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래턱은 호모 사피엔스의 특징 중 하나로,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다른 인간 조상들과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해부학적 특징이다. 턱의 기원은 치열궁의 축소와 관련이 있으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턱은 출생 후 뼈 개조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 턱의 정확한 기능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음성 언어와 관련된 입술의 미묘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이 부착되는 부위로 기능한다. 턱의 모양은 개인마다 다르며, 갈라진 턱이나 이중턱과 같은 형태적 특징을 보일 수 있다. 턱은 하악골의 앞쪽 끝부분을 지칭하며, 격투기 등에서 공격 목표를 지칭하는 'jaw'와 혼동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호모 사피엔스의 특징 중 하나는 잘 발달된 턱이다. 이는 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한 다른 인류 조상들과 구분되는 해부학적 특징이다.[1][2] 초기 인류 조상들은 다양한 결합부 형태를 보였지만, 뚜렷하게 발달된 턱은 없었다.
턱은 턱입술고랑(이순구)을 위쪽 경계로 하며[25], 위쪽으로는 입술, 뒤쪽으로는 볼과 연결된다.
2. 진화
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턱은 출생 후 뼈 개조 과정을 통해 뚜렷해진다.[11] Coquerelle 등[9][10]은 척추 앞쪽 경추와 설골의 전방 변위로 인해 아래턱 상부(치조돌기)는 뒤로 후퇴하고, 턱 결합부 하부는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턱이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또한, 턱 발달이 씹는 힘보다는 얼굴 크기 감소와 관련된 진화적 적응이라는 연구도 있다.[12] Holton 등은 얼굴이 작아지면서 턱이 발달했다고 주장한다. Robert Franciscus는 약 8만 년 전 수렵 채집 사회에서 더 큰 사회적 네트워크로 변화하면서 호르몬 수치 변화로 인해 턱이 진화했다는 인류학적 관점을 제시한다.[13]
인간은 턱을 가진 유일한 영장류이다. 진화 인류학자 James Pampush와 David Daegling은 턱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하지만,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고 말한다.[14]
2. 1. 기능
턱의 기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10개 가까운 근육이 턱에서 시작하거나 끝나지만, 씹는 동작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28]
턱은 음성 언어와 관련된 입술의 미묘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근육들이 붙는 부위로 발달해 왔다는 주장이 있다.
3. 구조
턱은 피부, 근육, 뼈, 신경, 혈관 등으로 구성된 두꺼운 구조체이다. 턱의 뼈는 하악골이며, 하악골 하악저의 정중 영역이 턱에 포함된다. 이 영역에는 턱융기와 턱결절이 존재하며[26], 턱의 모양에 큰 영향을 미친다.
턱은 턱신경의 지배를 받는다[27]。또한 턱신경은 바깥쪽의 턱구멍을 통과한다.
3. 1. 근육
턱에는 다음과 같은 근육들이 부착되어 있다.[29]
4. 형태
턱의 모양은 개인마다 큰 차이가 있으며, 병리적인 지표가 되기도 한다.
턱이 두 갈래로 갈라져 보이는 것을 갈라진 턱이라고 하며, 턱 갈림[15], 보조개 턱[16][17], 또는 턱 보조개[19]라고도 부른다. 이는 턱의 보조개를 의미하며, 턱의 Y자 모양 균열로, 기저 뼈의 특이성을 나타낸다.[18] 특히, 턱 균열은 배아 및 태아 발달 과정에서 턱뼈의 좌우 절반 또는 근육의 불완전한 융합으로 인해 생긴 아래 턱 뼈의 균열을 따른다. 또한, 사춘기 동안 턱의 돌출부가 성장하거나, 말단비대증의 결과로 턱뼈 결합부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한쪽 턱 결절이 다른 쪽보다 더 많이 성장하여 안면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다.[19]

갈라진 턱은 유전되는 형질이며, 2번 염색체에 위치한 rs11684042라는 유전자 표지자가 갈라진 턱의 가능한 유전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22] 갈라진 턱은 유럽, 중동 및 남아시아 출신 사람들에게 흔하다.[21] 페르시아 문학에서 턱 보조개는 아름다움의 요인으로 여겨지며, 비유적으로 "턱 구덩이" 또는 "턱 우물"이라고 불린다.[23]
턱 주위의 피부가 늘어져 턱이 이중으로 보이는 것을 '''이중턱'''이라고 한다. 이중턱은 비만의 전형적인 양태로 여겨지지만, 반드시 비만만이 원인은 아니다. 굽은 등이나 자세 불량에 기인하는 턱 주위의 부종[31]이나, 극단적인 경우 주걱턱으로 발전하는 아데노이드형 얼굴이 원인[32]이 되기도 하여, 마른 사람도 이중턱이 되는 경우가 있다.
