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방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대방역은 198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신림역 방면과 구로디지털단지역 방면으로 운행되며, 4개의 출구가 있다. 주변에는 농심, SPC 본사, 기상청, 서울동작소방서 등 여러 시설과 보라매공원, 신림종합시장 등이 위치해 있다.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일평균 이용객 수가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관악구의 전철역 - 서울대입구역
서울대입구역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8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2007년 리모델링 및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 서울 관악구의 전철역 - 봉천역
봉천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섬식 승강장 지하역으로, 1984년 개통 이후 역 주변 교육, 시장, 복지시설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 중이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서울지방병무청역은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된 서울 경전철 신림선의 역으로,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서울지방병무청 등이 주변에 위치한다. - 서울 동작구의 전철역 - 동작역
동작(현충원)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9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국립서울현충원과 인접해 있으며, 4호선은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 9호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1984년 개업한 철도역 - 합정역
합정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각 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총 10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1984년 개업한 철도역 - 아현역
아현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4년 개통 이후 서울 마포구와 서대문구 경계에 위치하며, 아현고가도로 영향으로 분리된 폐쇄식 승강장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추고, 과거 지명인 "클레반타리"의 흔적을 일부 간직한 채 2만 명대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 신대방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역 이름 (한국어) | 신대방역 |
| 역 이름 (한자) | 新大方驛 |
| 역 이름 (로마자) | Sindaebang-yeok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림로 2 (신대방동 367-33) |
| 좌표 | # 좌표는 google_map으로 대체되어야 하지만, 명시적인 지시가 없어 일단 남겨둠. |
| 개업일 | 1984년 5월 22일 |
| 운영 정보 |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노선 | 2호선 |
| 역 번호 | 231 |
| 승강장 구조 | 상대식 (2면 2선) |
| 깊이 | 고가역 |
| 플랫폼 수 | 2개 |
| 선로 수 | 2개 |
| 역사 정보 | |
| 역 등급 | 해당 정보 없음 |
| 전보 약호 | 해당 정보 없음 |
| 통계 | |
| 2015년 승하차 인원 | 55,177명 |
| 2015년 승차 인원 | 28,196명 |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51,642명 |
| 노선 정보 | |
| 기점 | 시청 |
| 시청역 기점 거리 | 33.6km |
| 이전 역 | 신림 (230) |
| 이전 역 간 거리 | 1.8km |
| 다음 역 | 구로디지털단지 (232) |
| 다음 역 간 거리 | 1.1km |
| 부가 정보 | |
| 버스 환승 | 가능 |
| 이미지 | |
![]() | |
![]() | |
2. 역사
1983년 6월 30일 : '''신대방역'''으로 역명 결정[5]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5]
2011년 12월 28일 : 승강장 고객 대기실 시범 설치
2012년 7월 10일 : 3·4번 출구 분리 신설
2. 1. 개요
2. 2. 연혁
- 1983년 6월 30일 : '''신대방역'''으로 역명 결정[5]
-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5]
- 2011년 12월 28일 : 승강장 고객 대기실 시범 설치
- 2012년 7월 10일 : 3·4번 출구 분리 신설
3. 역 구조
신대방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고가역이며,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동쪽(신림 방면)과 서쪽(구로디지털단지 방면) 2곳에 있으며, 서로 통로 2개로 연결되어 있다. 화장실은 동쪽 개찰구 안에 있다. 엘리베이터가 완비되어 있으며, 출입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다.
