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시아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시아 문학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란의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는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고대 페르시아 문학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비문과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을 포함하며, 이슬람 이전 시대에는 문학 비평에 대한 저술은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수사학에 관한 논문들이 존재했다. 중세 페르시아 문학은 파흘라비어로 쓰여졌으며, 근세 페르시아 문학은 이슬람의 이란 정복 이후 아랍어의 영향을 받아 근세 페르시아어로 발전하여 사마니드 왕조 시대에 번성했다.

이 시기에는 루다키, 피르도우시 등 뛰어난 시인과 작가들이 등장하여 페르시아 문학의 황금기를 이루었으며, 수피즘 사상이 문학에 도입되어 신비주의 시가 발전했다. 19세기 이후 가자르 왕조 시대에는 개혁과 서구 문화 도입의 영향으로 산문 문학이 개혁되었고, 헌법 혁명 시대를 거치며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문학이 등장했다. 팔레비 왕조 시대에는 현대 페르시아 문학이 발전했으며,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사회적 사건과 관련된 문학 작품들이 나타났다. 페르시아 문학은 시, 소설, 희곡, 풍자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독일,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등 서구 문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란에는 다양한 문학상이 존재하며, 페르시아 문학의 발전을 장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 문학 - 갈리브 (시인)
    갈리브는 18세기에서 19세기에 활동한 우르두어 및 페르시아어 시인이자 작가로, 현실 직시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시를 통해 인도 대반란의 영향을 반영하고 사회 개혁과 진보적 사상을 옹호했다.
  • 페르시아 문학 - 승전기
    《승전기》는 샤라프 앗딘 알리 야즈디가 티무르의 손자인 술탄 아부 알 파흐 이브라힘 미르자의 후원을 받아 집필한 역사서로, 여러 사본이 존재하며 2020년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페르시아 문학
지도
페르시아 문학
언어페르시아어
형태구두 구성
문어 텍스트
주요 특징
종류서사시
서정시
교훈시
극시
역사서
전기
사전
백과사전
여행기
신학적 저작
수필
단편 소설
글쓰기10세기경부터 체계화
영향아랍 문학에 영향 줌
주요 작가 및 작품
10-11세기파르도스키
루다키
피르다우시샤나메
11-12세기우마르 하이얌
나세르 호스로우
12-13세기니자미 간자비
아타르
잘랄루딘 루미
13-14세기사디 시라지
하페즈
15세기자미
추가 정보
관련 연구페르시아어 문법

2. 고대 페르시아 문학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이란의 문학 작품은 페르세폴리스 도서관의 파괴로 인해 매우 적은 수만이 남아있다.[11] 남아있는 대부분은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들이 남긴 비문, 특히 다리우스 1세(기원전 522~486년)와 그의 아들 크세르크세스의 비문들이다. 많은 조로아스터교 관련 글들은 7세기 이슬람의 이란 정복 당시 파괴되었다. 그러나 파르시 사람들은 인도로 피난 가면서 아베스타와 그에 대한 고대 주석(젠드) 등 조로아스터교 경전의 일부 책들을 가지고 갔다. 사산 시대의 지리와 여행에 관한 일부 작품들도 아랍어 번역본으로 남아있다.

이슬람 이전 이란에서는 문학 비평에 전념한 단일 저술이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Ayin-e name nebeshtan"(저술 원리)과 "Bab-e edteda’I-ye"(칼리레와 딤네)와 같이 파흘라위어로 쓰인 일부 논문들은 문학 비평으로 간주되어 왔다 (Zarrinkoub, 1959).[12]

일부 연구자들은 ''슈우비야''(Shūbiyya)를 인용하여 이슬람 이전 이란인들에게 '카르반드'(Karvand)와 같은 수사학에 관한 책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책들의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페르시아 엘리트 계층 중 일부는 그리스 수사학과 문학 비평에 익숙했던 흔적이 있다 (자린쿠브, 1947).

고대 페르시아 문학은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에 걸친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고대 페르시아어로 된 비문(베히스툰 비문 등)과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아베스타』를 가리킨다.

2. 1.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문학

아케메네스 시대 이란의 문학 작품은 페르세폴리스 도서관의 파괴로 인해 매우 적은 수만이 남아있다.[11] 남아있는 대부분은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들이 남긴 비문, 특히 다리우스 1세(기원전 522~486년)와 그의 아들 크세르크세스의 비문들이다. 많은 조로아스터교 관련 글들은 7세기 이슬람의 이란 정복 당시 파괴되었다. 그러나 파르시 사람들은 인도로 피난 가면서 아베스타와 그에 대한 고대 주석(젠드) 등 조로아스터교 경전의 일부 책들을 가지고 갔다.[11] 사산 시대의 지리와 여행에 관한 일부 작품들도 아랍어 번역본으로 남아있다.[11]

이슬람 이전 이란에서는 문학 비평에 전념한 단일 저술이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Ayin-e name nebeshtan"(저술 원리)과 "Bab-e edteda’I-ye"(칼리레와 딤네)와 같이 파흘라위어로 쓰인 일부 논문들은 문학 비평으로 간주되어 왔다 (Zarrinkoub, 1959).[12]

일부 연구자들은 ''슈우비야''(Shūbiyya)를 인용하여 이슬람 이전 이란인들에게 '카르반드'(Karvand)와 같은 수사학에 관한 책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책들의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페르시아 엘리트 계층 중 일부는 그리스 수사학과 문학 비평에 익숙했던 흔적이 있다 (자린쿠브, 1947).[11]

2. 2. 조로아스터교 문학

7세기 이슬람의 이란 정복 당시 많은 조로아스터교 관련 글들이 파괴되었다.[11] 파르시 사람들은 인도로 피난 가면서 아베스타와 그에 대한 고대 주석(젠드) 등 조로아스터교 경전의 일부 책들을 가지고 갔다.[11] 사산 시대의 지리와 여행에 관한 일부 작품들도 아랍어 번역본으로 남아있다.[11]

2. 3. 고대 페르시아 문학 비평

이슬람 이전 이란에는 문학 비평에 전념한 단일 저술은 남아있지 않다.[12] 하지만 "Ayin-e name nebeshtan"(저술 원리)과 "Bab-e edteda’I-ye"(칼릴레와 딤네)와 같이 파흘라위어로 쓰인 일부 논문들은 문학 비평으로 간주되어 왔다.[12] 일부 연구자들은 ''슈우비야''(Shūbiyya)를 인용하여 이슬람 이전 이란인들에게 '카르반드'(Karvand)와 같은 수사학에 관한 책이 있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책들의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페르시아 엘리트 계층 중 일부는 그리스 수사학과 문학 비평에 익숙했던 흔적이 있다 (자린쿠브, 1947).[12]

3. 중세 페르시아 문학

8세기경까지 중세 페르시아 문학은 주로 파흘라비어(Pahlavi)로 쓰였으며, 종교, 역사, 설화와 관련된 작품이 많았다. 순수 문학 작품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4. 근세 페르시아 문학

서기 642년 네하벤드 전투에서 사산 왕조가 패배한 이후 이란은 아랍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 기간은 약 200년에 달하며, 이란의 역사학자들은 이 시기를 「침묵의 2세기」라고 불렀다. 이슬람과 함께 아랍어가 점차 중요해지면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들이 늘었고, 기존의 난해한 파흘라위 문자는 폐지되고 아랍 문자가 사용되면서 많은 아랍어 어휘가 받아들여져 근세 페르시아어가 성립되었다. 이 언어로 쓰인 문학이 근세 페르시아 문학, 또는 간단히 페르시아 문학이라고 불린다.

4. 1. 사마니드 왕조 ~ 가즈나 왕조 시대

''바흐람 구르(Bahram Gur)와 그의 신하들이 음악가 바르바드(Barbad)의 연주를 즐기는 모습'', 피르도우시의 샤나메(Shahnama) 사본의 한 페이지. 브루클린 박물관.


사마니드 왕조 통치하에서 페르시아 문학은 크게 발전했다.[66] 이 시기 문예 부흥은 아랍어의 지배에서 벗어나 근세 페르시아어로 이슬람적인 페르시아 문예 부흥을 이루었다는 의미를 지닌다.[66] 10세기에는 루다키를 비롯한 많은 궁정 시인과 민요 시인이 등장했고, 아랍 문학 작품 번역을 통해 산문 문학도 흥성했다.[66]

니자미 아루지 사마르칸디의 『차하르 마칼레』(Chahār Maqāleh), 자히리딘 나스르 무하마드 아우피의 일화집 『자와미 알 히카야트』(Jawami ul-Hikayat)는 이 시대의 중요한 산문 작품으로 꼽힌다. 샴스 알 몰리 아볼하산 가부스 이븐 우슈미기르의 『카부스나마』(Qabus nama, 군주를 위한 거울)는 페르시아 문학에서 매우 높이 평가받는 산문 작품이며, 페르시아의 유명한 재상 니잠 알 멀크의 『시아사트나마』(Siyasatnama)와 인도 민담에서 번역된 『판차탄트라(Kelileh va Demneh)도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압둘파즐 베이하키의 ''타리흐-이 베이하키''와 자히르딘 나스르 무함마드 아우피의 ''루밥 알-알밥''은 신뢰할 만한 역사 및 전기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아타-말릭 주바이니의 ''타리흐-이 자항구샤이-이 주바이니''는 몽골 제국과 일칸국 시대의 이란을 다룬 중요한 역사서이다. 아타르의 ''타즈케라트-올-올리야''("성자들의 전기")는 수피 신비주의자들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담고 있으며, 이후 많은 저자들에게 참고된 중요한 성행록 작품이다.

