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대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쓸모없는 대공사는 많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지만, 실패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실제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정부 또는 기업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20년대 미국 보이 스카우트 활동에서 유래되었으며, 1930년대 뉴딜 정책 시기에 실업자들을 위한 공예 수업에서 만들어진 "쓸모없는 물건"을 지칭하며 널리 사용되었다. 쓸모없는 대공사는 프로젝트의 실패 가능성을 인지하면서도 상사에게 알리지 못하고 지속하는 경향, 과도한 예산 낭비, 비효율적인 운영 등의 특징을 보인다. 주요 사례로는 RCA의 SelectaVision, F-35 합동 타격 전투기 프로그램,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새만금 간척 사업, 4대강 정비 사업 등이 있으며, 성공적인 프로젝트라도 예산 초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건축물 - 브뤼셀 왕궁
브뤼셀 왕궁은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한 벨기에 국왕의 공식 집무실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이며 왕실의 공식 행사와 주요 업무가 이루어지는 벨기에의 중요한 랜드마크이다. - 벨기에의 정치 - 벨기에 연방의회
벨기에 연방의회는 양원제 입법부로서, 하원(150석, 선거구 선출 의원)과 상원(60석, 공동체/지역 의회 선출 및 선출 상원의원 선출 의원)으로 구성되며, 브뤼셀 국회의사당에서 회의를 개최하고, 권한 분담에 따라 각기 다른 입법 절차를 따르며, 특정 경우 양원 합동 회의인 연합 의회가 소집된다. - 벨기에의 정치 - 더 호르덜
더 호르덜은 브뤼셀 기반의 자전거 행사 및 순환 경로를 의미하며, 호르덜루트 순환도로는 이를 기반으로 브뤼셀을 둘러싼 약 100km의 자전거 도로이다.
쓸모없는 대공사 |
---|
2. 어원
"부건들(Boondoggle)"은 뉴욕주 로체스터에 기반을 둔 보이 스카우트의 루스벨트 부대의 신문 이름이었으며, 1927년에 처음 인쇄물로 등장했다.[1] 거기서 1930년대에 스카우트 활동에서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2] 이 용어는 "새로운 유형의 제복 장식"을 묘사하기 위해 이 용어를 만든 로체스터 출신 보이 스카우트에게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세계 잼버리에서 명예로운 부건들이 수여된 후, 이 단어의 사용은 다른 부대와 지부로 확산되었다.[3] 오클랜드 스카우트 부대는 캠프 다이아몬드에서 7일 밤낮을 보낸 참석자들에게 상으로 "부건들"을 수여했다.[4] 그 부건들은 "빨간색 나무 다이아몬드로 끝나는 빨간색 가죽 끈으로, 그 위에 1930이라는 숫자가 칠해져 있다"고 묘사되었다.[5] "부건들"은 1930년 오그덴 ''스탠다드-이그재미너''에서 밝은 색상의 가죽 끈으로 손으로 만든 물건으로 묘사되었다.[6] 1931년에는 마찬가지로 "가죽끈으로 만든 밝은 끈"으로 묘사되었다.[7]
2. 1. 초기 용법
1935년, ''뉴욕 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뉴딜의 일환으로 실업자들을 위한 여가 활동에 3백만 달러 이상이 지출되었다고 보도했다.[8] 이러한 활동 중에는 공예 수업이 있었는데, 이 수업에서는 기사에서 스쿠비두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다양한 실용적인 "장치"로 묘사된 "쓸모없는 대공사"를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8] 이 문구는 화려한 변호사 로이드 폴 스트라이커에 의해 사용되면서 대중화되었다.마거리트 영은 1993년 자서전 ''진실만을''에서 1930년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공식적인 수치와 사건들이 가장 큰 것은 구호, 즉 배고픈 사람들을 먹여 살리는 것이며, 영어에 새로운 단어, '''''쓸모없는 대공사'''''를 부여한 잎사귀를 갈퀴질하는 것과 같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생각했다."[9]
3. 특징
쓸모없는 대공사는 많은 사람과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정부 또는 기업 프로젝트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주요 운영자들은 프로젝트가 실패할 것이라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상사에게 알리지 못하고 프로젝트를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10] 이 과정에서 연구 개발을 계속하는 등의 "요식 행위"가 동반될 수 있다.[10]
이러한 상황은 불합리하게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데, 이는 고위 경영진이 실패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 실제 장치는 작동할 수 있지만, 개발 비용을 회수할 만큼 충분히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RCA의 SelectaVision 비디오 디스크 시스템 프로젝트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60년대 초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더 저렴하고 나은 대안이 시장에 출시된 후에도 প্রায় 20년 동안 지속되었다. RCA는 이 프로젝트에 약 7억 5천만 달러(1985년 기준, 2014년 기준 16억 5천만 달러)를 지출했으며, 이는 1986년 GE에 매각되고 이후 해체되는 요인 중 하나였다.
