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모토는 류큐 슌텐 왕통의 3대이자 마지막 왕으로 전해지는 인물이다. 1206년에 슌마쥰키의 아들로 태어나 1249년에 즉위하여 류큐국 중산왕으로 통치했으나, 기근과 역병으로 인한 국정 혼란을 겪었다. 1259년에 에이소에게 왕위를 양위하고 퇴위한 후 행방이 묘연하며, 그의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류큐의 정사에서는 에이소에게 선위했다고 기록하지만, 쿠데타설도 제기되고 있다. 기모토와 관련된 전설은 오키나와 본섬과 아마미 제도에 널리 퍼져 있으며, 그를 안장했다고 전해지는 묘가 여러 곳에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06년 출생 - 귀위크 칸
귀위크 칸은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쿠릴타이를 통해 즉위하여 유럽 원정에 참여하고 교황에게 서신을 보냈지만, 과음으로 급사하여 몽골 제국의 유럽 진출을 늦추었다. - 1206년 출생 - 홍복원
홍복원은 고려 시대 인물로, 몽골 제국 침략기에 몽골에 투항하여 반란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원나라에서 동경 총관을 지내며 고려 침략에 앞장섰으며, 영녕공 준과의 갈등으로 몽골 황제에게 죽임을 당했다. - 13세기 일본 사람 - 고토바 천황
고토바 천황은 삼종신기 없이 즉위한 최초의 일본 천황으로, 상황으로서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지만 조큐의 난 실패 후 유배되었으며, 뛰어난 와카 시인이자 예술가로서 일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세기 일본 사람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류큐 국왕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 류큐 국왕 - 쇼온왕
쇼온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18대 국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교육 진흥과 대외 관계 유지에 힘썼으나 요절하였다.
기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군주호 | 류큐국 중산왕 |
신호 | 불전 |
거성 | 우라소에성 |
생애 | |
출생일 | 1206년 |
재위 | 1249년 - 1259년 |
계승 형식 | 왕세자 |
아버지 | 슌바준키 |
기타 | |
왕조 | 슌텐 왕조 |
![]() |
2. 이름
히가시온나 칸준은 '기모토'라는 이름의 의미가 불분명하다고 했다.[2] 기모토를 포함한 슌텐 왕통의 왕명은 『오모로소시』나 『역대보안』에 보이는 류큐인의 이름에서의 한자・가나 표기와는 특수하며, 후세에 붙여진 시호가 아닌가 생각된다.[3] 『중산세보』는 기모토의 성씨를 "미나모토"라고 하고 있다.[4] 신호는 전해지지 않는다.[5]
기모토는 슌텐 왕통의 3대이자 마지막 왕으로 알려져 있다.[8] 『중산세감』에 따르면 슌마쥰키의 첫째 왕자로 1206년(개희 2년)에 태어났다.[11] 슌마쥰키의 아들이므로 기모토는 슌텐의 손자가 된다.[12]
『츄잔세이칸』, 『츄잔세이후』, 『구양』과 같은 류큐의 정사나, 중국 측에서 저술된 서보광의 『츄잔전신로쿠』에도 기모토는 에이소에게 왕위를 선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5] 이토카즈 겐지는 『츄잔세이칸』과 『츄잔세이후』에서 기모토의 에이소에 대한 선위에 대한 평가가 다르다는 것을 지적했다.[1] 『츄잔세이칸』은 덕을 갖춘 에이소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던 기모토가 있었기에 에이소가 왕으로서 존재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지만, 『츄잔세이후』는 나라가 재앙에 빠진 상황에서 덕을 쌓는 노력도 하지 않고 자신에게 덕이 없다고 걱정만 한 기모토는 원래부터 왕이 될 자질을 갖추지 못했다고 비판하고 있다.[26]
기혼을 안장했다고 전해지는 묘는 알려진 바로는 오키나와 본섬 북부의 구니가미촌에 7곳, 중부의 기타나카구스쿠촌에 1곳, 그리고 가고시마현 아마미 제도에 2곳, 총 10곳에 흩어져 있다.[24] 퇴위 후 기혼의 행방은 불분명하지만, 그것이 사람들의 관심과 동정을 사서, 그 후 기혼과 연관이 있다고 칭하는 자가 묘를 설치했다.[34]