《천일야화》(페르시아어: هزار و یک شب, ‎ *Hazār o yek šab*)는 중세의 민담 모음집으로, 사악한 남편인 샤리아르 왕(페르시아어: شهریار, ‎ *Šahryār*)에게 매일 밤 이야기를 들려주며 처형을 늦추는 셰헤라자데(페르시아어: شهرزاد, ‎ *Šahrzād*)라는 사산 왕조 시대 여왕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들은 천일 밤에 걸쳐 전해지며, 여러 나라의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핵심은 ''하자르 아프사나''[15](페르시아어: هزار افسان, ‎ *Hazār Afsānah*, "천 개의 신화")라는 조로아스터교 사산 왕조 시대 파흘라위어로 쓰인 페르시아 책이며, 고대 인도와 페르시아의 민담 모음집이다. 8세기 압바스 왕조의 칼리프 하룬 알 라시드 통치 시대에 바그다드는 국제 도시가 되었고, 페르시아 제국, 중국, 인도, 아프리카, 유럽의 상인들이 모여들었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이야기들이 구전으로 수집되어 책으로 편찬되었으며, 편찬자이자 9세기 아랍어 번역가는 아부 압드 알라 무함마드 엘가시가르로 알려져 있다. 셰헤라자데의 틀 이야기는 14세기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사마르칸트 동쪽 루다크 마을 출신인 루다키는 "부하라 궁정의 꽃"이라 칭송받았으며, "시인의 아버지" 또는 "시인의 황제"라는 칭호를 받았다.[66] 그는 궁정 시인으로서 찬시에 뛰어났으며, "술의 어머니"와 "늙음을 애도하는 시"가 대표작이다. 그의 시는 민중적인 요소를 많이 담고 있으며, 소박하고 평이하며 유려하고, 과장되거나 화려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난해한 아랍어 어휘 대신 소박한 페르시아어 어휘를 사용하고, 종교적 색채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루다키가 기초를 놓은 스타일은 고전 페르시아 시의 주류로 발전하여 "호라산 스타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재상 발라미의 실각으로 937년 부하라 궁정에서 추방되었다.[66]

다키키는 피르도우시의 선구자로서 민족 서사시를 지었으나, 노예에게 살해당하여 작품은 미완성으로 끝났다.[66] 투스에서 태어난 그는 사마니드 왕조에 예속된 차가니얀 지방 군주와 만수르 1세, 누흐 2세를 섬겼다. 누흐 2세의 명령으로 무타카리브 운율을 사용하여 작시를 시작했으나, 구슈타스프 왕의 즉위, 조로아스터의 출현 등을 중심으로 약 1천 구절을 작시했을 뿐이었다. 그 1천 구절은 피르도우시의 『왕서』에 수록되었다.[66]

사마니드 왕조와 가즈나 왕조 시대에 걸쳐 활동한 피르도우시는 민족·영웅 서사시 『왕서(샤나메)』를 완성하여 페르시아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66] 그는 가즈나 왕조의 술탄 마흐무드와 관계가 깊었지만, 그의 작품은 사마니드 왕조 시대 정신의 산물이다. 1010년에 완성된 『왕서』는 아부 만수르의 『왕서』 외에도 많은 자료를 이용했으며, 이란 민족주의에 적합한 내용을 취사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왕서』는 이란인 정신 형성에 큰 공헌을 했으며, 1934년 이란 정부는 탄생 1000년제를 거행했다. 또한, 문학뿐만 아니라 미술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쳐 페르시아 미니어처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었다.[66]

가즈나 왕조 시대까지 페르시아 문학은 왕과 귀족의 총애를 받은 시인에 의한 찬시가 주를 이루었으며, 궁정 문학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시대 정신을 반영한 민족적 서사시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66]

11세기 전반 가즈나 왕조의 마흐무드를 섬긴 궁정 시인은 400명이나 되었다.[66] 그 중에서도 , , 마누치흐리는 의 완성자로 꼽힌다.[66]

4. 2. 셀주크 왕조 시대 ~

셀주크 시대 초기에는 호라산(呼羅珊) 태수 투가안 샤(طغان شاه, 투르가안 샤)를 섬긴 찬사시인 아즈라키(أزراقی هروی, 아즈라키 헤라비)가 등장했고[67], 12세기 후반에는 무이지(Mu'izzi), 안와리(انوری, 안바리), 카카니(خاقانی, 하카니)와 같은 궁정 시인들이 활동했다. 안와리와 카카니는 "페르시아 문학사에서 찬사시의 양대 산맥"이었다.[66] 가즈나 왕조의 궁정시인 카카니는 로맨스 서사시를 확립했다. 이 시대에 활동한 다른 시인으로는 아무악, 바트바트, 아제르바이잔 시인 카트란, 아사디가 있다.[66] 이 시대에는 주로 이란 북동부 지방을 중심으로 번영했던 문학이 점차 북서 지방으로도 퍼져나갔다.

셀주크 왕조 시대에는 수피즘 사상이 문학에 도입되어 사나이(سنائی), 아타르(فریدالدین عطار, 파리두딘 아타르) 등 수피 시인들이 등장했다. 니자미는 로맨스 서사시를 완성했다. 우마르 하이얌은 4행시집 『루바이야트』를 지었다. 산문 분야에서는 정치, 역사, 여행, 지리, 전기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이 쓰였다.

13세기 중엽, 몽골 침입 이후 일칸 왕조 시대에는 궁정 문학이 사라지고 수피즘 사상이 보편화되었다. 잘랄루딘 루미는 수피즘 문학을 완성했다. 사아디는 실천 도덕을 강조한 작품들을 남겼다. 이 시대 산문 문학의 특징은 칙령에 의해 역사 편찬이 성행했다는 것이다. 아미르 호스로는 인도를 대표하는 페르시아 문학 시인이었다.

티무르 시대에는 문학이 쇠퇴했지만, 하피즈자미 등 뛰어난 시인들이 등장했다. 15세기에는 문학의 중심이 헤라트로 옮겨갔다.

16세기 이후 사파비 왕조 시대에는 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시인이나 작가는 거의 없다.

5. 근현대 페르시아 문학

19세기부터 현재까지의 페르시아 문학은 이란 헌법혁명기, 팔레비 왕조기, 이란 혁명 이후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8세기 말에 건국된 가자르 왕조는 러시아와의 두 차례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점차 영국과 러시아의 지배 아래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나 가자르 왕조 시대에는 궁정 시인들의 부활로 페르시아 시가 3세기에 걸친 침체와 쇠퇴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사바(صبا)와 카아니(قاآنی) 등이 있으며, 그들은 모두 열렬한 "복고 운동" 지지자이자 고전파에 속했다. 이러한 궁정 시인들의 등장으로 수 세기 동안 서정시에 자리를 내주었던 송시가 부활한 것도 이 시대의 중요한 특징이다.[66]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이란은 자국의 후진성을 절감하고 개혁과 서구 문화 도입을 추진했다. 이 시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산문의 개혁이 시작되었다.[66]

5. 1. 가자르 왕조 시대

19세기 페르시아 문학은 극적인 변화를 겪으며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 변화의 시작은 19세기 중반 나세레딘 샤의 궁정에서 보여지는데, 개혁 성향의 총리 아미르 카비르가 시인 하비볼라 까아니 시라지를 카비르를 칭송하는 찬사시인 카시다에서 "거짓말"을 했다고 질책한 사건이 있었다. 카비르는 시 전반, 특히 까자르 시대에 발전한 유형의 시가 이란 사회의 "진보"와 "근대화"에 해롭다고 보고, 이란 사회는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우려는 파트알리 아훈자데, 미르자 아가 칸 케르마니, 미르자 말콤 칸 등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도 표출되었다. 말콤 칸 또한 문학적 측면에서 페르시아 시의 변화 필요성을 언급하며, 항상 사회적 문제와 연결시켰다.