F-35 합동 타격 전투기 프로그램, ''Zumwalt''급 구축함, 연안 전투함[16][17],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타겟 캐나다, 로어 처칠 프로젝트, 캘리포니아 고속철도[24] 등도 쓸모없는 대공사로 비판받는다. 특히,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의 경우, 연기 흐름을 거스르고 아래로 배출하도록 설계된 화재 안전 시스템은 프로젝트 설계자 중 한 명이 엔지니어라고 허위 주장하면서 고안된 것으로, 과도한 지출의 원인 중 하나였다.[18][19]
1990년대에 등장한 영어 읽기 및 쓰기 교육 이론인 균형 잡힌 문해력은 수십 년 동안 낮은 읽기 성취도와 인종 격차에도 불구하고, 2020년대까지 미국 전역의 초기 문해력 커리큘럼에서 두드러졌다.[11] Heinemann은 2012년에서 2022년 사이 10년 동안 최소 16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11] 균형 잡힌 문해력 지지자들은 전국 교육 진척도 평가(NAEP) 점수가 변동이 없다는 이유로 읽기 위기가 없다고 주장했지만,[12] 기본 수준 이하로 읽는 비율은 37%에 달했다.[13] 그러나 최소 18개 주가 인지 과학 연구와 일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균형 잡힌 문해력을 제거하는 법률을 고려하고 있다.[14]
2014년 이후, 미국 공익 연구 그룹은 계획, 취소 또는 건설된 58개의 고속도로 쓸모없는 대공사 프로젝트를 문서화했다. 이 프로젝트들은 총 1,350억 달러의 자본 비용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유지 관리 비용을 미국 납세자들에게 부담시켰다.[26]
4. 사례
과거 벨기에에는 플랑드르나 왈롱 두 지역 중 한 군데에 투자를 한다면, 다른 지역에도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해야 하는 정책이 있었다. 이 정책 때문에 많은 사회 간접 자본이 완공 이후 방치되었다.
프랑스어나 네덜란드어권에서는 다른 나라의 비슷한 사례를 각각 언어에 해당하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 벨기에
과거 벨기에에는 플랑드르나 왈롱 두 지역 중 한 군데에 투자를 한다면, 다른 지역에도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해야 하는 정책이 있었다. 이 정책 때문에 많은 사회 간접 자본이 완공 이후 방치되었다.
#### 사용되거나 완공되지 않은 사례
- 안트베르펀 시내의 프랭클린 루즈벨트 광장과 테니에르스 광장을 잇는 터널은 진입로 경사도가 교통 계획에 맞지 않아서 완공되었지만 사용되지 않는다. 터널을 짓기 위해서 만들어진 임시 교량은 완공 30년 후인 2006년 8월에 철거되었다. 2009년 사용되지 않는 터널의 3m 정도 위쪽에 새 터널이 만들어졌다.
- 리에주의 콰이 생 레오나드 아래쪽에는 지하철을 위한 2.5km 정도의 터널이 있다. 리에주에는 지하철 건설 계획이 없다.
- 함에 있는 알베르 운하를 지나는 N73 도로의 다리와 니베르헤이스베그를 지나는 다리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근처 공단의 배후 도로로 사용할 예정이었다. 2km 정도 도로가 포장되어 있으나, [http://www.nsesoftware.nl/wiki/maps.asp?params=51.082121_0_0_N_5.165548_0_0_E_scale:5000_region:BE&pagename=Grote_nutteloze_werken 위성 사진]에서는 양떼를 볼 수 있다.
- 이프르 지역을 지나는 A19 도로는 다리를 앞두고 갑자기 끊긴다. 코트리크와 이프르를 잇는 도로를 통하여 유럽 도로 E40을 베우른으로 이으려고 했으나, 2005년 플랑드르 정부에서 연장 계획을 취소하고 N8 도로로 우회시켰다. 도로가 지날 곳에는 제 1차 세계대전 당시의 전장이 발굴되지 않은 채로 묻혀 있다. [http://www.nsesoftware.nl/wiki/maps.asp?params=50.87504_0_0_N_2.916656_0_0_E_scale:2000_region:BE&pagename=Grote_nutteloze_werken 위성 사진]
- 브뤼셀 메트로 2호선에는 생틀렛 역이 있다. 인접 역과 거리가 상당히 가까워서 영업을 하지 않았다. 전동차를 타고 가면서 역의 흔적을 볼 수 있다.