| L1 | 대합실 |
|---|---|
| 대합실 |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
| G | 지상층 |
|---|---|
| 지상층 | 출구 |
3. 1. 개요
3. 2. 승강장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 방면과 구로디지털단지 방면 열차가 내선 순환과 외선 순환으로 운행된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신림 ↑
| 내 외 |
↓ 구로디지털단지
3. 3. 기타 시설
신대방역은 승강장이 2층(L2)에, 대합실이 1층(L1)에, 출구가 지상층(G)에 있다. 2층 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내선 순환 열차는 구로디지털단지를 거쳐 충정로 방면으로, 외선 순환 열차는 신림을 거쳐 시청 방면으로 운행한다. 1층 대합실에는 고객 서비스 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등이 있다.4. 역 주변
신대방역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농심 본사
- SPC
- 기상청
- 서울동작소방서
- 남부수도사업소
- 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 동작구민체육센터
- 서울문창초등학교
- 보라매공원
- 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 서울특별시지적장애인복지관
- 수도여자고등학교
- 신대방1동 행정복지센터
- 신림종합시장
- 신한은행365 신대방역점
- 신림선 보라매공원역, 보라매병원역
- 서울금천경찰서
- 도림천
- 신사동주민센터
4. 1. 개요
4. 2. 주요 시설
신대방역 주변에는 여러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농심, SPC 본사가 근처에 있으며, 기상청, 서울동작소방서, 남부수도사업소 등 공공기관도 자리 잡고 있다. 남부장애인종합복지관, 동작구민체육센터, 서울특별시지적장애인복지관 등 복지 시설과 서울문창초등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등 교육기관, 그리고 보라매공원이 있다. 신림종합시장, 신한은행365 신대방역점, 신대방1동 행정복지센터 또한 주변에서 이용 가능하다.5. 이용객 변동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2호선 | 승차 | 22,010 | 23,648 | 23,655 | 23,449 | 21,660 | 20,289 | 22,506 | 22,921 | 23,623 | 23,871 | [6] |
| 하차 | 21,242 | 22,137 | 22,328 | 22,233 | 20,830 | 19,903 | 22,145 | 22,489 | 23,401 | 23,403 | ||
| 승하차 | 43,251 | 45,785 | 45,984 | 45,682 | 42,490 | 40,191 | 44,651 | 45,410 | 47,025 | 47,273 |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 2호선 | 승차 | 23,830 | 25,460 | 26,426 | 27,302 | 27,944 | 28,195 | 28,542 | 28,713 | 28,999 | ||
| 하차 | 23,391 | 24,656 | 25,493 | 26,171 | 26,851 | 26,980 | 27,125 | 27,158 | 27,477 | |||
| 승하차 | 47,221 | 50,116 | 51,919 | 53,473 | 54,796 | 55,175 | 55,667 | 55,871 | 56,476 | |||
신대방역의 최근 일일 평균 이용 인원(승하차)은 2010년 47,221명에서 2018년 56,476명으로 증가하였다.[6]
5. 1. 개요
5. 2. 상세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2호선 | 승차 | 22,010 | 23,648 | 23,655 | 23,449 | 21,660 | 20,289 | 22,506 | 22,921 | 23,623 | 23,871 | [6] |
| 하차 | 21,242 | 22,137 | 22,328 | 22,233 | 20,830 | 19,903 | 22,145 | 22,489 | 23,401 | 23,403 | ||
| 승하차 | 43,251 | 45,785 | 45,984 | 45,682 | 42,490 | 40,191 | 44,651 | 45,410 | 47,025 | 47,273 |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 2호선 | 승차 | 23,830 | 25,460 | 26,426 | 27,302 | 27,944 | 28,195 | 28,542 | 28,713 | 28,999 | ||
| 하차 | 23,391 | 24,656 | 25,493 | 26,171 | 26,851 | 26,980 | 27,125 | 27,158 | 27,477 | |||
| 승하차 | 47,221 | 50,116 | 51,919 | 53,473 | 54,796 | 55,175 | 55,667 | 55,871 | 56,476 | |||
6. 인접한 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 ||
| 신림 (SM 230) | 외선 순환 | SM |
| 구로디지털단지역 (SM 232) | 내선 순환 | SM |
; 서울교통공사
: 2호선
:: 신림역 (230) - '''신대방역 (231)''' - 구로디지털단지역 (232)
참조
[1]
웹사이트
신대방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6-26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3]
웹사이트
Sindaebang
https://web.archive.[...]
Seoul Metro
2016-06-26
[4]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5]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http://event.seoul.g[...]
1983-06-30
[6]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서울교통공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