuge and my fortress, My God, in whom I trust, | 나는 주님께 말하리라, 그분은 나의 피난처요 요새이시니, 나의 하나님, 내가 그분을 신뢰하나이다. | |
| 3 | That He will deliver thee from the snare of the fowler, And from the noisome pestilence. | 그분께서 그대를 사냥꾼의 덫에서, 유해한 역병에서 건지실 것입니다. | |
| 4 | He will cover thee with His pinions, And under His wings shalt thou take refuge; His truth is a shield and a buckler. | 그분께서 자신의 날개로 그대를 덮으실 것이며, 그분의 날개 아래 그대가 피난처를 얻으리니, 그분의 진리는 방패와 갑옷입니다. | |
| 5 | Thou shalt not be afraid of the terror by night, Nor of the arrow that flieth by day; | 그대는 밤의 공포를 두려워하지 않고, 낮에 날아오는 화살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 | |
| 6 | Of the pestilence that walketh in darkness, Nor of the destruction that wasteth at noonday. | 어둠 속을 걷는 역병도, 한낮에 파괴하는 재앙도 두려워하지 않으리라. | |
| 7 | A thousand may fall at Thy side, And ten thousand at Thy right hand; It shall not come nigh thee. | 그대의 곁에서 천 명이 쓰러지고, 그대의 오른편에서 만 명이 쓰러져도, 그대에게는 가까이 오지 못하리라. | |
| 8 | Only with thine eyes shalt thou behold, And see the recompense of the wicked. | 오직 그대의 눈으로 보며, 악인들의 보응을 보리라. | |
| 9 | For thou hast made the LORD who is my refuge, Even the Most High, thy habitation. | 이는 주님을 나의 피난처로 삼았으니, 지극히 높으신 분을 그대의 거처로 삼았기 때문이다. | |
| 10 | There shall no evil befall thee, Neither shall any plague come nigh thy tent. | 어떠한 악도 그대에게 미치지 못하며, 어떠한 재앙도 그대의 장막에 가까이 오지 못하리라. | |
| 11 | For He will give His angels charge over thee, To keep thee in all thy ways. | 이는 그분께서 자신의 천사들에게 그대를 지키라고 명하시어, 그대의 모든 길에서 지켜주실 것이다. | |
| 12 | They shall bear thee upon their hands, Lest thou dash thy foot against a stone. | 그들이 그대를 손으로 받들어, 그대의 발이 돌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리라. | |
| 13 | Thou shalt tread upon the lion and asp; The young lion and the serpent shalt thou trample under feet. | 그대는 사자와 독사를 밟고, 젊은 사자와 뱀을 짓밟으리라. | |
| 14 | 'Because he hath set his love upon Me, therefore will I deliver him; I will set him on high, because he hath known My name. | 그가 나를 사랑하였으니, 내가 그를 건지리라. 내가 그를 높이리니, 이는 그가 내 이름을 알았기 때문이다. | |