- 바르세나르와 자베케 사이, 브루헤-오스텐더 운하 근처에는 두 끊어진 다리가 있다. 하나는 철도 위를 지나며, 다른 하나는 밭 위를 지난다. 이 다리는 칼레-지브루헤 고속 도로를 이룰 예정이었다. 약 1억 1000만 벨기에 프랑을 투입하여 1976-1977년에 건설하였다. 플랑드르 주 정부에서는 3년마다 다리의 안전 점검을 실시하지만, 교통량이 없는 다리를 점검하는 건 예산 낭비라고 판단하여 2011년부터 중단하기로 했다. [http://www.nsesoftware.nl/wiki/maps.asp?params=51.205257_0_0_N_3.122241_0_0_E_scale:5000_region:BE&pagename=Grote_nutteloze_werken 항공 사진]
- 1975년 뢰번 신트 피터스 병원의 622석 규모 추가 병동 건설이 허가되었다. 1983년 대부분이 완공되었지만, 정부 병원 정책이 바뀌면서 1층이 완공되지 않았다. 다른 목적으로 건물을 사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인접한 신트 라파엘 병원과 같이 철거해서 주거 지역으로 바꿀 예정이다.
#### 계획대로 사용된 사례
샤를루아에는 총 8종류의 노면 전차 노선이 계획되었으나 이 중 3개 노선만 건설되었고, 그 중에서도 일부만 사용 중이다.
####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
알베르 운하를 따라 가는 수도관은 원래 하수도관으로 계획되었으나, 시공이 잘못되어 하수관 기능을 하지 못했다. 1990년대에 상수도관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지하철 위스퍼플레인 역 아래에는 동서간을 이을 예정인 지하철 노선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지하철 역 안에서 접근할 수는 있으나 평상시에는 잠겨 있다. 냉전 기간 중에는 이 공간을 핵 대피소로 이용하였으나, 2006년 6월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암스테르담 데이터 센터가 입주해 있다.

네덜란드 도로 A4의 미덴델프란드 구간은 30년 가까이 작업 중이다.
### 독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나치 정권은 대서양 벽을 건설하여 연합군의 침략을 막으려 했으나, 전쟁이 끝나면서 계획 자체가 무산되었다. 현재는 일부 잔해만 남아 있다.
### 러시아

트란스폴랴르나야 선은 1947년 스탈린의 지시로 강제 노동을 통해 착공되었으며, 북극권 지역을 철도로 연결하려고 하였다. 초기 계획의 58% 정도가 건설되었다가,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건설이 중단되었다.
### 캐나다
몬트리올 미라벨 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공항 중 하나이지만 이용객은 적다. 로어 처칠 프로젝트는 예산을 초과하여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타겟 캐나다는 공급망 문제 등으로 실패하였다.
4. 1. 벨기에
과거 벨기에에는 플랑드르나 왈롱 두 지역 중 한 군데에 투자를 한다면, 다른 지역에도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해야 하는 정책이 있었다. 이 정책 때문에 많은 사회 간접 자본이 완공 이후 방치되었다.4. 1. 1. 사용되거나 완공되지 않은 사례
- 안트베르펀 시내의 프랭클린 루즈벨트 광장과 테니에르스 광장을 잇는 터널은 진입로 경사도가 교통 계획에 맞지 않아서 완공되었지만 사용되지 않는다. 터널을 짓기 위해서 만들어진 임시 교량은 완공 30년 후인 2006년 8월에 철거되었다. 2009년 사용되지 않는 터널의 3m 정도 위쪽에 새 터널이 만들어졌다.
- 리에주의 콰이 생 레오나드 아래쪽에는 지하철을 위한 2.5km 정도의 터널이 있다. 리에주에는 지하철 건설 계획이 없다.
- 함에 있는 알베르 운하를 지나는 N73 도로의 다리와 니베르헤이스베그를 지나는 다리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근처 공단의 배후 도로로 사용할 예정이었다. 2km 정도 도로가 포장되어 있으나, [http://www.nsesoftware.nl/wiki/maps.asp?params=51.082121_0_0_N_5.165548_0_0_E_scale:5000_region:BE&pagename=Grote_nutteloze_werken 위성 사진]에서는 양떼를 볼 수 있다.