5. 호칭과 오용
턱은 하악골의 앞쪽 끝부분을 가리킨다.[33] 턱은 턱 그 자체를 의미하는 "jaw(조)"와는 구별된다. 하지만 복싱이나 프로레슬링 등의 격투기에서는 공격 목표로서의 턱을 'jaw'와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프로레슬링 기술인 턱 부수기(친 크러셔)나 이시하라 유지로의 『폭풍을 부르는 남자』 주제가의 가사(바디 블로나 어퍼컷을 형용한 부분)에도 이러한 영어 표현이 보인다.
참조
[1]
서적
The origin of anatomically modern humans in western Europe. In F. H. Smith & Spencer (Eds.), The origins of modern humans: a world survey of the fossil evidence
[2]
저널
The human chin revisited: what is it and who has it?
2000-03-01
[3]
저널
The story of the chin
1913-01-01
[4]
저널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human chin
1993-01-01
[5]
서적
The Adaptive Chin
Springfield, IL: C.C. Thomas.
[6]
저널
Why do humans have chins? Testing the mechanical significance of modern human symphyseal morphology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2011-04-01
[7]
저널
Mandibular biomechanics and development of the human chin
2006-07-01
[8]
저널
Fetal and infant growth patterns of the mandibular symphysis in modern humans and chimpanzees (Pan troglodytes)
2010-11-01
[9]
저널
Short faces, big tongues: developmental origin of the human chin
2013-11-15
[10]
저널
The Fetal Origin of the Human Chin
2017-09-01
[11]
서적
Facial growth. 3rd edition
Philadelphia: Saunders
[12]
저널
The ontogeny of the chin: an analysis of allometric and biomechanical scaling
2015-06-01
[13]
웹사이트
Why we have chins: Our chin comes from evolution, not mechanical force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5-04-13
[14]
저널
The enduring puzzle of the human chin: "The Human Chin"
https://onlinelibrar[...]
2016-01-02
[15]
서적
Shark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6]
서적
Rob Roy
https://books.google[...]
Osgood
[17]
웹사이트
Myths of Human Genetics: Cleft Chin
http://udel.edu/~mcd[...]
[18]
OMIM
[19]
웹사이트
Mammalian Phenotype Browser: Cleft chin
http://www.informati[...]
[20]
웹사이트
What genes cause cheek and chin dimples?
https://www.thetech.[...]
2004-09-03
[21]
저널
Anomalien und Anomaliekomplexe in der Gegend des ersten Schlundbogens; Inheritance of human facial features: a pedigree study involving length of face, prominent ears and chin cleft
[22]
웹사이트
Cleft Chin
https://www.ancestry[...]
[23]
웹사이트
چاه زنخدان the chin well
https://web.archive.[...]
[24]
서적
Cosmetic surgery today
Thieme Medical Publishers
2005-01-01
[25]
논문
赤唇部の加齢変化に関する組織学的研究
東京工科大学
[26]
문서
[27]
문서
[28]
저널
顎変形症治療におけるオトガイ形成術の位置付け
https://www.jstage.j[...]
[29]
저널
Broad soft tissue pedicle genioplasty と 人工材料の応用法について
https://www.jstage.j[...]
[30]
블로그
「でぶちん」は英語だった!?
https://ameblo.jp/ne[...]
[31]
웹사이트
若い女性に急増の“スマホ二重あご” 解消&予防の顔トレ指南
https://diet.news-po[...]
[32]
웹사이트
顎がない「アデノイド顔貌」の治療法!歯科矯正で治る?
http://www.shikaosus[...]
[33]
문서
頤
[34]
서적 인용
The origin of anatomically modern humans in western Europe. In F. H. Smith & Spencer (Eds.), The origins of modern humans: a world survey of the fossil evidence
[35]
저널 인용
The human chin revisited: what is it and who has it?
200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