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르메니아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하이크'는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아르메니아어 '하이'에서 유래되었으며, 노아의 후손으로 묘사된다. 전설에 따르면, 하이크는 폭군 벨을 물리치고 아르메니아 땅에 정착했으며, 아르메니아의 국명 유래와 관련이 있다. 하이크는 또한 창조신, 전쟁신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복합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다른 신화 속 인물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하이크'(Հայկ|하이크hy)는 고전 아르메니아어에서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하이'(հայ|하이hy)의 복수형인 '하이크'(Հայք|하이크hy)와 관련이 있다.[3] 일부 학자들은 '-ik' 접미사를 통해 '하이'/'하이크'에서 '하이크'가 유래되었다고 보며,[4] '하이크'가 인도유럽조어 '*poti-' (주인, 영주, 집주인, 남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5] 소련 시대 아르메니아 역사 기록은 '하이크'와 '하이'를 히타이트어 비문에 언급된 하야사와 연결하기도 했다.[4][6]
모브세스 호레나치 등 아르메니아 역사 기록에 따르면, 하이크는 성경에 등장하는 노아의 아들 야벳의 후손이다. 하이크는 야벳 - 고멜 - 티라스 - 토가르마의 계보를 잇는다. 하이크의 아들로는 아라마네아크, 코르, 마나바즈 등이 있으며, 아라마네아크의 후손으로는 아라마이스, 아마샤, 게람, 하르마, 아람, 아라 아름다운 자 등이 있다.[5][9][10]
모브세스 호레나치에 따르면, 하이크는 바빌론에서 폭정을 일삼던 티탄족 벨에 맞서 싸웠다. 하이크는 가족과 추종자들을 이끌고 아라라트 산 근처로 이주하여 '하이카셴'이라는 마을을 세웠다.[14] 벨은 군대를 이끌고 하이크를 공격했으나, 하이크는 반 호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벨을 활로 쏴 죽이고 승리했다.[13]
아르멘 페트로시안은 하이크를 창조신, 신들의 아버지이자 족장, 천둥신, 전쟁신의 특징을 결합한 복합적인 서사적 인물로 묘사하며, 이는 인도유럽 신화의 원형에서 유래되었고 근동 신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한다.[5] 하이크는 아시리아인들의 아수르와 같은 문화 영웅이자 어원론적 창시자이다. 하이크의 화살에 죽은 인물은 벨 또는 니므롯으로 다양하게 언급된다. ''하이크''는 또한 아르메니아어 성경 번역본에서 오리온자리의 이름이기도 하다.[5] 바빌론에서 하이크가 도주하여 벨을 물리친 이야기는 제우스가 코카서스로 탈출하여 티탄을 물리친 이야기와 비교된다.[17] 페트로시안은 인도의 신 루드라가 하이크와 가장 유사한 신화적 인물이라고 본다. 둘 다 오리온자리와 연관되어 있으며, ''하이스''와 루드라스처럼 같은 이름의 후손이나 추종자를 가지고 있고, 화살로 적을 죽이는 궁수라는 공통점이 있다.[18]
하이크는 노아의 방주가 도달한 아라라트산 기슭에 살았으며, 자신의 일족을 '하이'족, 사는 땅을 '하이크'라고 불렀고, 페르시아어로 나라를 뜻하는 -스탄을 붙여 '하야스탄'이라고 불렀다.[19] 이는 현재 아르메니아의 정식 명칭인 '하야스타니 한라페투윤'으로 이어진다.
[1]
서적
The Lawcode (Datastanagirk') of Mxit'ar Goš
https://books.google[...]
Rodopi
2000
2. 어원
아르메니아어 단어 '하이크카칸'(հայկական|하이크카칸hy, '아르메니아인의 것')과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적인 표현인 '하이가준'(հայկազուն, '하이크'와 'azn'(세대, 민족)의 합성어)은 '하이크'에서 파생되었다.[8]
3. 가계
조지아의 역사 기록에서는 하이크를 토가르마의 아들이자 니므롯을 섬긴 일곱 형제 중 하나로 묘사한다.[11]
모세스의 기록에 따르면 하이크는 곱슬머리에 빛나는 눈, 잘생긴 외모와 두터운 신망을 가진 인물이었다. 그는 강력한 무기를 가진 거대한 키의 뛰어난 궁술 실력을 갖춘 대담무쌍한 전사였다.