새로운 페르시아 문학 운동은 이란 철학계의 지적 운동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페르시아(이란)의 사회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1906년부터 1911년까지의 페르시아 헌법 혁명으로 이어진 시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생각이 널리 퍼졌다. 많은 사람들이 페르시아 시는 변화하는 국가의 현실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생각은 알리-악바르 데흐코다와 아볼카셈 아레프와 같은 주목할 만한 문학 인물들에 의해 전파되었는데, 그들은 새로운 내용을 도입하고 수사학, 어휘 의미론 및 구조를 실험하는 측면에서 페르시아 시의 전통 시스템에 도전했다. 예를 들어 데흐코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전통적인 형식인 모사마트를 사용하여 혁명적 언론인의 처형을 애도했다. 아레프는 "가장 중심적인 서정적 전통 장르"(p. 88)인 가잘을 사용하여 그의 "파야메 아자디"(자유의 메시지)를 썼다.

일부 연구자들은 "미학적 변화의 사회 정치적 영향"이라는 개념이 시인들을 "사회 변화의 한계와 가능성을 시험하는 사회 지도자"로 이끄는 아이디어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현대 페르시아 문학의 중요한 운동은 근대화서구화에 대한 질문과 이 용어들이 이란 사회의 진화를 설명할 때 동의어인지 여부에 중점을 두었다. 아훈자데, 케르마니, 말콤 칸에서부터 데흐코다, 아레프, 바하르, 타키 라파트에 이르기까지 페르시아 문학의 거의 모든 근대주의 지지자들은 서구, 특히 유럽 문학에서 일어난 발전과 변화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영감은 서구 모델을 무턱대고 복사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았지만, 오히려 서구 문학의 측면을 적용하고 이란 문화의 필요에 맞게 변경하는 것을 의미했다.

아흐마드 카스라비, 사데크 헤다예트 및 기타 많은 사람들의 선구적인 작품에 이어 이란의 비교 문학 및 문학 비평의 물결은 압돌호세인 자린쿠브, 샤흐로크 메스쿠브, 호샹 골시리, 에브라힘 골레스탄의 출현으로 상징적인 정점에 도달했다.

5. 2. 헌법 혁명 시대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헌법 혁명 시대의 페르시아 문학은 이란 사회의 변화와 함께 큰 변혁을 맞이했다. 이 시기 이란 국민의 정치·사회 의식 각성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해외 거주 이란인들이 발행한 페르시아어 신문이었다.[66] 담배 전매 특허의 폐해를 지적한 『아프타르(Akhtar)』와 전제 타파, 헌정 제도의 필요성, 서구 사상을 소개한 『카눈(Kānun)』 등이 대표적이며, 이 신문들은 국내의 엄격한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행객 등을 통해 많이 반입되었다.[66]

헌정 혁명 이후 검열이 폐지되면서 이란 국내에서도 신문 발행이 자유로워졌지만, 제2차 헌정 혁명 운동 시기에는 다시 언론이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이 시기에는 『』 주간지가 헌정 입장에서 강경한 논조를 펼치고, 특히 상인층을 비롯한 일반 서민층에 널리 읽히며 큰 영향을 미쳤다.[68] 이 주간지에서 데호다는 "챈드-에 파란드(Chand-e Parand)"라는 제목으로 2년간 풍자 에세이를 연재했는데, "서민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서민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단어, 표현을 사용하여 쓴다"는 원칙으로 글을 써 큰 주목을 받았다.[68]

산문 분야에서는 아훈드자데가 아제리어로 희극을 집필하여 사회를 풍자하고 전제주의에 반대했으며, 그의 근대 비판 정신은 이후 혁신적인 문학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69][70] 하비브 에스파하니의 『이스파한의 하지 바바』 페르시아어 번역과 자인 알 아베딘 마라게이의 『이브라힘 베그의 여행』은 이란 국민의 각성·계몽에 크게 기여했다.[66] 이 시기의 문학 작품들은 "헌정 혁명 문학"으로 분류된다.[66]

시 분야에서도 변화가 나타나, 국민 각성과 사회 풍자를 주제로 한 시들이 등장했다. 파라하니(페르시아어판), 이라지 밀자, 에슈키(영어판) 등이 이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힌다.[66]

5. 3. 팔레비 왕조 시대

1925년 팔레비 왕조가 건립되면서 페르시아 문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산문에서는 모하마드 알리 자말자데가 속어, 구어, 비어를 적극 활용하여 대중의 삶을 그린 단편 소설을 발표하며 현대 페르시아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았다.[66] 사데크 헤다야트는 『맹인 올빼미』를 통해 1930년대 이란 지식인들의 암담한 정신 상태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으며,[72] 사데크 추박은 인간 행동의 내면적 동기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보여주었다.[66] 무하마드 헤자지와 알리 다슈티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보즈르그 알라비는 좌익 활동에 참여한 작가였다.[66]

시 분야에서는 모하마드 타기 바하르, 파르빈 에테사미, 모하마드 파로키 야즈디, 아볼카셈 라후티 등 고전시 양식을 계승하면서 사회 문제를 주제로 한 시인들이 등장했다.[66] 니마 유시즈는 고전시의 시형과 운율을 탈피한 자유시 운동의 선구자이자 지도자였다.[66]

1960년대에는 서구화에 대한 비판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제기되었다. 자랄 알레 아흐마드는 서구화를 강하게 비판했으며,[73] 고람호세인 사에디, 메흐디 아흐바네사레스, 포루그 파르로흐자드 등도 이러한 비판에 동참했다.[73]

5. 4.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페르시아 문학은 사회적 사건과 깊은 관련을 맺게 되었다.[73] 혁명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메흐디 아크하반 살레스와 시민 다네슈바르의 시가 널리 읽혔다.[73] 혁명 직후 비교적 규제가 완화된 시기에는 타라네 사파르자데, 알리 무사비 걀말디와 같은 현대 시인들과 호우샹 골시리, 샴스 알레 아흐마드, 나데르 에브라히미 등의 작가들이 작품을 출판했다.

1980년대 이후 이란 국내외에서 페르시아어 문학 작품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호메이니의 신비주의 시는 국내외에서 주목받았다. 국내에서는 기존 지식인 문학이 쇠퇴하고 대중 소설이 부상했다.[74] 샤흐르누슈 파르시푸르의 『투바와 밤의 의미』가 큰 인기를 얻은 후,[75] 파히메 라히미(페르시아어), 나스린 사메니(페르시아어), 파타네 하지-세이드-자바디(페르시아어) 등 여성 작가들이 인기를 얻었다.[74] 특히 1995년 봄, 파타네 하지-세이드-자바디의 『숙취』는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74] 사부크타킨 살루르(영어), 바하람 아프라시야비 등 남성 대중 소설 작가들도 등장했다.[74]

해외에서는 나데르 나데르푸르(영어), 호세인 파젤리, 이스마일 호이(영어) 등 이란인 시인과 작가들이 활동했다.

6. 시 형식과 운율

6. 1. 시 형식

페르시아 문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고전시가이다. 초기 페르시아 시의 작품들은 강력한 궁정 후원과 사치스러운 찬사시가 특징이다. 왕실 후원의 전통은 사산 왕조 시대에 시작되어 사마니드 왕조를 거쳐 모든 주요 이란 왕조로 이어졌다. 주요 시 형식으로는 카시다(송시), 가잘(서정시·연애시), 마스나비(서정시), 루바이(4행시), 키타(단편시) 등이 있다.[66] 카시다는 아마도 가장 유명한 찬사시 형식이었을 것이지만, 옴마르 카얌의 루바이야트와 같은 4행시도 널리 인기를 얻었다.

호라산 양식은 주로 대호라산과 관련된 추종자들을 특징으로 하며, 거만한 어휘, 품위 있는 어조, 그리고 비교적 교양 있는 언어로 특징지어진다. 이 서정시의 주요 대표자는 아스자디, 파룩키 시스타니, 운수리, 그리고 마누체흐리이다. 루다키와 같은 찬사시의 대가들은 자연에 대한 사랑으로 유명했으며, 그들의 시구에는 감동적인 묘사가 풍부했다.

이러한 궁정과 후원 체계를 통해 서사시 양식의 시가 등장했으며, 피르도우시의 ''샤흐나메''가 정점에 있다. 그는 이란 역사적 과거를 영웅적이고 고상한 시구로 찬양함으로써, 다키키와 아사디 투시와 같은 다른 저명 인사들과 함께 "아잠"에게 자부심과 영감의 원천을 제공하여 수 세대에 걸쳐 이란 국민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3세기는 서정시의 부상과 그에 따른 가잘의 주요 운문 형식으로의 발전, 그리고 신비주의 및 수피 시의 부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식은 종종 아라키(이라크) 양식(아라크-에-아잠)이라고 불리며, 감정적인 서정적 특징, 풍부한 운율, 그리고 상대적으로 단순한 언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감정적인 낭만적인 시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는데, 비스 오 라민(작가: 아사드 고르가니)와 암악 부하라이의 ''유수프 오 졸레이카''와 같은 작품들이 그 예이다. 사나이, 아타르(루미에게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짐), 카카니 시르바니, 안바리, 그리고 니자미와 같은 시인들은 매우 존경받는 가잘 작가들이었다. 그러나 이 학파의 정점은 루미, 사아디, 그리고 하피즈 시라지이다.