| 15 | He shall call upon Me, and I will answer him; I will be with him in trouble; I will rescue him, and bring him to honour. | 그가 나를 부르리니, 내가 그에게 응답하리라. 내가 고난 중에 그와 함께 하리라. 내가 그를 건져 영화롭게 하리라. | |
| 16 | With long life will I satisfy him, And make Him to behold My salvation.' | 내가 그를 장수로 만족하게 하고, 나의 구원을 보게 하리라.' |
2. 1. 1. 각 절별 상세 해설
다음은 시편 91편의 각 절에 대한 상세 해설이다.1. 지존자(至尊者)의 은밀한 곳에 거주하며 전능자(全能者)의 그늘 아래에 사는 자여,
2. 나는 여호와를 향하여 말하기를 그는 나의 피난처요 나의 요새요 내가 의뢰하는 하나님이라 하리니[5]
3. 이는 그가 너를 새 사냥꾼의 올무에서와 심한 전염병에서 건지실 것임이로다
4. 그가 너를 그의 깃으로 덮으시리니 네가 그의 날개 아래에 피하리로다 그의 진실함은 방패와 손 방패가 되시나니
5. 너는 밤에 찾아오는 공포와 낮에 날아드는 화살과
6. 어두울 때 퍼지는 전염병과 밝을 때 닥쳐오는 재앙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리로다
7. 천 명이 네 왼쪽에서, 만 명이 네 오른쪽에서 엎드러지나 이 재앙이 네게 가까이 하지 못하리로다
8. 오직 너는 똑똑히 보리니 악인들의 보응을 네가 보리로다
9. 네가 말하기를 여호와는 나의 피난처시라 하고 지존자를 너의 거처로 삼았으므로
10. 화가 네게 미치지 못하며 재앙이 네 장막에 가까이 오지 못하리니
11. 그가 너를 위하여 그의 천사들을 명령하사 네 모든 길에서 너를 지키게 하심이라
12. 그들이 그들의 손으로 너를 붙들어 발이 돌에 부딪히지 아니하게 하리로다
13. 네가 사자와 독사를 밟으며 젊은 사자와 뱀을 발로 누르리로다
14. 하나님이 이르시되 그가 나를 사랑한즉 내가 그를 건지리라 그가 내 이름을 안즉 내가 그를 높이리라
15. 그가 내게 간구하리니 내가 그에게 응답하리라 그들이 환난 당할 때에 내가 그와 함께 하여 그를 건지고 영화롭게 하리라
16. 내가 그를 장수하게 함으로 그를 만족하게 하며 나의 구원을 그에게 보이리라 하시도다
키르크패트릭은 2절과 9절 전반부에서 사용된 1인칭 사용에 대해 "다소 이해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많은 주석가들은 이 구절이 손상되었다고 주장하며 수정한다. 키르크패트릭은 "1인칭의 두 번 등장은 서로를 지지한다. 위에서 제시된 해석(본문이 이스라엘에게 보내는 메시지)이 채택된다면, 1-2절과 9절a는 시편 기자의 신앙 고백이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그는 3절 이하와 9절b절 이하의 위로의 말을 이스라엘에게 전하는 것이다"라고 설명한다.[13]
3. 주제와 배경
시편 91편의 중심 주제는 하나님의 보호와 구원이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을 "나의 피난처요 나의 요새요 내가 의뢰하는 하나님"이라고 고백하며, 하나님께서 자신을 새 사냥꾼의 올무와 심한 전염병에서 건지실 것이라고 확신한다. 또한, 하나님께서 그의 깃으로 덮으시고, 그의 날개 아래 피할 수 있게 하시며, 그의 진실함이 방패가 되어 주신다고 노래한다.
시편 91편은 밤에 찾아오는 공포, 낮에 날아드는 화살, 어두울 때 퍼지는 전염병, 밝을 때 닥쳐오는 재앙 등 모든 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강조한다. 천 명이 왼쪽에서, 만 명이 오른쪽에서 엎드러져도 재앙이 가까이하지 못하며, 악인들의 보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하나님을 피난처로 삼는 자에게는 화가 미치지 못하고, 재앙이 장막에 가까이 오지 못하며, 천사들이 모든 길에서 지켜 주어 발이 돌에 부딪히지 않게 한다고 약속한다.
하나님께서는 시편 기자를 사랑하고, 그의 이름을 아는 자를 건지고 높이시며, 간구에 응답하시고, 환난 중에 함께 하시며, 건지고 영화롭게 하시며, 장수하게 하고 만족하게 하시며, 구원을 보이시겠다고 약속하신다.
