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경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핵은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뇌줄기, 운동 조절 및 균형 유지에 중요한 소뇌, 운동 조절, 인지 기능, 감정 등에 관여하는 기저핵, 감각, 운동, 자율신경 기능을 담당하는 뇌신경핵, 섭식, 공포, 체온 조절 및 성행위와 관련된 시상하부의 핵 등 다양한 뇌 영역에 위치하며, 각 영역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해부학 - 시상
    시상은 감각 정보를 대뇌 피질로 전달하고 수면-각성 조절, 운동 조절, 기억 및 인지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회백질 구조물이다.
  • 신경해부학 - 회색질
    회색질은 수초가 없는 뉴런과 중추신경계의 다른 세포로 구성되며, 뇌, 뇌간, 소뇌 및 척수에 존재하며,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발달하고 알코올 섭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구조가 영향을 받는다.
신경핵
정의
설명신경계의 중추 신경계에 있는 신경 세포체의 집합체이다.
위치
위치중추 신경계
참고
참고말초 신경계에서는 신경절이라고 한다.

2. 뇌줄기 (Brainstem)

뇌줄기척수를 연결하는 구조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다양한 핵들이 존재한다.[1]

2. 1. 적핵 (Red nucleus)

적핵은 운동 조절에 관여하는 핵이다.[1] 뇌줄기에 위치한다.[1]

2. 2. 전정핵 (Vestibular nucleus)

뇌줄기에 위치한 전정핵은 몸의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2. 3. 하올리브핵 (Inferior olive)

하올리브핵은 뇌줄기에 위치한 신경핵으로, 소뇌와 연결되어 운동 학습 및 조절에 기여한다.

3. 소뇌 (Cerebellum)

소뇌에는 치상핵, 실모양핵, 구상핵, 꼭지핵이 있다.[1] 이들은 소뇌의 운동 조절 및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1. 치상핵 (Dentate nucleus)

소뇌에서 가장 큰 핵으로, 수의적 운동 조절에 관여한다.[1]

3. 2. 실모양핵 (Emboliform nucleus)

실모양핵은 소뇌의 깊은 핵 중 하나이다. 치상핵 안쪽에 위치하며, 구상핵과 함께 중간핵을 형성한다. 실모양핵은 치상핵과 함께 수의적 운동 조절에 관여한다.[1]

3. 3. 구상핵 (Globose nucleus)

소뇌의 신경핵 중 하나인 구상핵은 자세 및 근긴장 유지에 관여한다.[1]

3. 4. 꼭지핵 (Fastigial nucleus)

꼭지핵은 몸의 균형 및 자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뇌의 핵 중 하나이다.[1]

4. 기저핵 (Basal ganglia)

기저핵은 운동 조절, 인지 기능, 감정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는 뇌 영역이다. 기저핵은 선조체, 담창구(창백핵), 흑색질, 시상하핵으로 구성된다. 선조체는 꼬리핵(미상핵)과 조가비핵(피각)으로, 담창구는 내측과 외측으로 나뉜다.

4. 1. 선조체 (Striatum)

기저핵의 주요 입력부인 선조체꼬리핵(미상핵)과 조가비핵(피각)으로 구성되며, 운동 조절 및 학습에 관여한다.[1]

4. 1. 1. 꼬리핵 (Caudate nucleus)

기저핵의 일부인 선조체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꼬리핵(미상핵)은 인지 기능 및 목표 지향적 행동에 관여한다.[1]

4. 1. 2. 조가비핵 (Putamen)

조가비핵(피각)은 기저핵의 한 부분으로, 꼬리핵과 함께 선조체를 구성한다. 조가비핵은 운동 조절 및 절차 학습에 관여한다.[1]

4. 2. 담창구 (Globus pallidus)

담창구(창백핵)는 기저핵의 주요 출력부로, 운동 억제 및 조절에 관여한다. 기저핵은 선조체(미상핵피각), 담창구, 흑색질, 시상하핵으로 구성된다.[1]

4. 2. 1. 내측 담창구 (Medial globus pallidus)

내측 담창구(Medial globus pallidus)는 기저핵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담창구(창백핵)의 일부이다. 기저핵은 선조체(미상핵 및 피각), 담창구(내측 및 외측), 흑색질, 시상하핵으로 구성된다.[1]

4. 2. 2. 외측 담창구 (Lateral globus pallidus)

외측 담창구(Lateral globus pallidus)는 기저핵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담창구(창백핵)의 일부이다.

4. 3. 흑색질 (Substantia nigra)

흑색질은 기저핵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선조체(꼬리핵(미상핵)과 조가비핵(피각)), 담창구(창백핵), 시상하핵과 함께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흑색질은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 세포가 밀집된 부위로, 이 도파민은 선조체로 전달되어 운동 기능을 조절한다. 파킨슨병은 흑색질의 도파민 생성 신경 세포가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1]

4. 4. 시상하핵 (Subthalamic nucleus)

기저핵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1] 시상하핵은 운동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심부자극술의 주요 표적이 된다.[2]

5. 뇌신경핵 (Cranial nerve nuclei)

뇌신경과 연결된 핵들은 뇌줄기(Brainstem)에 위치하며, 감각, 운동, 자율신경 기능을 담당한다.[1]

6. 시상하부 (Hypothalamus)

시상하부의 복내측 핵은 섭식, 공포, 체온 조절 및 성적 활동과 관련된 기능을 한다.[1]

6. 1. 복내측 시상하부 (Ventromedial hypothalamus, VMH)

복내측 시상하부(VMH, ventromedial hypothalamus)는 섭식, 공포, 체온 조절 및 성행위와 관련된 뚜렷한 형태학적 핵이다.[1]

참조

[1]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https://archive.org/[...] LWW
[2] 서적 Neuroanatomy through clinical cases Sinauer Associates 2010
[3] 서적 Neuroscience Sinauer Associates, Inc. 2012
[4] 간행물 大脳“新”皮質は新しいのか? 日本比較内分泌学会ニュース 2006
[5]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6]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https://archive.org/[...] LWW
[7] 서적 Neuroanatomy through clinical cases https://archive.org/[...] Sinauer Associate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