사파비 시대 페르시아 연애 시의 전통에 관하여, 페르시아 역사가 에산 야르샤터는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일반적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여성이 아니라 젊은 남자이다. 이슬람 초기 수세기 동안 중앙아시아 침략은 많은 젊은 노예들을 만들어냈다. 노예들은 또한 구입되거나 선물로 받았다. 그들은 궁정이나 부유한 사람들의 가정에서 시종으로, 또는 군인이나 경호원으로 일하도록 했다. 노예이든 아니든 젊은 남자들은 연회와 접대에서 술을 따랐고, 그중에서 더 재능 있는 사람들은 음악을 연주하고 교양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페르시아 시의 시작부터 가잘과 찬사시의 서정적인 서두의 주제는 젊은 시종, 군인 또는 직업과 직종의 초보자에 대한 사랑이었다."[13]

교훈적인 장르에서는 사나이의 ''하디카트-울-하키카''(진리의 정원)와 니자미의 ''막잔-울-아스라르''(비밀의 보물창고)를 언급할 수 있다. 아타르의 작품 중 일부도 이 장르에 속하며, 루미의 주요 작품도 마찬가지이지만, 일부는 신비적이고 감정적인 특성 때문에 이것을 서정적 유형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일부는 나세르 코스로의 작품을 이 양식에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이 장르의 진정한 보석은 페르시아 문학의 거장인 사아디의 두 권의 책, ''부스탄''과 ''굴리스탄''이다.

15세기 이후, 페르시아 시의 인도 양식(때로는 ''이스파하니'' 또는 ''사파비'' 양식이라고도 함)이 대세를 이루었다. 이 양식은 티무르 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아미르 코스로우 데흘라비와 브라이 난드 랄 고야와 같은 인물들을 배출했다.

13세기 초, ''사색의 그릇''. 브루클린 미술관

6. 1. 1. 카시다 (송시)

아랍어 시 형식으로, 첫 번째 2행시는 반행의 각운이 서로 압운하고, 두 번째 2행시 이후는 후반부 반행의 각운이 첫 번째 각운과 모두 압운한다.[66] 일반적으로 15행 이상이며 길이에 제한은 없다.[66]

내용은 자연 묘사, 연애를 이야기하는 서두(나시브), 찬양 부분(마디흐), 왕이나 후원자에 대한 축복(두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66] 카시다는 궁정 시인이 왕족 귀족을 찬양하기 위해 사용된 시 형식이다.[66]

후에는 교훈시, 신학·철학시, 풍자시, 신비주의시도 이 시 형식으로 작사되었다.[66]

6. 1. 2. 가잘 (서정시·연애시)

가잘은 원래 아랍어 운문 형식으로, 시 형식은 카시다와 같지만 길이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5연 또는 15연으로 구성된다.[66] 서정시·연애시 표현에 주로 사용되며, 마지막 연에 시인의 아호(타하훌루스)가 읊어지는 것이 특징이지만, 초기에는 이 규칙이 없었다.[66]

6. 1. 3. 마스나비

이란 고유의 시 형식이다. 모든 반구의 각운이 서로 압운하며, 길이에 제한은 없다. 수만 구에 이르는 작품도 있다. 일반적으로 서정시로 알려져 있으며, 영웅시, 로맨스시, 신비주의시의 작사에 주로 사용되었다.[66]

6. 1. 4. 루바이 (4행시)

이란 고유의 시 형식으로, 첫째, 둘째, 넷째 구절이 각운을 이루고, 셋째 구절은 각운을 이루어도 되고 이루지 않아도 된다. 내용은 신비주의, 철학, 인생 문제 등 다양하다. 이러한 4행시(루바이)의 복수를 루바이야트라고 하며,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와 같은 4행시도 널리 인기를 얻었다.[66]

6. 1. 5. 키타 (단편시)

카시다(카시데/قصیدهfa)의 첫 번째 대구(마트라)를 생략한 시형이다. 반구 또는 한 대구만으로 된 시도 있고, 송시와 같은 길이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철학, 윤리, 만가, 풍자 내용의 표현에 주로 사용된 시형이다.[66]

6. 2. 운율

페르시아 시는 음량, 즉 음의 장단의 원리에 기반하여 결합된 운율로 작사된다.[66] 페르시아 시의 운율은 원래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아랍 시의 운율에서 따온 것이다.[66] 주요 운율에는 하자지, 라자즈, 라말, 뭉사리프, 쌀리우, 카리우, 하피프, 무타카리브, 무자리우가 있다.[66] 핀 티센의 ''A Manual of Classical Persian Prosody''는 이 분야의 자세한 연구서이다.

7. 신비주의 시

페르시아 시가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신비주의 시이며, 11세기 이후 대부분의 시인들이 직·간접적으로 이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83] 신비주의는 페르시아 문학에 활력을 불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문학을 통해 승화되고 집대성되었다.[83] 수피였던 중세 시인들의 시는 모로코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기까지 수피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으며, 루미와 하피즈등은 특히 동서양 모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83]

초기 신비주의 시인들은 루바이를 표현 형식으로 삼았다.[83]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아부 사이드 아부 르하이르, 바바 타히르, 압둘라 안사리가 있다.[83] 알리 후즈위리는 아부 사이드를 “사랑하는 자의 왕, 수피들의 왕 중의 왕”이라고 칭했다.[83]

12세기에는 표현 형식이 주로 마스나비 시 형식으로 변화했다.[84] 사나이는 이 시 형식을 처음으로 신비주의 표현 형식으로 사용한 시인으로, 1131년 "진리의 정원"을 통해 신비주의 시인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84] 아타르는 사나이에 이어 마스나비 시 형식의 대표적인 신비주의 시인으로, "신비의 책", "하나님의 책", "새들의 말" 등이 대표작이다.[84]

13세기에 루미의 등장으로 페르시아 신비주의 문학은 최고조에 달했다.[84] 사디는 루미와 동시대로서 신비주의의 실천을 강조한 작품을 남겼다.[84]

14세기에 하피즈는 가잘을 통해 관능적인 신비주의를 표현했다.[84] 하피즈 이전에도 사나이, 아타르, 루미, 사디 등이 가잘을 썼지만, 하피즈는 페르시아 문학과 신비주의를 완전히 일치시켰다고 평가받는다.[84]

15세기에 자미는 고전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신비주의 시인으로 활동했다.[84] 그의 대표작 "일곱 개의 왕좌"는 로맨스를 문학적으로 승화시켜 신비주의적 해석을 했다.[84]

이 외에도 이라키, 샤비스타리, 아우하디 등 수많은 신비주의 시인들이 배출되었다.[84] 페르시아 신비주의 문학에서 주목할 만한 텍스트로는 『사아다트의 연금술(Kimiya-yi sa'ādat)』, 『타우히드의 비밀(Asrar al-Tawhid)』, 『베일을 벗김(Kashf ul Mahjoob)』 등이 있다.[83]

8. 인도에서의 페르시아 문학

가즈나 왕조(Ghaznavids)와 그 후계자인 구리드 왕조(Ghurids), 티무르 왕조(Timurid dynasty), 무굴 제국(Mughal Empire)의 등장과 함께 페르시아 문화와 문학은 점차 남아시아(South Asia)로 전파되었다. 일반적으로 초기부터 페르시아 문학과 언어는 페르시아 문화를 받아들인 투르크계(Turkic peoples)와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 왕조에 의해 인도 아대륙으로 유입되었다. 페르시아어는 수백 년 동안 귀족, 문학계 및 무굴 제국의 궁정의 언어가 되었다. 19세기 초에는 힌두스타니어(Hindustani language)가 페르시아어를 대체했다.

16세기 무굴 제국(Mughal Empire) 시대에는 인도 아대륙의 공용어가 페르시아어였다. 영국군이 1832년에야 남아시아에서 영어로 업무를 처리하도록 강제했다. 사실 페르시아 시는 이 지역에서 번영했지만, 사파비 왕조(Safavid dynasty) 이후 이란(Iran) 문학은 침체되었다. 예를 들어, 알리 악바르 데흐코다(Ali-Akbar Dehkhoda)와 20세기의 다른 학자들은 인도에서 제작된 상세한 어휘집을 바탕으로 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가지 칸 바드르 무하마드 데흘라비(Ghazi khan Badr Muhammad Dehlavi)의 『아다트 알-푸줄라』(Adat al-Fudhala) (아다트 알 푸줄라/اداة الفضلاfa), 이브라힘 파루기(Ibrahim Farughi)의 『파르항-이 이브라히미』(Farhang-i Ibrahimi) (파르항 이 이브라히미/فرهنگ ابراهیمیfa), 그리고 특히 무하마드 파드샤(Muhammad Padshah)의 『파르항-이 아난드라지』(Farhang-i Anandraj) (파르항 이 아난드라지/فرهنگ آنندراجfa)와 같은 편찬물을 사용했다.

