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정로역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5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다. 1983년 6월 30일 역명 결정, 1984년 5월 22일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1996년 12월 30일 5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2019년부터는 시호 충정공 민영환 선생의 이름을 딴 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두 노선 모두 섬식 승강장 구조이며, 2호선은 지하 3층, 5호선은 지하 5층에 위치한다. 역 주변에는 종근당, 한국경제신문사, 주한 프랑스 대사관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영환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민영환 - 민치구
민치구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음서로 관직에 올라 연경 사절단의 수행원을 지냈으며, 고종의 외척으로 국정에 관여하고,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를 주관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전철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전철역 - 무악재역
무악재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역으로, 1985년 개통 이후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4개의 출구를 통해 홍제역과 독립문역 사이의 지역 주민과 시설에 접근성을 제공하며, 2010년대 중반부터 일평균 이용객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전철역 - 명동역
명동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위치한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으로, 개통 이후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 명동 상권, 남대문시장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2000년대 초반 최고점을 기록한 일평균 이용객 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 충정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역 이름 | 충정로(경기대입구) |
| 로마자 표기 | Chungjeongno (Gyeonggi University) |
| 한자 표기 | 忠正路驛 |
|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 역 번호 | 2호선: 243 5호선: 531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소문로 17 (충정로3가 295-60)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
| 승강장 | 2개 |
| 선로 | 4개 |
| 구조 | 지하 |
| 개업일 | 2호선: 1984년 5월 22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
| 이용객 통계 | |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2호선: 25,652명 5호선: 9,007명 |
| 2015년 승차 인원 | 16,216명 |
| 2015년 승하차 인원 | 33,512명 |
| 인접역 | |
| 2호선 | 이전 역: 아현역 다음 역: 시청역 (서울) |
| 5호선 | 이전 역: 애오개역 다음 역: 서대문역 |
![]() | |
2. 역사
- 1983년 6월 30일: '''충정로역'''으로 역명 결정[7]
-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출구 6개)
-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왕십리역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출구 10개로 확장)
- 2019년: 시호 충정공 故 민영환 선생의 이름을 딴 역으로 운영
-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
-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 역이 됨.
2. 1. 서울 지하철 2호선
- - 2호선 (역 번호: 243)
2. 2. 서울 지하철 5호선
- - 5호선 (역 번호: 531)
3. 역 구조
충정로역은 2호선과 5호선 모두 곡선 구조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출구는 총 10개다. 두 노선 모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어 승하차시 주의해야 한다. 두 노선은 "H"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통로가 길어 환승에 시간이 걸린다.
2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 5호선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있다. 2호선 개찰구는 지하 2층에 아현 방면(서쪽)과 시청 방면(동쪽) 두 곳, 5호선 개찰구는 지하 1층에 한 곳이 있다. 5호선과의 연결 통로는 2호선 서쪽 개찰구 안에 있으며, 화장실은 두 노선 모두 개찰구 밖에 있다.
3. 1. 2호선 승강장
2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추고 있다. 전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개찰구는 지하 2층에 있으며, 아현 방면(서쪽)과 시청 방면(동쪽) 두 곳에 있다. 5호선과의 연결 통로는 서쪽 개찰구 안에 있다.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1]
3. 2. 5호선 승강장
- - 5호선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추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지하 2층에 있는 연결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1곳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출입구는 7번부터 10번까지 총 4곳이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3. 환승
2호선에서 5호선으로 환승하려면 2호선 승강장 중앙 계단을 올라가 2호선 대합실을 거쳐 5호선 대합실 연결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이 환승 통로는 직선이 아닌 커브 형태이며 경사가 있다. 5호선 승강장은 지하 5층, 2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어 수직 이동 거리가 상당하며, 환승 통로를 통한 수평 이동 거리도 잠실역(2호선-8호선 환승역)과 비슷하게 길다.5호선은 깊은 위치 때문에 이용이 불편하여 2호선보다 이용률이 낮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5호선-4호선), 종로3가역(5호선-3호선)도 이와 유사한 환승 방식이다.