[1]
서적
2004
이시이 노조무는 기모토를 타마구스쿠 성의 햐쿠나 촌의 고씨 "기무"로 비정하고, 그의 아버지 슌바 쥰키의 '희(熙)'는 북송 『집운』에 보이는 형성 문자의 주류로 "이" 음이라고 하여, 시마소에는 "스마스이"가 되며, 슌텐 왕통의 실재성을 주장한다.[6]
3. 경력
1249년(순우 9년), 슌마쥰키가 사망한 후 44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라 아버지로부터 "류큐국 중산왕" 3대째를 계승했다고 한다.[13][14] 그러나 즉위 이듬해부터 국내에 기근이 발생하고, 그 다음 해부터는 역병이 유행하여 국민의 절반이 사망하는 등[11]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조지 H. 커는 저서 『류큐의 역사』에서 이 시기가 류큐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는 태풍과 지진, 유럽에서는 흉작과 페스트 등으로 세계적으로 재난이 발생한 시기라고 설명한다.[15]
이러한 상황에 대해 기모토는 국정을 걱정하며 군신들에게 자신 대신 나라를 다스릴 사람을 묻자, 모두 에이소를 추천했다.[11] 이에 기모토는 에이소에게 시험 삼아 정치를 맡겼고, 그 결과 재앙이 멈추고 나라가 안정되었다고 한다.[16] 1259년(개경 원년),[12][17] 에이소가 섭정을 맡은 지 7년째 되던 해이자 재위 11년째 되던 해에 기모토는 54세의 나이로 에이소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18]
기모토가 통치하던 시기는 소규모 구스쿠들이 각지에 흩어져 있었고, 오키나와 본섬 전체를 통치하는 인물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던 시기로 여겨진다.[19] 『중산세보』에서는 천손씨 왕통이 슈리에 왕성을 건설하고[20] 이후의 왕통도 슈리성을 중심으로 통치했다고 하지만,[21] 기모토를 비롯한 슌텐 왕통은 우라소에 성을 거점으로 삼았다고 전해진다.[22][23]
『중산세보』는 퇴위 후 기모토의 행방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12] 그의 어머니, 비, 세자에 대한 기록도 전해지지 않는다고 기록하고 있다.[4] 그러나 오키나와 본섬과 아마미 제도에는 기모토와 관련된 전설과 무덤이 남아있다.[24]
한편, 기모토를 포함한 슌텐 왕통은 그 존재 자체가 불분명하며,[8] 실존하지 않는 전설상의 인물로 여겨져 왔다.[9] 그러나 이시이 노조무는 기모토를 오키나와 타마구스쿠의 고씨 "기무"에 해당한다고 보고, 아버지 슌마쥰키를 시마조에(すますい)의 복건 한자음으로 보아 시마조에 오자토, 타마구스쿠로 이어지는 슌텐 왕통의 실재성을 주장하기도 한다.[10]
4. 왕위 선위설에 대하여
이하 후유, 토오은나 간준, 히가 슌초, 타카라 쿠라요시, 조지 H. 커 등은 기모토의 왕위 선위설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혹은 일단 부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상세한 분석이나 고찰을 행하지 않았다.[27] 이노우에 히데오는 에이소에 의한 쿠데타설을 제창하고 있다.[28]
5. 각지의 기모토 왕 전설
오키나와 본섬 남부의 다마구스쿠 성에는 기모토와 관련된 전설이 남아 있다. 기모토의 직계 자손이라고 전해지는 하나자키 가문(花城家)의 전승에 따르면, 쿠니가미촌(国頭村) 헤도(辺戸)에 은둔하다가 시세가 안정된 후 요미탄촌(読谷村) 세나하(瀬名波)로 건너갔고, 만년에는 기타나카구스쿠촌(北中城村) 나카준(仲順)에서 사망했다고 한다.[32] 쿠니가미촌 헤도로 피신한 기모토는 무녀(祝女)와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제2 쇼씨 쇼엔 왕의 조상이라고 한다.[24] 또한, 헤도로 가는 길에 동촌의 사테라는 마을에 들러 '사치의 우이'라고 불리는 우물 물을 마셨는데, 이곳이 당지구 발상지라고 전해진다.[24] 동촌의 요나(与那) 마을에서는 헤도로 가는 도중에 현지 여성과 사이에서 두 명의 아이를 낳았다고 하며, 이지(伊地) 마을에는 기모토가 바다에서 상륙한 해변과 물을 마신 강, 그리고 올랐다고 하는 산이 있다고 한다.[24]
가고시마현의 아마미 군도에도 기모토 왕 전설이 전해진다.