페르시아 시에는 세 가지 스타일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호라산 스타일, 이라크 스타일, 인도 스타일이다. 이란 시에서는 앞의 두 스타일이 주류이며, 이러한 영향을 받아 인도 땅에서 확립된 것이 인도 스타일이다.

8. 1. 역사

페르시아 문학은 가즈나 왕조(Ghaznavids)와 그 후계자인 구리드 왕조(Ghurids), 티무르 왕조(Timurid dynasty), 무굴 제국(Mughal Empire)의 등장과 함께 점차 남아시아(South Asia)로 전파되었다.[85] 일반적으로 초기부터 페르시아 문학과 언어는 페르시아 문화를 받아들인 투르크계(Turkic peoples)와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 왕조에 의해 인도 아대륙으로 유입되었다.[85] 페르시아어는 수백 년 동안 귀족, 문학계 및 무굴 제국의 궁정의 언어가 되었으나, 19세기 초 힌두스타니어(Hindustani language)로 대체되었다.[85]

가즈나 왕조 시대에는 라호르가 문화 중심지로 "작은 가즈나"라고 불렸으며, 아부르 팔라지 루니와 마스우드 사아데 살만 등의 시인이 활동했다.[85] 델리 술탄 왕조 시대에는 아미르 호스로와 하산 데흐라비 등의 시인이 등장하여 인도·페르시아 문학의 황금기를 준비했다.[85]

무굴 시대는 인도 무슬림 정치사, 문화사, 페르시아 문학사에서 황금기였다.[85] 사파비 왕조 시대에 이란에서 페르시아 문학이 쇠퇴한 반면, 무굴 제국에서는 페르시아 문학이 최전성기를 맞이했다.[85] 무굴 제국의 왕들은 문학자와 시인을 보호하고 장려했으며, 많은 페르시아 시인과 학자들이 이란과 중앙아시아에서 무굴 궁정으로 이주했다.[85] 힌두 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페르시아어로의 번역 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85]

8. 2. 대표적인 시인

일반적으로 인도의 3대 페르시아 시인이라고 하면 아미르 호스로, 울피, 파이지이다.[85] 울피와 파이지 모두 악바르 황제를 섬긴 시인이었다.[85] 울피는 쉬라즈 출신의 이란인으로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주로 인도에서 생활하며 특히 송시에 뛰어났고, 기존의 기교에서 벗어나 신선한 스타일로 알려졌다. 파이지는 악바르 황제의 유명한 재상인 아불 파즐의 동생으로 인도에서 태어났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마하바라타의 유명한 이야기 「나라왕 이야기」를 「나르 다만」이라는 제목으로 페르시아어 시로 번역한 것이 있다. 악바르 황제 치세 하의 페르시아 문학의 특징으로는, 파이지의 경우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산스크리트 문학에서 페르시아어로의 번역 활동이 있다. 이것은 악바르 황제의 정책의 발현이었으며, 또한 힌두교도와 무슬림의 협력의 결과이기도 했다.

8. 3. 인도-페르시아 문학의 특징

인도-페르시아 문학은 이란-페르시아 문학을 모방하며 시작되었으나, 인도의 자연, 관습, 사상에 맞추어 '인도 스타일'이라는 독자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85] 이러한 스타일은 이란 시인들에게는 이질적으로 느껴졌을 수 있지만, 페르시아 문학의 독창성과 특수성을 보여준다.[85]

산문 분야에서는 역사 문학이 발달했는데, 이는 이란의 역사 문학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수준이었다.[85] 페르시아어 사전 편찬 또한 인도 무슬림의 중요한 공헌으로, 19세기까지 저명한 페르시아어 사전의 대부분은 인도에서 편찬되었다.[85] 가지 칸 바드르 무하마드 데흘라비(Ghazi khan Badr Muhammad Dehlavi)의 『아다트 알-푸줄라』(Adat al-Fudhala) (اداة الفضلا|italic=yesfa), 이브라힘 파루기(Ibrahim Farughi)의 『파르항-이 이브라히미』(Farhang-i Ibrahimi) (فرهنگ ابراهیمی|italic=yesfa), 무하마드 파드샤(Muhammad Padshah)의 『파르항-이 아난드라지』(Farhang-i Anandraj) (فرهنگ آنندراج|italic=yesfa) 등이 대표적이다.[16][17][18] 알리 악바르 데크호다(Ali-Akbar Dehkhoda)를 비롯한 20세기 학자들의 연구는 이러한 인도에서 제작된 사전들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힌두교도들이 페르시아 문학 창작에 참여하고, 산스크리트 문학으로부터의 번역이 이루어진 것 또한 인도-페르시아 문학의 특징이다.[85] 가즈나 왕조(Ghaznavids)와 그 후계자인 구리드 왕조(Ghurids), 티무르 왕조(Timurid dynasty), 무굴 제국(Mughal Empire)의 등장과 함께 페르시아 문화와 문학은 남아시아(South Asia)로 전파되었다. 페르시아어는 무굴 제국 시대에 인도의 공용어였으며, 19세기 초 영국에 의해 힌두스타니어(Hindustani language)로 대체될 때까지 귀족, 문학계, 궁정에서 사용되었다.

9. 발칸 반도에서의 페르시아 문학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발칸 반도(Balkans)(''루멜리아(Rumelia)'')에서도 페르시아어 학습은 널리 퍼져 있었다.[28] 사라예보(Sarajevo)(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Mostar)(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그리고 바르다르 예니체(Vardar Yenicesi, 또는 예니체-이 바르다르(Yenice-i Vardar), 현재 야니차(Giannitsa), 그리스 북부) 등 여러 도시들이 오랫동안 페르시아어와 고전 페르시아 문학 연구의 전통으로 유명했다.[28]

바르다르 예니체는 발칸 반도의 다른 지역과 달리 페르시아어가 널리 사용되는 도시였다.[29] 하지만 바르다르 예니체와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발칸 반도 전역의 페르시아어는 발음과 어휘 모두에서 정식 페르시아어와 달랐다.[29] 그 차이는 매우 컸기 때문에 오스만인들은 그것을 "루멜리아 페르시아어"(''Rumili Farsisi'')라고 불렀다.[29] 학생, 학자, 문인 등의 학자들이 바르다르 예니체를 자주 찾으면서, 이 도시는 번영하는 페르시아 문화권 언어 및 문학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29] 16세기 오스만 제국의 아식 첼레비(Aşık Çelebi)(1572년 사망)는 현대 코소보(Kosovo)의 프리즈렌(Prizren) 출신이었는데, 바르다르 예니체의 풍부한 페르시아어 사용 및 페르시아어 저술 공동체에 감명을 받아 이 도시를 "페르시아어의 온상"이라고 언급했다.[29]

콘스탄티노플(현재 이스탄불(Istanbul))이라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에서 경력을 쌓은 많은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학자들은 사라예보에서 초기 페르시아어 교육을 받았는데, 아흐메드 수디(Ahmed Sudi)가 그중 한 명이다.[30]

10. 서구 문학에 끼친 영향

18세기에서 19세기 이전까지 서구권에서는 페르시아 문학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후기 중세 페르시아 시인들의 작품 번역이 여러 편 출판되면서 훨씬 더 잘 알려지게 되었고, 다양한 서구 시인과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독일 문학'''


괴테는 하피즈의 독일어 번역에서 영감을 받아 1819년에 서정시 모음집인 ''서동시집(West-östlicher Divan)''을 출판했다.[31] 독일의 수필가이자 철학자인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Thus Spoke Zarathustra)''(1883–1885)에서 고대 페르시아의 예언자 조로아스터(Zoroaster)(기원전 1700년경)를 언급했다.[31]

  • '''영국 문학'''


제임스 애킨슨은 영국 동인도 회사에 고용된 의사로, 페르시아 시인 피르도우시의 『샤나메』(935-1020)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1832년에 출판하였다. 이 발췌본의 일부는 나중에 영국의 시인 매슈 아놀드가 1853년에 그의 작품 『루스타미와 소흐랍』에서 운문으로 번역하였다. 미국의 시인 랄프 왈도 에머슨 또한 페르시아 시에 대한 애호가였으며, 1876년에 페르시아 시에 대한 논의를 담은 여러 에세이, "서신과 사회적 목표", "하피즈의 페르시아어", 그리고 "가젤"을 출판했다.