3. 1. 역사적 배경
미드라쉬에 따르면, 시편 91편은 모세가 광야에서 성막 건축을 완료한 날에 지어졌다고 한다. 이 구절은 모세가 성막에 들어가는 자신의 경험을 묘사한다. "지존자의 은밀한 곳에 거하는 자는 전능자의 그늘 아래에 거하리로다". 미드라쉬 테힐림과 조하르는 모세가 시내산 위에 떠 있는 구름 속으로 올라갈 때 이 시편을 지었으며, 그 때 그는 멸망의 천사들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이 구절들을 읊었다고 가르친다.유대교 사상에서 시편 91편은 하나님의 보호와 위험으로부터의 구출이라는 주제를 전달한다.[6] 탈무드 (''쉐부옷'' 15b)는 이 시편을 "악령의 노래"와 "역병의 노래" (각각 "shir shel pega'im"과 "shir shel nega'im")라고 부르는 견해를 기록하고 있는데,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이 시편을 읊는 자는 위험한 때에 그분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게오님 시대 이후로 이 시편은 악마와 악령을 쫓아내기 위해 낭송되었다. 미드라쉬에 따르면, 이 시편은 5-6절에 언급된 "공포", "화살", "역병" 및 "멸망"을 포함하여 인간을 위협하는 많은 종류의 악마들을 언급한다.[7] 이 시편은 후기 고대 시대부터 유대인과 기독교인 모두가 부적에 기록했다.[8][9] 탈무드 (쉐부옷 15b)에 따르면, 그 다음 구절인 7절("천 명이 네 곁에서 쓰러지며")은 이 시편을 읊을 때 멸망할 악마들을 언급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시편 91편은 사해 문서 11QapocrPs에 있는 "악마에 대항하는 네 개의 시편"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며, 다른 세 개의 시편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으며 쿰란 공동체가 추방에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대의 기독교인들은 이 시편을 고통의 시기에도 위안과 보호의 원천으로 본다.[13] 해설자 알렉산더 키르크패트릭은 이 시편이 역사의 위기에 처한 이스라엘에게 보내는 것으로 여겨진다면 더욱 의미와 힘을 얻는다고 주장한다.[13]
킹 제임스 성경의 13절 "네가 사자와 독사를 밟으며 젊은 사자와 뱀을 발로 누르리로다"는 후기 고대 시대에 볼 수 있었고 카롤링거와 앵글로색슨 미술에서 부활한 예수가 짐승을 밟는 도상의 기원이 되었다.
3. 2. 유대교 전통에서의 해석
미드라쉬에 따르면, 시편 91편은 모세가 광야에서 성막 건축을 완료한 날에 지어졌다고 한다. 이 구절은 모세가 성막에 들어가는 자신의 경험을 묘사한다. "지존자의 은밀한 곳에 거하는 자는 전능자의 그늘 아래에 거하리로다".[6] 미드라쉬 테힐림과 조하르는 모세가 시내산 위에 떠 있는 구름 속으로 올라갈 때 이 시편을 지었으며, 그 때 그는 멸망의 천사들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이 구절들을 읊었다고 가르친다.유대교 사상에서 시편 91편은 하나님의 보호와 위험으로부터의 구출이라는 주제를 전달한다.[6] 탈무드 (''쉐부옷'' 15b)는 이 시편을 "악령의 노래"와 "역병의 노래" (각각 "shir shel pega'im"과 "shir shel nega'im")라고 부르는 견해를 기록하고 있는데,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이 시편을 읊는 자는 위험한 때에 그분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게오님 시대 이후로 이 시편은 악마와 악령을 쫓아내기 위해 낭송되었다. 미드라쉬에 따르면, 이 시편은 5-6절에 언급된 "공포", "화살", "역병" 및 "멸망"을 포함하여 인간을 위협하는 많은 종류의 악마들을 언급한다.[7] 이 시편은 후기 고대 시대부터 유대인과 기독교인 모두가 부적에 기록했다. 탈무드 (쉐부옷 15b)에 따르면, 그 다음 구절인 7절("천 명이 네 곁에서 쓰러지며")은 이 시편을 읊을 때 멸망할 악마들을 언급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시편 91편은 사해 문서 11QapocrPs에 있는 "악마에 대항하는 네 개의 시편"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며, 다른 세 개의 시편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으며 쿰란 공동체가 추방에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8][9]
시편 91편은 유대교 전례와 의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안식일, 욤 토브의 페수케이 데짐라 동안, 그리고 많은 공동체에서 호샤나 라바 아침 예배에서 낭송된다. 또한 저녁 기도 후 모차에이 샤밧에 낭송되며, 매일 밤 취침 쉐마 중에도 낭송된다.[10] 현대 관습에 따르면, 이 기도에서 16절이 두 번 낭송되지만, 오래된 아슈케나짐 관습은 안식일 마지막에만 두 번 낭송하는 것이었다.[11] 마흐조르 비트리에 따르면, 이 구절은 하느님의 이름을 완성하기 위해 두 배로 낭송된다.
시편 91편은 장례식에서 일곱 번 낭송된다. 관을 운반하는 사람들이 묘지에 접근할 때, 그들은 몇 걸음마다 멈춰서 시편을 반복한다. 여성의 장례의 경우, 관을 운반하는 사람들은 행진을 멈추지 않지만, 시편을 일곱 번 반복한다.
