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스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스강은 터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을 가로지르며 쿠라강과 합류하여 카스피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고대에는 아락세스(Ἀράξης)로 알려졌으며, 아르메니아어로는 아락스(Արաքս), 페르시아어로는 아라스(ارس)로 불린다. 빙골 산맥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를 거쳐 흐르며, 이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의 국경을 형성한다. 역사적으로는 러시아 제국과 카자르 왕조의 경계선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자 조류 연구의 중요한 장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라스강
지도 정보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을 흐르는 아라스 강. 오른쪽이 아제르바이잔, 왼쪽이 이란.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을 흐르는 아라스 강. 오른쪽은 아제르바이잔, 왼쪽은 이란.
쿠라 강 유역과 아라스 강
쿠라 강 유역과 아라스 강
명칭
한국어아라스 강
아르메니아어(아락스)
아제르바이잔어(아라즈)
페르시아어(아라스)
튀르키예어(아라스)
지리
발원지튀르키예 에르주룸 주, 빙괼 산맥, 코자균 시냇물 (바르토), 오르만 시냇물 (흐느스), 테크만
하구아제르바이잔 사비라바드 구, 쿠라 강
국가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이란, 아제르바이잔
수문

2. 명칭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을 '''아락세스'''(Ἀράξης|아락세스el)라고 불렀다. 현대 아르메니아어로는 '''아락스''' 또는 '''아라크스'''(Արաքս|아락스hy)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인들은 이 강을 Երասխ|Yeraskhxcl라고 불렀으며, 고대 조지아어로는 '''라크시'''(რახსი|락시sk)라고 불렀다. 아제르바이잔어로는 '''아라즈'''라고 부른다.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터키어로는 ارس|아라스fa라고 한다.[1]

1855년 제임스 와일드 지도에 "아라스"라는 단어가 표시되어 있다


1856년, 이 강을 "아라스"라고 표기한 또 다른 지도


아르메니아인의 전승에 따르면, 이 강은 전설적인 아르메니아 족장 하이크의 증손자인 아라스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이름은 나중에 그리스어로 ''Araxes''로 헬라화되었으며, 쿠라-아락세스 문화에 적용되었다. 이 강은 또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VIII장의 마지막 장에서 로마인들이 다리를 건설하여 정복했기 때문에 "다리에 화가 난" 강으로 언급된다. 아라스강은 성경의 강 기혼과 피손과 연관되어 왔다. 로버트 H. 휴센은 아라스강을 아르메니아 고원의 유일한 "진정한 강"이자 아르메니아인에게 자부심의 상징인 "어머니 아락세스"로 묘사했다.[9]

이슬람 시대에 아락세스강은 아랍어로는 '''알-라스'''(오늘날의 아르 라스와 혼동하지 말 것)로, 페르소-튀르크어 문맥에서는 '''아라스'''로 알려지게 되었다.[4]

3. 지리

아라스강은 터키 빙골 산맥에서 발원하여 여러 강들과 합류하고,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의 국경을 따라 흐르다가 쿠라강과 합쳐져 카스피해로 흘러 들어간다.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아라스강을 따라 있는 해발 380m 지점이다.[6]

아라스강은 터키 에르주룸 근교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면서 터키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나히체반 자치 공화국), 이란의 국경을 형성한다. 디고르 남동쪽에서 아후르얀 강과 합류하고,[4] 사비라바드에서 쿠라강과 합류한 후 카스피해로 흘러 들어간다.

2006년 터키 이으드르 주 투즐루자 구역의 위카르츠르클리 마을에 아라스 계곡 조류 연구 및 교육 센터가 설립되었다. 이곳에서는 매년 조류 고리 부착 연구가 진행되며, 다양한 종류의 새들이 관찰된다. 2012년에는 시크라라는 새로운 맹금류가 발견되기도 했다. 유타 대학교의 차간 셰케르시오글루 교수는 투즐루자 댐 건설 계획 중단을 터키 정부에 호소했고, 2013년 이 지역은 최고 수준의 보존 상태를 부여받았다.

아라스강 유역에는 코카서스 검은 뇌조, 붉은사슴, 아르메니아 야생 양, 표범 등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2023년 강 남쪽의 이란 내 1,670km²는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으로 지정되었다[14]

3. 1. 지류

빙골 산맥에서 발원한 코차귄, 달르, 오르만 강과 바르토 지역의 경계 부근에서 합류하여 테크만 지역의 크르크한 마을 부근에서 합쳐진다.[1][2] 남쪽으로는 아라스 산맥에 둘러싸여 있다.[3] 디고르 남동쪽에서 아후르얀 강과 합류한다.[4] 터키에 위치한 카르스 강과 칠드르 호수에서 물을 모으는 아르파 차이(아후르얀 강)와 아르메니아의 세반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라즈단 강, 이란 북동부 아제르바이잔의 사발란 산에서 발원하는 가레 수 등이 아라스강의 주요 지류이다.[5]

아라스강의 지류는 다음과 같으며, 발원지에서 하구 순으로 나열한다:[7][8]

좌측 지류우측 지류


4. 역사

고대에 이 강은 그리스인들에게 '''아락세스'''(Ἀράξης|아락세스el)로 알려졌다. 현대 아르메니아어로는 ''아락스'' 또는 ''아라크스''(Արաքս|아락스hy)로 불린다.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인들은 이 강을 Երասխ|예라스크xcl라고 불렀으며, 고대 조지아어로는 ''라크시''(რახსიsk)라고 불렀다. 아제르바이잔어로는 ''아라즈''라고 부른다.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터키어로는 ارس|아라스fa라고 한다.[4]