아마도 19세기와 20세기 초 가장 인기 있었던 페르시아 시인은 오마르 카이얌(1048-1123)일 것이다. 그의 『루바이야트』는 에드워드 피츠제럴드에 의해 1859년에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카이얌은 그의 고향 페르시아에서는 시인보다는 과학자로 더 존경받지만, 피츠제럴드의 번역을 통해 그는 영어권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시인 중 한 명이 되었다. 카이얌의 "빵 한 덩이, 포도주 한 병, 그리고 당신"이라는 구절은 누가 썼는지, 어디서 왔는지 모르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페르시아의 시인이자 신비주의자 루미(1207-1273)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많은 추종자들을 끌어 모았다. 콜먼 바크스의 대중적인 번역은 루미를 뉴에이지의 현자로 제시했다. A. J. 아버리와 같은 학자들의 보다 문학적인 번역도 여러 개 있다.

하피즈, 사아디, 카이얌, 루미, 니자미 간자비, 피르도우시와 같은 고전 시인들은 이제 영어권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번역본으로 읽을 수 있다. 페르시아 문학의 다른 작품들은 번역되지 않고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 '''스웨덴 문학'''


지난 세기 동안 에릭 헤르멜린(Eric Hermelin) 남작은 페리드 우드딘 아타르(Farid al-Din Attar), 룸(Rumi), 피르도우시(Ferdowsi), 오마르 카이얌(Omar Khayyam), 사아디(Saadi), 사나이(Sanai) 등 많은 고전 페르시아 문학 작품을 스웨덴어(Swedish language)로 번역했다. 그는 스웨덴(Sweden)의 신비주의자 에마누엘 스웨덴보리(Emanuel Swedenborg)의 글에 영향을 받아 고전 페르시아 시의 종교적 혹은 수피즘(Sufism)적 측면에 특히 매료되었다. 그의 번역은 카를 벤베리(Karl Wennberg), 윌리 키르클룬드(Willy Kyrklund), 군나르 에켈뢰프(Gunnar Ekelöf) 등 많은 현대 스웨덴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하피즈(Hafez), 룸(Rumi), 아라키(Fakhr-al-Din Iraqi), 니자미 아루지(Nizami Aruzi) 등의 고전 작가들의 작품이 이란학자인 아쉬크 달렌(Ashk Dahlén)에 의해 스웨덴어로 번역되었으며, 그는 페르시아 문학 발전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피르도우시의 『샤나메(Shahnameh)』의 일부는 남다르 나세르(Namdar Nasser)와 안야 말름베리(Anja Malmberg)에 의해 스웨덴어 산문으로 번역되었다.

  • '''이탈리아 문학'''

지난 세기 동안 알레산드로 바우사니(니자미, 루미, 이크발, 카얌), 카를로 사코네(아타르, 사나이, 하피즈, 나시르 흐스라우, 니자미, 아흐마드 가잘리, 헤라트의 안사리, 사디, 아예네), 안젤로 피에몬테세(아미르 흐스라우 디흘라비), 피오 필리파니-론코니(나시르 흐스라우, 사디), 리카르도 지폴리(카이 카우스, 비딜), 마우리치오 피스토소(니잠 알-물크), 조르조 베르첼린(니자미 아루지), 조반니 마리아 데르메(우바이드 자카니, 하피즈), 세르지오 포티(수흐라와르디, 루미, 자미), 리타 바르질리(사디, 파룩히, 마누체흐리, 운수리), 나히드 노로지(소흐랍 세페흐리, 케르만의 흐와주, 아흐마드 샴루), 파에제 마르다니(포루흐 파록자드,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등 많은 학자들이 수많은 고전 및 현대 페르시아 문학 작품을 이탈리아어로 번역했다. 19세기에는 이탈로 피치가 피르다우시의 ''샤흐나메'' 전역을 번역했다.

10. 1. 독일 문학

괴테는 하피즈의 독일어 번역에서 영감을 받아 1819년에 서정시 모음집인 ''서동시집(West-östlicher Divan)''을 출판했다.[31] 독일의 수필가이자 철학자인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Thus Spoke Zarathustra)''(1883–1885)에서 고대 페르시아의 예언자 조로아스터(Zoroaster)(기원전 1700년경)를 언급했다.[31]

10. 2. 영국 문학

제임스 애킨슨은 영국 동인도 회사에 고용된 의사로, 페르시아 시인 피르도우시의 『샤나메』(935-1020)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1832년에 출판하였다. 이 발췌본의 일부는 나중에 영국의 시인 매슈 아놀드가 1853년에 그의 작품 『루스타미와 소흐랍』에서 운문으로 번역하였다. 미국의 시인 랄프 왈도 에머슨 또한 페르시아 시에 대한 애호가였으며, 1876년에 페르시아 시에 대한 논의를 담은 여러 에세이, "서신과 사회적 목표", "하피즈의 페르시아어", 그리고 "가젤"을 출판했다.

아마도 19세기와 20세기 초 가장 인기 있었던 페르시아 시인은 오마르 카이얌(1048-1123)일 것이다. 그의 『루바이야트』는 에드워드 피츠제럴드에 의해 1859년에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카이얌은 그의 고향 페르시아에서는 시인보다는 과학자로 더 존경받지만, 피츠제럴드의 번역을 통해 그는 영어권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시인 중 한 명이 되었다. 카이얌의 "빵 한 덩이, 포도주 한 병, 그리고 당신"이라는 구절은 누가 썼는지, 어디서 왔는지 모르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페르시아의 시인이자 신비주의자 루미(1207-1273)는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많은 추종자들을 끌어 모았다. 콜먼 바크스의 대중적인 번역은 루미를 뉴에이지의 현자로 제시했다. A. J. 아버리와 같은 학자들의 보다 문학적인 번역도 여러 개 있다.

하피즈, 사아디, 카이얌, 루미, 니자미 간자비, 피르도우시와 같은 고전 시인들은 이제 영어권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번역본으로 읽을 수 있다. 페르시아 문학의 다른 작품들은 번역되지 않고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10. 3. 스웨덴 문학

지난 세기 동안 에릭 헤르멜린(Eric Hermelin) 남작은 페리드 우드딘 아타르(Farid al-Din Attar), 룸(Rumi), 피르도우시(Ferdowsi), 오마르 카이얌(Omar Khayyam), 사아디(Saadi), 사나이(Sanai) 등 많은 고전 페르시아 문학 작품을 스웨덴어(Swedish language)로 번역했다. 그는 스웨덴(Sweden)의 신비주의자 에마누엘 스웨덴보리(Emanuel Swedenborg)의 글에 영향을 받아 고전 페르시아 시의 종교적 혹은 수피즘(Sufism)적 측면에 특히 매료되었다. 그의 번역은 카를 벤베리(Karl Wennberg), 윌리 키르클룬드(Willy Kyrklund), 군나르 에켈뢰프(Gunnar Ekelöf) 등 많은 현대 스웨덴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에는 하피즈(Hafez), 룸(Rumi), 아라키(Fakhr-al-Din Iraqi), 니자미 아루지(Nizami Aruzi) 등의 고전 작가들의 작품이 이란학자인 아쉬크 달렌(Ashk Dahlén)에 의해 스웨덴어로 번역되었으며, 그는 페르시아 문학 발전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피르도우시의 『샤나메(Shahnameh)』의 일부는 남다르 나세르(Namdar Nasser)와 안야 말름베리(Anja Malmberg)에 의해 스웨덴어 산문으로 번역되었다.

10. 4. 이탈리아 문학

지난 세기 동안 알레산드로 바우사니(니자미, 루미, 이크발, 카얌), 카를로 사코네(아타르, 사나이, 하피즈, 나시르 흐스라우, 니자미, 아흐마드 가잘리, 헤라트의 안사리, 사디, 아예네), 안젤로 피에몬테세(아미르 흐스라우 디흘라비), 피오 필리파니-론코니(나시르 흐스라우, 사디), 리카르도 지폴리(카이 카우스, 비딜), 마우리치오 피스토소(니잠 알-물크), 조르조 베르첼린(니자미 아루지), 조반니 마리아 데르메(우바이드 자카니, 하피즈), 세르지오 포티(수흐라와르디, 루미, 자미), 리타 바르질리(사디, 파룩히, 마누체흐리, 운수리), 나히드 노로지(소흐랍 세페흐리, 케르만의 흐와주, 아흐마드 샴루), 파에제 마르다니(포루흐 파록자드, 아바스 키아로스타미) 등 많은 학자들이 수많은 고전 및 현대 페르시아 문학 작품을 이탈리아어로 번역했다. 19세기에는 이탈로 피치가 피르다우시의 ''샤흐나메'' 전역을 번역했다.

11. 현대 페르시아 문학 장르

11. 1. 희곡

바흐람 베이자이, 악바르 라디, 골람호세인 사에디, 에스마엘 칼라즈, 알리 나시리안, 미르자 아가 타브리지, 비잔 모피드 등이 대표적인 극작가이다.