시편 11절은 금요일 밤 식사 때 전례 시 ''샬롬 알레이헴'' 이후에 낭송되기도 한다.[10]
시편 91편은 종종 보호를 위한 기도로 낭송된다.[12] 어떤 사람들은 여행을 떠나기 전에 이 시편을 낭송한다.[10]
3. 3. 기독교 전통에서의 해석
현대 기독교인들은 이 시편을 고통의 시기에도 위안과 보호의 원천으로 본다.[13] 알렉산더 키르크패트릭은 이 시편이 역사의 위기에 처한 이스라엘에게 보내는 것으로 여겨진다면 더욱 의미와 힘을 얻는다고 보았다.[13]킹 제임스 성경의 13절 "네가 사자와 독사를 밟으며 젊은 사자와 뱀을 발로 누르리로다"는 예수가 짐승을 밟는 도상의 기원이 되었으며, 이는 후기 고대 시대에 볼 수 있었고 카롤링거와 앵글로색슨 미술에서 부활하였다.
마태오 복음서 4장 6절과 루카 복음서 4장 10-11절에서 마귀가 예수의 유혹을 할 때 시편 91편 11절과 12절을 인용했다.[13] 루카 복음서 10장 19절에서는 시편 91편 13절을 인용했다.[13]
서방 기독교에서는 주로 성무일도 예배 중에 시편 91편을 불렀다.[14] 이 시편은 베네딕토회의 매일 저녁 기도인 성무일도 전례의 일부를 구성한다.[15] 교황 비오 10세의 로마 성무일도 개정 이후로는 주일과 대축일에만 사용되었다. 시간 전례에서는 주일과 대축일 전날의 성무일도에 포함된다.
개정 공통 성서 목록 (C년)에서는[16] 이 시편이 예수의 유혹과 연관되어 사탄이 이 시편을 인용하는 사순절 첫 번째 주일에 배정된다.
중세 서방 교회에서는 성금요일 독서에 시편 91편이 포함되었다.
동방 정교회에서 시편 90편(마소라 본문에서는 시편 91편)은 매일 제6시에 낭독된다. 이 시편은 시편집의 제12 카티스마 부분에 속하며, 대송경에서 수요일 저녁, 그리고 사순절 동안 화요일과 목요일에 각각 조과와 제9시에 낭독된다. 또한 대구송경과 장례 예배에서도 낭독된다.[17]
4. 현대적 의미와 적용
미드라쉬에 따르면, 시편 91편은 모세가 광야에서 성막 건축을 완료한 날에 지어졌으며, 미드라쉬 테힐림과 조하르는 모세가 시내산 위 구름 속으로 올라갈 때 멸망의 천사들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이 구절들을 읊었다고 전한다.
유대교 사상에서 시편 91편은 하나님의 보호와 위험으로부터의 구출이라는 주제를 전달하며,[6] "악령의 노래"와 "역병의 노래"라고도 불린다. 후기 고대 시대부터 유대인과 기독교인 모두 부적에 이 시편을 기록했다. 탈무드 (쉐부옷 15b)는 7절("천 명이 네 곁에서 쓰러지며")이 이 시편을 읊을 때 멸망할 악마들을 언급한다고 설명한다. 사해 문서 11QapocrPs에는 "악마에 대항하는 네 개의 시편" 중 하나로 시편 91편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른 세 개의 시편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고 쿰란 공동체가 추방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9]
현대 기독교인들은 이 시편을 고통의 시기에 위안과 보호의 원천으로 삼는다.[13] 킹 제임스 성경 13절("네가 사자와 독사를 밟으며 젊은 사자와 뱀을 발로 누르리로다")은 예수가 짐승을 밟는 도상의 기원이 되었다.