- 이프르 지역을 지나는 A19 도로는 다리를 앞두고 갑자기 끊긴다. 코트리크와 이프르를 잇는 도로를 통하여 유럽 도로 E40을 베우른으로 이으려고 했으나, 2005년 플랑드르 정부에서 연장 계획을 취소하고 N8 도로로 우회시켰다. 도로가 지날 곳에는 제 1차 세계대전 당시의 전장이 발굴되지 않은 채로 묻혀 있다. [http://www.nsesoftware.nl/wiki/maps.asp?params=50.87504_0_0_N_2.916656_0_0_E_scale:2000_region:BE&pagename=Grote_nutteloze_werken 위성 사진]
- 브뤼셀 메트로 2호선에는 생틀렛 역이 있다. 인접 역과 거리가 상당히 가까워서 영업을 하지 않았다. 전동차를 타고 가면서 역의 흔적을 볼 수 있다.
- 바르세나르와 자베케 사이, 브루헤-오스텐더 운하 근처에는 두 끊어진 다리가 있다. 하나는 철도 위를 지나며, 다른 하나는 밭 위를 지난다. 이 다리는 칼레-지브루헤 고속 도로를 이룰 예정이었다. 약 1억 1000만 벨기에 프랑을 투입하여 1976-1977년에 건설하였다. 플랑드르 주 정부에서는 3년마다 다리의 안전 점검을 실시하지만, 교통량이 없는 다리를 점검하는 건 예산 낭비라고 판단하여 2011년부터 중단하기로 했다. [http://www.nsesoftware.nl/wiki/maps.asp?params=51.205257_0_0_N_3.122241_0_0_E_scale:5000_region:BE&pagename=Grote_nutteloze_werken 항공 사진]
- 1975년 뢰번 신트 피터스 병원의 622석 규모 추가 병동 건설이 허가되었다. 1983년 대부분이 완공되었지만, 정부 병원 정책이 바뀌면서 1층이 완공되지 않았다. 다른 목적으로 건물을 사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인접한 신트 라파엘 병원과 같이 철거해서 주거 지역으로 바꿀 예정이다.
4. 1. 2. 계획대로 사용된 사례
샤를루아에는 총 8종류의 노면 전차 노선이 계획되었으나 이 중 3개 노선만 건설되었고, 그 중에서도 일부만 사용 중이다.4. 1. 3. 다른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
알베르 운하를 따라 가는 수도관은 원래 하수도관으로 계획되었으나, 시공이 잘못되어 하수관 기능을 하지 못했다. 1990년대에 상수도관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4. 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지하철 위스퍼플레인 역 아래에는 동서간을 이을 예정인 지하철 노선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지하철 역 안에서 접근할 수는 있으나 평상시에는 잠겨 있다. 냉전 기간 중에는 이 공간을 핵 대피소로 이용하였으나, 2006년 6월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는 암스테르담 데이터 센터가 입주해 있다.네덜란드 도로 A4의 미덴델프란드 구간은 30년 가까이 작업 중이다.
4. 3. 독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나치 정권은 대서양 벽을 건설하여 연합군의 침략을 막으려 했으나, 전쟁이 끝나면서 계획 자체가 무산되었다. 현재는 일부 잔해만 남아 있다.4. 4. 러시아
트란스폴랴르나야 선은 1947년 스탈린의 지시로 강제 노동을 통해 착공되었으며, 북극권 지역을 철도로 연결하려고 하였다. 초기 계획의 58% 정도가 건설되었다가,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건설이 중단되었다.
4. 5. 캐나다
몬트리올 미라벨 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공항 중 하나이지만 이용객은 적다. 로어 처칠 프로젝트는 예산을 초과하여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타겟 캐나다는 공급망 문제 등으로 실패하였다.4. 6. 미국
4. 7. 일본
일본 이와테현 후다이의 10선 시장인 와무라 코토쿠(Koutoku Wamura, 종종 Kotaku Wamura로 표기됨)는[28] 1970년대에 마을을 쓰나미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6m 높이의 방파제를 건설했다.[29] 마을 의회는 방파제의 규모와 비용에 반대했지만, 와무라는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설득했다.[30] 2011년 3월 11일 쓰나미가 후다이를 강타했을 때, 마을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고, 현재 주민들은 와무라의 묘소를 방문하여 존경을 표한다.[29]4. 8. 호주

예산 초과는 프로젝트를 쓸모없는 대공사로 규정하는 일반적인 요인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프로젝트가 반드시 아무런 이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27]
시간과 비용 초과는 성공적인 프로젝트에서도 흔히 발생하며, 프로젝트의 이점이 결국에는 이를 능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건설 비용은 1,400% 이상 폭등했지만, 이후 이 건물은 도시와 호주의 상징이 되었다.