4. 역 주변
충정로역한국어 주변에는 종근당, KT 아현지점, 동아일보 충정로사옥, 해양수산부,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주한 프랑스 대사관, 한국경제신문사, 구세군 빌딩,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강북삼성병원, 한국공인회계사회, 약현성당 등이 있다.[6]
4. 1. 1 ~ 6번 출구
| 출구 번호 | 주요 시설 |
|---|---|
| 1 | 충정로삼거리, 종근당 |
| 2 | 충정로3가 |
| 3 |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주한 프랑스 대사관 |
| 4 | 의주로2가, 한국경제신문, 서소문역사공원 |
| 5 | 중림동,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체육공원 |
| 6 | 아현동,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 민원센터(서부,중부), 아현동가구상가 |
4. 2. 7 ~ 10번 출구
| 7번 출구 | 북아현동, 아현동가구상가, 서울시수어통역센터지원본부 |
|---|---|
| 8번 출구 |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동아일보 충정로사옥, 충정로지구대[6] |
| 9번 출구 | 합동, 서울미동초등학교, 서대문사거리 방면 |
| 10번 출구 | 종근당, KT 아현지점, 동아일보 충정로사옥, 해양수산부,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중림치안센터, 충정로삼거리, 충현동 주민센터, 주한 프랑스 대사관 (2호선 이용), 한국경제신문사, 우리경영아카데미, 종근당 빌딩, 아현 터널 (경의선), 아현 고가차도, 구세군 빌딩 |
4. 3. 기타 시설
5. 이용객 변동
충정로역한국어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이용객 수를 분리하여 나타낸다.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2호선 | 승차 | 8,305 | 9,298 | 10,122 | 10,748 | 11,247 | 11,007 | 11,127 | 11,450 | 11,191 | 11,378 | [8] |
| 하차 | 8,654 | 9,647 | 10,479 | 11,290 | 11,806 | 11,605 | 11,822 | 12,199 | 11,922 | 12,362 | ||
| 승하차 | 16,959 | 18,945 | 20,601 | 22,038 | 23,053 | 22,611 | 22,949 | 23,649 | 23,113 | 23,740 | ||
| 5호선 | 승차 | 4,538 | 4,098 | 3,826 | 3,606 | 3,865 | 3,885 | 3,967 | 3,988 | 3,901 | 3,952 | [9] |
| 하차 | 4,200 | 3,665 | 3,569 | 3,467 | 3,717 | 3,790 | 3,878 | 3,928 | 3,850 | 3,991 | ||
| 승하차 | 8,738 | 7,763 | 7,394 | 7,073 | 7,582 | 7,675 | 7,845 | 7,917 | 7,751 | 7,944 |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 2호선 | 승차 | 11,818 | 11,833 | 12,538 | 12,445 | 11,928 | 11,463 | 11,690 | 11,503 | 11,230 | ||
| 하차 | 12,616 | 12,440 | 13,244 | 13,279 | 12,897 | 12,357 | 12,627 | 12,252 | 11,901 | |||
| 승하차 | 24,434 | 24,273 | 25,782 | 25,724 | 24,826 | 23,820 | 24,317 | 23,755 | 23,131 | |||
| 5호선 | 승차 | 4,063 | 4,097 | 4,514 | 5,082 | 4,921 | 4,751 | 4,672 | 4,573 | 4,488 | ||
| 하차 | 4,110 | 4,213 | 4,690 | 5,299 | 5,174 | 4,938 | 4,771 | 4,624 | 4,533 | |||
| 승하차 | 8,173 | 8,310 | 9,204 | 10,381 | 10,095 | 9,689 | 9,443 | 9,197 | 9,021 | |||
6. 인접한 역
아현역 (242)
시청역 (201)
애오개역 (530)
서대문역 (5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