4. 1. 개인적 차원의 적용
미드라쉬에 따르면, 시편 91편은 모세가 광야에서 성막 건축을 완료한 날에 지어졌다고 한다. 유대교 사상에서 시편 91편은 하나님의 보호와 위험으로부터의 구출이라는 주제를 전달한다.[6] 현대의 기독교인들은 이 시편을 고통의 시기에도 위안과 보호의 원천으로 본다.[13]탈무드 (''쉐부옷'' 15b)는 이 시편을 "악령의 노래"와 "역병의 노래"라고 부르는데,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이 시편을 읊는 자는 위험한 때에 그분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것이다"라고 한다. 게오님 시대 이후로 이 시편은 악마와 악령을 쫓아내기 위해 낭송되었다. 미드라쉬에 따르면, 이 시편은 5-6절에 언급된 "공포", "화살", "역병" 및 "멸망"을 포함하여 인간을 위협하는 많은 종류의 악마들을 언급한다.[7]
해설자 알렉산더 키르크패트릭은 이 시편이 역사의 위기에 처한 이스라엘에게 보내는 것으로 여겨진다면 더욱 의미와 힘을 얻는다고 주장한다.[13]
4. 2. 사회적 차원의 적용
미드라쉬에 따르면, 시편 91편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웃을 위한 하나님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사회 정의와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현대 사회는 전염병, 재앙, 전쟁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편 91편은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13]시편 91편은 "악령의 노래"와 "역병의 노래"로 불리며,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이 시편을 읊는 자는 위험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탈무드는 기록한다.[6] 이는 사회적 약자들이 겪는 어려움 속에서 신앙이 주는 위안과 희망을 보여준다.
시편 91편 5-6절에 언급된 "공포", "화살", "역병", "멸망"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사회적 위협을 상징한다.[7] 이러한 위협은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욱 가혹하게 다가오며, 이들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것은 사회 전체의 책임이다.
현대 기독교인들은 시편 91편을 고통의 시기에 위안과 보호의 원천으로 삼는다.[13] 알렉산더 키르크패트릭은 이 시편이 역사의 위기에 처한 이스라엘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해석될 때 더욱 큰 의미와 힘을 얻는다고 주장한다.[13] 이는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시편 91편이 주는 희망과 용기를 강조한다.
시편 91편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며, 연대를 통해 평화와 안전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4. 3.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
시편 91편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들 속에서 그 의미가 재조명되기도 한다.한국전쟁 당시, 수많은 사람들이 전쟁의 참화 속에서 희생되었지만, 시편 91편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남은 이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었다. 전쟁 이후 폐허가 된 땅에서 다시 일어서고자 했던 한국인들에게 시편 91편은 재건의 의지를 다지는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1980년 5월 18일에 발생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군부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열망했던 광주 시민들의 희생을 보여준다. 시편 91편의 "악인의 멸망"과 "의인의 구원"이라는 메시지는 독재 권력에 맞서 싸우는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었으며,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편 91편은 전염병의 공포와 불안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위안과 평안을 주는 메시지로 다가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취약 계층을 위한 지원 정책을 펼치는 등 시편 91편의 정신을 정책에 반영하고자 노력했다.
5. 대중문화 속 시편 91편
시네이드 오코너의 데뷔 앨범 ''The Lion and the Cobra''에는 가수 엔야가 아일랜드어로 11~13절을 암송한 "Never Get Old"이라는 곡이 수록되어 있다.[24]
캐나다 메탈 밴드 크립토시는 2005년 앨범 ''Once Was Not''의 "The Pestilence That Walketh in Darkness"라는 곡에서 시편 5~8절을 인용했다.[25]
브라질계 미국인 메탈 밴드 소울플라이는 다섯 번째 앨범 ''Dark Ages''의 보너스 트랙 "Salmo-91"에서 포르투갈어로 이 시편을 암송했다.[26]
제리 가르시아 밴드는 "My Sisters and Brothers"라는 곡에서 5~6절을 인용했다.
마돈나는 2012년 ''The MDNA 투어''에서 "Virgin Mary (Intro)"에서 시편 91편을 인용했다.[27]
이 시편은 ''Faith: The Unholy Trinity''의 두 번째 챕터의 최종 보스에서 전체적으로 암송된다.