4. 9. 기타
예산 초과는 프로젝트를 쓸모없는 대공사로 규정하는 일반적인 요인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프로젝트가 반드시 아무런 이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27] 시간과 비용 초과는 성공적인 프로젝트에서도 흔히 발생하며, 프로젝트의 이점이 결국에는 이를 능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건설 비용은 1,400% 이상 폭등했지만, 이후 이 건물은 도시와 호주의 상징이 되었다.코크로프트의 어리석음은 윈드스케일 원자로에 추가된 일련의 공기 스크러버이다. 1957년 윈드스케일 화재로 방출된 방사성 낙진의 양은 스크러버의 존재로 인해 상당히 감소했다.[27]
일본 이와테현 후다이의 10선 시장인 와무라 코토쿠(Koutoku Wamura, 종종 Kotaku Wamura로 표기됨)는[28] 1970년대에 마을을 쓰나미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6미터 높이의 방파제를 건설했다.[29] 2011년 3월 11일 쓰나미가 후다이를 강타했을 때, 마을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고, 현재 주민들은 와무라의 묘소를 방문하여 존경을 표한다.[29]
1961년 말 인터뷰에서 MIT의 교수이자 수학자인 노버트 위너는 새로 제안된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을 "달덩어리"(moondoggle)라고 일축했다.[31]
1990년에 발사된 허블 우주 망원경은 광학 결함으로 인해 "기술적 실패작"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1993년 수리 임무로 기능이 회복되었고, 이후 유지 보수 임무를 통해 우주 관찰 및 이해에 귀중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32]
5. 한국의 사례
5. 1. 긍정적 평가를 받는 사례
예산 초과는 프로젝트를 쓸모없는 대공사로 규정하는 일반적인 요인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프로젝트가 반드시 아무런 이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시간과 비용 초과는 성공적인 프로젝트에서도 흔히 발생하며, 프로젝트의 이점이 결국에는 이를 능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건설 비용은 1,400% 이상 폭등했지만, 이후 이 건물은 도시와 호주의 상징이 되었다.
또 다른 예로는, 프로젝트 후반 건설 과정에서 막대한 비용과 복잡성을 들여 윈드스케일 원자로에 추가된 일련의 공기 스크러버인 "코크로프트의 어리석음"이 있다. 하지만 1957년 윈드스케일 화재로 방출된 방사성 낙진의 양은 스크러버의 존재로 인해 상당히 감소했다.[27]
일본 이와테현 후다이의 10선 시장인 와무라 코토쿠(와무라 고토쿠/和村 幸得일본어)[28]는 1970년대에 마을을 쓰나미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6m 높이의 방파제를 건설했다.[29] 마을 의회는 방파제의 규모와 비용에 반대했지만, 와무라는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설득했다.[30] 2011년 3월 11일 쓰나미가 후다이를 강타했을 때, 마을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고, 현재 주민들은 와무라의 묘소를 방문하여 존경을 표한다.[29]
1961년 말 인터뷰에서 MIT의 교수이자 수학자인 노버트 위너는 새로 제안된 아폴로 계획의 달 착륙을 ""(moondoggle)라고 일축했다.[31]
1990년에 발사된 후, 광학 결함으로 인해 허블 우주 망원경이 대부분의 과학적 목표를 수행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기술적 실패작"으로 묘사되었다. 1993년의 수리 임무로 기능이 회복되었고, 이후 유지 보수 임무를 통해 우주 관찰 및 이해에 귀중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32]
건설 당시에는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완공 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핵심 동맥 역할을 수행하며 긍정적 평가를 받는 경부고속도로.