11. 2. 소설

모하마드 알리 자말자데(Mohammad-Ali Jamalzadeh), 사데크 헤다야트(Sadeq Hedayat), 사데크 추박(Sadeq Chubak), 골람 호세인 사에디(Gholam-Hossein Sa'edi), 아마드 마흐무드(Ahmad Mahmoud), 자랄 알레 아흐마드(Jalal Al-e-Ahmad), 시민 다네슈바르(Simin Daneshvar), 보즈르그 알라비(Bozorg Alavi), 에브라힘 골레스탄(Ebrahim Golestan), 바흐만 쇼레바르(Bahman Sholevar), 마흐무드 돌라타바디(Mahmoud Dowlatabadi), 바흐람 사데기(Bahram Sadeghi), 가잘레 알리자데(Ghazaleh Alizadeh), 바흐만 포르시(Bahman Forsi), 호샹 골시리(Houshang Golshiri), 레자 바라헤니(Reza Baraheni), 아바스 마루피(Abbas Maroufi), 레자 가세미(Reza Ghassemi), 조야 피르자드(Zoya Pirzad), 샤흐리아르 만다니푸르(Shahriyar Mandanipour), [https://www.goodreads.com/author/show/285067.Abutorab_Khosravi 아부토랍 코스라비(Abutorab Khosravi)], 나지 사파비(Nazi Safavi) 등이 대표적인 소설가이다.

11. 3. 풍자

페르시아 문학에서 풍자는 중요한 장르 중 하나이다. 데크호다, 이라즈 미르자, 키우마르스 사베리 후마니, 오베이드 자카니, 에브라힘 나바비, 하디 호르산디, 비비 카툰 아스타라바디, 자바드 알리자데, 엠란 살라히 등이 대표적인 풍자 작가로 알려져 있다.

11. 4. 문학 비평

19세기 페르시아 문학 비평의 선구자는 미르자 파트 알리 아훈자데, 미르자 말콤 칸, 미르자 아브드 알-라힘 탈레보프, 자인 알-아베딘 마라게이이다.

20세기에는 잠시드 베흐남, 알라메 알리-악바르 데흐코다, 바디오즈만 포루잔파르, 모하마드-타키 바하르, 자랄 호마이, 모하마드 모인, 사에드 나피시, 파르비즈 나텔-칸라리, 사데크 헤다야트, 아마드 카스라비, 압돌호세인 자린쿠브, 샤흐로크 메스쿠브, 알리 압돌레자에이 등이 저명한 비평가로 활동했다.[36][37][38]

사에드 나피시는 루다키와 수피 문학에 대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여러 비평 작품을 분석하고 편집했다. 파르비즈 나텔-칸라리는 간결한 문체로 페르시아 문학의 창의성과 표현의 전체 스펙트럼을 수용하는 접근 방식을 취했다.[36] 아마드 카스라비는 전제 정치에 봉사하는 작품을 쓴 작가와 시인들을 비판했다.[37]

현대 페르시아 문학 비평은 사데크 헤다야트, 에브라힘 굴레스탄, 호샹 골시리, 압돌호세인 자린쿠브, 샤흐로크 메스쿠브에 이르러 성숙기에 도달했다. 압돌호세인 자린쿠브는 학계에서 명성을 얻었으며, 비교 문학과 페르시아 문학 비평을 발전시켰고, 루미의 ''마스나비''에 대한 비판적이고 비교적인 분석인 ''Serr e Ney''를 저술했다.[38] 샤흐로크 메스쿠브는 현대 문학 비평의 원리를 사용하여 페르도시의 ''샤흐나메''를 연구했다.

모하마드 타기 바하르는 ''Sabk Shenasi''(문체론)라는 책을 통해 페르시아 문학 사학의 실천과 페르시아 문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자랄 호마이, 바디오즈만 포루잔파르, 모하마드 레자 샤피에이-카드카니는 저명한 문학 작품을 편집했다.[39] 알라 칸 아프사자드는 자미 작품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수행하여 2000년 이란 올해의 최우수 도서상을 수상했다.[40]

11. 5. 단편 소설

역사적으로 페르시아 단편 소설은 세 단계를 거쳐 발전했다.

11. 6. 시

메흐디 아크반 살레스(Mehdi Akhavan-Sales), 시민 베바하니(Simin Behbahani), 포루흐 파록자드(Forough Farrokhzad), 모하마드 조하리(Mohammad Zohari), 비잔 잘랄리(Bijan Jalali), 미나 아사디(Mina Assadi), 시아바시 카스라이(Siavash Kasraie), 페레이둔 모시리(Fereydoon Moshiri), 나데르 나데르푸르(Nader Naderpour), 소흐랍 세페리(Sohrab Sepehri), 모하마드 레자 샤피에이 카드카니(Mohammad-Reza Shafiei-Kadkani), 아흐마드 샴루(Ahmad Shamlou), 니마 유시지, 후샹 에브테하즈, 미르자데 에쉬기(Mirzadeh Eshghi), 모하마드 타기 바하르, 아레프 가즈비니(Aref Ghazvini), 아흐마드 니크탈랍(Ahmad NikTalab), 파르빈 에테사미, 샤리아르, 알리 압돌레자에이(Ali Abdolrezaei), 바박 니크탈랍(Babak NikTalab) 등이 대표적인 페르시아 시인이다.[42]

11. 6. 1. 고전 페르시아 시 (현대)

모하마드 타기 바하르(Mohammad Taghi Bahar)는 "시인들의 왕"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20세기 초 페르시아 문학이 독립적인 기관으로 등장하고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3] 그의 시의 주제는 이란의 사회 및 정치 상황이었다.

파르빈 에테사미(Parvin Etesami)는 고전 양식으로 시를 쓴 가장 위대한 페르시아 여성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의 주목할 만한 작품 중 하나인 ''마스트 바 호시야르''(Mast va Hoshyar, 술 취한 자와 맑은 자)는 낭만주의 시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다.[44]

11. 6. 2. 현대 페르시아 시

니마 유시즈는 현대 페르시아 시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현대 시와 구시를 구분짓는 많은 기법과 형식을 도입했다.[45] 아흐마드 샴루와 같은 그의 제자들이 니마의 방법을 채택하고 현대 시의 새로운 기법을 시도하면서 이 새로운 문학 형식을 대중화했다.

니마 유시즈는 운율의 족쇄에서 페르시아 시를 해방시켰고, 이는 오랜 문학 전통의 전환점이 되었다.[45] 그는 고전 시의 원리에 대한 다른 이해를 제시하며, 시를 "자연적 정체성"에 헌신시키고 시인의 마음과 언어적 수행 능력에서 현대적인 규율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니마는 고전 시를 지배하는 형식적인 기법이 시의 활력, 활기, 진보를 방해한다고 생각했으며, 고전 시의 미적 특성 중 일부를 받아들이면서도 자신의 시적 경험을 넓히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세피드 시(백색 시)는 니마파 시에 들어온 강제적인 규칙을 피하고 더 자유로운 구조를 채택했다.[45] 이는 시인과 그의 감정적 뿌리 사이의 더 직접적인 관계를 허용했으며, 시인의 삶과 그를 둘러싼 넓은 세계에 대한 연대를 구체적이고 명확한 세부 사항과 장면으로 묘사했다. 세피드 시는 니마가 표현한 시적 비전을 계속하고 창작에 부과된 인위적인 규칙을 피하지만, 니마파 시와 가장 큰 차이점은 니마파 시가 사용한 리듬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아흐마드 샴루는 고전 거장들의 문학 작품과 니마파 경험에서 시의 내면적 특징과 그 표현을 발견하고, 개인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그는 이전 시에서 부과된 의무와 니마파 시에 들어온 몇 가지 제한에서 벗어남으로써 언어에 숨겨진 산문과 음악의 역할을 인식했다. 세피드 시의 구조에서 시는 더 "자연스러운" 단어로 쓰여지고 시적 특징을 잃지 않고 산문과 같은 과정을 통합한다.

시민 베바하니는 가잘의 형태에 역사적인 발전에 기여했다.[46][47] 그녀는 극적인 주제와 일상적인 사건과 대화를 자신의 시에 추가함으로써 전통적인 페르시아 운문 형식의 범위를 확장하고 20세기 페르시아 문학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일부를 제작했다.

메디 아크반 살레스는 ''호라사니''와 ''니마'' 학파 사이에 다리를 놓았다.[48] 그는 현대식 서사시에서 페르시아 문학의 자유시(새로운 스타일 시)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페르시아 시에 신선한 스타일을 도입하는 것이 그의 야망이었다.

포루흐 파록자드는 여성의 관점에서 사적인 성적 풍경을 생생하게 표현했다.[49] 그녀는 자신의 문학적 역할을 뛰어넘어 연기, 그림,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을 실험했다.

페레이둔 모시리는 새로운 시와 고전 페르시아 시를 조화시켰다.[50] 그의 시는 현대 페르시아 문학의 사회적 및 지리적 범위를 확장했다.