6. 능묘
오키나와현 구니가미군 구니가미촌의 헤도에는 기혼을 안장했다고 전해지는 묘가 있다. 이것은 "헤도 다마레"라고 불리며, 높이 약 1m의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안에 세로・가로 약 1.8m, 높이 약 3m의 석조 묘가 축조되어 있다. 메이지 초기에 제2상씨에 의해 개수되었으며, 묘는 근대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기혼이 헤도에 사는 사쿠마가의 가택을 가옥으로 삼았다고 하며, 쇼보쿠왕 시대 이후 당가가 묘지기로 임명되었다고 한다.[35]
같은 현 나카가미군 기타나카구스쿠촌의 츄준에는 "나스의 우타키"라고 불리는 우타키가 있다. 그 안에 돌담이 있으며, 그 뒤쪽의 바위가 당 우타키의 본체(이베)이다. 또한 그 바위 위에 순천과 순마준희 두 왕을 안장했다고 전해지는 묘가 존재하지만, 기혼도 안장되어 있다고 하며, "나스의 우타키"는 "기혼왕의 묘"라고도 불린다.[36]
구니가미촌 헤도 외에도, 같은 촌의 이지에는 "하나 묘(티치바카)"라고 불리는 묘가 있지만, 문화재 보호 위원회에 의한 조사에서, 기혼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34] 또한, 같은 촌의 사테나 한지 지구 등, 더 나아가 아마미 제도에도 기혼이라고 전해지는 묘가 존재한다.[24]
참조
[2]
서적
1966
[3]
서적
2004
[4]
서적
蔡鐸本 中山世譜 現代語訳
1998
[5]
간행물
神号
1983
[6]
뉴스
日曜談話連載「小チャイナと大世界」第二百三十四囘
https://www.shimbun-[...]
八重山日報
2024-08-11
[7]
간행물
沖繩の御嶽と傳承
https://dl.ndl.go.jp[...]
三彌井書店
1979
[8]
간행물
舜天王統
1983
[9]
서적
2006
[10]
뉴스
日曜談話連載「小チャイナと大世界」第二百三十四囘
https://www.shimbun-[...]
八重山日報
2024-08-11
[11]
서적
訳注 中山世鑑
2011
[12]
간행물
義本
1983
[13]
서적
訳注 中山世鑑
2011
[14]
서적
訳注 中山世鑑
2011
[15]
서적
1985
[16]
서적
蔡鐸本 中山世譜 現代語訳
1998
[17]
서적
2004
[18]
서적
訳注 中山世鑑
2011
[19]
서적
舜天王統
1989
[20]
서적
蔡鐸本 中山世譜 現代語訳
1998
[21]
서적
2006
[22]
서적
浦添グスク
1989
[23]
간행물
中山王統
1983
[24]
서적
1985
[25]
서적
1985
[26]
서적
2004
[27]
서적
1985
[28]
서적
1985
[29]
서적
1985
[30]
서적
1985
[31]
서적
玉城村の文化財概要
1986
[32]
서적
1989
[33]
서적
1967
[34]
서적
1967
[35]
서적
1967
[36]
서적
仲順の文化財 ナスの御嶽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