5. 1. 1.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에는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완공 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핵심 동맥 역할을 수행하며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5. 2. 부정적 평가를 받는 사례
5. 2. 1. 새만금 간척 사업
새만금 간척 사업은 1991년 착공 이후 30년이 넘도록 완공되지 못하고 있다. 이 사업은 환경 파괴, 수질 오염, 경제성 부족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고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새만금 사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갖고 있으며,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입장과도 일치한다.5. 2. 2. 4대강 정비 사업
이명박 정부 시절 추진된 4대강 정비 사업은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홍수 예방 및 가뭄 해소 효과는 미미하고 오히려 환경 파괴와 수질 악화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업을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실정으로 규정하고, 지속적인 비판과 함께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5. 3. 논란이 있는 사례
5. 3. 1.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초기에는 통행량 부족으로 인해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는 인천국제공항의 핵심 접근로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높은 통행료 문제는 여전히 논란거리다.5. 3. 2. 용인경전철
용인경전철은 수요 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막대한 적자를 기록하여 '쓸모없는 대공사'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이용객 증가와 함께 무상 환승 도입 등의 노력으로 적자 폭을 줄여나가고 있다.6.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Scouts of Roosevelt Troop Plan Contest
1927-12-04
[2]
뉴스
Boondoggle
https://www.newspape[...]
2017-05-30
[3]
뉴스
Origins of the word 'boondoggle'
https://www.newspape[...]
2017-05-30
[4]
웹사이트
Camp Dimond, Boy Scouts of America
http://oaklandwiki.o[...]
2022-01-23
[5]
뉴스
Scouting, boondoggles
https://www.newspape[...]
2017-05-30
[6]
뉴스
'Boondoggle' camp mystery
https://www.newspape[...]
2017-05-30
[7]
뉴스
Materials ready for handicraft
https://www.newspape[...]
2017-05-30
[8]
뉴스
$3,187,000 relief is spent to teach jobless to play; $19,658,512 voted for April; 'Boon Doggles' Made
https://www.nytimes.[...]
1935-04-04
[9]
서적
Nothing but the Truth
Carlton
1993
[10]
웹사이트
Xanadu re-boot is salvage operation | NJ.com
http://blog.nj.com/n[...]
Blog.nj.com
2014-05-12
[11]
웹사이트
Transcript of Sold a Story E5: The Company
https://www.apmrepor[...]
2022-11-11
[12]
뉴스
On the latest obsession with phonics
https://www.washingt[...]
2023-05-23
[13]
웹사이트
Literacy and NAEP Proficient
https://tomloveless.[...]
2023-06-11
[14]
웹사이트
After Sold a Story, more states spell out reading instruction
https://www.apmrepor[...]
2023-05-18
[15]
뉴스
How the F-35 boondoggle shows that deficit hawkery is a sham
https://www.washingt[...]
2014-08-14
[16]
웹사이트
How the Navy's Zumwalt-Class Destroyers Ran Aground
https://www.national[...]
2016-12-19
[17]
웹사이트
Why the Navy's Littoral Combat Ships Are so Terrible
https://nationalinte[...]
2019-10-21
[18]
뉴스
Berlin's $7 Billion Brandenburg Airport Finally Opens in the Depths of a Crisis
https://www.bloomber[...]
2022-01-23
[19]
웹사이트
Berlin airport shows new German government how not to finance growth
https://www.ft.com/c[...]
2021-12-05
[20]
웹사이트
Target admits it missed the mark, but what does it mean for Canadian retail?
https://www.cbc.ca/n[...]
2022-01-23
[21]
웹사이트
Target Corporation Announces Plans to Discontinue Canadian Operations
http://corporate.tar[...]
[22]
웹사이트
Billion-dollar mistake: How inferior IT killed Target Canada
https://www.zdnet.co[...]
[23]
뉴스
'Project was not the right choice': Muskrat Falls estimate surpasses $11-billion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Inc.
2016-06-24
[24]
웹사이트
California's high-speed rail is the very definition of a boondoggle
https://www.ocregist[...]
2020-11-27
[25]
웹사이트
Needed: Someone brave enough to stop California's crazy train
https://www.washingt[...]
2020-11-27
[26]
웹사이트
Highway Boondoggles
https://uspirg.org/f[...]
[27]
뉴스
Windscale Piles: Cockcroft's Follies avoided nuclear disaster
https://www.bbc.co.u[...]
2014-11-04
[28]
웹사이트
Episode 8 — Another Extended Break (Which we promise not to do so often)
https://www.listenno[...]
2019-08-23
[29]
웹사이트
Village unscathed by tsunami - thanks to mayor's 'crazy idea'
https://www.scotsman[...]
2019-08-23
[30]
뉴스
How one Japanese village defied the tsunami
https://www.nbcnews.[...]
2019-08-23
[31]
웹사이트
What You Didn't Know About the Apollo 11 Mission
https://www.smithson[...]
2019-06-17
[32]
뉴스
Hubble, NASA's Comeback Kid, Survives to See a New Dawn
https://www.nytimes.[...]
2006-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