4. 전설
이 전투가 벌어진 곳은 '하이오츠 조르'(아르메니아인의 계곡)라고 불리며,[15] 하이크는 이곳에 '하이카베르드' 요새를 세웠다. 18~19세기 학자들은 하이크와 벨의 전투가 기원전 2492년 8월 11일 또는 기원전 2107년에 일어났다고 추정했다.[9][16]
4. 1. 하이크와 벨의 전투
모브세스 호레나치와 익명의 ''초기 역사''에 따르면 하이크는 바빌론 왕 벨(벨로스)과 싸워 그를 죽였다.[13]
모브세스 호레나치의 기록에 따르면, 토르곰의 아들 하이크는 바빌론에 살던 중 아들 아라마네악을 낳았다. 오만한 티탄족 벨이 스스로 왕이 되자, 하이크는 약 300명의 전사들과 함께 아라라트 산 근처로 이주하여 ''하이카셴''이라는 마을을 세웠다.[14] 가는 길에 손자 카드모스와 함께 다른 정착지에 분견대를 남겼다. 벨은 하이크에게 돌아오라고 간청했지만, 하이크는 거절했다. 벨은 대규모 병력으로 공격했지만, 하이크는 카드모스로부터 경고를 받았다. 그는 반 호 기슭에 군대를 소집하고, 벨을 물리치거나 죽을 각오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이크와 벨의 군대는 반 호 근처 "매우 높은 산 사이의 평원"에서 충돌했다. 벨 왕은 처음에 선봉대에 있었지만, 전투 결과를 알 수 없어 언덕으로 물러나 군대가 도착하기를 기다렸다. 하이크는 긴 활로 벨을 죽이고, 왕의 군대를 혼란에 빠뜨렸다.
하이크는 벨이 쓰러진 언덕을 ''게레즈만크''(Gerezmankʻ, "무덤")라고 불렀다. 그는 벨의 시신을 방부 처리하고, 하르크로 가져가 높은 곳에 묻도록 했다. 그 후, 하이크는 전투 장소에 하이카베르드 요새 또는 정착지(''다스타케르트'')를 세웠다. 모브세스 호레나치는 이 때문에 이 지역을 하이오츠 조르("아르메니아인의 계곡")[15]라고 부르며, 아르메니아는 ''하이크''라고 불린다고 말한다.
18세기와 19세기의 학자 게보온 알리샨과 미카엘 참치안은 신화적인 전투 (''듀차즈나마트'', , "거인들의 전투")의 날짜를 각각 기원전 2492년 8월 11일 또는 기원전 2107년으로 계산했다.[9][16]
모세스의 기록에 따르면, 하이크는 곱슬머리에 빛나는 눈, 잘생긴 외모와 두터운 신망을 가졌으며, 강력한 무기를 소지했다. 그는 거대한 키에 뛰어난 궁술 실력을 갖춘 대담무쌍한 전사였다. 하이크는 바빌론 근처의 따뜻한 땅으로 남하했다. 그곳에서는 사악한 거인 벨이 지배하고 있었다. 벨 왕은 하이크와 하이족을 자신의 전제 정치 아래에 두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자존심 강한 하이크는 벨에게 복종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의 아들 아라마네악이 태어나자 하이크는 하이족을 이끌고 북쪽 아라라트 산기슭으로 이동하여 마을을 건설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 하이카셴이라고 명명했다.
5. 비교 신화
하이크가 쏘아 죽이는 그림은 벨이나 니므로드를 향하는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르메니아어로 번역된 성경에서 오리온자리는 하이크라고도 불린다. 하이크가 벨이 다스리는 바빌론에서 한 번 도망친 후 최종적으로 쏘아 죽이는 모습은, 제우스가 티탄으로부터 코카서스 산맥으로 도망쳐 치명적인 화살을 쏘아 쓰러뜨리는 모습과 비교할 수 있다.
6. 아르메니아
하이크의 후손인 아르멘스 족의 족장 아르메나케(Armenak 또는 Aram)가 일족을 이끌고 독립하여 아르메니아족이 되었고, 이것이 '아르메니아'라는 국명의 유래이다. 가장 오래된 아르메니아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6세기의 베히스툰 비문에 남아 있다.
참조
[2]
백과사전
Hayk
https://hy.wikisourc[...]
[3]
서적
History of the Armenian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4]
문서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rmenian Inherited Lexicon
Brill
2010
[5]
간행물
Forefather Hayk in the Light of Comparative Mythology.
https://archive.org/[...]
2009
[6]
문서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Armenian State Political Doctrine
Curzon Press
1997
[7]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5
[8]
사전
Haykazn
http://nayiri.com/im[...]
Yerevan State University
[9]
웹사이트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Armenian nation
http://www.armin.am/[...]
Institute of Armenian Studies of Yerevan State University
[10]
문서
The Armenians: From Kings And Priests to Merchants And Commissar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11]
웹사이트
The Georgian Chronicle
http://rbedrosian.co[...]
[12]
서적
Ancient Records of Assyria and Babyloni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7
[13]
서적
A Connection of Sacred and Profane History
William Tegg
[14]
서적
History of Armenia
Hayastan
1997
[15]
문서
History
[16]
간행물
First Haykides and the «House of Torgom»
https://arar.sci.am/[...]
2019
[17]
서적
A History of Armenia
Armenian General Benevolent Union of America
[18]
간행물
Armenian Traditional Black Youths: the Earliest Sources
https://www.academia[...]
2011
[19]
웹사이트
Armenica.org:Chronology
http://www.armenica.[...]
[20]
문서
The Armenians: From Kings And Priests to Merchants And Commissar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21]
문서
Gerezmank: the nom. pl, Gerezmans being acc. pl., "tom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