시편 91편은 군인의 시편 또는 군인의 기도문으로 알려져 있다.[22] 이 시편이 인쇄된 위장 반다나는 종종 미군에게 배포된다.[23] 
6. 음악적 설정
시편 91편은 여러 음악 작품에서 가사로 사용되거나 영감을 주었다.[18][19][20][21]
6. 1. 찬송가
1972년 독일 찬송가 Wer unterm Schutz des Höchsten steht는 시편 91편을 의역한 것이다. 1979년 마이클 존카스가 작곡한 찬송가 On Eagle's Wings는 이 시편을 바탕으로 한다.[18]6. 2. 클래식
하인리히 쉬츠는 1628년 출판된 베커 시편집에 시편 91편의 독일어 운율 버전을 실었으며, 이는 'Wer sich des Höchsten Schirm vertraut'(SWV 189)이다.드미트리 보르트니안스키는 시편 91편을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된 자신의 합창곡 중 협주곡 21번('Zhyvyi v pomoshshi Vyshnjago', "그는 거주한다")으로 설정했다. 펠릭스 멘델스존은 11절을 바탕으로 독일어로 8성부 모테트 ''Denn er hat seinen Engeln befohlen''를 작곡하여 1846년 오라토리오 ''엘리야''에 포함시켰다. 1937년 처음 방송된 독창자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주요 합창 작품인 벤자민 브리튼의 ''천상의 동료''의 9악장은 1, 9–13절을 아카펠라 합창단에 설정했는데, 이는 8성부로 작품 내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보컬 텍스처를 가진다.[19]
폴란드 작곡가 유제프 엘스너는 마지막 세 절을 오페르토리오('Quoniam in me speravit', Op.30)로 설정했으며, c. 1829년에 출판되었다.[20]
조스캥 데 프레는 시편을 4성부와 24성부를 위한 모테트로 설정했다.[21]
참조
[1]
논문
Le thème iconographique du lion dans les inscriptions médiévales
http://www.persee.fr[...]
2010-03-13
[2]
웹사이트
Parallel Latin/English Psalter / Psalmus 90 (91)
https://web.archive.[...]
2017-05-07
[3]
웹사이트
Psalms – Chapter 91
https://mechon-mamre[...]
Mechon Mamre
[4]
웹사이트
Psalms 91 - JPS 1917
https://www.sefaria.[...]
Sefaria.org
[5]
문서
Psalm 91:2
New King James Version
[6]
웹사이트
Psalm 91: Dwelling on High
http://www.ravkookto[...]
2018-09-15
[7]
웹사이트
Demons & Demonology
https://www.jewishvi[...]
2022-05-17
[8]
서적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Thei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Bible, Judaism, Jesus,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5-07-10
[9]
서적
Holman QuickSource Guide to the Dead Sea Scrolls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2010-02
[10]
웹사이트
Shimush Pesukim: Comprehensive Index to Liturgical and Ceremonial Uses of Biblical Verses and Passages
https://www.halakhah[...]
[11]
문서
Siddur Ezor Eliyahu
Jerusalem
[12]
웹사이트
Protection
http://www.dailytehi[...]
DailyTehillim
2018-09-15
[13]
서적
The Book of Psalms: with Introduction and Notes
https://books.google[...]
At the University Press
2019-02-28
[14]
웹사이트
An Order for Night Prayer (Compline)
http://www.cofe.angl[...]
Church of England
2007-12-08
[15]
웹사이트
St. Benedict's Psalmody
http://individual.ut[...]
University of Toronto
2018-10-21
[16]
서적
The Christian Year: Calendar, Lectionary and Collects
Church House Publishing, Church of England
[17]
문서
The Holy Psalter
Saint Ignatius Orthodox Press
[18]
뉴스
Response to 'On Eagle's Wings' over the years humbling for composer
http://catholicphill[...]
2013-12-30
[19]
서적
The Company of Heaven
Darmstädter Kantorei
[20]
웹사이트
IMSLP work page
https://imslp.org/wi[...]
[21]
문서
List of compositions by Josquin des Prez
[22]
웹사이트
"'Soldier's Prayer': Heartfelt bandanas presented to local troops"
https://thesouthern.[...]
2005-01-28
[23]
웹사이트
Protection and comfort wrapped up in a bandana
https://www.ocregist[...]
2007-03-07
[24]
웹사이트
Never Get Old lyrics
http://www.bellsiris[...]
Bells Irish Lyrics
2018-09-15
[25]
웹사이트
Once Was Not Reviews
https://www.metal-ar[...]
2018-09-15
[26]
웹사이트
Interview – Soulfly
https://www.musicomh[...]
2006-08-03
[27]
웹사이트
Madonna – MDNA World Tour
https://www.discogs.[...]
Discogs
2018-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그리스도]]가 짐승을 밟고 있는 8세기 상아 조각](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