아르메니아인의 전승에 따르면, 이 강은 전설적인 아르메니아 족장 하이크의 증손자인 아라스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이름은 나중에 그리스어로 ''Araxes''로 헬라화되었으며, 쿠라-아락세스 문화에 적용되었다. 이 강은 또한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8장에서 로마인들이 다리를 건설하여 정복했기 때문에 "다리에 화가 난" 강으로 언급된다. 아라스강은 성경의 강 기혼과 피손과 연관되어 왔다. 로버트 H. 휴센은 아라스강을 아르메니아 고원의 유일한 "진정한 강"이자 아르메니아인에게 자부심의 상징인 "어머니 아락세스"로 묘사했다.[9]

스트라본이 언급한 전설에 따르면, 고대에는 아르메니아의 아락세스강이 카스피해로의 유출구가 없어 평원으로 퍼져나가 유출구가 없는 호수를 만들었다고 한다.[10]

이슬람 시대에 아락세스강은 아랍어로는 '''알-라스'''(오늘날의 아르 라스와 혼동하지 말 것)로, 페르소-튀르크어 문맥에서는 '''아라스'''로 알려지게 되었다.[4]

현대 역사에서 아라스강은 지리적, 정치적 경계로서 중요성을 얻었다. 골레스탄 조약과 투르크멘차이 조약에 따라, 이 강은 러시아 제국카자르 왕조 사이의 경계선으로 선택되었으며, 카자르 왕조는 코카서스 영토를 러시아에 양도해야 했다.[11]

1963년부터 1970년까지, 이란과 소련은 나흐치반 근처에 아라스 댐을 건설하여 아라스 저수지를 만들었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이란은 호다아파린 댐을 건설하여 호다아파린 저수지를 만들었으며, 강에서 12km 아래에 기즈 갈라시 댐을 건설하여 기즈 갈라시 저수지를 만들었다. 이란과 아르메니아는 메그리 근처에 메그리 댐을 건설할 계획이다.[13]

5. 생태

이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국경을 이루는 아라스강 일대에는 Caucasian grouse|코카서스검은뇌조영어, 붉은사슴, Armenian mouflon|아르메니아야생양영어, 표범 등이 서식하고 있다. 2023년 강 남쪽의 이란 내 1670km2는 유네스코 세계 지질 공원으로 지정되었다.[14]

5. 1. 아라스 계곡 조류 연구

2006년, 터키의 자연 보호 비정부 기구인 쿠제이도아는 터키 이으드르 주 투즐루자 구역의 위카르츠르클리 마을에 있는 아라스 계곡에 조류 연구 및 교육 센터를 설립했다. 이곳은 매년 운영되는 터키의 두 조류 고리 부착소 중 하나이다. 2006년과 2021년 사이에 201종의 145,000마리 이상의 새에 고리가 부착되었으며, 이 관측소에서 306종의 새가 관찰되었다. 터키에서 발견된 489종의 조류 중 63%가 이 습지에서 기록되었으며, 이곳은 터키 동부에서 조류가 가장 풍부한 습지이다. 고리가 부착되고 관찰된 306종의 새는 터키에서 조류 종이 가장 풍부한 내륙 지방인 이으드르 주의 340종의 90%를 차지한다. 2012년에만 조류 고리 부착 활동 중에 터키의 조류상에 새로운 맹금류인 시크라, 또는 작은 띠매 (''Accipiter badius'')를 포함한 7종의 새로운 새가 관찰되었다.

유타 대학교 생물학 교수이자 쿠제이도아 협회의 회장인 차간 셰케르시오글루는 산림수자원부 (터키)에 아라스 계곡의 조류 야생 동물을 품고 있는 습지를 파괴할 투즐루자 댐 프로젝트를 중단해 줄 것을 호소했다. 2013년, 해당 부처는 이 지역에 최고 수준의 보존 상태(자연 보호 구역)를 부여했다.

6. 갤러리

폴다슈트 구에서 촬영한 아라스강

참조

[1] 웹사이트 Erzurum Mülkî İdare İl Haritası https://www.harita.g[...] Harita Genel Müdürlüğü
[2] 웹사이트 Bingöl Dağları https://www.dogadern[...] Doğa Derneği
[3] 웹사이트 Aras Vadisi https://www.dogadern[...] Doğa Derneği
[4] 웹사이트 Araxes River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18-05-03
[5] 웹사이트 Aras River {{!}} river, Asi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21
[6] 서적 Armenia, Azerbaijan, and Georgia : country studies https://www.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1995
[7] Great Soviet Encyclopedia Аракс http://bse.sci-lib.c[...]
[8] UN-Water Reducing Trans-boundary Degradation of the Kura-Aras River Basin https://www.ais.unwa[...]
[9] 서적 The Armenian Peopl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Volume I: The Dynastic Periods: From Antiquity to the Four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1997
[10]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Book 11, chapter 14 https://www.perseus.[...] 2018-01-15
[11]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12] 웹사이트 Caucasus https://www.britanni[...] 2019-09-10
[13] 뉴스 News: Meghry Power Plant Kicks off http://en.iwpco.ir/L[...] Iran Water & Power Resources Development Co. 2012-11-17
[14] 웹사이트 Aras UNESCO Global Geopark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4
[15] 서적 Armenia: Past and Pres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