모하마드 레자 샤피에이 카드카니는 하피즈와 모울라비의 영향을 받은 시를 썼다.[51] 그는 간단하고 서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며 주로 정치적 분위기에 영감을 받았다.

11. 6. 3. 포스트모더니즘 페르시아 시

1990년대에 페르시아 시에서 포스트모더니즘 가잘이라고 불리는 진보적인 진화가 시작되었다. 이란의 시인으로는 레자 바라헤니, 알리 아브돌레자에이, 알리 바바차히 등이 대표적이다.

12. 페르시아 문학상

이란에는 다양한 문학상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문학상으로는 사데크 헤다야트 상, 페르도우시 국립상이 있다. 호창 골시리 상은 이란의 소설가 호창 골시리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문학상이다. 비잔 잘랄리 상, 이란 연례 도서상, 아비니 순교자 문학상도 이란의 주요 문학상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메르간 아다브 상, 파르빈 에테사미 상, 얄다 문학상, 이스파한 문학상, 페르시아 추측적 예술 및 문학상, 잘랄 알-에 아흐마드 문학상, 골든 펜 상 등이 있다. [https://web.archive.org/web/20121101061647/http://iranian-studies.com/awards/lois-roth 로이스 로스 페르시아 번역상]은 페르시아어 문학 작품을 영어로 번역한 작품에 수여되는 상이다. 잘레 에스파하니 시상은 이란의 시인 잘레 에스파하니를 기념하여 제정되었다.

참조

[1] 서적 Persian Studies in North America: Studies in Honor of Mohammad Ali Jazayery Brill 2017-04-12
[2] 서적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conflict in Afghanistan and its neighbors: the changing politics of language choice Brill 2017-04-12
[3]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2017-04-12
[4] 서적 The Legacy of Persia Clarendon Press 1953
[5]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Asia Charles Scribner's Sons 2002
[6] 백과사전 Darī Brill Publications
[7] 서적 Persian Literature - A Biobibliographical Survey: Volume V Poetry of the Pre-Mongol Period RoutledgeCurzon 2004
[8] 서적 Rumi Past and Present, East and West Oneworld Publications 2000
[9] 서적 Science and Religion, 400 B.C. to A.D. 1550 From Aristotle to Copernicu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10] 서적 The Western Tradition A Survey of Western Civilization Dryden Press 1972
[11] 서적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ume 13 - Inventories of Books to Korea: Libraries in the Republic of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2-11-01
[12] 서적 Naqde adabi Tehran 1959
[13] 서적 Persian Poetry in the Timurid and Safavid Peri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14] 서적 A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in Iran, 1866-1951 Ibex Publishers, Inc. 2003
[15] 서적 "Land and People of Iran"
[16] 학술지 DICTIONARIES
[17] 학술지 The Oxford Handbook of Persian Linguistics http://dx.doi.org/10[...] 2022-01-20
[18] 학술지 2. The Culture and Politics of Persian in Precolonial Hindustan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2-01-20
[19] 서적 Iran and the World in the Safavid Age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2-09-15
[20] 서적 Vagabond Life: The Caucasus Journals of George Kenn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21] 백과사전 Šāh-nāma Translations ii. Into Georgian http://www.iranicaon[...] 2005-06-15
[22]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1994
[23]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01-01
[24]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order Studi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
[25]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 Geography https://books.google[...] Pustaka Nasional Pte Ltd
[26] 서적 Rumi - Past and Present, East and West: The Life, Teachings, and Poetry of Jal l al-Din Rumi https://books.google[...] Oneworld Publications 2014-10-18
[27]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 Geography https://books.google[...] Pustaka Nasional Pte Ltd
[28]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29]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30]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31] 웹사이트 Nietzsche's Zarathustra http://faculty.frost[...] 2006-03-31
[32] 웹사이트 Latif Nazemi ""A Look at Persian Literature in Afghanistan"" http://www.qantara.d[...]
[33] 웹사이트 گلرخسار صفی اوا، مادر ملت تاجیک http://www.bbc.co.uk[...] 2006-03-31
[34] 웹사이트 مومن قناعت، شاعر و سیاستمدار http://www.bbc.co.uk[...] 2006-03-31
[35] 웹사이트 فرزانه، صدای نسل نو http://www.bbc.co.uk[...] 2006-03-31
[36] 웹사이트 پویایی فرهنگ هر کشور ی در "آزادی" نهفته است http://iranema-onlin[...] 2006-03-31
[37] 웹사이트 A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in Iran (1866-1951) https://web.archive.[...] 2006-03-31
[38] 웹사이트 AH Zarrinkoub: A biography https://web.archive.[...] 2006-03-30
[39] 뉴스 Luminaries - Mohammad Reza Shafiei-Kadkani http://www.iran-dail[...] 2005-09-24
[40] 웹사이트 همایش بزرگداشت افصح زاد http://www.bbc.co.uk[...] 2006-03-31
[41] 웹사이트 Persian Literature: The Persian Short Story https://www.irancham[...] 2022-11-01
[4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harghnew[...] 2006-07-19
[43] 논문 The institution of Persian literature and the genealogy of Bahar's stylistics
[44] 웹사이트 Parvin Etesami's biography at IRIB.com http://www.irib.ir/o[...]
[45] 웹사이트 Mansur Khaksar ''"Shamlu's poetic world"'' https://web.archive.[...] 2006-03-27
[46] 웹사이트 جایزه شعر بیژن جلالی به سیمین بهبهانی اهدا شد http://www.bbc.co.uk[...] 2006-03-31
[47] 웹사이트 معرفی منتقدان و پژوهشگران برگزیده شعر http://www.bbc.co.uk[...] 2006-03-31
[48] 웹사이트 Persian Language & Literature: Mehdi Akhavan Sales https://www.irancham[...] 2022-11-01
[49] 웹사이트 Forough Farrokhzad and modern Persian poetry https://web.archive.[...] 2006-03-30
[50] 웹사이트 Fereydoon Moshiri's official website http://www.fereydoon[...] 2006-03-27
[51] 웹사이트 Modern Persian Poetry By Mahmud Kianush http://www.art-arena[...] 2006-03-27
[52] 웹사이트 Editions Bruno Doucey http://www.editions-[...] 2015-04-16
[53] 웹사이트 Babak Abazari http://www.rusartnet[...]
[5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04-16
[55] 웹사이트 کلاغ از خوشحالی در پوست خود نمی گنجشک http://rezavasta.blo[...] 2024-11-03
[56]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the book Kalagh az khoshhali dar post-e-khod nemi gonjeshk and its impact on Persian literature and language in Iran. https://m.facebook.c[...]
[57] 뉴스 Shargh Newspaper - Short news - No. 437 dated Monday, March 14, 2005.
[58] 간행물 Translation of Persian Wikipedia content and Persian Wiktionary.
[59] 웹사이트 نمی‌گنجشک https://fa.m.wiktion[...] 2024-11-07
[60] 웹사이트 کلاغ از خوشحالی در پوست خود نمی گنجشک https://www.goodread[...] 2024-11-07
[61] 간행물 Dal news-cultural-social magazine, 2nd edition, 2nd and 3rd issue, page 352, dated 2007.
[62] 웹사이트 DAL Magazine https://www.dal.ca/n[...] 2024-11-19
[63] 서적 The book of stylistics in the Persi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Iran, second edition.
[64] 논문 ペルシア文学
[65] 논문 ペルシア文学
[66] 서적 ペルシア文芸思潮 近藤出版社 1977-09-10
[67] 백과사전 Azraqī Heravī https://iranicaonlin[...]
[68] 논문 デホダーと立憲革命 : 『チャランド・パランド』 について
[69] 백과사전 Āḵūndzāda https://iranicaonlin[...]
[70] 논문 ミールザー・ファテ・アリー・アーホンド・ザーデ Mīrzā Fath-ʿAlī Ākhond-zāde (1812~78) とイラン : 文学史的側面から
[71] 서적 Sadeq Hedayat: The life and literature of an Iranian writer I.B. Tauis 2018-07-14
[72] 논문 サーデク・ヘダーヤトのイラン文化認識をめぐって
[73] 논문 Introduction: Iran's literature 1977-1997
[74] 논문 イラン大衆小説の歩み
[75] 논문 イランの女性作家
[76] 서적 翻訳百年 大修館書店
[77] 서적 神秘主義列伝 国書刊行会
[78] 서적 鳥の言葉:ペルシア神秘主義比喩物語詩 東洋文庫
[79] 서적 ペルシア逸話集 東洋文庫
[80] 서적 ヴィースとラーミーン 平凡社
[81] 논문 ハーフェズ詩注解(1)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
[81] 논문 ハーフェズ詩注解(14)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
[82] 서적 王書 東洋文庫
[83] 서적 ۵شعرالعجم
[84] 논문 近世ペルシア文学における神秘主義詩人 https://doi.org/10.5[...] 日本オリエント学会
[85] 논문 インドにおけるペルシア文学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